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330B1 - 고체촬상소자의결함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촬상소자의결함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330B1
KR100421330B1 KR1019970001088A KR19970001088A KR100421330B1 KR 100421330 B1 KR100421330 B1 KR 100421330B1 KR 1019970001088 A KR1019970001088 A KR 1019970001088A KR 19970001088 A KR19970001088 A KR 19970001088A KR 100421330 B1 KR100421330 B1 KR 10042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image pickup
defect detection
read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519A (ko
Inventor
마사유키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8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e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8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efects
    • H04N25/683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efects by defect estimation performed on the scene signal, e.g. real time or on the fly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손 흔들림 보정기능을 갖는 CCD 고체촬상소자에서는 결함 화소의 검출을 행할때 5 필드 상당의 검출기간이 필요했었다.
손 흔들림 보정기능을 갖는 CCD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EVEN 필드의 축적개시 직후의 2 필드째[시점(t4)]에서 본래와 동일한 EVEN 필드가 판독되는 지점을, ODD 필드를 판독하는 판독 펄스(V1)를 발생하므로서, 강제적으로 필드를 전환하고, ODD 필드의 축적을 개시한다. 그래서, EVEN 필드에 대해서 그의 장시간 축적이 종료한 시점(t5)에서 판독 및 결함 검출을 행하고, 계속해서 시점(t5)으로부터 2 필드 째의 시점(t6)에서 ODD 필드에 대해서 판독 및 결함 검출을 행함으로서 결함 검출을 4 필드 상당의 검출기간으로 행한다.

Description

고체촬상소자의 결함검출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체촬상소자의 화소(점)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효 촬상영역보다도 큰 촬상영역을 갖는 고체촬상소자의 결함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반도체로 형성한 고체촬상소자에서는, 반도체의 국소적인 결정 결함등에 의해 감도가 저하하는 화소 결함이나 흠(傷:flaws) 등에 의한 화소 결함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화소 결함이 있으면 그 결함 화소의 촬상 출력에 기인해서 화질이 열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CCD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그 화소 결함으로서 흰점(白点) 결함 등이 있다. 이 흰점 결함은, CCD 고체촬상소자에 광 입사가 없는 암흑상태라도, 화면 위에 화소단위 크기의 흰 결함으로서 관찰되는 것이다.
그런데, 검출 보정 대상이 되는 CCD 고체촬상소자의 흰점결함은 매우 레벨이 낮은 것으로, 통상의 판독에서는 상온에서 수 mV 레벨의 것이 문제로 된다. 이와 같이 통상 문제가 되는 화소결함의 레벨은 매우 적기 때문에 결함 화소를 간단히 검출할 수가 없다. 그러나 검출감도를 높이기 위해 증폭하면 노이즈도 함께 증폭되어 버리기 때문에 S/N이 나빠진다. 그래서, S/N이 좋고 또한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센서부(화소)에 축적하는 시간을 강제적으로 통상보다도 매우 길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함 검출 시에, 프레임 판독방식으로서 수십 필드 상당의 시간만큼 축적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비디오 카메라에서 손 흔들림 보정을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통상의촬상 시에 필요한 유효 촬상영역보다도 큰 촬상영역을 갖는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하고, 그 촬상영역의 일부분을 손 흔들림 보정에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손 흔들림 보정기능을 갖는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결함화소의 검출을 하는 경우는, 수직방향의 라인수가 통상의 TV방식의 라인 수보다도 많으므로, 한쪽 필드의 결함 화소의 검출에 1 필드 상당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는 2 필드 상당의 시간을 결함 검출에 맞추고 있다.
도 5의, 종래 예에 있어서 CCD 고체촬상소자의 구동타이밍과 CCD 출력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축적시간을 6 필드 상당 기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5 중 FLD는 ODD/EVEN의 필드 식별신호, VDI는 수직동기 펄스, VDO는 수직동기 펄스에 동기한 판독 타이밍 펄스, XSG1은 4상 수직전송 펄스(four-phase vertical transfer pulse)(V1∼V4)의 1상 째의 수직전송 펄스(V1)에 중첩되어서 한쪽의 필드의 신호전하를 판독하는 판독펄스, XSG2는 3상 째의 수직전송 펄스(V3)에 중첩되어서 다른 쪽의 필드의 신호 전하를 판독하는 판독 펄스, CCDout는 CCD 출력 신호이다.
