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120B1 -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120B1
KR100424120B1 KR1019960067443A KR19960067443A KR100424120B1 KR 100424120 B1 KR100424120 B1 KR 100424120B1 KR 1019960067443 A KR1019960067443 A KR 1019960067443A KR 19960067443 A KR19960067443 A KR 19960067443A KR 100424120 B1 KR100424120 B1 KR 10042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film
amine
contaminated
degre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797A (ko
Inventor
홍성은
복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6006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1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01N2021/945Liquid or solid deposits of macroscopic size on surfaces, e.g. drops, films, or clustered contamin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제조시 이용되는 감광막이 노광 공정후 실시하는 PEB(Post Exposure Bake : 이하에서는 PEB라 함) 공정까지 감광막이 대기중에 노출될 때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측정 방법으로는 먼저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막 패턴을 다시 노광하고, 아민에 상기 감광막을 노출시킨 후 이를 2차 포스크 노광 베이크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절단한 후, 절단된 감광막 패턴을 현상하여 남아있는 감광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제조시 이용되는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광 리소그라피 공정이 이용된다. 광 리소그라피 공정은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하부층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공정으로 감광막을 노광한 다음, 현상공정으로 상기 감광막이 노광됨 부분 또는 비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부층을 식각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 리소그라피 공정에는 필수적으로 감광막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감광막은 여러가지의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다.
한편, 감광막을 노광한 다음, PEB 공정을 실시하는데 노광후 PEB 공정을 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고, 이러한 대기시간 동안 노광된 감광막으로 불순물이 침투하여 원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예를들어 감광막을 노광하는 경우 노광지역에 산이 발생되어 현상 공정에서 노광지역이 제거되는데 이러한 노광지역이 아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현상액에서 녹지않아 T 프로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화학증폭형 감광막의 화학적 개념은 원자외선 영역에서 감광막의 감도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하여 광반응으로 생성된 산(acid)을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쇄적으로 화학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다. 즉, 노광시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산이 열에너지의 힘을 빌어 감광막 내부로 확산하여 연쇄적으로 촉매반응을 일으켜 양자수율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재료의 용해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광산발생제로는 (Ph)3S+CF3SO3 -또는 (Ph)3SSbF3를 사용하는데 광원에 노광되면 산을 발생시킨다. 이때 공정상의 시간 지체로 인해 PEB 를 행하지 못할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크린 룸의 대기중에 아민이나 기타 오염원에 의해서 감광막이 오염되어 노광으로 발생한 산이 활성을 상실하게 된다. 일단 활성을 상실한 감광막의 일부분은 현상후에도 용해되지 않고 잔존함으로써 T-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게 된다.
FED(Post Exposure Deley) 안정성이란 노광후 PEB 까지 지연되는 시간에 대한 감광막 프로파일의 안정성을 의미한다. 기존의 측정 방법은 감광막을 도포하고 시간별로 지연 시킨 감광막을 PEB를 거친 후 현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장시간 방치로 인한 측정 조건의 변동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재현성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각 회사마다 크린 룸의 환경이 상이할 뿐더러 표준화된 측정방법 조차 모호하여 객관성이 떨어진다.
즉, 종래의 아민 오염에 기인한 FED 안전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객관성의 결여, 둘째 낮은 재현성, 셋째 신뢰성의 결여 넷째 측정시간이 너무 길다는 점, 다섯째 측정 시간 동안의 균일한 조건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막 패턴을 다시 노광하고, 아민에 상기 감광막을 노출시킨 후 이를 PEB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절단한 후, 절단된 감광막 패턴을 현상하여 남아있는 감광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막 패턴2 : 산기
3 : 아민기4 : 아민 확산 영역
본 발명은 감광막이 대기에 포함된 아민에 반응하여 현상 공정시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여 패턴의 크기를 측정한 후, 상기 감광막 패턴을 노광하고, 아민에 노출시키고, PEB를 실시하여 상기 아민에 감광막 패턴의 내부로 확산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절단한 상태에서 현상하여 현상공정시 제거되지 않는 감광막의 면적을 측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노광된 지역으로 아민이 침투되면 현상액에 녹지 않는 성질이 발생된다. 또한, 침투된 아민은 고온 공정시 감광막 내부로 확산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학증폭형 감광막을 노광한 다음, PEB 공정까지 지연되는 시간동안 아민기에 상기 감광막이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학증폭형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면 노광 공정으로 상기 감광막패턴을 노광시키는 공정과, 아민기를 상기 감광막 패턴으로 오염시키는 공정과, PEB 공정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의 양단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중앙부에 감광막 패턴을 현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남아있는 감광막 패턴의 면적을 계산하여 FED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해 노광된 화학증폭형 감광막패턴으로 아민이 침투되고, 고온 공정시 확산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임계크기(CD)를 측정하기 위해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화학증폭형 감광막 패턴(1)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감광막 패턴(1)에 프로텍팅 그룹(Protecting Group)이 베이스 레진(Base Resin)에 붙어 있다. 상기 임계크기는 PED 시간이 0에서 값이며, 기준값이 된다.
도 2 는 상기 감광막 패턴(1)에 마스크 없이 전면적으로 광을 노광하여 산기(H+: 2)가 형성됨을 도시한다.
도 3 은 강제로 아민기(3)를 상기 감광막 패턴(1)에 오염시키기 위하여 노광된 상기 감광막 패턴(1)을 예를들어 0-200℃의 온도를 갖는 HMDS오븐에 서 일정시간(1-7200초) 동안 담아 둔다. 여기서, 상기 HMDS 의 농도는 0-10000 ppb(part per billion)에서 임의로 설정한다.
도 4 는 상기 강제 오염이 끝난 감광막 패턴(1)을 PEB 공정을 예를들어 25-200℃의 온도에서 실시한다. 이때 열에너지에 의해 산의 확산이 이루어지며 베이스 레진에 붙어 있는 프로텍팅 그룹을 이탈시키게 된다. 한편, 아민에 의해 활성을 상실한 감광막의 일부분은 산의 확산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아민에 대한 민감한 감광막 일수록 그 아민이 확산영역(4)은 넓어지게 된다.
도 5 는 상기 감광막 패턴(1)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중앙부에 있는 감광막 패턴(1)을 1-3%의 TMAH 알카리 용액, 알콜성 유기용매,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에서 현상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아민의 확산영역(4)을 제외한 중앙부에 있는 감광막은 제거되고, 아민이 확산영역(4)은 현상 공정시 남아 있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남아있는 감광막의 두께 또는 면적을 측정하면 아민의 오염 정도를 정량적으로 알 수가 있다.
도 6 은 현상 공정 후 잔존 감광막의 면적과 FED 안정상의 비를 도시한 것으로, FED 안정성이 높을수록 잔존 감광막은 0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은 현상 공정후 잔존 감광막의 면적과 HMDS의 농도 또는 강제 오염 시간을 도시한 것으로, HMDS의 농도 또는 강제 오염시간이 증가 할수록 잔존 감광막의 면적이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화학증폭형 감광막을 노광한 다음, PEB 공정까지 지연되는 시간동안 아민기에 상기 감광막이 오염되는 정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로 FED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다.

