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857B1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857B1
KR100422857B1 KR10-2001-0001570A KR20010001570A KR100422857B1 KR 100422857 B1 KR100422857 B1 KR 100422857B1 KR 20010001570 A KR20010001570 A KR 20010001570A KR 100422857 B1 KR100422857 B1 KR 10042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temperature
air supply
amount
suppl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107A (ko
Inventor
다카야마마사요시
오기소시게루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1008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과제) 급기로(給氣路)와 배기로(排氣路)를 내부에 인접시켜서 나란히 형성한 급배기관을 가지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연소실로의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급기로(11)에서 연소실(2)내로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급기온도를 검출하는 급기온도센서(17)를 구비한다. 운전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유닛(7)은, 급기온도센서(17)의 검출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출탕온도센서 (29)의 검출온도가 목표 출탕온도가 되도록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제어하면서, 수량제어밸브(28)를 통해서 통수관(5)의 수량을 감소시킨다. 이로써,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연소장치{cumbus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스 급탕장치, 가스 온풍난방기 등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급탕장치, 가스 온풍난방기 등의 연소장치에서는, 소위, FF식의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FF식 연소장치는, 버너 등의 연소부를 수용한 대략 밀폐구조의 연소실이 옥내(屋內)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연소실에 연소용 공기(대기)를 옥외로부터 도입하기 위한 급기로와 연소배기가스를 연소실에서 옥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로를 내부에 인접시켜서 나란히 형성한 급배기관이 장치 본체에 연접된다.
이 경우, 급배기관은, 예를 들어 내부에 배기로를 형성하는 내관과, 이 내관에 외측에서 끼워져 상기 내관과의 사이에 급기로를 형성하는 외관에 의해서, 이중관구조로 형성된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연소장치에서는, 연소실을 향하여 급배기관의 급기로를 유통하는 연소용 공기는, 배기로를 유통하는 비교적 고온의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특히, 장치 본체의 설치장소의 상황이나 가옥의 구조 등에 의해서 급배기관이 비교적 길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연소용 공기의 급기온도는, 급기로에서 연소실로의 연소용 공기의 도입구부분 근방에서 70~80℃이상의 고온으로까지 상승하는 일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연소장치에서는, 통상, 급기로에서 연소실로의 연소용 공기 도입구부분 근방에, 그 도입을 위한 연소팬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의 소형화 등의 형편상, 장치 본체의 하우징내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에서 연소실의 공기 도입구에 이르는 급기로부분(장치 본체의 하우징 내부가 그대로 상기 급기로부분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이나, 그것에 연통하는 개소에 전자회로 유닛이나, 하니스(harness), 상기 하니스의 클램프(clamp)부재 등이 배치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와 같이, 연소실로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는 연소팬, 전자회로 유닛 등, 상기의 각종 부품과 접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용 공기의 급기온도가 고온이 되면, 상기 연소팬의 회전축부의 윤활유가 유출되어 상기 연소팬의 작동불량을 일으키거나 상기 전자회로 유닛의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혹은, 상기 하니스의 클램플부재(이것은 일반적으로 수지제품이다)의 변형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급기로와 배기로를 완전히 분리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급기관과 배기관이 각각 별도로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구성도 대형화되어 버림과 아울러 급기관 및 배기관의 처리가 곤란해진다. 또한, 급기관과 배기관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관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급기로와 배기로를 내부에 인접시켜 나란히 형성한 급배기관을 가지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연소실로의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나, 이것에 연통되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각종 부품의 설치장소로서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대한 1실시형태로서의 가스 급탕장치의 전체적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4는 도 3의 플로챠트의 부분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선(線) 그래프.