도 5에 있어서, 시점(t1)에서 판독 펄스(XSG2)가 발생함으로서, EVEN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그후 이 EVEN 필드에 대해서 6 필드 상당의 기간에 걸쳐서 축적이 행해진다. 한편, ODD 필드에 대해서는, 시점(t2)에서 판독펄스(XSG1)가 발생함으로서 한번 판독이 행해진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 필드의 결함 화소의 검출에 1 필드 상당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더욱이 화소의 판독순서를 맞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2 필드 상당의 기간이 경과한 시점(t3)으로부터 6필드 상당의 기간에걸쳐서 축적이 행해진다.
그래서, EVEN 필드에 대해서 6 필드 상당의 축적기간이 종료한 시점(t4)에서 판독펄스(XSG2)가 발생함으로서, EVEN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근거해서 EVEN 필드에 대한 결함 화소의 검출이 1 필드 상당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행해진다. 한편, ODD 필드에 대해서는, 6 필드 상당의 축적기간의 종료가 EVEN 필드의 판독 시점(t4)으로부터 3필드 상당의 기간이 경과한 시점(t5)으로 되고, 그 시점에서 ODD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 판독된 화소정보에 의거해서, ODD 필드에 대한 결함 화소의 검출이 행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손 흔들림 보정기능을 갖는 CCD 고체촬상소자에서는 결함화소를 검출을 행할 때, 수직방향의 라인수가 통상의 TV방식의 라인수보다 많은 것에 기인해서, 한쪽 필드의 결함 화소의 검출에 1 필드 상당 이상의 시간이 걸림으로서 , 시간적으로 2 필드 상당의 기간을 맞추고 있고, 더욱이 EVEN/ODD의 각 필드를 교대로 판독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음의 필드 판독에 3 필드 상당의 시간을 요하게 되기 때문에 총 5필드 상당의 검출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통상, 결함 화소의 검출/보정의 처리는 카메라의 전원 투입시의 이니셜 동작(initial operation)시에 실행되는 일이 많고, 전원 투입 후에 카메라의 그림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제한해 버린다. 통상은, 전원 투입 후에 곧바로 그림을 낼 필요가 있으므로 이니셜 동작의 실행 시간을 짧게 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니셜 동작에 그다지 시간이 걸리지 아니한다. 따라서, 결함화소의 검출에요하는 기간도 가급적 짧게 할 필요가 있고, 검출기간을 짧게 하기 위해서 축적시간을 짧게 하면, 검출감도가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해서 행해진 것이고, 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검출 감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결함 검출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한 고체촬상소자의 결함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결함 검출회로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결함 검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4는 결함 검출 및 결함 보정의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5는 종래 예에 관한 결함검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3 : CCD 고체촬상소자 6 : 타이밍 제너레이터
10 : 결함 검출회로 11 : 결함 보정회로
101 : 데이터 기입제어부 103 : 검출비교기
104 : V 카운터 105 : H 카운터
107 : V 어드레스 비교기 108 : H 어드레스 비교기
(과제를해결하기위한수단)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소자의 결함 검출장치는, 유효 촬상영역보다도 큰 촬상영역을 갖는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촬상영역의 각 화소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펄스를 발생함과 동시에 결함 검출 시에 고체촬상소자를 프레임 판독으로서 구동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와 고체촬상소자의 촬상 출력 레벨에 의거해서 화소결함을 검출하는 결함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타이밍 제너레이터가 결함 검출 시에 한쪽의 필드의 판독펄스의 발생을 소정의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키고 그 정지 직후의 2필드 째에 다른 필드의 판독 펄스를 발생하고 그후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 기간만큼 정지시킴과 동시에, 그 정지기간 종료 후에 각 필드마다 프레임 판독 구동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하는 구성의 결함 검사장치에 있어서, 결함 검출 시에 한쪽의 필드의 판독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킴으로써 한쪽의 필드에 대해서 장시간 축적이 행해진다. 그 장시간 축적의 개시직후의 2필드 째에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를 발생함으로서 본래 같은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는 지점을 강제적으로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킴으로서 다른 쪽의 필드에 대해서 장시간 축적이 행해진다. 이 장시간 축적이 끝나면 각 필드마다 프레임 판독 구동을 행하고 그때의 고체촬상소자의 촬상 출력 레벨에 의거해서 결함화소를 검출한다.