Claims (4)

  1. 화학증폭형 감광막을 노광한 다음, PEB 공정까지 지연되는 시간동안 아민기에 상기 감광막이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학증폭형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면 노광 공정으로 상기 감광막패턴을 노광시키는 공정과,
    아민기를 상기 감광막 패턴으로 오염시키는 공정과,
    PEB 공정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의 양단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중앙부에 감광막 패턴을 현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남아있는 감광막 패턴의 면적을 계산하여 FED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막 패턴에 아민기를 오염시키기 위하여 감광막 패턴을 0-200℃의 온도를 갖는 HMDS 오븐에서 일정시간 동안 담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DS의 농도는 0-10000 pp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B 공정을 25-2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KR1019960067443A 1996-12-18 1996-12-18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KR10042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443A KR100424120B1 (ko) 1996-12-18 1996-12-18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443A KR100424120B1 (ko) 1996-12-18 1996-12-18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97A KR19980048797A (ko) 1998-09-15
KR100424120B1 true KR100424120B1 (ko) 2004-06-16

Family

ID=3732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443A KR100424120B1 (ko) 1996-12-18 1996-12-18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39B1 (ko) * 2006-12-27 2008-06-1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166B1 (ko) * 2011-10-14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vd 코팅장비의 오염도 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289A (en) * 1994-02-03 1996-08-13 Applied Materials, Inc. Passivating, stripping and corrosion inhibition of semiconductor substrates
JPH09270411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環境の汚染度の測定方法
KR100291826B1 (ko) * 1994-12-29 2001-10-24 박종섭 불순물오염도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289A (en) * 1994-02-03 1996-08-13 Applied Materials, Inc. Passivating, stripping and corrosion inhibition of semiconductor substrates
KR100291826B1 (ko) * 1994-12-29 2001-10-24 박종섭 불순물오염도측정방법
JPH09270411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環境の汚染度の測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39B1 (ko) * 2006-12-27 2008-06-1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9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efonas III et al. New principle for image enhancement in single layer positive photoresists
US6210846B1 (en) Exposure during rework for enhanced resist removal
KR100424120B1 (ko) 감광막이 아민에 오염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US636211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hotoresist baking processes
EP0211350A2 (en)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ying same
JPH07280739A (ja) 異物検査方法
JPH0475062A (ja) 化学増幅型レジスト
US6800407B2 (en) Method for experimentally verifying imaging errors in photomasks
KR20000034525A (ko) 반도체소자 제조에 이용되는 리소그래피 방법
US6696208B2 (en) Method for experimentally verifying imaging errors in optical exposure units
KR100580052B1 (ko) 임계치수에 의한 암모니아 농도 측정 방법
JPH1010743A (ja) 樹脂コーティング材料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291826B1 (ko) 불순물오염도측정방법
KR920005636B1 (ko) 포토레지스트패턴 형성방법
KR100253590B1 (ko) 반도체 노광장비의 플레어(Flare) 측정방법
KR018373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에이치엠디에스처리 설비의 평가방법
KR100197519B1 (ko) 감광막 현상율 측정방법
JPH026311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76813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8199375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11153871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半導体基板
JP2023048712A (ja) 感光性組成物の検査方法、及び感光性組成物の製造方法
Hattori et al. Analysis of quencher diffusion in chemically amplified resists and its effect on imaging characteristics
JPS6161153A (ja) ネガ型レジストのパタ−ン形成方法
WO20010186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t exposure bake endpoint using residual gas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