KR100424757B1 -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57B1
KR100424757B1 KR1019960705274A KR19960705274A KR100424757B1 KR 100424757 B1 KR100424757 B1 KR 100424757B1 KR 1019960705274 A KR1019960705274 A KR 1019960705274A KR 19960705274 A KR19960705274 A KR 19960705274A KR 100424757 B1 KR100424757 B1 KR 10042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buried
supplied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701492A (en
Inventor
츠네오 오노데라
키요치카 호시카와
요시아키 와타나베
이와오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패디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패디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패디 겐큐쇼
Publication of KR97070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지에 마련된 각 수전을 일정한 수위로 용이하게 관개할 수 있는 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11)에서 상측 논두렁(12)에 수위 조정기(30)가 마련되어 있다. 최상측의 수위 조정기(30)에는 저수지(16)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최상측 수전(11)을 소정의 수위로 될 때까지 공급한다. 이 수위 조정기(30)에는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이 접속되어 있고, 최상측 수전(11)이 소정의 수위로 되면, 수위 조정기(30)는 남은 용수를 매설관(14)으로 배출한다. 매설관(14)의 하류측 단부에도 수위 조정기(30)가 접속되어 있고, 이 매설관(14)에 공급된 용수가 하단측 수전(11)에 공급되어, 하단측 수전(11)이 일정한 수위가 되도록 관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management system that can easily irrigate each faucet provided on the slope at a constant level.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provided in the upper paddy field 12 in each faucet 11 provided in the step shape on the slope. Water supplied from the reservoir 16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on the uppermost side, and the upper faucet 11 is supplied until it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top faucet 11 is connected to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and when the top faucet 11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level adjuster 30 is the remaining water. To the buried pipe (14).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also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buried pipe 14,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buried pipe 14 is supplied to the lower faucet 11, so that the lower faucet 11 has a constant water level. Irrigation to

Description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Power

경사지에 형성된 각 수전은 용수가 확보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어 계단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에 마련된 각 수전에 있어서는, 통상 저수지의 용수를 최상측에 마련된 수전에 공급하여 하류의 각 수전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넘침 관개(즉, 용수가 아래의 각 수전으로 흘러 넘침으로써 관개되는 것)」에 의해, 관개( 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Each faucet formed on the slope is formed horizontally so that water is secured and is arranged in a step shape. Thus, in each faucet provided on the inclined ground, "overflow irrigation (i.e., irrigation by water flowing over each faucet below) which normally supplies the water of the reservoir to the faucet provided on the uppermost side and sequentially supplies each faucet downstream. It is formed so that irrigation can be carried out.

이와 같은 관개 방법에서는, 상류측의 수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관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의 수전에서 비료, 농약 등이 용수와 함께 하류측의 수전에 공급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하류측 수전의 시비(施肥), 농약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such an irrigation method, since the irrigation from the upstream side is sequentially irrigated, fertilizers, pesticides, etc. tend to be supplied to the downstream side with the water in the upstream side. ), There is a problem that pesticide management is not easy.

또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순차적으로 용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수전에서 용수의 수위를 관리하기가 곤란하고, 따라서 많은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막대한 작업 시간을 들여도 각 수전에서의 수위를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In addition, since water is supplied sequentially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water level in each faucet,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work time.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e same water level in each faucet even after enormous working time.

게다가, 상류측의 수전으로부터 하류측의 수전으로 순차적으로 용수가 공급되므로, 이러한 공급 동안에 용수의 온도가 기온 등의 영향을 받아 크게 변동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계절에 따라 용수의 온도가 크게 변동하여 이상 고온수나 이상 저온수가 수전에 공급됨으로써 벼의 생육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is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there is a tendency fo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vary greatly during the supply under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the lik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uctuates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he abnormally high temperature water or the abnormally low 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to the faucet, resulting in poor rice growth.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3-30869 호에는 복수의 수전에 자동적으로 용수를 급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급수 방법은 수평한 대지에 마련된 복수의 수전과 용수로 사이에 급수보를 각각 마련함과 동시에, 각 급수보 보다도 용수로의 하류측에 하류보를 마련하고, 각 급수보 및 하류보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수 방법에서는 각 수전에 대해서 급수보와 하류보를 설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설치를 위한 공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3-30869 discl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faucets. This water supply method has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beam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faucets and waterways provided on a horizontal land, and a downstream beam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aterway than each water supply beam, and the water supply beams and the downstream beam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have. In this water supply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for the installation is not easy because the water supply beam and the downstream beam must be installed for each faucet.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88-3734 호에는 용수로와 각 수전 사이에 취수 수단을 각각 마련하고, 각 취수 수단을 제어수단에 의해서 제어하는 용수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에서도, 각 수전마다 복잡하고 대규모로 구성된 취수 수단을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공 공사가 용이하지 않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각 취수 수단의 제어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88-3734 discloses a wat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water intake means are provided between a water channel and each water tap, and each water intake means is controlled by a control means. Even in such a management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work is not easy because a complex and large-scale water intake means must be provided for each fauc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trol of each water intake means is not easy.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2-48126호에는, 수전에 마련된 매설관에 담수조로부터 용수를 공급하여, 매설관으로부터 수전에 일정한 수위가 되도록 용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경사지에 마련된 각 수전에 대해서 이와 같은 복잡한 구성으로 된 장치를 설치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2-48126 discloses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from a freshwater tank to a buried pipe provided in a faucet, and supplying water from the buried pipe to a constant water level from the buried pipe. The device disclosed in this publication ha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device having such a complicated configuration for each faucet provided on the slope.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작업으로 경사지에서 각 수전을 일정한 수위로 관개할 수 있는 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management system that can irrigate each faucet at a constant level on a slope by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단측 수전이 상단측 수전에서의 농약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또 기후에 따른 용수의 온도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ope receiving wat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lower faucet is not affected by pesticides or the like in the upper faucet and is not affected b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climat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에 대해서 일정한 수위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용수 관리 시스템으로서, 각 수전의 바닥부에 상측의 논두렁으로부터 하측의 논두렁에 걸쳐서 각각 매설된 매설관과, 각 수전에서 상측의 논두렁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공급되는 용수를 각 수전에 설치된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공급하여, 남은 용수를 그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각 매설관에 각각 배출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정기를 구비하고, 최상측 수전에서 상측의 논두렁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에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water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supply water at a constant water level to each faucet provided in a stepped shape on a slope, and the buried pipes buried from the upper ricefield to the lower ricefield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faucets is installed in the upper rice field, and the water supplied therein is supplied to a predetermined level provided in each faucet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s discharged into each buried pipe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fauc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a water level regulator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a water level regulator installed in the upper paddy field at the upper side faucet.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은, 각 수위 조정기에는 내부에 공급되는 용수의 수위가 각 수전에 공급되는 용수의 설정된 소정의 수위 보다 낮게 되는 것을 검출하는 수위 센서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각 수위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최상측의 수전에 강제적으로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있다.In the water level management system for the slope receiving power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water level regulators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herein is lower than the set predetermined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each fauce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water level sensor, it is comprised so that water may be forcibly supplied to the top faucet.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에 대해서 일정한 수위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용수 관리 시스템으로서, 각 수전의 바닥부에 상측의 논두렁으로부터 하측의 논두렁에 걸쳐서 각각 매설되어 있고, 각 수전 내로 연통하도록 배수관부가 각각 마련된 매설관과, 상하로 인접하는 수전 사이의 논두렁에 설치되며, 상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의 하류측 단부와, 하단측 수전의 상류측 단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내를 통과하는 용수를 각 배수관부를 경유하여 각 수전내에 설정된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공급함과 동시에, 남은 용수를 하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정기를 구비하며, 최상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에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a water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supply water at a constant level with respect to each faucet provided in a stepped shape on a slope, and is buried from an upper paddy field to a paddy field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respectively. In the buried pipe, each having a drain pipe portion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faucet, and a rice paddle between up and down adjacent faucets, install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buried pipe buri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faucet, and at the upstream end of the lower faucet.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pplies water passing through the buried pipe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upper side faucet to the predetermined level set in each faucet via each drain pipe part, and the remaining water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faucet. It is equipped with a water level regulator configured to discharge to the buried pipe, the water in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top fauc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용 용수 관리 시스템은 각 수위 조정기를 이용하여 각 수전의 수위를 간단히 설정함으로써, 각 수전을 항상 일정한 수위로 관개할 수 있고, 용수의 관리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수전에는 매설관내를 통하여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용수는 상단측 수전에 의한 농약 또는 비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기후에 따른 온도 변화도 제어된다.In this way, the wa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slope l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setting the water level of each faucet using each level adjuster, it is possible to irrigate each faucet at a constant level at all times, remarkably the time required for water management work It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since each fauce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hrough the buried pipe, the supplied water is hardly affected by pesticides or fertilizers caused by the upper faucet, and the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climate is also controlled.