이 프레임 판독 구동에서는 각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2필드에 걸쳐서 화소 혼합 없이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화소 단위에서의 결함 검출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발명의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을 한다.
도 1은, 손 흔들림 보정에 대응하는 CCD카메라에 적용된, 예를 들면, 디지탈 신호처리 구성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피사체는 렌즈(1) 및 조리개(IRIS)(2)로 형성되는 광학계에 의해 CCD 고체촬상소자(3)의 촬상면 위에 결상된다. 이 광학계의 조리개(2)는, 후술하는 결함 검출/보정시에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약칭함)(4)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시그널 제너레이터(5)는 시스템 동작의 기준이되는 시스템 클록(SCK)과 함께 수직동기 펄스(VD) 및 수평동기 펄스(HD)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timing generator)(6)는 마이컴(4)의 제어아래, 시그널 제너레이터(5)에서 공급되는 시스템 클록(SCK)에 의거해서 적당한 타이밍으로 각종의 신호를 발생한다. 한 예로서, 타이밍 제너레이터(6)로부터는 CCD고체촬상소자(3)에 있어서 각 화소(포토센서)에서 신호 전하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펄스(XSG1, XSG2), 수직 전송구동을 행하기 위한 4상의 수직 전송 펄스(XVV1~XVV4), 수평 전송구동을 행하기 위한 2상의 수평전송 펄스(H1, H2)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6)는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함 검출 회로(10)에서 TG 제어신호가 주어졌을때 판독 펄스(XSG1, XSG2)의 타이밍을 바꿈으로서 판독 필드를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신호중 판독 펄스(XSG1, XSG2) 및 4상의 수직 전송 펄스(XVV1∼XVV4)는 드라이버(7)를 거쳐서 1상째에 판독펄스(XSG1)를 포함하고 3상째에 판독펄스(XSG2)를 포함하는 4상의 수직전송 펄스(V1∼V4)로 하여 CCD 고체촬상소자(3)의 수직 전송 레지스터에 부여된다. 또한 2상의 수평 전송 펄스(H1, H2)는 직접 CCD 고체촬상소자(3)의 수평전송 레지스터에 부여된다.
또한, CCD 고체촬상소자(3)는 손 흔들림 보정 대응의 것이므로 화면에 나타나는 유효 촬상영역보다도 큰 촬상영역을 갖추고 있다. 한 예로서 NTSC 방식의 TV 신호를 도출하는 경우에는 NTSC 방식의 CCD 고체촬상소자보다도 라인수가 많은 PAL 방식의 CCD 고체촬상소자가 사용된다. 그래서 주지의 손 흔들림 보정처리 기술에 의해 손 흔들림 보정이 실현된다. 이 손 흔들림 보정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CD 고체촬상소자(3)의 촬상출력은 S/H(샘플/홀드) & AGC(자동 이득제어) 회로(8)를 거친 후, A/D 변환기(9)에서 디지탈화 되어서, 예를 들면, 10비트의 데이터로서 결함 검출회로(10) 및 결함보정회로(11)에 공급된다. 결함 보정회로(11)에서 결함 보정된 촬상출력은 신호 처리회로(12)에서 각종의 신호 처리가 행해져서 휘도(Y)신호 및 크로마(C) 신호(chroma signal)로서 출력되고, 그후 엔코더(13)를 거쳐 비디오 출력으로 된다.
도 2는 결함 검출회로(10)의 요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결함 검출회로(10)에는, 도 1의 A/D 변환기(9)에서 10비트의 촬상 출력 데이터가 결함 검출을 위한 검사신호로서 입력됨과 동시에 타이밍 제너레이터(6)에서 판독 펄스(XSG1), 1상째의 수직 전송 펄스(XVV1), 마스타클록(MCK)등이 부여된다. 10비트의 검사신호는 데이터 기입제어부(101) 및 CLP(크램프)/BLK(블랭킹) 처리회로(102)에 공급된다.
