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59B1 - 식생용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용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59B1
KR100424559B1 KR10-2001-0066927A KR20010066927A KR100424559B1 KR 100424559 B1 KR100424559 B1 KR 100424559B1 KR 20010066927 A KR20010066927 A KR 20010066927A KR 100424559 B1 KR100424559 B1 KR 10042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construction
inclined surfac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061A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이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열 filed Critical 이동열
Priority to KR10-2001-006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진 법면(法面) 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잔디 등이 식물을 식생(植生)시킬 수 있는 식생공간을 형성한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양 측면에 식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비시킨 반원형의 요홈의 외측단에 한 조의 걸림턱을 대향되게 구비시킴으로써 블록의 시공시 식생공간에 수용된 토양이나 마감위치에 있는 블록의 지지고정을 위해 요홈에 충진시키는 콘크리트 몰드가 걸림턱에 걸려져 블록의 이탈을 억제하여 상호 결속시켜주는 홀딩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배수로를 형성하고 블록 상면이 배수로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블록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의 집수와 배수가 원활하도록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블록이 유동, 이탈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며 아울러 마감부위의 지반이 손실되더라도 시공부위의 외곽을 이루고 있는 마감 블록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이 식생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켜 토양의 유실로 인한 식생조건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용 호안 블록{THE BLOCK OF PROTECTING THE BANKS FOR GRASS GROWING}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진 법면(法面) 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잔디 등이 식물을 식생(植生)시킬 수 있는 식생공간을 형성한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양 측면에 식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비시킨 반원형의 요홈의 외측단에 한 조의 걸림턱을 대향되게 구비시킴으로써 블록의 시공시 식생공간에 수용된 토양이나 마감위치에 있는 블록의 지지고정을 위해 요홈에 충진시키는 콘크리트 몰드가 걸림턱에 걸려져 블록의 이탈을 억제하여 상호 결속시켜주는 홀딩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배수로를 형성하고 블록 상면이 배수로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블록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의 집수와 배수가 원활하도록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블록의 종 라인이 횡방향으로 유동, 이탈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여 시공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마감부위의 지반이 손실되더라도 시공부위의 외곽을 이루고 있는 마감 블록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상태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이 식생공간을 벗어난 일정 통로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과의 향상과 식생공간으로의 빗물 유입을 억제시켜 토양의 유실로 인한 식생조건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 하천 둑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 블록들을 깔아 법면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호안 블록은 콘크리트몰탈 제품으로 일정형상의 크기로 성형되어 짜 맞추기 방식으로 법면에 시공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단순히 호안 블록을 짜 맞추기 형태로 시공함에 따라서 호안 블록의 주위에 풀이 자랄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을 수가 없었던 관계로 환경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자연 상태 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일 예로 시공된 호안 블록이 지면을 폐쇄시켜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서 하천에 곤충들이 살수 없게 되고 따라서 새들이 날아들지 않으며 또한 곤충의 유충들을 먹고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블록의 내부에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들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토양의 수용공간이 적고 강우가 발생되는 경우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줄만한 구조가 없어 빗물이 블록의 상면을 타고 급격하게 내려오면서 식생공간내의 토양을 쓸어 유실시킴으로써 식생조건을 악화시킴과 아울러 블록의 틈새로 스며들어 지반을 약화 또는 함몰시키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이와 같이 지반이 약화되거나 함몰되면 해당 지반에 시공되어 있던 블록이 개별적으로 침하(沈下)되어 순간적으로 시공된 블록전체의 와해를 초래하게되어 시공상태에 안정성을 