게다가, 모든 수전에서, 소정의 수위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각 수전에서 관개 용수를 소정의 수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벼의 생육에 적합한 용수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all faucets, irrigation water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by forcibly supplying water when it is not at a predetermined level, so that water management suitable for growing rice is possible.

본 발명은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水田)에 대해서, 용수를 일정한 수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정한 수위로 용수를 유지할 수 있는 용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upplying water at a constant water level and maintaining water at a constant water level for each faucet provided in a stepped shape on a slo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rece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그 용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도 3은 그 용수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위 조정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3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used i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부의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한 B부의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receiv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그 용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도 8은 그 용수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위 조정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8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used i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계단형으로 마련된 복수의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경사지에는 수평상태로 된 복수의 수전(11, 11,.....)이 계단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단측 수전(11)과 하단측 수전(11) 사이에는 논두렁(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수전(11)의 측방에는 용수가 흐르는 수로(13)가 경사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최상측 수전(11)의 상방에는 수로(13)로부터 용수가 유입되도록 저수지(16)가 마련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water management system provided in a step shape in a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hereof. On the slope, a plurality of faucets 11, 11,... Which are in a horizontal state are provided in a step shape. The paddy field 1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ide faucet 11 and the lower side faucet 11, respectively. In addition, a channel 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provided along the slope of each faucet 11, and a reservoir 16 is provided above the top faucet 11 so that water flows from the channel 13. .

저수지(16)에는 최상측의 수전(11)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파이프(15)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 파이프(15)는 땅속에 매설된 상태로 되어 있고, 최상측 수전(11)에서 상측의 논두렁(12)에 마련된 수위 조정기(30)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15)에는 개폐 밸브(22)가 마련되어 있고, 저수지(16)내의 용수는 개폐 밸브(22)가 개방됨으로써 급수 파이프(15) 및 수위 조정기(30)를 경유하여 최상측 수전(1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최상측 수전(11)내에 공급되는 용수는 하단측 수전(11)과의 사이에 마련된 논두렁(12)에 의해서 하단측 수전(11)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eservoir 16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end 11. This water supply pipe 15 is buried in the ground,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upper ricefield 12 from the top faucet 11. The water supply pipe 15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22,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16 is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so that the uppermost water tap 11 via the water supply pipe 15 and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t is supposed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ied in the top faucet 1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not flow into the bottom faucet 11 by the paddy field 12 provided between the bottom faucet 11.