CLP/BLK 처리회로(102)에서는, 영상신호인 검사신호에 있어서 흑레벨을 크램핑(clamping)하는 처리 및 유효 영상 기간 이외를 제거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CLP/BLK 처리회로(102)를 거친 검사신호는 화소 결함의 검출처리를 하기 위한 검출 비교기(103)에 공급된다. 검출 비교기(103)는 화소단위의 신호레벨을 검출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서 결함화소의 검출을 행하고 결함화소를 검출하면 검출신호를 데이터 기입 제어부(101)에 부여한다.
한편 판독 펄스(XSG1) 및 1상째의 수직 전송 펄스(XVV1)는 V(수직) 카운터(104)에 입력된다. 이 판독 펄스(XSG1)는 수직 동기 펄스(VD)에 동기한 펄스이고, 수직전송 펄스(XVV1)는 마스타클록(MCK)에 의거한 펄스이다. 따라서 V카운터(104)는 판독 펄스(XSG1)가 발생하는 기간에 있어서 수직 전송 펄스(XVV1)를 카운트함으로서 그 카운트 데이터를 수직방향의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또한 H(수평) 카운터(105)는 마스타클록(MCK)을 카운트함으로서 그 카운트 데이터를 수평방향의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기입 제어부(101)는, 검출비교기(103)로부터 결함화소를 검출한 뜻의 검출신호가 부여되면 그때의 V카운터(104) 및 H카운터(105)의 각 카운트 데이터를 결함 화소의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취하고 그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그것의 결함 레벨 데이터를 내장 RAM(106)에 차례로 격납한다. 그리고, 결함 보정시에는 데이터 기입 제어부(101)는, RAM(106)에 격납한 결함 화소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이 어드레스 데이터는 V 어드레스 비교기(107) 및 H 어드레스 비교기(108)에 부여된다.
V 어드레스 비교기(107)는 데이터 기입 제어부(101)에서 부여되는 어드레스 데이터와 V 카운터(104)의 카운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한 때에 그 뜻을 표시하는 일치 검출 신호를 H어드레스 비교기(108)에 부여한다. H 어드레스 비교기(108)는 V 어드레스 비교기(107)로부터 일치 검출신호가 부여되면, 데이터 기입 제어부(101)로부터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H카운터(105)의 카운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한때, 결함 화소의 어드레스의 타이밍으로 결함 보정펄스를 출력한다.
이 결함 보정 펄스는 결함 보정회로(11)에 공급된다. 결함 보정회로(11)에 있어서는 결함보정 펄스가 부여된 때의 촬상 출력을 결함 화소에 대한 촬상 출력으로 특정하고, 그 결함화소에 대한 촬상 출력을 대신해서, 예를 들면, 1 화소 분만큼 앞의 촬상출력을 사용함으로서 결함화소에 대한 결함 보정이 행해지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의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결함검출 동작에 대해서, 도 3의 타이밍챠트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축적시간을 6필드 상당기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3중, SRT는 마이컴(4)에서 결함 검출회로(10)에 부여되는 결함 검출의 스타트신호, FLD는 ODD/EVEN의 필드 식별신호, VDI은 수직동기 펄스, VDO은 수직 동기 펄스에 동기한 판독 타이밍 펄스, XSG1은 4상의 수직 전송펄스, V1∼V4의 1상째의 수직 전송 펄스 V1에 중첩되어서 한쪽의 필드의 신호 전하를 판독하는 판독펄스, XSG2는 3상째의 수직 전송 펄스 V3에 중첩되어서 다른 쪽의 필드의 신호 전하를 판독하는 판독펄스, CCDout는 CCD 출력신호, END는 결함검출회로(10)에서 마이컴(4)에 부여되는 결함 검출 엔드 신호이다.
도 3에 있어서, 시점(t1)에서 판독펄스(XSG2)가 발생하므로 서 EVEN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그 직후의 시점(t2)에서 고레벨의 스타트 신호 SRT가 출력되므로서 결함 검출이 지령되면, EVEN 필드에 대해서 시점(t1)에서 계속해서 6필드 상당의 기간에 걸쳐서 축적이 개시된다. 계속해서 시점(t3)에서 판독하여 펄스(XSG1)가 발생하므로서 ODD 필드의 판독이 행해진다.