기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인은 선 출원 실용을 통해 "식생용 호안 블록"을 제안한 바 있으나 선 출원 실용은 블록의 시공 시 블록의 낮은 쪽을 시공지면의 위쪽을 향하도록 즉 지면의 경사도에 대해 블록의 상면이 역 구배를 이루도록 블록의 상면 일부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블록의 전,후 측면과 식생공간의 상연부의 높낮이에 차이가 발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블록의 양측면부에 조립 시 상호 결속될 수 있는 결속돌부와 결속홈을 일체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강우 시 블록을 타고 흐르는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안정적인 시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각 블록들이 상호 횡으로 맞물리는 상태로 결속되도록 하여 블록의 횡 라인이 종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등의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측 방향의 마감부위가 약화 또는 훼손되어 종 라인 전체가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이에 대한 억제 또는 방지구조가 마련되지 못해 종 라인전체가 횡으로 유동, 이탈될 수 있어 시공상태를 와해시킬 수 있는 우려가 크게 되는 것으로 블록의 시공상태를 완벽하게 안정화시켜 줄 수 없었던 폐단이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식생공간내의 토양은 직하(直下)되는 빗물에는 유실없이 보존될 수 있는 것이나 시공면을 빠른 속도로 흐르는 빗물에 접하게 되면 유속에 의해 토양의 유실이 초래되는 것이므로 빗물의 흐름이 식생공간으로의 이어지지 않도록 별도의 배수통로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선 출원의 블록은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의 배수구조가 구비되지 않는 관계로 강우 시 경사진 시공면을 타고 빠른 속도로 흐르는 빗물이 시공면상에서 불규칙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배수효과가 악화되고 이 유수(流水)의 일부가 식생공간으로 유입되어 토양을 유실시킴으로써 식생조건을 악화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이 시공면상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져 블록의 연결틈새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어 지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시공사태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종 라인이 횡 방향으로 유동, 이탈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여 시공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마감부위의 지반이 손실되더라도 시공부위의 외곽을 이루고 있는 마감 블록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상태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이 식생 공간을 벗어난 일정 통로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과의 향상과 식생공간으로의 빗물 유입을 억제시켜 토양의 유실로 인한 식생조건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식생용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의 양 측면에 식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비시킨 반원형의 요홈의 외측단에 구성되는 한 조의 걸림턱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의 상면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일정 깊이의 배수로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의 배수로 유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블록 상면의 각 경사면이 배수로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토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A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에서의 정면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시공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호안 블록 2: 요홈
3: 결속용 요입부 4: 결속용 돌출부
5: 제 1경사면 6: 제 2경사면
7: 중간 경사면 8: 결속돌부
9:결속홈 10:걸림턱
20:배수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전, 후면에 각각 소정의 동일 각도로 결속용 요입부(3)와 돌출부(4)가 형성되고 호안 블록(1)의 양 측면에는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형의요홈(2)이 구비된다.
상기 호안 블록(1)의 전면과 상기 요홈(2)의 일측 연부 사이에 일정 높이의 제 1경사면(5)을 둠과 동시에 상기 호안 블록(1)의 후면과 상기 요홈(3)의 타측 연부 사이에는 제 1경사면(5)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제 2경사면(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경사면(5)과 제 2경사면(6)의 사이에는 제 1경사면(5)과 제 2경사면(6)을 직선으로 이어주는 중간 경사면(7)을 구성하여 요홈(2)의 상연부가 상기 중간 경사면(7)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안 블록(1)의 양 측면부에는 블록의 조립 시공 시 상호 결속될 수 있는 반원형 단면의 결속돌부(8)와 결속홈(9)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 중 하나로서 상기 반원형의 요홈(2)의 양측 단부에는 한 조의 걸림턱(10)을 대향되게 돌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호안 블록(1)의 제 1경사면(5)과 제 2경사면(6) 및 중간 경사면(7)을 직선으로 경유하는 일정 폭과 깊이를 갖는 배수로(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경사면(5)과 제 2경사면(6) 및 중간 경사면(7)은 배수로(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호안 블록(1)의 상면의 빗물이 배수로(20)로 