최상측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30)는 급수 파이프(15)에 의해서 공급되는 용수를 최상측 수전(11)에 공급하여, 이 수전(11)을 관개함과 동시에, 이 수전(11)에 관개된 용수의 수위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남은 용수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에는 상측 논두렁(12)으로부터 하측 논두렁(12)에 걸쳐서 거의 수평상태로 매설관(14)이 매설되어 있고, 이 매설관(14)의 상류측 단부에 수위 조정기(30)에서 남은 용수가 배출되는 하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수위 조정기(30)는 최상측 수전(11)에 용수를 소정의 수위까지 공급하고, 이 수전(11)에 대해서 불필요한 남은 용수를 이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upper paddy field 12 of the top faucet 11 supplies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pipe 15 to the top faucet 11 to irrigate the faucet 11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rrigated in this faucet 11 reaches the predetermined level,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discharge | releases the remaining water below. The buried pipe 14 is embed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top faucet 11 in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from the upper paddle rune 12 to the lower paddle rune 12, and the water level regulator is located at an upstream end of the buried pipe 14. The lower end part from which water remaining in 30 is discharged is connected.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supplies water to the top faucet 11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remaining water unnecessary for the faucet 11 is buried in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faucet 11.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매설관(14)은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를 통해서 이 수전(11)에 인접하는 하단측 수전(11)과의 사이의 논두렁(12)의 바닥부까지 연결되어 있고, 이 논두렁(12)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수위 조정기(30)도 최상측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배치된 수위 조정기(30)와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매설관(14)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하단측 수전(11)에 공급하고, 이 수전(11)을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관개한다. 그리고, 하단측 수전(11)이 소정의 수위로 관개되면, 수위 조정기(30)에 공급되는 남은 용수는 매설관(14)에 공급된다. 이 매설관(14)도 관개된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상측 논두렁(12)으로부터 하측 논두렁(12)에 걸쳐서 거의 수평상태로 매설되어 있다.The buried pipe 14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of the paddle 12 between the bottom faucet 11 adjacent to this faucet 11 through the bottom part of the top faucet 11, and this paddle run 12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also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disposed in the upper paddy field 12 of the upper side faucet 11,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ried pipe 14 receives the lower side faucet 11 The water supply 11 is irrigated so that it may become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n, when the lower side faucet 11 is irrigated at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remain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supplied to the buried pipe 14. The buried pipe 14 is also buried almost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addy field 12 to the bottom paddy field 12 at the bottom of the irrigated lower side faucet 11.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각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각 매설관(14)의 하류측 단부에 이 수전(11)과, 이 수전(11)에 인접하는 하단측 수전(11) 사이의 논두렁(12)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30)가 접속되고, 이 수위 조정기(30)에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의 상류측 단부가 접속된다.Similarly, between this faucet 11 and the lower end faucet 11 adjacent to this faucet 11 at the downstream end of each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of each faucet 11 in the same manner.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paddy field 12 is connected, and the upstream end part of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lower side faucet 11 is connected to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최하측 수전(11)에 있어서 하측 논두렁(12)에도 수위 조정기(30)가 설치된다. 이 수위 조정기(30)에는 배수 파이프(17)가 접속되어 있고, 수위 조정기 (30)에 공급되는 용수는 배수 파이프(17)를 통해서 수로(13)로 환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lowermost faucet 11,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also provided in the lower paddy field 12. As shown in FIG. A drain pipe 17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water channel 13 through the drain pipe 17.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위 조정기(30)의 내부에는 각 수위 조정기(30)에 공급되는 용수를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는 수위 센서(39)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수위 센서(39)의 검출 결과는 콘트롤러(23)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콘트롤러(23)에 의해서 수로(13)내의 용수를 최상측 수전(11)에 급수하는 급수 파이프(15)에 마련된 개폐 밸브(22)의 개폐가 제어된다.As shown in FIG. 2, inside each level regulator 30, the water level sensor 39 which detects that the water supplied to each level regulator 30 became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s provided, respectively.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water level sensor 39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controller 23, and the controller 23 feeds the water in the water channel 13 to the water supply pipe 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most faucet 11.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ovided opening / closing valve 22 is controlled.

도 3은 수위 조정기(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수위 조정기(30)는 수직상태로 된 원통형의 외부통(31)을 가지고 있다. 이 외부통(31)의 상방 근처 중앙에는 수평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수부(31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접수부(31a)내에 상류측에 배치된 급수 파이프(15) 또는 매설관(14)의 하류측 단부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통(31)내에는 급수 파이프(15) 또는 매설관(14)내를 흐르는 용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3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has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31 in a vertical state. In the center near the upper side of this outer cylinder 31, the receiving part 31a extended laterally from a horizontal state is provided, and the water supply pipe 15 or the buried pipe 14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in this receiving part 31a is provided. It is comprised so that a downstream end part may be connected. 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pipe 15 or the buried pipe 14 is supplied into the outer cylinder 31.

외부통(31)에는 접수부(31a)에 대향해서 접수부(31a)와 동심상태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배수부(31b)가 마련되어 있다. 수위 조정기(30)는 이 배수부(31b)가 용수를 공급할 수전(11)내에 위치되어, 이 배수부(31b)의 하부가 그 수전(11)의 관개 용수의 수위 보다도 낮게 되도록 그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외부통(31)이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부(31b)는 접수부(31a)와 동심상태일 필요는 없고, 또 배수부(31b)에는 유량 조정기를 접속해도 바람직하다.The outer cylinder 31 is provided with a drain 31b which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centrically with the receiver 31a against the receiver 31a.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located in the faucet 11 to which the drain part 31b supplies water,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drain part 31b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irrigation water of the faucet 11. The outer cylinder 31 is provided in the vertical state in the upper paddy field 12 of the (). In addition, the drain 31b does not have to be concentric with the receiving portion 31a, and the flow rate regulator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31b.

외부통(31)의 상부내에는 수직상태로 된 가이드 통(38)이 동심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이 가이드 통(38)의 상부는 반원통형으로 절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의 내주면이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ylinder 31, the guide cylinder 38 which became a perpendicular state is connected in concentric state. The upper part of this guide cylinder 38 is cut | disconnected in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is exposed so that it may be seen from the outside.

외부통(31)의 하단부에는 이음부(32)가 외부통(31)과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이음부(32)는 하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의 하단부내에 지지통(33)의 하단부가 동심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통(33)은 이음부(32)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 통과하고 있고, 그의 상단부는 외부통(31)의 하단부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지지통(33)내에는 연결관부(34)가 동심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연결관부(34)의 하단부는 지지통(3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의 하단부에 엘보(35)가 수직으로 된 한쪽의 단부가 끼워져 있다. 엘보(35)의 다른쪽 단부는 수평하게 되어 있고, 그의 단부에 매설관(14)의 한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매설관(14)은 용수가 공급되는 수전(11)의 바닥부에 상측 논두렁(12)으로부터 하측 논두렁(12)에 걸쳐서 거의 수평상태로 매설되어 있다.The joint part 32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outer cylinder 31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31. The joint portion 32 has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cylinder 33 is supported concentrically in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This support cylinder 33 has passed through the joint part 32 over the full length, and the upper end part is being insert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outer cylinder 31. As shown in FIG. In the support cylinder 33, the connection pipe part 34 is supported concentrically. The lower end par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34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one end part which the elbow 35 was perpendicular to the lower end part is fitted. The other end of the elbow 35 is horizontal, and one end of the buried pipe 14 is connected to the end thereof. The buried pipe 14 is buried almost horizontally from the top paddle 12 to the bottom paddle 12 at the bottom of the faucet 11 to which water is supplied.