(도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소하우징(연소실) 3 - 가스 버너(연소부)
5 - 통수관(유체통로) 6 - 급배기관
9 - 배기로 11 - 급기로
17 - 급기온도센서 25 - 열교환기
28 - 수량제어밸브(유량조정수단) 36 - 연소제어수단
38 -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연소부를 수용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연통되는 급기로 및 배기로가 내부에 인접하여 나란히 형성된 급배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소실에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를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면서 상기 연소부에 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을 실시함과 아울러 상기 연소운전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급배기관의 배기로를 통해서 배출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로에서 상기 연소실에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급기로에 형성한 급기온도센서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소량을 제어하는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상기배기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는 연소용 공기의 계속되는 과잉승온이 억제된다. 이 결과, 연소용 공기의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나 이것에 연통되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 내부의 공간 등을, 팬이나 전자회로 유닛, 수지부품 등의 설치장소로서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급기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의 감소정도를 높이는 것과 같이 상기 급기온도에 맞춰서 상기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그 급기온도가 높을수록 연소부의 연소량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기온도가 낮을수록 연소부의 연소량 감소정도는 작아지기 때문에 연소부의 연소량감소를 필요한계량으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킨 후,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를 향하여 하강했을 때에는, 상기 연소량을 증가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급기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연소부 연소량 본래의 연소량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또,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인 상태에서,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증가시킬 때는, 상기 연소량을 감소시킬 때보다 연소량을 천천히 변화시킨다.
이로써,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에서 저하되었을 때에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이 비교적 천천히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연소부의 연소량이 비교적 신속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급기온도의 계속되는 승온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소장치는, 예를 들어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를 상기 피가열물로 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서 상기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로 승온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억제하는 연소제어수단과,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소제어수단 및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에서는,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감소시키면, 상기 유체의 온도를 상기 목표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필요한 연소부의 연소량이 저하되므로, 상기 연소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연소부의 실제 연소량도 결과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역으로, 상기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연소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연소부의 연소량은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연소장치가 상기와 같이 연소제어수단 및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유량 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연소제어수단 및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연소부의 연소량을 필요에 의해서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증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로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상기 유체의 유량제어에 의해서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를 원하는 목표온도로 승온시키면서, 상기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연소장치 본래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상기 급기온도의 과잉한 승온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소제어수단 및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에 의해 가열하는 유체가 물인 급탕장치나, 상기 유체가 실내 등의 공기인 온풍난방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상기 연소장치가 상기 유체가 물인 급탕장치이고,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에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증감제어하는 연소장치인 경우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치수단은,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연소부의 목표 최대연소량을, 상기 급기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이 상기 목표 최대연소량이 되도록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에, 상기 급기온도에 맞춰서 연소부의 목표 최대연소량을 설정하고,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연소부의 연소량이 그 목표 최대연소량이 되도록 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의 수량의 감소정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급탕장치의 출탕량(수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급기온도의 과잉승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 2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을 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급기온도가 제 2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연소부의 연소운전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므로, 상기 급기온도의 과잉상승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기로나 이것에 연통되는 개소에 설치되는 기기나 부품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연소장치로서의 가스 급탕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는 상기 가스 급탕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가스 급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4는 도 3의 플로챠트의 부분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선(線)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해서 보면, 본 실시형태의 가스 급탕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본체하우징(1)과, 상기 본체하우징(1)내에 수용된 연소하우징(2)(연소실)과, 상기 연소하우징(2) 내의 하측부에 수용된 가스 버너(3)(연소부)와, 상기 가스 버너(3)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4)과, 부엌이나 욕실, 세면실 등에 온수(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통수관(5)(유체통로)과, 가스 버너(3)의 연소용 공기(대기)를 옥외로부터 연소하우징(2)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에 의해 연소하우징(2)내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옥외로 도출하기 위한 급배기관(6)과, 상기 가스 급탕장치의 운전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유닛(7)과, 상기 제어유닛(7)에 접속된 리모트 컨트롤러(8)를 구비한다.
급배기관(6)은, 배기로(9)를 내부에 형성하는 내관(10)과, 상기 내관(10)에 대략 동심(同心)으로 외측에 끼워져 상기 내관(10)과의 사이의 공간(횡단면이 고리모양인 공간)에 연소용 공기의 급기로(11)를 형성하는 외관(12)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며, 옥내의 본체하우징(1)의 상부개소에서부터 옥외에 걸쳐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관(12)의 옥내측 단부는, 본체 하우징(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3)에 연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관(12)의 내부 급기로(11)는, 상기 개구(13)를 통해서 본체하우징(1)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하우징(1)은 대략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연소하우징(2)의 외부)는, 연소하우징(2)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14)의 개소에 형성된 연소팬(15)(연소용 공기를 연소하우징(2) 내의 가스 버너(3)로 공급하기 위한 팬)을 통해서 연소하우징(2)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로(11)는, 본체 하우징(1)의 내부와, 연소팬(15)을 통해서 연소하우징(2)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또, 연소팬(15)은,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겠으나, 상기 급기구(14)에 면하여 배치된 회전팬을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연소용 공기를 본체하우징(1) 내에서 연소하우징(2)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내관(10)의 옥내측 단부는, 외관(12)내에서 본체하우징(1)내로 도입되며, 연소하우징(2)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6)에 연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관(10)의 내부 배기로(9)는 배기구(16)를 통해서 연소하우징(2)의 내부에 연통되고 있다.