또한, EVEN 필드의 축적 개시직후의 2필드 째의 시점(t4)에서는 본래 같은 EVEN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는 지점을 강제적으로 판독펄스(XSG1)를 발생시키고 필드를 전환함으로서 EVEN 필드의 축적 개시직후의 1 필드 째에 이어서 ODD 필드의 판독을 한다. 이 필드의 강제 전환은 타이밍 제너레이터(6)가 결함 검출회로(10)로부터의 TG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판독펄스(XSG1)의 타이밍을 강제적으로 변하게 함으로서 행해진다. 그리고, 그 시점(t4)에서 ODD 필드에 대해서 6필드 상당 기간에걸쳐서 축적이 개시된다.
EVEN 필드에 대해서 6필드 상당의 축적기간이 종료된 시점(t5)에서 판독펄스(XSG2)가 발생함으로서 EVEN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 판독된 화소정보에 의거해서 EVEN 필드에 대한 결함 화소의 검출이 1필드 상당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행해진다. 똑같이 ODD 필드에 대해서 6필드 상당의 축적기간이 종료된 시점(t6)에서 판독펄스(XSG1)가 발생됨으로서 ODD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 판독된 화소 정보에 의거해서 ODD 필드에 대한 결함 화소의 검출이 1필드 상당 이상기간에 걸쳐서 행해진다.
그리고, ODD 필드의 판독 시점(t6)에서 2필드 후의 시점(t7)에서 다시 판독 펄스(XSG2)를 발생함으로서 계속해서 ODD 필드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에 따라 필드가 반전된다. EVEN/ODD의 양 필드의 결함 화소의 검출이 종료하면, 시점(t8)에서 고레벨의 엔드신호(END)가 출력되고 일련의 결함 검출처리가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 흔들림 보정기능을 갖는 CCD 고체촬상소자(3)에 있어서 한쪽의 필드의 축적 개시직후의 2 필드 째에서 본래 같은 필드가 판독되는 지점을 강제적으로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으로 전환하여 해당 필드의 축적을 개시하고 각 필드마다 소정의 축적시간이 경과하면 판독 및 결함 검출을 행하고, 그 후 통상 동작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서 한쪽의 필드의 판독을 행한 후의 2필드 째에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을 행함으로써, 결함 검출에 요하는 기간이 4필드 상당의 기간으로 된다.
즉, 결함 검출기간으로서 종래는 5필드 상당의 기간을 요구하였던 것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4필드 상당의 기간으로 끝나기 때문에 결함 검출에 요하는 시간을 1필드 상당의 시간만큼 단축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각 필드의 축적기간을 짧게 하지 않아도 결함 검출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도를 떨어뜨리지 않아도 끝나게 된다. 더욱이 필드를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되기때문에 타이밍 제너레이터(6)의 제어만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CCD 카메라의 초기 설정시간을 검출감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결함검출 및 결함 보정의 알고리즘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설명을 한다.
CCD 카메라의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컴(4)은 먼저 조리개(2)를 닫고, CCD 고체촬상소자(3)로의 광 입사가 없는 암흑상태로 하고(스텝 S1), 계속해서 CCD 고체촬상소자(3)를 프레임 판독으로서 구동한다(스텝 S2). 그리고, 타이밍 제너레이터(6)에서 CCD 고체촬상소자(3)에 대해 발생되는 판독 펄스(XSG1, XSG2)를 정지시킨다(스텝 S3). 이에 따라, 장시간 축적 동작으로 이동한다. 이 장시간 축적 동작으로 이동하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의 필드의 강제 전환을 한다(스텝 S4).
다음으로, 결함검출회로(10)에 있어서는 CCD 고체촬상소자(3)의 촬상 출력을 검사신호로서 취하고, 촬상 출력 레벨을 소정의 검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5). 그리고, CCD 고체촬상소자(3)의 촬상 출력 레벨이 검출기준 레벨 이상으로 된 때의 화소를 결함 화소로서 검출하고(스텝 S6), 동시에 그 결함화소의 어드레스를 검출하고(스텝 S7), 그 어드레스 데이터를 RAM(106)에 기억시킨다(스텝S8). 이상에 의해, 프레임 판독 구동에서의 결함 검출의 일련의 처리가 끝난다.