도 4는 도 3에서 A부 확대도이다. 지지통(33)의 상단부에는 원통형의 밀봉부재(36)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36)는 지지통(33)의 상단면을 그의 축중심부를 제외하고 피복된 상태에서 지지통(33)에 장착되어 있다. 밀봉 부재(36)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6a)가 마련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36a)와 외부통(31) 사이에 밀봉 링(36b)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밀봉 링(36b)은 외부통(31)과 밀봉 부재(36) 사이를 수밀상태(水密狀態)로 밀봉되게 한다. 지지통(33)내에 삽입된 연결관부(34)의 상단부는 지지통(33)의 상단면 근방에 위치되어 있고, 그의 외주면에는 0 링(34a)이 장착되어 있다. 이 0 링(34a)은 지지통(33)의 내주면과 연결관부(34)의 외주면 사이를 수밀상태로 밀봉한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The cylindrical sealing member 36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is sealing member 36 is attached to the support cylinder 33 in the state which covere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3 except the axial center part. The sealing member 36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36a extending outwar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a sealing ring 36b is attach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36a and the outer cylinder 31. This sealing ring 36b seals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 and the sealing member 36 in a watertight stat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part 34 inserted into the support cylinder 33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0 ring 34a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zero ring 34a seal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34 in a watertight state.

지지통(33)의 상단부에 장착된 밀봉 부재(36)의 축중심부에는, 내부통(37)이 동심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부통(37)은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밀봉 부재(36)에 대해서 수밀상태로 되어 있다.The inner cylinder 37 is slidably suppor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concentric state at the shaft center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36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33. The inner cylinder 37 has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lower end surface open, respectively, and is watertight with respect to the sealing member 36. As shown in FIG.

내부통(37)의 내주면에는 수직상태로 된 조작 로드(37a)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 로드(37a)는 내부통(37)내를 축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삽입 통과하고,내부통(37)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내부통(37)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조작 로드(37a)의 상부는 외부통(31)의 상부에 접속된 가이드 통(38)내를 삽입 통과하고 있다. 조작 로드(37a)는 가이드 통(38)에서 상부내를 삽입 통과하고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an operating rod 37a in a vertical state is mounted. The operating rod 37a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cylinder 37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extends above the inner cylinder 37. Moreover,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rod 37a which protruded upwards from the inner cylinder 37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guide cylinder 38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ylinder 31. As shown in FIG. The training rod 37a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in the guide cylinder 38.

도 5는 도 3의 B부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가이드 통(38)의 반원형상으로 된 상단면은 덮개(38a)에 의해서 덮여져 있고, 이 덮개(38a)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통부재(38c)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로드(37a)는 통부재(38c)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함과 동시에, 통부재(38c)에 끼워진 너트 부재(38b)의 축중심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하여, 덮개(38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 로드(37a)의 상단부에는 조작용 핸들(37b)이 마련되어 있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The semicircular top surface of the guide cylinder 38 is covered by the cover 38a, and the cylinder member 38c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upward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is cover 38a. The operating rod 37a slides through the cylinder member 38c slidably and slidably inserts the shaft center portion of the nut member 38b fitted to the cylinder member 38c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lid 38a. It protrudes upwards. The operation handle 37b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37a.

가이드 통(38)내에 있어서 외부에서 바라 볼 수 있도록 절결된 상부내를 삽입 통과하는 조작 로드(37a)에는, 지침(37c)이 수평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통(38)의 외부에서 바라 볼 수 있는 상부 내주면에는 지침(37c)의 높이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도시하지 않음)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눈금에 의해서 표시되는 지침(37c)의 상하방향의 높이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통(31)에 대한 내부통(37)의 상단면 높이 위치가 인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guide rod 38, the guide rod 37c is mounted in a horizontal state to the operation rod 37a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cut out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 addition,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guide cylinder 38, a scale (not shown) for indicat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guide 37c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based on the height position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guideline 37c indicated by this scale,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31 is comprised.

내부통(37)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식(float type)의 수위 센서(3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39)는 외부통(31)내로 유입하는 용수의 수위가 내부통(37)의 상단면 보다도 낮은 레벨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콘트롤러(2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37, a float type water level sensor 39 is mounted, for example. The water level sensor 39 is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outer cylinder 31 is at a level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ontroller 23. have.

또한, 수위 센서(39)는 플로트식으로 제한되지 않고, 전극식, 정전용량식, 광전식 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The water level sensor 39 is not limited to a float type but may be an electrode type, a capacitive type or a photoelectric type.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수위 조정기(30)는 급수 파이프(15), 또는 상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마련된 매설관(14)이 외부통(31)의 접수부(31a)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하부가 매설된다. 이 경우, 외부통(31)이 수평상태로 된 배수부(31b)는 논두렁(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수전(11)내에 위치되고, 그 하부 내주면이 수전(11)에 대한 관개 용수의 수위 보다도 상방으로 위치된다. 또한, 가이드 통(38)에서의 상부는 논두렁(12)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내주면에 마련된 눈금 및 조작 로드(37a)의 지침(37c)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내부통(37)은 그 상단면이 배수부(31b)의 하부 내주면 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외부통(31)에 대해서 상하방향 위치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buried pipe 14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pipe 15 or the upper faucet 11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31a of the outer cylinder 31. And vertically in the upper paddy field 12 of each faucet 11, and the lower part is embedded. In this case, the drain 31b in which the outer cylinder 31 is in a horizontal state is located in the faucet 11 located below the paddy field 12, and its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level of irrigation water for the faucet 11. It is located above. In addition, the upper part in the guide cylinder 38 is exposed from the paddy field 12, and the scale 37 and the guide 37c of the operating rod 37a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Moreover, the inner cylinder 37 is comprised so that the up-down position may be set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31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may be located upward rather tha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art 31b.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 파이프(15) 또는 매설관(14)으로부터 외부통(31) 내에 용수가 유입되면, 외부통(31)과 내부통(37) 사이가 밀봉 부재(36) 및 밀봉 링(36b)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통(31)내로 유입된 용수는 내부통(37)과의 간극을 통해서 흘러내리지 않고, 내부통(37)의 주위를 통해서 배수부(31b)로 부터 배출된다. 배수부(31b)로부터 배출된 용수는 수전(11)내에 공급되어 이 수전(11)이 관개된다.In such a state, when water flows into the outer cylinder 31 from the water supply pipe 15 or the buried pipe 14, the sealing member 36 and the sealing ring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 and the inner cylinder 37 Since it is sealed by 36b), the water which flowed into the outer cylinder 31 does not flow through the clearance with the inner cylinder 37, but discharges from the drain part 31b through the inner cylinder 37 surroundings. do.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31b is supplied into the faucet 11 so that the faucet 11 is irrigated.

