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047B1 -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047B1
KR100424047B1 KR10-2001-0023110A KR20010023110A KR100424047B1 KR 100424047 B1 KR100424047 B1 KR 100424047B1 KR 20010023110 A KR20010023110 A KR 20010023110A KR 100424047 B1 KR100424047 B1 KR 10042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fixing member
knob
lock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637A (ko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01-002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0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조작노브와 고정부재에 의하여 출몰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로서 회전부재를 단속하도록 구성하여, 첫째 조작노브의 잠금 조작상태에서는 실외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조작노브를 해지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서 방범기능을 제고하여 주며, 둘째 조작노브의 해지 조작상태에서는 회전부재로서 조작노브를 손쉽게 잠금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여 주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발명의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는 내부에 조립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0)에 내측 중앙에 형성된 축봉(23)을 관통되게 끼워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작노브(20)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노브(20)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상하동작하면서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잠금부재(30)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축봉(23) 외측에 끼워지는 고정부재(40)를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돌기(51)들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회전부재(50)를 조작노브(20)로 구속하여 자유회전 하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0)의 내측면 일정위치에 축심방향으로 뚫어지는 출몰유도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는 중앙에 뚫어진 통공(41) 주변의 일측 가장자리에 궁형으로 굴절되어서 몰입구간(42a)과 돌출구간(42b)이 확보되도록 안내통로(42)를 형성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과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상하부가 끼워지도록 걸림부재(6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본발명은 건축물의 출입문에 설치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침입자가 실외에서 조작노브를 도구로 해지 조작하여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하려는 불법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한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출입문에는 흔히 도어실린더라 지칭되는 주 잠금장치와 함께 박스형의 자물쇠로 알려진 보조 잠금장치를 갖추어서, 거주자는 실내에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실내에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침입자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는 이미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박스형으로서 내부에 조립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관통되어서 그 케이싱의 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하동작하면서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어서, 실외에서 실내로 무단 침입하려는 침입자를 막아 주는 기본적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는 출입문의 실내측에 장착되는 케이스의 전면에 조작노브가 돌출되어서, 그 조작노브를 조작하면 잠금부재가 잠금 또는 해지되어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침입자가 실외에서 출입문 하부의 수납통로로 도구를 넣어서 케이스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잠금부재를 손쉽게 해지하고 실내에 무단으로 침입하게 되므로, 원래의 방범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조작노브와 고정부재에 의하여 출몰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로서 회전부재를 단속하도록 구성하여, 첫째 조작노브의 잠금 조작상태에서는 실외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조작노브를 해지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서 방범기능을 제고하여 주며, 둘째 조작노브의 해지 조작상태에서는 회전부재로서 조작노브를 손쉽게 잠금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여 주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 보조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발명 보조잠금장치의 횡단면도
도3a는 본발명의 조작노브를 해지조작 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3b는 본발명의 조작노브를 잠금조작 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잠금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1: 축구멍 12: 안내가이드
13: 개방홈 14: 승강통로 20: 조작노브
21: 손잡이 22: 회전원판 23: 축봉
24: 출몰유도홈 25: 복원스프링 26: 작동판
30: 잠금부재 31: 승강판 32: 잠금돌기
40: 고정부재 41: 통공 42: 안내통로
42a: 몰입구간 42b: 돌출구간 43: 조립홈
44: 탄발스프링 45: 요동구 50: 회전부재
51: 돌기 52: 돌출턱 53: 손잡이홈
60: 걸림부재 61: 걸림편 62: 끼움편
본발명도 내부에 조립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0)에 내측 중앙에 형성된 축봉(23)을 관통되게 끼워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작노브(20)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노브(20)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상하동작하면서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잠금부재(30)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축봉(23) 외측에 끼워지는 고정부재(40)를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돌기(51)들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회전부재(50)를 조작노브(20)로 구속하여 자유회전 하도록 설치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조작노브(20)의 내측면 일정위치에 축심방향으로 뚫어지는 출몰유도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는 중앙에 뚫어진 통공(41) 주변의 일측 가장자리에 궁형으로 굴절되어서 몰입구간(42a)과 돌출구간(42b)이 확보되도록 안내통로(42)를 형성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과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상하부가 