또, 급배기관(6)의 내관(10) 및 외관(12)의 옥외측 단부는, 대기중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내의 상부에는, 급기로(11)에서 본체하우징(1)의 내부를 통해서 연소하우징(2)내로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급기온도)를 검출하는 급기온도센서(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 공급관(4)은, 본체하우징(1)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하우징(1)의 내부를 통해서 연소하우징(2)내로 도입되어, 상기 가스 버너(3)에 연접되어 있다. 상기 가스 공급관(4)에는, 그 상류측에서부터 차례로 주(主) 전자밸브(18), 가스비례 전자밸브(19) 및 부(副) 전자밸브(20)가 장착되어 있다.
주 전자밸브(18) 및 부 전자밸브(20)는, 각각 가스 공급관(4)을 개폐하여, 가스 버너(3)로의 연료공급 및 그 차단을 실시하기 위한 전자밸브로서,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solenoid)로의 통전(通電)의 유무에 따라서 개폐한다. 또, 가스비례 전자밸브(19)는, 가스 버너(3)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밸브로서,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로의 통전량에 따른 열림정도로 밸브를 여는 것이다.
상기 통수관(5)은, 본체하우징(1)내에 외부로부터 도입된 입수관(21)과, 상기 입수관(21)의 하류단에서 분기된 열교환기관(22) 및 바이패스관 (23)과, 상기 열교환기관(22) 및 바이패스관(23)이 그 하류단에서 합류되어 본체 하우징(1)에서 도출된 출탕관(24)을 구비하고 있다. 출탕관(24)의 하류단부는, 부엌, 욕실, 세면실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급탕개폐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관(22)은, 연소하우징(2)의 상부에 형성된 열교환기(25)를 경유하여 배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입수관(21)에서 열교환기관(22)로 유입되는 물은,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 중에, 상기 열교환기관(22)을 흐르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5)를 통해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된 물은, 열교환기(25)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관(23)을 흐르는 물과 합류해서 출탕관(24)을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수관(21)에는, 이것을 흐르는 물의 온도(입수온도)를 검출하는 입수온도센서(26)와, 상기 입수관(21)을 흐르는 물의 유량(=출탕관(24)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수량제어밸브(28)(유량조정수단)가 상류측에서부터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출탕관(24)에는, 출탕관을 흐르는 물의 온도(출탕온도)를 검출하는 출탕온도센서(29)가 장착되어 있다.
또, 수량제어밸브(28)는, 그 밸브체의 열림정도를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수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관(22)과 바이패스관(23)의 유량의 비율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 연소하우징(2)에는, 가스 버너(3)의 연소불꽃을 검지하는 플레임 로드(flame rod)(30)와, 가스 버너(3)의 점화시에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하는 점화전극(3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내에는 점화전극(31)에 통전하는 점화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는, 출탕온도의 목표온도(이하, 목표 출탕온도라 한다)를 제어유닛(7)에 대해서 설정하는 등의 조작을 하기 위해서, 본체하우징(1)의 외부로서 부엌 등에 설치되는 것이며, 본체 하우징(1)내에 배치된 제어유닛(7)과 통신선(3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에는, 상기 목표 출탕온도의 설정조작을 하기 위한 출탕온도 설정스위치(34)나, 상기 목표 출탕온도나 급탕장치의 운전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3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닛(7)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해서 구성된 전자회로 유닛으로서, 상기 주 전자밸브(18), 부 전자밸브(20), 가스비례 전자밸브(19), 연소팬(15),수량 제어밸브(28), 점화기(32)를 통해서,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을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운전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7)에는, 그 운전제어를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로부터, 목포출탕온도의 데이터 등이 상기 통신선(33)을 통해서 전달됨과 아울러, 상기 입수온도센서(26), 출탕온도센서(29), 유량센서(27), 급기온도센서(17), 플레임 로드(30)의 검출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신호선을 통해서 전달된다.