이와 같이 하여, 수전(11)이 관개되면, 수전(11)내의 용수의 수위가 상승하고, 수위 조정기(30)의 배수부(31b)의 하부 내주면 보다도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되며, 또 내부통(37)의 상단면 보다도 상승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외부통(31)내에 유입되는 용수는 내부통(37)의 상단면으로부터 그 내부로 흘러 넘치게 된다. 또한, 내부통(37)내에 유입된 용수는 연결관부(34), 엘보(35)를 통해서 엘보(35)에 접속된 매설관(14)에 공급된다.In this way, when the faucet 11 is irrigate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 the faucet 11 rises, and is located above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31b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and the inner cylinder ( The state becomes higher than the upper end surface of 37). In this state, the water flowing into the outer cylinder 31 flows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to the inside. 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cylinder 37 is supplied to the buried pipe 14 connected to the elbow 35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art 34 and the elbow 35.

매설관(14)내에 유입된 용수는 관개된 수전(11)과 그의 하단측 수전(11) 사이의 논두렁(12)에 마련된 수위 조정기(30)내에 공급되고, 그 수위 조정기(30)의 배수부(31b)로부터 하단측 수전(11)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수전(11)이 소정의 레벨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관개된다.The water flowing into the buried pipe 14 is supplied in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paddy field 12 between the irrigation faucet 11 and its lower side faucet 11, and the drain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t is supplied to the lower side faucet 11 from 31b. In this way, the faucet 11 is irrigated sequentially so as to become a predetermined level.

최하측 수전(11)에서 하측 논두렁(12)에도 수위 조정기(30)가 설치되는데, 이 수위 조정기(30)에서 외부통(31)의 배수부(3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 파이프(17)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고, 외부통(31)의 하단부에 마련된 엘보(35)의 단부는 캡 등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최하측의 수위 조정기(30)내에 공급되는 용수는 배수부(31b)로부터 배수 파이프(17)에 공급되어 배수 파이프(17)에 의해서 수로(13)로 환류된다.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also provided in the lower paddy field 12 in the lowermost faucet 11, and the water discharge part 31b of the outer cylinder 31 in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as mentioned above, has a drainage pipe ( 17), and an end of the elbow 3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31 is closed by a cap or the like. Therefore, the water supplied into the lowest water level regulator 30 is supplied to the drain pipe 17 from the drain part 31b, and is refluxed by the drain pipe 17 to the water channel 13.

이와 같이 하여,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11)에는 소정의 수위까지 용수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며, 각 수전(11)에서는 관개된 용수가 항상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따라서, 벼의 생육 기간중에, 각 수전(11)의 관개 용수의 수위 관리를 위해 실시되는 작업 시간은 현저하게 단축된다.In this way, water is sequentially supplied to each of the faucets 11 provided in the stepped form on the slope, and the water irrigated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in each faucet 11. Therefore,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rice, the working time performed for the water level management of the irrigation water of each faucet 11 is remarkably shortened.

종래에 있어서 30분 내지 40분 정도를 필요로 하던 용수 관리 작업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관리 시스템에서는 5분 내지 10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The water management work which required about 30 to 40 minutes conventionally took 5 to 10 minutes i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이 경우, 저수지(16)에 저장된 용수가 각 수전(11)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수전(11)에는 저수지(16)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 따뜻해진 용수가 공급됨으로써 냉해를 방지할 수 있어, 벼 생육에 바람직하다.In this case, since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6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each faucet 11, each faucet 11 is supplied with warm water while being stored in the reservoir 16 to prevent cold damage. It is possible for rice growth.

계단형으로 된 각 수전(11)을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관개할 때에, 예를 들면, 최상측 수전(11)에 대해서 용수의 수위를 조정하는 수위 조정기(30)에 용수가 내부통(37)의 상단면에 도달할 때까지 공급되지 않고, 그의 최하측 수전(11)을 소정의 수위까지 관개할 수 없는 상태로 되면, 그 수위 조정기(30)에 마련된 수위 센서(39)가 동작하여, 소정의 신호가 콘트롤러(23)에 출력된다. 따라서, 급수 파이프(15)에 마련된 개폐 밸브(22)가 개방되고, 저수지(16)내의 용수가 급수 파이프(15)를 경유하여 최상측 수전(11)에 공급된다.When irradiating stepped faucets 11 sequentially from the upper side, for exampl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that adjusts the water level with respect to the uppermost faucet 11. When it is not supplied until it reaches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lowest faucet 11 cannot be irrigat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39 provided in the level adjuster 30 is operat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level. The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23. Therefore,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5 is opened,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16 is supplied to the top faucet 11 via the water supply pipe 15.

급수 파이프(15)에 의해서 최상측 수전(11)에 용수가 공급되면, 최상측 수전(11)은 소정의 수위까지 관개된 상태로 되고, 남은 용수가 수위 조정기(30)의 배수부(31b)로부터 내부통(37)내로 유입되어,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그 매설관(14)이 접속된 하단측 수전(11)에 대한 수위 조정용 수위 조정기(30)에 용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에도, 용수가 공급된 수위 조정기(30)에 의해서 관개된 수전(11)은 이전에 소정의 수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남은 용수는 내부통(37)내로 유입되고, 매설관(14)을 통해서 하단측 수전(11)에 대한 수위 조정용 수위 조정기(30)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op faucet 11 by the water supply pipe 15, the top faucet 11 is in an irrigated state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remaining water is a drain 31b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t flows into the inner cylinder 37 from the inside, and is supplied into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top faucet 11. T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for level adjustment for the lower end faucet 11 to which the buried pipe 14 is connected. Even in this case, since the faucet 11 irrigated by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to which the water was supplied is previously at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remaining water flows into the inner cylinder 37 and the buried pipe 14 is closed. It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for the lower side faucet 11 through.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최하측 수전(11)에 대한 수위 조정용 수위조정기(30)에 용수가 공급되어, 최하측 수전(11)이 관개된다. 그리고, 최하측 수전(11)이 소정의 수위까지 관개되면, 이 수전(11)에 대한 수위 조정기(30)의 수위 센서(39)는 그러한 상태를 검출하고, 콘트롤러(23)는 급수 파이프(15)에 마련된 개폐 밸브(22)를 폐쇄상태로 한다.Hereinafter, similarly, water is supplied to the level adjuster 30 for level adjustment with respect to the lowermost faucet 11, and the lowermost faucet 11 is irrigated. When the lower faucet 11 is irrigat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39 of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for the faucet 11 detects such a state, and the controller 23 supplies the water supply pipe 15. The on / off valve 22 provided in the above) is made closed.

