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296B1 -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296B1
KR100423296B1 KR10-2001-0026713A KR20010026713A KR100423296B1 KR 100423296 B1 KR100423296 B1 KR 100423296B1 KR 20010026713 A KR20010026713 A KR 20010026713A KR 100423296 B1 KR100423296 B1 KR 10042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lutch
intake air
air amoun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733A (ko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2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38Active lear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운전자의 반 클러치 상태를 판단하여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중단하고,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실행할 목적으로;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정차중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부하를 연산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각기 다른 흡입 공기량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흡입 공기량을 연산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하여 클러치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클러치의 결합 상태가 클러치 해제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클러치의 상태가 반 클러치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서, 엔진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에 운전자의 반 클러치 조작시 급가속을 위한 팁-인시 엔진 회전수의 급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THE AIR FLUX LEARNING CONTROL METHOD FOR AUTOMOTIVE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클러치 상태에서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하기 위한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변속기 기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반 클러치 상태로 차량을 정지시켜 엔진 아이들상태로 두면 종래에는 아이들 상태에서 피드 백 제어시 수온 > 85℃ 이상 엔진 회전수 > 800rpm 파워 스티어링 오프시 과열방지, 등판, 급작스런 가속페달 조작시 및 엔진 회전수 저하 등을 제외한 에어콘 강제 오프시 점화시기 확인 모드 이외 차속 = 0 인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엔진 제어 장치는 흡입되는 공기량에 대한 학습치를 보정하고, 상기 조건들중 어느 한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흡입 공기량에 대한 학습치 보정은 수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차량 정지상태이고 기어 체결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고 클러치는 반 클러치상태를 유지하며, 차량의 차속은 0km/h인 엔진 아이들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엔진 아이들 회전수가 목표 엔진 회전수 이하로 저하되면서 학습치는 계속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학습된 공기량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팁-인이 이루어지면,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상승하게되고,엔진 아이들로 하여 정상 학습을 수행하지 않으면 계속 엔진 회전수가 상승되며, 엔진 회전수 상승으로 인하여 학습 보정 금지 엔진 회전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배터리 리셋을 수행하지 않으면 흡입 공기량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운전자의 반 클러치 상태를 판단하여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중단하고,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정차중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부하를 연산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각기 다른 흡입 공기량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흡입 공기량을 연산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하여 클러치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클러치의 결합 상태가 클러치 해제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클러치의 상태가 반 클러치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주행상태 검출수단 110 ; 아이들 스위치 상태 검출부
120 : 수온 검출부 13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40 : 파워 스티어링 상태 검출부 150 : 에어콘 스위치 상태 검출부
160 : 흡입 공기량 검출부 170 : 차속 검출부
180 : 연료공급차단 상태 검출부
190 :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수단 300 : 구동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고,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아이들 스위치상태, 수온, 엔진 회전수, 파워 스티어링 상태, 에어콘 스위치 상태, 점화시기, 차속, 연료 공급차단 상태,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및 클러치 스위치 상태 등을 입력받아 정차중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부하를 연산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각기 다른 흡입 공기량을 입력 저장하고, 상기에서 입력된 흡입 공기량을 연산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하여 클러치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클러치의 결합 상태가 클러치 해제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클러치의 상태가 반 클러치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하며, 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흡입 공기량 학습에 따른 아이들 제어 신호에 동기되어 연료 분사량 및 점화시기 등을 조절한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아이들 스위치 상태 검출부(110)와; 차량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수온 검출부(115)와; 차량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20)와; 운전자의 파워 스티어링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의 상태가 온/오프 가변되는 파워 스티어링 상태를 검출하는 파워 스티어링 상태 검출부(125)와; 운전자의 에어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에어콘 스위치 상태 검출부(130)와; 차량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흡입되는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흡입 공기량 검출부(135)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140)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연료의 공급 및 차단 상태를 검출하는 연료 공급 차단 상태 검출부(145)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검출부(150)와;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그 상태가 가변됨을 검출하는 클러치 스위치 상태 검출부(15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동 변속기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차중인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 출력하면, 상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아이들 스위치상태, 수온, 엔진 회전수, 파워 스티어링 상태, 에어콘 스위치 상태, 흡입 공기량, 차속, 연료 공급차단 상태,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및 클러치 스위치 상태 등을 출력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소정의 아이들 스위치상태, 수온, 엔진 회전수, 파워 스티어링 상태, 에어콘 스위치 상태, 흡입 공기량, 차속, 연료 공급차단 상태,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및 클러치 스위치 상태 등을 입력받아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가를 판단한다(S100,S110).
상기에서 제 1 조건은 엔진 아이들 상태 냉각수온 > 소정의 제1 설정 온도(85℃)이상 엔진 회전수 > 소정의 제2 설정 값(700rpm) 에어콘 강제 오프시(단, 과열방지, 등판, 급가속 및 엔진 회전수 저하 등은 제외) 점화시기 확인모드 이외 차속 = 0Kph 감속시 연료 차단 상태가 아닐 것 맵 , 수온, 차속 및 스로틀 위치 센서 정상 부하 온/오프 후 일정시간 경과 인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조건이다.