이 경우, 제어유닛(7)은, 그 주된 용도인 기능적 구성으로서, 상기 주 전자밸브(18), 부 전자밸브(20), 가스비례 전자밸브(19), 연소팬(15) 및 점화기(32)를 통해서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을 제어하는 연소제어수단(36)과, 상기 수량제어밸브(28)(보다 정확하게는 수량제어밸브(28)의 밸브체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통해서 통수관(5)의 수량을 제어하는 수량제어수단(3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연소제어수단(36) 및 수량제어수단(37)의 상세한 처리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연소제어수단(36) 및 수량제어수단(3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38)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겠으나, 제어유닛(7)과 리모트 컨트롤러(8)를 접속하는 통신선(33) 및, 제어유닛(7)과 상기 입수온도센서(26) 등의 각종 센서나 상기 주 전자밸브(18) 등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접속하는 신호선 등의 하니스는, 본체하우징(1)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수지제 클램프부재 등에 의해서 본체하우징(1) 등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가스 급탕장치의 작동을, 상기 제어유닛(7)의 보다상세한 제어처리와 아울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급탕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엌 등의 급탕개폐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열어 통수관(5)의 통수를 개시하면, 그것을 수량센서(27)의 검출신호에 의해 제어유닛(7)이 검지한다. 그리고, 이 검지에 따라서, 제어유닛(7)의 연소제어수단(36)은 가스 버너(3)의 점화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점화처리에서는, 연소팬(15)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연소팬(15)의 회전수에 따른 양(量)의 연소용 공기가, 옥외로부터 급배기관(6)의 급기로(11), 본체하우징(2)내를 통해서 연소팬(15)으로 흡인되며, 그것이 연소하우징(2)의 급기구(14)를 통해서 가스 버너(3)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연소팬(15)의 제어와 병행하여 연소제어수단(36)은, 점화기(32)를 작동시켜서 점화전극(31)에 통전하여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그리고, 연소제어수단(36)은, 이와 같이 연소팬(15) 및 점화전극(31)을 작동시키면서, 가스 버너(3)로의 가스 공급관(4)의 주 전자밸브(18) 및 부 전자밸브(20)에 통전하여 이들 밸브가 열리도록 한다. 또한, 가스비례 전자밸브(19)에 통전해서, 상기 전자밸브(19)를 소정의 열림정도로 열고, 가스 버너(3)에 소정량의 연료가스를 가스 공급관(4)에서 공급하게 한다. 이로써, 가스 버너(3)를 점화한다.
이와 같은 점화처리에 의해 가스 버너(3)가 착화되면, 그것이 플레임 로드(30)의 검출신호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이 검지가 이루어지면, 제어유닛(7)의 연소제어수단(36)은 이어서 출탕온도센서(29)가 검출하는 출탕온도를 리모트 컨트롤러(8)의 출탕온도 설정스위치(34)에 의해 설정된 목표 출탕온도와일치시키도록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처리(이하, 출탕온도 조정처리라고 함)를 실행한다.
상기 출탕온도 조정처리에서는, 출탕온도센서(29), 입수온도센서(26) 및 유량센서(27)의 검출 데이터와 목표 출탕온도의 데이터로부터 출탕온도를 목표 출탕온도로 하기 위해 필요한 가스 버너(3)의 필요 연소량을 소정의 데이터 테이블이나 연산식을 이용해서 차례로 구한다. 또, 입수온도는, 출탕온도센서(29)의 검출 데이터나 유량센서(27)의 검출 데이터,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의 데이터 등을 이용해서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수온도센서(26)를 생략해도 좋다.
연소제어수단(36)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 필요 연소량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공기를 가스 버너(3)에 공급하기 위한 연소팬(15)의 목표 회전수를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테이블 등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그 목표 회전수에 따라서 연소팬(1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팬(15)에는 그 회전수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수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그 회전수센서가 검출한 실회전수(實回轉數)가 상기 목표 회전수가 되도록 연소팬(15)의 회전수를 피드백 제어한다.