또한, 최하측 수전(11)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수전(11)에서 용수의 수위가 저하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급수 파이프(15)에 마련된 개폐 밸브(22)가 개방되어 최상측 수전(11)에 용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최상측 수전(11)에 공급되는 용수가 하단측 수전(11)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수위가 저하된 수전(11)의 수위가 상승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water level of all the faucets 11 is lowered, not limited to the bottom faucet 11,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5 opens and the top faucet 11 ) Is supplied with water. The water supplied to the top faucet 11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bottom faucet 11, whereby the water level of the faucet 11 in which the water level is lowered is increased.

또, 급수 파이프(15)에 마련된 개폐 밸브(22)의 개폐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3)에 태양 전지를 장착해서 이 태양 전지의 전력을 이용하여 개폐 밸브(22)를 제어하도록 하면 경제적이다.Moreover, it is economical if a solar cell is attached to the controller 23 which controls opening /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5, and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using the electric power of this solar cel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수전(11)의 바닥부에 상측 논두렁(12)으로부터 하측 논두렁(12)에 걸쳐서 매설관(14)이 각각 거의 수평상태에서 땅속에 매설되어 있고, 각 매설관(14)의 단부는 상측 및 하측 논두렁(12)에 각각 배치된 수위 조정기(30)에 접속되어 있다. 최상측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마련되는 수위 조정기(30)에는 급수 파이프(15)가 접속되어 있고, 이 급수 파이프(15)는 수로(13)의 용수가 유입되도록 수로(13)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15)에는 개폐 밸브(22)가 마련되어 있고,급수 파이프(15)내에 유입된 용수는 개폐 밸브(22)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이 급수 파이프(15)내를 통해서 최상측 수전(11)의 상측에 배치된 수위 조정기(30)에 공급된다. 그리고, 수위 조정기(30)에 공급된 용수는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내에 공급된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receiving wa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pipes 14 are buried in the ground in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from the upper paddle 12 to the bottom paddle 12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11, and each buried pipe 14 The end of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addy fields 12, respectively. A water supply pipe 15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on the upper paddy field 12 of the uppermost faucet 11, and the water supply pipe 15 has a water channel 13 so that water from the water channel 13 flows in. ) The water supply pipe 15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22, and the water flow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15 is the uppermost power faucet throug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5 when the opening / closing valve 22 is opened. It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arrange | positioned above 11). T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is supplied into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top faucet 11.

이 매설관(14)에는 그 수전(11)내에 연통되도록 상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는 배수관부(14a)가 마련되어 있다.The buried pipe 14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portion 14a that protrudes vertically upward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aucet 11.

최상측 수전(11)의 바닥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된 매설관(14)은 그 수전(11)과 하단측 수전(11) 사이에 마련된 논두렁(12)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3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위 조정기(30)도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수평상태로 매설된 매설관(1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수전(11)의 바닥부에 마련된 각각의 매설관(14)에도, 그 수전(11)내에 연통되도록 상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는 배수관부(14a)가 마련되어 있다.The buried pipe 14 provided horizontally in the bottom part of the top faucet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paddy field 12 provided between the faucet 11 and the bottom faucet 11. . And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is also connected to the embedding pipe 14 embedded in the horizontal part in the bottom part of the lower side faucet 11. As shown in FIG. Each of the buried pipes 14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11 is also provided with a drain pipe portion 14a which protrudes vertically upward to communicate with the faucet 11.

최하측 수전(11)의 하측 논두렁(12)에 배치된 수위 조정기(30)에는, 배수 파이프(17)가 접속되어 있고, 그 수위 조정기(30)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는 배수 파이프(17)를 통해서 배수로(25)에 공급되며, 배수로(25)에서 수로(13)로 환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 drain pipe 17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disposed on the lower paddy field 12 of the lowermost faucet 11,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asses through the drain pipe 17. It is supplied to the drainage path 25, an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low back into the channel 13 from the drainage path 2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위 조정기(30)를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이 수위 조정기(30)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용수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위 조정기(30)와는, 외부통(31)에 배수부(31b)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내부통(37)의 상단면에는 수위 센서(39)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8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level adjuster 30 used i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ater level regulator 30 is not provided with the drain part 31b in the outer cylinder 31,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with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used for the 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said Example. The structure is the same except that the water level sensor 39 is not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의 수위 조정기(30)는 상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마련된 매설관(14) 또는 급수 파이프(15)가 외부통(31)의 접수부(31a)에 접속되어 있고, 상단측 수전(11)과 하단측 수전(11) 사이에 마련된 논두렁(12) 또는 최상측 수전(11)의 상측 논두렁(12)에 수직상태로 배치되며, 그 하부가 논두렁(12)에 매설된다. 이 경우, 가이드 통(38)에 있어서 상부가 논두렁(12)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고, 내주면에 마련된 눈금 및 조작 로드(37a)의 지침(37c)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for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of such a structure, the embedding pipe 14 or the water supply pipe 15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upper side faucet 11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31a of the outer cylinder 31, and the upper end side I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icefield 12 provided between the faucet 11 and the lower side faucet 11 or the upper ricefield 12 of the top faucet 11,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embedded in the ricefield 12. In this case, in the guide cylinder 38, the upper part is exposed from the paddy field 12, and the graduation 37 and the guide 37c of the operating rod 37a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re visible from the outside.

매설관(14)으로부터 외부통(31)내에 유입되는 용수는 외부통(31)과 내부통(37)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36) 및 밀봉 링(36b)에 의해서, 외부통(31)과 내부통(37) 사이를 흘러내리지 않고, 이들 사이에 저장된 상태로 되며, 이러한 저장된 용수의 수위가 내부통(37)의 상단면을 초과하면, 내부통(37)내에 유입된다. 내부통(37)내에 유입된 용수는 연결관부(34) 및 엘보(35)내를 통해서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마련된 매설관(14)내에 유입된다.The water flowing into the outer cylinder 31 from the embedding pipe 14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36 and the sealing ring 36b which seal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 and the inner cylinder 37, and thus, the outer cylinder 31. It does not flow between and the inner cylinder 37, and it is in the state stored between them,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is stored water exceed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it will flow in in the inner cylinder 37. Wa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37 flows into the buried pipe 14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faucet 11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art 34 and the elbow 35.