결함 검출의 일련의 처리 종료후, 결함 보정을 할 필요가 있는 통상의 촬상모드로 이행하면(스텝 S9), 마이컴(4)에 의한 제어에 의해 타이밍 제너레이터(6)는 CCD 고체촬상소자(3)를 필드 판독으로 구동한다(스텝 S10). 이 필드 판독구동으로 이동하면 결함 검출회로(10)에 있어서는 RAM(106)에서 결함화소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판독하여(스텝 S11), 그 결함 화소의 어드레스 타이밍으로 결함 보정 펄스를 발생하고(스텝 S12), 결함 보정회로(11)에 공급한다.
결함 보정펄스가 공급되면, 결함 보정회로(10)는 이 결함 보정 펄스에 응답해서, CCD 출력중의 결함화소에 대한 촬상출력을 특정하고, 예를 들면, 그 결함 화소의 촬상 출력을 1화소전의 촬상출력으로 치환함으로서 결함 보정을 한다(스텝 S13). 그리고, 렌즈 조리개(2)가 열려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스텝 S14), 열려있지 아니하면 렌즈 조리개(2)를 열어서 CCD 고체촬상소자(3)에 광을 입사시켜(스텝 S15), 통상의 촬상모드로 들어간다. 이후 촬상모드가 종료할 때까지 상술한 일련의 결함 보정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CD 카메라에 있어서 신호처리계를 디지탈적으로 구성하고 결함보정시에는 결함화소의 1화소전의 데이터와 치환하였으나 1화소전의 데이터와의 치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주변화소의 데이터와 치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신호처리계를 아날로그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S/H 회로에 의한 전치보간(前値補間) 등에 의해 결함 보정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촬상영역보다 큰 촬상 영역을 갖는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결함검출시에 한쪽의 필드의 판독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키고, 그 정지개시직후의 2필드 째에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펄스를 발생하고, 그후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킴과 동시에 그 정지기간 종료후에 각 필드마다 프레임 판독을 하는 구성을 함으로서 결함 검출을 위해 한쪽의 필드의 판독을 행한 후의 2필드 째에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을 하므로, 결함 검출에 요하는 기간이 총 4필드 상당의 기간으로 되고 감도를 떨어뜨리는 일없이 결함 검출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더욱이 필드를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족하기 때문에 타이밍 제너레이터의 제어만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유효 촬상영역(image pickup area) 보다도 큰 촬상영역을 갖는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상기 촬상영역의 각각의 화소에서 전하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펄스(read pulse)를 발생함과 동시에, 결함검출시에 상기 고체촬상소자를 프레임 판독으로서 구동시키는 타이밍 제너레이터(timing generator) 와;
    상기 고체촬상소자의 촬상 출력레벨에 근거하여 화소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제너레이터는, 결함검출시에 한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의 기간만큼 정지시키고, 그 정지개시직후의 2 필드 째에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 펄스를 발생하고, 그후 다른 쪽의 필드의 판독펄스의 발생을 소정 필드 상당 기간만큼 정지시킴과 동시에, 그 정지 기간 종료후에 각 필드마다 프레임 판독 구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소자의 결함검출장치.