또한, 연소제어수단(36)은, 상기 회전수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연소팬(15)의 실회전수에 맞춰서 상기 가스비례 전자밸브(19)의 통전량(열림정도)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통전량에 따라서 가스비례 전자밸브(19)에 통전한다. 이것에 의해, 가스 버너(3)에는, 상기 필요 연소량에 대응되는 양의 연소용 공기와 연료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이 상기 필요 연소량으로 제어된다. 결국,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은, 출탕온도를 목표 출탕온도와 일치시키는데 필요한 연소량으로 제어된다. 이 결과, 출탕온도는, 목표 출탕온도 혹은 그 근방의 온도로 승온하고, 그 온도의 온수가 부엌 등의 급탕개폐장치(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는 소위 팬 선행형이기 때문에, 연소팬(15)의 실회전수에 맞춰서 가스비례 전자밸브(19)의 통전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상기 필요 연소량에 맞춰 직접적으로 가스비례 전자밸브(19)의 통전량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연소팬(15)의 목표 회전수를 설정할 때에는, 급기온도센서(17)가 검출하는 급기온도를 고려하도록 해도 된다. 즉, 급기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용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저하하므로, 가스 버너(3)의 필요 연소량에 대응하는 산소량을 가스 버너(3)에 공급할 수 있는 연소용 공기의 양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급기온도가 표준적인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온도가 높을수록 연소팬(17)의 목표 회전수를 높이는 것과 같이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제어수단(36)에 의해 출탕온도 조정처리를 하면서, 제어유닛(7)은 급기온도센서(17)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급기로(11)에서 연소하우징(2)에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감시한다. 그리고, 그 급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 1 과열온도(Ta)(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76℃) 이상으로 상승하면, 도 3의 플로챠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를 소정의 제어사이클(예를 들어 1초주기)로 수량제어수단(37)에 의해 실행하여, 통수관(5)의 수량을 제어한다.
또한,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Ta)보다 높은 제 2 과열온도(Tc)(본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80℃)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는, 상기 연소제어수단(36)에 의해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을 정지시킨다. 즉, 연소제어수단(36)은, 가스 공급관(4)의 주 전자밸브(18) 및 부 전자밸브(20)를 닫아서 가스 버너(3)로의 연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가스 버너(3)를 소화한다.
상기 제 2 과열온도(Tc)는, 연소용 공기와 본체하우징(1)내에서 접촉하는 제어유닛(7)의 오작동이나, 연소팬(15)의 작동불량, 상술한 하니스의 클램프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열변형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한온도 부근의 온도이다.
급기온도센서(17)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Ta)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단, 급기온도<제 2과열온도(Tc))의 상기 수량제어수단(37)의 제어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즉, 도 3의 플로챠트를 참조해서 보면, 제어유닛(7)의 수량제어수단(37)은, 우선, 급기온도센서(17)가 검출하는 급기온도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에 따라 가스 버너(3)의 목표 최대연소량을 구한다(STEP 1).
이 경우, 도 4의 데이터 테이블에서는,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Ta) 이상이고 또 상기 제 1 과열온도(Ta)보다 높은 소정온도(Tb)(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78℃. 이하, 연소량제한 종료온도(Tb)라 한다) 이하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는, 목표 최대연소량은, 급기온도의 상승에 따라 소정의 최대치(QmaxH)에서 소정의 최소치(QmaxL)를 향해 직선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급기온도가 상기 연소량제한 종료온도(Tb) 이상인 경우에는, 목표 최대연소량은, 상기최소치(QmaxL)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목표 최대연소량의 상기 최대치(QmaxH)는, 본 실시형태의 가스 급탕장치의 본래의 최대능력(예를 들어 16호에 상당)에 있어서의 가스 버너(3)의 최대연소량(이것은, 열교환기(25)의 열효율을 예를 들어 0.8로 했을 때, 2100kJ/분(=500 kcal/분)이 된다)이다. 또한, 목표 최대연소량의 상기 최소치(QmaxL)는, 예를 들어 8호에 상당하는 가스 버너(3)의 최대연소량(이것은, 열교환기(25)의 열효율을 0.8로 했을 때, 1050kJ/분(=250kcal/분)이 된다)이다.
이와 같이 하여 도 4의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급기온도에 맞춘 목표 최대연소량을 구한 후, 수량제어수단(37)은, 가스 버너(3)의 현재의 실제 연소량(실연소량)을 가스비례 전자밸브(19)의 현재의 통전량(이것은 가스 버너(3)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을 규정한다)과 연료가스의 열량(이것은 연소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진다)에 기초해서 산출한다(step2). 상기 실연소량은, 상기 연소제어수단(36)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하는 필요 연소량으로 대용해도 좋다.
그리고, 구한 현재의 실연소량(혹은 현재의 필요 연소량)을 상기 목표 최대연소량과 비교한다(step3).