외부통(31)에 대한 내부통(37)의 하단면의 상하방향의 높이 위치는 조작 로드(37a)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적당하게 설정된다. 내부통(37)의 상단면 높이 위치를 상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마련된 매설관(14)의 상부 위치 보다도 높게 설정함으로써, 이 매설관(14)내를 흐르는 용수는 배수관부(14a)를 통해서 수전(11)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수전(11)내에는 용수가 공급되어 관개된다. 그리고, 수전(11)내에 공급된 용수가 내부통(37)의 상단면과 동일한 레벨에 이르면, 매설관(14)내로부터 외부통(31)내로 유입된 용수는 내부통(37)의 상단면으로부터 내부통(37)내로 흘러 넘쳐서,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배치된 매설관(14)내로 공급된다.The height position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31 is suitably set by operating the operating rod 37a in the up-down direction. By setting the upper surface height position of the inner cylinder 37 higher than the upper position of the embedding pipe 14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upper side faucet 11, the water which flows in this embedding pipe 14 is drainage pipe part 14a. Inflow into the faucet 11 through). Therefore, water is supplied to the faucet 11 and irrigated. And when the water supplied in the faucet 11 reaches the same level a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the water which flowed into the outer cylinder 31 from the embedding pipe 14 will b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It flows from the inside into the inner cylinder 37, and is supplied into the embedding pipe 14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part of the lower side faucet 11.

따라서, 각 수위 조정기(30)에서 내부통(37)의 상단면 높이 위치를 상단측 수전(11)에서 필요로 하는 관개 용수의 수위 레벨과 동등하게 설정함으로써, 상단측 수전(11)에는 매설관(14)으로부터 그 용수 레벨까지 용수가 관개된다. 그리고, 상단측 수전(11)에 소정의 레벨까지 용수가 공급되면, 매설관(14)내를 흐르는 용수는 수위 조정기(30)에 의해서 하단측 수전(11)의 바닥부에 배치된 매설관(14)내에 공급되고, 그 매설관(14)의 배수관부(14a)로부터 하단측 수전(11)에 용수가 공급된다. 하단측 수전(11)에는 그의 하단측 수전(11)의 하측 논두렁(12)에 마련된 수위 조정기(30)에 의해서, 소정의 레벨까지 용수가 공급된다.Therefore, by sett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37 in each water level regulator 30 to be equal to the water level level of the irrigation water required by the upper side faucet 11, the upper side faucet 11 has a buried pipe. Water is irrigated from 14 to the water level.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faucet 11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flowing in the buried pipe 14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side faucet 11 by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 14),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drain pipe portion 14a of the buried pipe 14 to the lower end faucet 11.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faucet 11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water level regulator 30 provided in the lower paddle 12 of the lower faucet 11.

이와 같이 하여,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11)에는, 소정 레벨까지 용수가 공급되고, 항상 일정한 레벨로 되도록 용수의 수위가 유지된다. 따라서, 각 수전(11)은 항상 소정 레벨로 관개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 수전(11)에서 벼가 생육되기 때문에, 벼의 생육 기간 중에 있어서 각 수전(11)의 용수 수위관리를 위해 실시되는 작업 시간은 현저하게 단축된다.In this way, the water level is supplied to each faucet 11 provided in the stepped form on the slope, and the water level of water is maintained so that it may become a constant level at all times. Therefore, each faucet 11 is always irrigat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since rice is grown in each faucet 11 in this state, for the water level management of each faucet 11 during the growth period of rice. The working time carried out is significantly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30분 내지 40분 정도의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 용수의 관리 작업은, 5분 내지 10분 정도로 단축되었다. 더구나, 경사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용수를 공급하고,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를 위한 특별한 설비가 불필요하고, 또한 경제적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work of water, which requires a working time of about 30 to 40 minutes, has been shortened to about 5 to 10 minutes. Moreover, since the water is supplied using the slope of the slope, and it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water level, a special facility for water supply is unnecessary and economical.

또, 각 수전(11)에는 그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으로부터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단측 수전(11)에는 상단측 수전(11)내에 공급되지 않은 용수가 바닥부의 매설관(14)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측 수전(11)에 공급된 용수가 하단측 수전(11)으로 용수가 공급되는 종래의 넘침 관개와 같이, 수전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이 하단측 수전에 흘러 들어갈 염려가 없고, 각 수전에 있어서 상단측 수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비료나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또, 공급되는 용수는 수전(11)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14)내를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따른 주위 온도 변동에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이상 저온수, 이상 고온수가 수전(11)에 공급되지 않아 벼의 생육에 바람직하다.Moreover, each faucet 1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supplied from the embedding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faucet 11, and the water supply which was not supplied in the upper faucet 11 was supplied to the lower faucet 11. Since it is to be supplied through the buried pipe 14 in the bottom portion, as in the conventional overflow irrigation in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ide faucet 11 is supplied to the lower side faucet 11, There is no fear that the pesticide flows into the lower faucet, and the fertilizer and the pesticide can be spray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upper faucet in each faucet. Moreover, since the water to be supplied flows through the buried pipe 14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faucet 11, the influence on the ambient temperature fluctu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can be suppressed. Since high temperature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faucet 11, it is suitable for growing rice.