KR1019970001088A 1996-01-19 1997-01-16 고체촬상소자의결함검출장치 KR100421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07030 1996-01-19
JP8007030A JPH09200613A (ja) 1996-01-19 1996-01-19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519A KR970060519A (ko) 1997-08-12
KR100421330B1 true KR100421330B1 (ko) 2004-06-04

Family

ID=1165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088A KR100421330B1 (ko) 1996-01-19 1997-01-16 고체촬상소자의결함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7393B1 (ko)
JP (1) JPH09200613A (ko)
KR (1) KR100421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5520B2 (ja) * 1997-03-19 2006-06-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529238B1 (en) * 1997-09-05 2003-03-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on of point noise in CMOS imagers
US7009646B1 (en) * 1997-12-16 2006-03-07 Micron Technology, Inc. Three-sided buttable CMOS image sensor
US6819358B1 (en) * 1999-04-26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Error calibration for digital image sensor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54054B1 (en) * 1999-11-02 2003-11-25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the effects of noise in an electronic signal
KR100362178B1 (ko) * 1999-12-30 2002-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에서의 실시간 불량화소 검출 및 보정을 위한장치
KR100448188B1 (ko) * 2000-01-24 2004-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검사장치 및 화질검사방법
JP4497759B2 (ja) * 2000-06-30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US6642961B1 (en) * 2000-07-12 2003-11-04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 Method of defective pixel address detection for image sensors having windowing function
JP2002223366A (ja) * 2001-01-26 2002-08-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2354340A (ja) * 2001-05-24 2002-12-06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US6985180B2 (en) * 2001-06-19 2006-01-10 Ess Technology, Inc. Intelligent blemish control algorithm and apparatus
US6726103B1 (en) * 2001-11-07 2004-04-27 Pixim, Inc. Imaging system with built-in diagnostics
JP2003209749A (ja) * 2002-01-11 2003-07-25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DE10205691A1 (de) * 2002-02-04 2003-08-14 Pilz Gmbh & Co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Funktonssicherheit eines Bildsensors sowie Vorrichtung mit einem Bildsensor
SE522231C2 (sv) * 2002-04-10 2004-01-27 Axis Ab Bildalstringsanordning och timinggenerator
JP3912672B2 (ja) 2002-07-05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画素欠陥検査方法
KR100461006B1 (ko) * 2002-10-28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을 갖는 ccd소자에 대한 보정기능을 갖는ccd카메라 및 그 보정방법
JP4072850B2 (ja) * 2002-11-22 2008-04-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パルスタイミング検出装置、光パルスタイミング検出方法、光パルスタイミング調整装置、及び光パルスタイミング調整方法
US7450785B2 (en) * 2003-01-22 2008-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device for sorting similar images
JP4346968B2 (ja) * 2003-06-13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方法、放射線撮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061001B2 (en) * 2003-06-27 2006-06-13 Pitney Bow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oubleshooting photosensors
JP2005101829A (ja) * 2003-09-24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信号処理装置
JP2005184391A (ja) * 2003-12-18 2005-07-07 Ricoh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その異常検出方法
JP2005303746A (ja) * 2004-04-13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4480147B2 (ja) * 2004-09-13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45999A (ja) * 2005-03-03 2006-09-1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874843B2 (ja) * 2007-03-22 2012-0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20110273555A1 (en) * 2010-05-04 2011-11-10 Areva Inc. Inspection video radiation filter
WO2016035401A1 (ja) * 2014-09-03 2016-03-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KR20200099171A (ko) * 2017-12-14 2020-08-21 포톤 다이나믹스, 인코포레이티드 결함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0520A (en) * 1983-11-28 1986-05-20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filling-in dead spots of video signals from an image sensor
JPH05508529A (ja) * 1991-05-10 1993-11-25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電子式画像化のための注文製作可能なタイミング及び制御asic
US5392070A (en) * 1991-11-26 1995-02-21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correcting faulty pixel signals by replacing the faulty pixel signals with normal pixel signals
JPH05260386A (ja) * 1992-03-16 1993-10-08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の欠陥画素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00613A (ja) 1997-07-31
KR970060519A (ko) 1997-08-12
US6307393B1 (en)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330B1 (ko) 고체촬상소자의결함검출장치
JP4948090B2 (ja) 撮像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JP475696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262793B2 (en) Imager and image quality correcting method performing correction based on the output of different readout modes
JP5105843B2 (ja) 撮像装置及び判定方法
US7365785B2 (en) Electronic camera
JP3238968B2 (ja) 固体撮像装置
JP379642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H06315112A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欠陥補正装置
JPH04115785A (ja) 輝点検出装置
JP3951354B2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補正回路
JP2003110944A (ja) 撮像装置
JP2877174B2 (ja) 外部トリガー機能付きccdテレビカメラ
JP3218801B2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欠陥補正装置並びにカメラ
JP3127662B2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欠陥補正装置並びにカメラ
JP2939993B2 (ja) 固体撮像装置
JPS63232765A (ja) 撮像装置
JPH06319086A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欠陥補正装置
JP2945691B2 (ja) 撮像素子駆動回路
JPH066685A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補正装置
JP3227809B2 (ja) 固体撮像素子の欠陥補正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
JP3531601B2 (ja) メモリの制御方法
JP3329035B2 (ja) 撮像信号欠陥検出及び補正装置並びに撮像信号欠陥検出及び補正を行うビデオカメラ
JPH05276447A (ja) 固体撮像装置
JP2002271702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