이 때, 목표 최대연소량<실연소량인 경우에는, 수량제어수단(37)은, 상기 연소제어수단(36)이 상기 출탕온도 조정처리에 의해 구하는 필요 연소량이, 현재의 실연소량에서 미리 설정한 소정량(ΔQd)(예를 들어 4.2kJ/분. 이하, 단위감소연소량 (ΔQd)이라 한다)만큼 감산한 값(=실연소량 - ΔQd)이 되는 통수관(5)의 수량을, 상기 수량의 지령값으로서 구한다(STEP4). 이 경우, 상기 수량의 지령값은, 연소제어수단(36)이 필요 연소량을 구하는 경우와 역산적(逆算的)인 처리에 의해서, 상기의 실연소량 - ΔQd의 값과, 출탕온도센서(29) 및 입수온도센서(26)의 검출 데이터와, 목표 출탕온도의 데이터로부터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STEP4에서 구해지는 수량의 지령값은, 출탕온도 조정처리에 의한 필요 연소량을 현재보다 상기 단위감소연소량(ΔQd)만큼 줄이기 위한 것이므로 현재의 수량보다 적은 값이 된다.
또한, STEP3에서, 목표 최대연소량>실연소량인 경우에는, 수량제어수단(37)은, 연소제어수단(36)이 상기 출탕온도조정처리에 의해 구한 필요 연소량이, 현재의 실연소량에 미리 설정된 소정량ΔQu(예를 들어 0.14kJ/분=ΔQd/30. 이하, 단위증가연소량ΔQu이라 함)만큼을 가산한 값(=실연소량 + ΔQu)이 되는 통수관(5)의 수량을, 상기 수량의 지령값으로서 구한다(STEP5). 이 경우, 상기 수량의 지령값은 상기 step4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실연소량 + ΔQu 값과, 출탕온도 센서(29) 및 입수온도센서(26)의 검출 데이터와, 목표 출탕온도의 데이터로부터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step5에서 구해진 수량의 지령값은, 출탕온도 조정처리에 의한 필요 연소량을 현재보다 상기 단위증가연소량(ΔQu)만큼 늘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수량보다 큰 값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증가연소량(ΔQu)은, 상기 단위감소연소량(ΔQd)보다 적은 값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통수관(5)의 수량의 지령값을 구한 후, 수량제어수단(37)은, 그 지령값에 맞춰 상기 수량제어밸브(28)의 열림정도를 도시하지 않은 전동모터를 통해서 제어한다(STEP6). 즉, 상기 유량센서(27)가 검출하는 통수관(5)의 수량이 상기 지령값이 되는 수량제어밸브(28)의 열림정도를 소정의 데이터 테이블 등에 의해서 구하고, 그 열림정도로 수량제어밸브(28)를 제어한다.
또, 상기 STEP3에서 목표 최대연소량 = 실연소량인 경우에는, 상기 STEP4~STEP6의 처리는 실시되지 않으므로 수량제어밸브(28)의 열림정도는 현상태로 유지된다.
급기온도센서(17)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Ta)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량제어수단(37)에 의해서, 소정의 제어싸이클(1초주기)로 실행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상기 출탕온도센서(29)가 검출하는 출탕온도가 목표 출탕온도가 되도록 상기 연소제어수단(36)이 구하는 가스 버너(3)의 필요 연소량, 나아가서는 실연소량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온도에 맞춰서 설정되는 목표 최대연소량이 되도록 제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급기온도에 맞춘 목표 최대연소량보다 실연소량이 큰 상태에서는, 통수관(5)의 수량이 서서히 감소되고, 그 결과로서,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이 소정의 제어사이클마다(1초마다), 상기 단위감소연소량(ΔQd)만큼씩 감소된다. 또한, 목표 최대연소량보다 실연소량이 작은 상태에서는, 통수관(5)의 수량이 서서히 증가되어, 그 결과로서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이 상기 제어싸이클마다 상기 단위증가연소량(ΔQu)만큼씩 증가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가스 급탕장치에서는, 상기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Ta)(76℃) 이상으로 상승하는 상황은, 기본적으로는, 가스 급탕장치의 최대능력에서의 가스 버너(3)의 최대연소량(이것은, 목표 최대연소량의 최대치(QmaxH)이다) 혹은 그 근방의 연소량으로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 발생된다. 그리고,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Ta)에서 상기 연소량제한 종료온도(Tb)로 상승할 때까지는, 상기 목표 최대연소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온도의 상승에 따라 작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 (Ta) 이상으로 상승된 직후부터, 통수관(5)의 수량과 아울러 가스 버너(3)의 연소량(실연소량)이 감소해 간다.