상기에서 제 1 조건을 만족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흡입 공기량 및 차속 등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엔진 부하를 연산하여 산출하고,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온' 조건을 만족하는 가를 판단한다(S120,S130).
상기에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임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메모리 설정 변수(mapfil(X))에 흡입 공기량(a)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140).
mapfil(X) = a
하지만, 상기에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가 '오프' 상태임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메모리 설정 변수(mapfil(Y))에 흡입 공기량(b)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141).
mapfil(Y) = b
이 후,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에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입력되는 흡입 공기량의 차이를 연산하고, 상기에서 연산된 흡입 공기량이 소정의 설정값(C)과 차이가 발생되는가를 판단한다(S150).
mapfil(Z) = ( a - b > c)
상기에서, 연산된 흡입 공기량이 소정의 설정값(C)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클러치의 상태를 판단한다(S160).
상기에서 클러치의 상태는 클러치 스위치 검출부(155)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판단되어지는데, 상기에서 클러치의 상태가 반 클러치 상태임이 판단되면, 아이들 엔진 회전수가 목표 엔진 회전수 이하로 저하됨에 따라, 엔진 회전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 제어 장치(200)는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시킨다(S170).
하지만, 상기(S150)에서 연산된 흡입 공기량(a - b)이 소정의 설정값(C)과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거나, 상기(S160)에서 클러치의 상태가 완전 분리 상태임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엔진에 부하가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공기량 학습하여 갱신한 후, 해당하는 소정의 연료 분사량 및 점화시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71).
또한, 상기(S110)에서 제 1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엔진 제어 장치(200)는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학습제어를 금지하는 단계(S170)로 리턴한다.
이로서,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상태에 따른 흡입 공기량 학습을 제어 함으로서, 운전자의 급가속시 엔진 회전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 변속기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반 클러치 상태를 판단하여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중단하고,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실행함으로서, 엔진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에 운전자의 반 클러치 조작시 급가속을 위한 팁-인시 엔진 회전수의 급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정차중 흡입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엔진 학습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부하를 연산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각기 다른 흡입 공기량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흡입 공기량을 연산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하여 클러치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클러치의 결합 상태가 클러치 해제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클러치의 상태가 반 클러치 상태임이 판단되면 흡입 공기량 학습을 금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엔진 학습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흡입 공기량 학습 제어를 금지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동 변속기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조건은 엔진 아이들 상태 냉각수온 > 소정의 제1 설정 온도(85℃)이상 엔진 회전수 > 소정의 제2 설정 값(700rpm) 에어콘 강제 오프시(단, 과열방지, 등판, 급가속 및 엔진 회전수 저하 등은 제외) 점화시기 확인 모드 이외 차속 = 0Kph 감속시 연료 차단 상태가 아닐 것 맵 , 수온, 차속 및 스로틀 위치 센서 정상 부하 온/오프 후 일정시간 경과 인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조건인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동 변속기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01-0026713A 2001-05-16 2001-05-16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KR10042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13A KR100423296B1 (ko) 2001-05-16 2001-05-16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13A KR100423296B1 (ko) 2001-05-16 2001-05-16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733A KR20020087733A (ko) 2002-11-23
KR100423296B1 true KR100423296B1 (ko) 2004-03-18

Family

ID=277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713A KR100423296B1 (ko) 2001-05-16 2001-05-16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420A (ko) * 2001-07-18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733A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5036B2 (en) Lockup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ular torque converter
US9599054B2 (en) Vehicle-driving device and vehicle-driving method
US20050131612A1 (en) Gear-shift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gear-shift control method
KR101795378B1 (ko) 차량 하중에 기초하여 엔진 토크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1669227B1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for
US6969341B2 (en) Engine deceleration control system
EP1637720A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ngine idling speed
KR100423296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JP2008298100A (ja) 自動変速機の発進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5038288A (en)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EP2868904B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2007568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394642B1 (ko) 차량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방법
JP2007002803A (ja) 自動変速機のダウンシフト時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KR100507140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8420A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KR100337332B1 (ko) 차량용 엔진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JP2007040258A (ja) 車両の振動抑制制御装置
KR100309009B1 (ko) 전자제어 스로틀 시스템 차량의 변속 레버 위치 인식 오판에 기인한 엔진 스톨 방지 방법
JPH0341223A (ja)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412885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제동력 향상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04281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 변속 지연 제어방법
KR100354024B1 (ko) 자동차의 주행중 엔진 스톨 방지 제어방법
KR100391671B1 (ko) 차량용 엔진의 점화시기 제어 방법
KR100280629B1 (ko)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