끼워지도록 걸림부재(60)를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발명은 도3a 및 도3b의 도시와 같이, 케이싱(10)에 축봉(23)을 통하여 끼워지는 조작노브(20)의 내측면에는 출몰유도홈(24)을, 그 조작노브(20)의 축봉(23) 외측에 고정부재(40)에는 몰입구간(42a)과 돌출구간(42b)으로 된 안내통로(4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조작노브(20)의 회전조작에 따라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과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끼워져서 출몰되도록 걸림부재(60)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노브(20)를 잠금 조작하면 상기 조작노브(2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몰입되는 걸림부재(60)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50)가 자유회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조작노브(20)를 해지 조작하면 상기 조작노브(20)와 고정부재(40) 사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60)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50)가 걸려서 조작노브(20)와 함께 잠금 방향으로 회전조작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발명의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1)는 첫째 조작노브(20)가 잠금 조작되면 회전부재(50)가 자유회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외에서 도구로 조작노브(20)를 해지 조작할 수 없게 하여서 침입자가 무단으로 실내에 침입하는 불법행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주며, 둘째 조작노브(20)가 해지 조작되면 회전부재(50)를 회전시켜서 조작노브(20)를 다시 잠금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주자가 조작노브(20)를 잠그는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싱(10)은 내부에 조립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일정위치에 축구멍(11)을 형성하여서, 상기 조작노브(20)를 관통시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은 축구멍(11)과 인접하는 내측면에 안내가이드(12)를 상하로 형성하며, 그 케이싱의 일측단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어서 상하부에 개방홈(13)이 트여지는 승강통로(14)를 가져서, 상기 조작노브(20)에 의하여 연동되는 잠금부재(30)가 상기 케이싱(10)의 안내가이드(12)와 승강통로(14)를 따라 상하로 동작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노브(20)는 전면의 손잡이(21)와 일체로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회전원판 (22)의 중앙에 축봉(23)을 연장 형성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노브(20)의 손잡이(21)는 회전원판(22)의 상부에 완만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서, 침입자가 도구를 사용하여 손잡이(21)를 걸어서 조작노브(20)를 해지하려는 회전조작을 할 수 없도록 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20)의 하부면 일정위치에 축심방향으로 뚫어지는 출몰유도홈(24)을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에 상기 걸림부재(60)의 상부를 유동되게 끼워맞춰서 그 걸림부재가 자연스럽게 출몰되도록 유도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 상기 조작노브(20)는 그 축봉(23)의 자유단에 복원스프링(25)으로서 탄력적으로 절환동작되도록 설치되는 작동판(26)을 가져서, 상기 조작노브(20)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3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해지 또는 잠금 상태가 되게 하여 준다.
잠금부재(30)는 상기 케이싱(10)의 안내가이드(12)로 안내되고 상기 조작노브(20)의 작동판(26)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되는 승강판(31)과, 그 승강판(31)의 일측단 상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승강통로(14)를 따라 상승하강되는 잠금돌기(32)들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부재(30)의 잠금돌기(32)는 출입문(2)의 문틀에 장착되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승강통로(14)에 형성된 개방홈(13)에 끼워맞춰지는 걸고리판(미도시)에 걸리거나 빠져서 출입문(2)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고정부재(40)는 원통형으로서 중앙부에 통공(41)을 뚫어서 형성하되 그 통공을 상기 케이싱(10)의 축구멍(11)과 일치되도록 고정 설치하여서, 상기 조작노브 (20)의 축봉(23)이 상기 고정부재(40)의 통공(41)과 상기 케이싱(10)의 축구멍(1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는 그 중앙에 뚫어지는 통공(41) 주변의 일측 가장자리에 궁형으로 굴절되어서 몰입구간(42a)과 돌출구간(42b)이 확보되도록 안내통로(42)를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에 끼워진 걸림부재(60)의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의 몰입 및 돌출구간(42a)(42b)에 끼워져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부재(50)는 링형상으로서 내주면의 등간격마다 돌기(51)들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조작노브(20)로 구속하여 자유회전 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러한 회전부재(50)는 상기 조작노브(20)가 잠금 조작되면 자유회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조작노브(20)가 해지 조작되면 그 조작노브와 함께 다시 잠금 방향으로 회전조작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50)는 외주면 둘레의 등간격마다 형성되는 돌출턱 (52)들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손잡이홈(53)들을 가져서, 상기 회전부재(50)를 파지하여 회전조작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60)는 상부에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걸림편(61)과, 그 걸림편(61)의 중간에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끼워지는 끼움편(62)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부재(60)는 도3a 및 도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20)를 잠금 조작하여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를 이루는 몰입구간(42a)으로 접어들면,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을 따라 점차적으로 몰입되어서 상기 회전부재(50)가 자유회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여 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조작노브(20)를 해지 조작하여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를 이루는 돌출구간(42b)으로 접어들면,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을 따라 점차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회전부재(50)의 돌기(51)에 걸어져서 상기 조작노브(20)와 함께 다시 잠금 방향으로 회전조작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여 준다.