그리고, 상기 가스 버너(3)의 연소량감소에 의해, 연소하우징(2)에서 상기 급배기관(6)의 배기로(9)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어 간다. 이 결과, 상기 급탕로(11)내에서,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 즉 상기 급기온도가 더욱 상승되지 않도록 억제되며, 기본적으로는 곧 저하된다.
이로써,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연소용 공기와 접촉되는 제어유닛(7)이나, 연소팬(15), 상기 하니스의 클램프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과잉된 고온상태에 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스 버너(3)의 연소감소에 의해 급기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목표 최대연소량이 도 4의 데이터 테이블에 따라서 증가되기 때문에, 가스 버너(3)의 연소량도 증가되어 간다. 이 때, 상기 연소량의 증가는, 소정의 제어사이클마다, 상기 단위증가연소량(ΔQu)만큼씩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단위증가연소량(ΔQu)은, 연소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의 상기 단위감소연소량(ΔQd)보다 적다. 이 때문에, 연소량은 비교적 천천히 증가한다. 이 결과, 출탕온도가 일시적으로 목표 출탕온도보다 크게 상승되는(도를 넘는다<over shoot>)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또한 역으로 연소량의 감소는, 비교적 빠르게 실시되기 때문에, 급기온도의 승온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Ta) 이상일 때의,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 버너(3)의 연소량증감은, 상기 통수관(5)의 수량의 증감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급기온도의 승온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의 제어를 상기 출탕온도 조정처리를 실시하면서, 바꿔 말하면, 출탕온도를 목표 출탕온도로 제어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스 급탕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급기온도의 승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기온도가 제 1 과열온도(Ta)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급기온도에 맞춰서 설정된 목표 최대연소량으로 제어한다. 즉, 가능한 한 최대한의 연소량으로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통수관(5)의 수량의 감소정도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출탕량(=통수관(5)의 수량)을 필요이상으로 제한하는 일 없이, 가스 버너(3)의 연소량을 감소시키고, 급기온도의 과잉승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만일 급기온도가 상기 제 2 과열온도(Tc)(80℃)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가스 버너(3)의 연소운전을 정지하여(가스 버너(3)를 소화하기 때문에), 급기온도의 계속되는 상승을 완전하게 방지하므로, 상기 제어유닛(7)의 오작동이나 연소팬 (15)의 작동불량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급탕장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기 급배기관(6)과 동일한 구조의 급배기관을 가지는 FF식의 가스온풍 난방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류팬 등에 의해 본체하우징에서 유체로서의 온풍을 실내로 송풍하면서 그 송풍온도(실온)를 목표온도가 되도록 연소실내의 가스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에서는, 예를 들어 연소실로의 연소용 공기의 급기온도가 소정의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대류팬 등에 의한 온풍의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스 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 배기가스온도를 떨어뜨리고, 나아가서는 급기온도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배기관(6)을 이중관구조로 구성했으나, 상기 급배기관은, 급기로 및 배기로가 인접되어 나란히 설치된 것이라면, 다른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예를 들어, 관체내에, 그 직경방향으로 횡단하는 간막이판을 설치하여 횡단면이 반원형상인 급기로 및 배기로를 형성하는 구조).