자연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호안 블록(1)의 모든 구조를 포함하되 호안 블록(1)을 배수로(20)의 중간에 형성되는 분리면(1A')(1B')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양분시켜 두 개체(1A)(1B)로 구성한 것이며 양분된 개체(1A)(1B)의 각 분리면(1A')(1B')에는 개체(1A)(1B)의 조립 시공 시 상호 결속될 수 있는 반원형 단면의 결속돌부(1A")와 결속홈(1B")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호안 블록(1)은 도 4에서와 같이 일반 경사진 법면이나 하천 등의 법면 상에 조립 시공되는 것으로, 전, 후의 결속용 요입부(3)와 돌출부(4)가 상호 맞대어 종으로 연결되면서 조립 시공되며 횡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이 인접되는 호안 블록의 반원형 요홈(2)이 서로 맞대어져 원형의 식생공간(PS)을 구성하게 되며 결속돌부(8)와 결속홈(9)이 상호 맞물려 결속되면서 시공되는 것이며 각 호안 블록(1)상면의 배수로(20)는 직선으로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배수용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상태에서는 시공된 블록의 횡 라인을 기준으로 보면 종 방향으로는 요입부(3)와 돌출부(4)가 맞붙어 있어 단순한 접촉상태만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횡 방향으로는 결속돌부(8)가 결속홈(9)내에 끼워짐으로써 횡 라인을 구성하는 각 블록은 횡 방향으로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시공면 저부의 국부적인 지반약화 또는 함몰의 경우 각 블록이 횡으로 서로 맞잡고 홀딩하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 시공된 한 열의 횡렬 블록이 동시에 이탈 분리되지 않는 한 국부적으로 블록이 개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만일 시공 면의 측 방향 마감부위가 파손 또는 취약해지는 경우에는 시공 블록의 종 라인의 지지력이 해제되어 종 라인 전체가 횡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식생공간(PS)의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각 요홈(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0)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마주 접하는 두 블록을 결속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마감위치에 시공되는 블록의 경우 마감 블록의 지지, 고정을 위해 요홈(2)에 충진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몰드가 걸림턱(10)에 의해 이탈됨 없이 안정되게 결합, 지지될 수 있게 됨으로 마감부위의 지반이 손실되더라도 시공부위의 외곽을 이루고 있는 마감 블록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안 블록(1)은 선 출원에서와 동일하게 제 1경사면(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 2경사면(6)을 시공 면의 위쪽으로 오게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강우 시 호안 블록(1)을 타고 흐르는 빗물은 중간 경사면(7)의 경사도가 시공지면의 경사도를 상쇄시켜 블록의 상면이 시공면 보다 낮은 경사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호안 블록(1)의 상면에 접하는 빗물은 도 5에서와 같이 각 경사면(5)(6)(7)이 배수로(20)를 향하여 하향지게 경사지게 되어있는 관계로 자연스럽게 중간의 배수로(20)로 흘러들어 집수(集水) 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으로 식생공간(PS)으로는 빠른 유속의 흐르는 빗물은 유입되지 않고 단지 공중에서 직하(直下)되는 빗 방물이 주로 유입되는 것이므로 내부 토양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의 대부분을 배수로(20)를 통해 효과적으로 집수 배출하게 되는 것이므로 호안 블록의 연결 틈새로 유입되는 빗물을 최소화시켜 지반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블록 시공상태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호안 블록을 구성하면 도 1에서의 단일체형의 호안 블록(1)에서의 작용효과에 부가하여 제조상의 편의성과 각 개체(1A)(1B)의 크기와 중량의 감소를 기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방법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블록의 요홈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통해 식생공간에 수용되는 토양으로 하여금 블록을 상호 결속시켜주는 홀딩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배수로를 통하여 시공면을 흐르는 빗물이 식생공간을 벗어난 일정 통로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과의 향상과 식생공간으로의 빗물 유입을 억제시켜 토양의 유실로 인한 식생조건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 후면에 소정의 동일 각으로 구성되는 결속용 요입부(3)와 돌출부(4)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 각각 식생 공간(2)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형의 요홈(2)을 구비하며, 상면에 제 1, 2,경사면(5)(6)과 중간 경사면(7)을 구비하며 양 측면에 반원형 단면의 결속돌부(8)와 결속홈(9)을 구비하는 공지의 호안 블록(1)에 있어서;
    상기 각 반원형의 요홈(2)의 양측 단부에 일체로 대향되는 한 조의 걸림턱(10)을 구비하며,
    상기 호안 블록(1)의 제 1경사면(5)과 제 2경사면(6) 및 중간 경사면(7)의 중간을 직선으로 경유하는 상태로 일정 폭과 깊이를 갖는 배수로(20)를 구성하며,
    상기 배수로(20)의 양 측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1, 2,경사면(5)(6)과 중간 경사면(7)이 배수로(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 블록(1)을 배수로(20)의 중간에 형성되는 분리면(1A')(1B')을 통해 양분되는 두 개체(1A)(1B)로 구성하되 각 분리면(1A')(1B')에는 개체(1A)(1B)의 조립 시공 시 상호 결속될 수 있는 반원형 단면의 결속돌부(1A")와 결속홈(1B")이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 블록.