Claims (3)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에 대해서, 일정한 수위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ater supply system for slope power receiving configured to supply water at a constant level for each faucet provided stepped on the slope, 상기 각 수전의 바닥부에 상측 논두렁으로부터 하측 논두렁을 걸쳐서 각각 매설된 매설관과,Buried pipes each buried from an upper paddy field to a bottom paddy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상기 각 수전에서 상측 논두렁에 각각 설치되어서 내부에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각 수전에 설정된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공급하며, 남은 용수를 그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상기 각 매설관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정기를 포함하며;The water level is installed at each of the faucet in the upper paddy field and supplies the water supplied therein to be the predetermined level set in each faucet, and the water level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to each buried pip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faucet, respectively A regulator; 최상측 수전의 상측 논두렁에 설치된 수위 조정기에 용수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각 매설관내의 용수가 각각의 매설관을 바닥부에 매설한 각 수전의 하측의 논두렁에 마련된 수위 조정기에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installed in the upper rice field of the uppermost faucet, and the water in each of the buried pipes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regulator provided in the rice field at the bottom of each faucet in which each buried pipe is buried at the bottom. Characterized by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Pow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수위 조정기에는 내부에 공급되는 용수의 수위가 상기 각 수전에 공급되는 용수의 설정된 소정의 수위 보다 낮게 된 것을 검출하는 수위 센서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수위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최상측 수전에 강제적으로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Each of the water level regulators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herein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each water faucet, and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of the water level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forcibly supplied to the side faucet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Power. 경사지에 계단형으로 마련된 각 수전에 대해서, 일정한 수위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ater supply system for slope power receiving configured to supply water at a constant level for each faucet provided stepped on the slope, 상기 각 수전의 바닥부에 상측 논두렁으로부터 하측 논두렁에 걸쳐서 각각 매설되어 있고, 상기 각 수전내에 연통하도록 배수관부가 각각 마련된 매설관과,Buried pipes, each of which is buried in the bottom of each faucet from an upper paddy field to a lower paddy field, and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drainage pip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하로 인접하는 수전 사이의 논두렁에 설치되고, 상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의 하류측 단부와, 하단측 수전의 상류측 단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내를 통과하는 용수를 각 배수관부를 경유하여 각 수전내에 설정된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공급함과 동시에, 남은 용수를 하단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정기를 포함하며;It is provided in the rice paddle between up and down adjacent faucets, and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buried pipe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upper faucet and the upstream end of the lower faucet, respectively, and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upper faucet. And a water level adjuster configured to supply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buried pipes to be a predetermined level set in each faucet via each drain pipe part, and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to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faucet; 최상측 수전의 바닥부에 매설된 매설관에 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top faucet 경사지 수전용 용수 관리 시스템.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e Power.
KR1019960705274A 1995-01-25 1996-01-22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KR1004247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0014 1995-01-25
JP1001495 1995-01-25
JP95-87899 1995-04-13
JP8789995 1995-04-13
JP96-7091 1996-01-19
JP8007091A JP2863479B2 (en) 1995-01-25 1996-01-19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loping paddy fiel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492A KR970701492A (en) 1997-04-12
KR100424757B1 true KR100424757B1 (en) 2004-09-04

Family

ID=2727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274A KR100424757B1 (en) 1995-01-25 1996-01-22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863479B2 (en)
KR (1) KR100424757B1 (en)
CN (2) CN1111348C (en)
AU (1) AU4495896A (en)
WO (1) WO199602267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8850A1 (en) * 1997-03-03 1998-09-11 Mitsubishi Plastics, Inc. Water level regulating device for paddy field
JP3953933B2 (en) * 2002-10-17 2007-08-08 三菱樹脂株式会社 Water supply system
KR100808923B1 (en) * 2006-11-13 2008-03-03 주식회사 중원 Water storaging system of an incline area
KR101044356B1 (en) * 2009-03-19 2011-06-29 오창준 System for storing and dividing rainwater to the farm
US8087201B2 (en) 2009-05-22 2012-01-03 Valmont Industries, Inc. Method for irrigating and fertilizing rice
CN101818492B (en) * 2010-03-19 2013-04-17 余姚市农村水利管理处 Irrigation method for master and secondary channel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CN101933449A (en) * 2010-07-23 2011-01-05 四川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Rainwater collection and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and method used for upland sloping field
CN102206936B (en) * 2011-04-28 2012-05-23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Irrigation canal pipe system
CN103053254B (en) * 2012-11-20 2014-12-31 广东省生态环境与土壤研究所 Pollution-reducing fertilization method in rice paddy field
CN105359933B (en) * 2015-10-28 2018-11-02 中国地质大学(武汉) A kind of environmental irrigation system that terraced fields nutrition efficient utilizes
CN105532382B (en) * 2015-12-30 2018-12-2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A kind of control paddy field surface-water depth device
CN105557461B (en) * 2016-02-23 2019-04-12 中国水稻研究所 Moisture control facility and its control method in a kind of paddy soil
CN105926552B (en) * 2016-06-16 2018-06-19 中国水稻研究所 A kind of water level in paddy field irrigation and drainage control device
CN106212336A (en) * 2016-07-31 2016-12-14 贵州大学 A kind of mountain area rice field fish culture water level management method and Field structure
CN108650919A (en) * 2018-05-16 2018-10-16 郭志忠 A method of administering hillside fields
CN108886937B (en) * 2018-06-14 2021-09-03 福建农林大学 Terrace liquid manure irrigation pressure self-adaptation governing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CN110965535A (en) * 2019-12-31 2020-04-07 仁创生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Farmland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415A (en) * 1988-08-10 1990-02-16 Noukou Kensetsu Kk Automatically irrigating method for paddy field irrigation wa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2634A (en) * 1986-08-06 1988-02-23 溝田工業株式会社 Plowland water level controller by pressure reducing valve
CN87202200U (en) * 1987-02-16 1988-07-20 陈宝仁 Automatic blowdown apparatus for rice fie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415A (en) * 1988-08-10 1990-02-16 Noukou Kensetsu Kk Automatically irrigating method for paddy field irrigation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574A (en) 1997-03-19
AU4495896A (en) 1996-08-14
JP2863479B2 (en) 1999-03-03
KR970701492A (en) 1997-04-12
CN1448047A (en) 2003-10-15
WO1996022678A1 (en) 1996-08-01
CN1111348C (en) 2003-06-18
JPH08336336A (en) 1996-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757B1 (en)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US4621945A (en) Head control stand
US6132139A (en) Water level regulating device for paddy field
JP2006271319A (en) Lock gate with groundwater level regulation function for field
JP3110832U (en) Automatic water level adjuster for paddy fields
RU2770486C1 (en) Drainage device
JP4008188B2 (en)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for paddy fields
JP2000166402A (en) Water control system in hillside paddy field
JPH0247415A (en) Automatically irrigating method for paddy field irrigation water
JP4090674B2 (en) Water supply equipment
US4340081A (en) Irrigation valve apparatus
JP2000050750A (en) Agricultural water supply/drainage device for terrace rice paddy
JP3670427B2 (en) Irrigation water level regulator and irrigation water level system
JP3670426B2 (en) Irrigation water level regulator
JP3839893B2 (en) Paddy field level control device and water management system
SU1011772A1 (en) Spillway
RU2636319C1 (en) Drainage runoff regulator
TW201902337A (en) Floating automatic irrigation system for saving water and anti-blocking
JP3848739B2 (en) Paddy level control device
JP3848778B2 (en) Paddy level control device
JP3660445B2 (en) Paddy water management system
JPH111859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paddy field
JP2000201551A (en) Irrigation tool utilizing float
JP3830597B2 (en) Paddy level control device
JPH0823799A (en) Water supplying and drain system for paddy field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