한편, 도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조립홈(43) 내에 탄발스프링(44)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요동구(45)를 가져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요동구(45)가 상기 회전부재(50)의 돌기(51)에 누름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50)를 회전조작 할 때에 상기 고정부재(40)의 요동구(45)가 상기 회전부재(50)의 돌기(51)에 누름 접촉되어서 한칸씩 이동하게 하여 주므로, 상기 걸림부재(60)의 걸림편(61)이 상기 회전부재(50)의 돌기(51) 사이에 정확히 걸어지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는 조작노브와 고정부재에 의하여 출몰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로서 회전부재를 단속하도록 구성하여서, 조작노브가 잠금 조작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가 자유회전 하여 실외에서 침입자가 조작노브를 해지 조작할 수 없게 되므로, 실내에 침입자가 무단으로 침입하게 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주며, 조작노브가 해지 조작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를 회전시켜서 조작노브를 다시 잠금 상태로 조작할 수 있게 되므로, 거주자가 노작노브를 잠그는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내부에 조립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0)에 내측 중앙에 형성된 축봉(23)을 관통되게 끼워서 회전가능하도록 조작노브(20)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노브(20)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상하동작하면서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잠금부재(30)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축봉(23) 외측에 끼워지는 고정부재(40)를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돌기(51)들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회전부재(50)를 조작노브(20)로 구속하여 자유회전 하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0)의 내측면 일정위치에 축심방향으로 뚫어지는 출몰유도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는 중앙에 뚫어진 통공(41) 주변의 일측 가장자리에 궁형으로 굴절되어서 몰입구간(42a)과 돌출구간(42b)이 확보되도록 안내통로(42)를 형성하며,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과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상하부가 끼워지도록 걸림부재(6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0)는 외주면 둘레의 등간격마다 형성되는 돌출턱(52)들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손잡이홈(53)들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0)는 상부에 상기 조작노브(20)의 출몰유도홈(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걸림편(61)과, 그 걸림편(61)의 중간에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안내통로(42)에 끼워지는 끼움편(62)으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조립홈(43) 내에 탄발스프링(44)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요동구(45)를 가져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요동구(45)가 상기 회전부재(50)의 돌기(51)에 누름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KR10-2001-0023110A 2001-04-27 2001-04-27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KR10042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110A KR100424047B1 (ko) 2001-04-27 2001-04-27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110A KR100424047B1 (ko) 2001-04-27 2001-04-27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637A KR20020083637A (ko) 2002-11-04
KR100424047B1 true KR100424047B1 (ko) 2004-03-24

Family

ID=2770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110A KR100424047B1 (ko) 2001-04-27 2001-04-27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0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181A (ja) * 1987-11-20 1988-06-29 昭和ロック株式会社 扉錠
US5010749A (en) * 1990-07-23 1991-04-30 Taiwan Fu Hsing Industry Co., Ltd. Locking device for an auxiliary lock
US5150592A (en) * 1991-12-02 1992-09-29 Taiwan Fu Hsing Industry Co., Ltd. Locking device for an auxiliary lock
KR930014529U (ko) * 1991-12-14 1993-07-27 최재학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로크의 해정 방지 장치
US5797286A (en) * 1997-04-29 1998-08-25 Emhart Inc. Locks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181A (ja) * 1987-11-20 1988-06-29 昭和ロック株式会社 扉錠
US5010749A (en) * 1990-07-23 1991-04-30 Taiwan Fu Hsing Industry Co., Ltd. Locking device for an auxiliary lock
US5150592A (en) * 1991-12-02 1992-09-29 Taiwan Fu Hsing Industry Co., Ltd. Locking device for an auxiliary lock
KR930014529U (ko) * 1991-12-14 1993-07-27 최재학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로크의 해정 방지 장치
US5797286A (en) * 1997-04-29 1998-08-25 Emhart Inc. Lock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637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KR100424047B1 (ko) 출입문용 보조잠금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2622646B1 (ko) 토글스위치 방식의 수동핸들 조립체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JP4495489B2 (ja) サムターン、並びに、錠前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101642438B1 (ko) 내부 강제 잠금 설정 구조체
KR100450580B1 (ko) 출입문용 키박스장치
KR200401116Y1 (ko) 요철형 경첩
JP2004197470A (ja) 防犯用サムターンを有する錠前
KR100491077B1 (ko) 전자도어록
JP2005016176A (ja) 施錠装置
KR101011977B1 (ko) 미닫이문 고정장치의 레버작동용 작동줄 안내장치
KR200212755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JP3098821U (ja) ドア錠のサムターン回し防護カバー
KR20090002580U (ko) 샤시문용 잠금장치
KR200241007Y1 (ko) 보조키이 커버
KR200277656Y1 (ko) 창문 손잡이 시건장치
KR200284630Y1 (ko) 보조 자물쇠용 안전장치
KR20014902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4625594B2 (ja) クレセント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