KR10-2001-0066927A 2001-10-29 2001-10-29 식생용 호안 블록 KR10042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927A KR100424559B1 (ko) 2001-10-29 2001-10-29 식생용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927A KR100424559B1 (ko) 2001-10-29 2001-10-29 식생용 호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061A KR20030035061A (ko) 2003-05-09
KR100424559B1 true KR100424559B1 (ko) 2004-03-27

Family

ID=2956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927A KR100424559B1 (ko) 2001-10-29 2001-10-29 식생용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473A (zh) * 2019-02-28 2019-06-07 安徽省康宇水电机械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导流式水利护坡砖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21U (ja) * 1983-07-05 1985-01-30 日本プラフオ−ム株式会社 護床兼護海浜ブロツク
JPS612523U (ja) * 1984-06-13 1986-01-09 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河川用減勢ブロツク
KR200228790Y1 (ko) * 2001-01-26 2001-07-19 양종원 호안용 블록
KR200235681Y1 (ko) * 2001-03-14 2001-10-08 이원영 친환경 식생블록
KR200247939Y1 (ko) * 2001-06-08 2001-10-29 이동열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250170Y1 (ko) * 2001-06-23 2001-11-16 이동열 식생용 호안 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21U (ja) * 1983-07-05 1985-01-30 日本プラフオ−ム株式会社 護床兼護海浜ブロツク
JPS612523U (ja) * 1984-06-13 1986-01-09 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河川用減勢ブロツク
KR200228790Y1 (ko) * 2001-01-26 2001-07-19 양종원 호안용 블록
KR200235681Y1 (ko) * 2001-03-14 2001-10-08 이원영 친환경 식생블록
KR200247939Y1 (ko) * 2001-06-08 2001-10-29 이동열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250170Y1 (ko) * 2001-06-23 2001-11-16 이동열 식생용 호안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061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7210A1 (en) Prefabricated drain structure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JP4707762B2 (ja) 防草を意図したブロック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0424559B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1160882B1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101698441B1 (ko)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KR100655420B1 (ko)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KR200250170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JP4522820B2 (ja) 防草を意図した構造物用の型枠と、この型枠利用の構造物
KR100824608B1 (ko) 식생용 호안 블록
JP2709428B2 (ja) 魚巣付き落差工及び魚道
KR20110015926A (ko) 조립식 하천 보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JP3889753B2 (ja) U形側溝およびそのu形側溝の施行方法
KR102486739B1 (ko) 생태통로를 구비한 친환경 수제
KR100824607B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060072720A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0886867B1 (ko) 호안블럭 및 옹벽블럭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환경블럭
KR200247939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JP3556200B2 (ja) 小動物脱出用のu形側溝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1550457B1 (ko) 비탈면의 붕괴 방지용 블럭
KR200376251Y1 (ko) 식생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