본 발명에 의하면, 급기온도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연소용 공기와 접촉되는 제어유닛(7)이나, 연소팬(15), 상기 하니스의 클램프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과잉된 고온상태에 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연소부를 수용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연통되는 급기로 및 배기로가 내부에 인접되어 나란히 형성된 급배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소실에 상기 급배기관의 급기로를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면서 상기 연소부에 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을 실시함과 아울러, 상기 연소운전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급배기관의 배기로를 통해서 배출하되, 상기 급기로에서 상기 연소실로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급기로에 형성한 급기온도센서와, 상기 급기 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연소량을 제어하는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급기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의 감소정도를 높이는 것과 같이 상기 급기온도에 맞춰서 상기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킨 후,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를 향하여 하강했을 때에는, 상기 연소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인 상태에서,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연소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보다 상기 연소량을 천천히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에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를 상기 피가열물로 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로 승온(昇溫)되도록 상기 유체를 열교환기를 통해서 가열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연소제어수단과, 상기 유체통로를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로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를 상기 피가열물로 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로 승온되도록 상기 유체를 열교환기를 통해서 가열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연소제어수단과,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조정수단을 구비한 연소장치로서,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증감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유체가 물인 급탕장치로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 이상의 온도일 때, 상기 연소부의 목표 최대연소량을 상기 급기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도록설정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이 상기 목표 최대연소량이 되도록 상기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를 흐르는 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부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기온도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급기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급기온도가 상기 제 1 과열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 2 과열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연소부의 연소운전을 정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KR10-2001-0001570A 2000-02-21 2001-01-11 연소장치 KR100422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3276 2000-02-21
JP2000043276A JP3566615B2 (ja) 2000-02-21 2000-02-21 燃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07A KR20010083107A (ko) 2001-08-31
KR100422857B1 true KR100422857B1 (ko) 2004-03-12

Family

ID=1856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70A KR100422857B1 (ko) 2000-02-21 2001-01-11 연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66615B2 (ko)
KR (1) KR100422857B1 (ko)
TW (1) TW4708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961A (ko) * 2016-12-26 2018-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020A (ja) * 2002-05-17 2004-02-12 Rinnai Corp 燃焼装置
JP3920843B2 (ja) * 2003-12-09 2007-05-30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器
KR101049411B1 (ko) * 2009-06-16 2011-07-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콘덴싱 보일러
JP5589530B2 (ja) * 2010-04-23 2014-09-17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装置
JP5992944B2 (ja) * 2014-03-24 2016-09-14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US9746201B2 (en) 2015-08-13 2017-08-29 Rinnai Corporation Combustion apparatus
KR102493784B1 (ko) 2018-07-18 2023-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기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2449885B1 (ko) * 2019-05-03 2022-10-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오일 보일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154A (ja) * 1986-10-23 1988-05-13 Isuzu Motors Ltd 暖房器の過熱防止装置
JPH0285640A (ja) * 1988-09-21 1990-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温風暖房装置
JPH05157360A (ja) * 1991-12-04 1993-06-22 Rinnai Corp 暖房装置
JPH1183192A (ja) * 1997-09-05 1999-03-26 Daikin Ind Ltd 温風暖房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154A (ja) * 1986-10-23 1988-05-13 Isuzu Motors Ltd 暖房器の過熱防止装置
JPH0285640A (ja) * 1988-09-21 1990-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温風暖房装置
JPH05157360A (ja) * 1991-12-04 1993-06-22 Rinnai Corp 暖房装置
JPH1183192A (ja) * 1997-09-05 1999-03-26 Daikin Ind Ltd 温風暖房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961A (ko) * 2016-12-26 2018-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KR101890607B1 (ko) * 2016-12-26 2018-08-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6615B2 (ja) 2004-09-15
JP2001235144A (ja) 2001-08-31
KR20010083107A (ko) 2001-08-31
TW470841B (en) 200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022B2 (en) Water heater
US8733297B2 (en) Water heater
US7628123B2 (en) Combined hot water supply system
US7590470B2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short-cycling condition
KR100422857B1 (ko) 연소장치
US20110271880A1 (en) Redundant Modulating Furnace Gas Valve Closure System and Method
KR100255823B1 (ko) 급탕기
KR100283131B1 (ko) 복합급탕장치
JP5143793B2 (ja) 給湯器
KR930006168B1 (ko) 연소기의 제어장치
KR100192924B1 (ko) 연소장치
JPH0820074B2 (ja) 屋内設置型燃焼器の安全装置の制御方法
JP3366394B2 (ja) 燃焼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JP5197524B2 (ja) 給湯器
KR0153711B1 (ko) 연소장치
KR970009128B1 (ko) 가스연소장치
KR100232565B1 (ko) 급탕기
JP3471107B2 (ja) 比例弁付き燃焼装置の制御方法
JPH08159552A (ja) ガス燃焼式給湯装置
JPH04335914A (ja) 燃焼装置
JPH0560333A (ja) 温水暖房機の制御装置
JP2004317045A (ja) 燃焼装置
KR20210054823A (ko) 가스 퍼니스 및 그 제어 방법
KR0171730B1 (ko) 급탕기
JP3797249B2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