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095B1 -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095B1
KR100421095B1 KR10-2002-0017058A KR20020017058A KR100421095B1 KR 100421095 B1 KR100421095 B1 KR 100421095B1 KR 20020017058 A KR20020017058 A KR 20020017058A KR 100421095 B1 KR100421095 B1 KR 10042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overrunning clutch
bush
amateu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184A (ko
Inventor
김수신
안상혁
Original Assignee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0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샤프트와 코어의 내경 사이에 별도의 부시를 개입한 후, 그 부시에 공간부를 확보하여 그 부분으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내단부가 더 깊이 이동될 수 하여 전체적인 전장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우징(1) 및 전, 후 브라케트(1a)(1b) 어셈브리의 내부에 설치하되,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인터날기어 어셈브리(3)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6)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7)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2)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5)로 이루어진 스타트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아마츄어 어셈브리(4)는 다수의 평판코어(43)들을 다수 중첩하여 형성한 코어(40)를 샤프트(41)의 중단에 끼우되, 상기 코어(40)의 내경과 샤프트(41)의 사이에 일측단면에 공간부(44a)를 가진 부시(44)를 개입시켜 상기한 부시의 공간부(44a)로 오버런닝 클러치(6)의 내단부(61)가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여 전장(L)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타트모터{Star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든 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 요구에 부응하여, 더 작은 크기의 전장을 가지면서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개량된 스타트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스타트모터(M)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및 전, 후 브라케트(1a)(1b) 어셈브리의 내부에 설치하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인터날기어 어셈브리(3)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6)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7)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2)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5)로 이루어 지며,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타트모터(M)는 후방브라케트(1a)의 끝단면으로부터 피니언(7)까지의 길이를 전장(L)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타트모터 역시 차량부품의 컴팩트화, 경량화의 요구에 부응하여 조금이라도 더 크기를 줄이고자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스타트모터의 전장에 가장 영향을 주는 부분은 아마츄어 어셈브리(3)이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42)을 감기 위해 다수의 평판코어(43)를 적층하여 구성한 것으로, 그 적층 길이는 출력에 큰 영향을 주는 부분이므로 개선의 여지가크지 않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류자를 삭제하는 타입의 스타트모터가 제시된 바 있다. 즉, 정류자를 아마츄어 코일로 대체하고, 정류자의 높이 만큼 아마츄어 어셈브리의 기장을 축소한 예가 있으나, 이는 브러시의 위치가 기존의 축의 직교방향(Radual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기장 축소의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으며, 오히려 브러시 홀더 어셈브리의 조립이 난해하여 제작 및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마츄어 어셈브리의 코어부분을 개량하되, 샤프트와 코어의 내경 사이에 별도의 부시를 개입한 후, 그 부시에 공간부를 확보하여 그 부분으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내단부가 더 깊이 이동될 수 하여 전체적인 전장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우징 및 전, 후 브라케트 어셈브리의 내부에 설치하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 어셈브리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인터날기어 어셈브리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스타트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아마츄어 어셈브리는 다수의 평판코어들을 다수 중첩하여 형성한 코어를 샤프트의 중단에 끼우되, 상기 코어의 내경과 샤프트의 사이에 부시를 개입시켜, 상기한 부시의 측단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내단부가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타트모터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타트모터용 아마츄어 어셈브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타트모터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타트모터용 아마츄어 어셈브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시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하우징 1a,1b : 전, 후 브라케트
2 : 마그네트 스위치 3 : 인터날기어 어셈브리
4 : 아마츄어 어셈브리 5 : 레버
6 : 오버런닝 클러치 7 : 피니언
40 : 코어 41 : 샤프트
42 : 코일 43 : 평판코어
44 : 부시 44a : 공간부
L : 전장 M : 스타터모터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타트모터(M)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및 전, 후 브라케트(1a)(1b) 어셈브리의 내부에 설치하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인터날기어 어셈브리(3)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6)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7)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2)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5)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아마츄어 어셈브리(4)는 다수의 평판코어(43)들을 다수 중첩하여 형성한 코어(40)를 샤프트(41)의 중단에 끼우되, 상기 코어(40)의 내경과 샤프트(41)의 사이에 부시(44)를 개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시(44)는 오버런닝 클러치(6)의 내단부(61)가 근접하는 쪽의 측단면에 상기의 내단부(61)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부(44a)를 형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한 코어(40)는 사실상 평판코어(43)들을 먼저 적층하고, 코일(42)을 권선한 후, 샤프트(41)에 조립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조립공정은 무시하고 설명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마츄어 어셈브리(4)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제품으로 조립하였을 때, 상기 공간부(44a)에 축의 길이 방향으로 작동하는 오버런닝 클러치(6)의 내단부(61)가 근접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레버(5)에 의해 오버런닝 클러치(6)부분이 전, 후진 작동하게 되면 상기한 오버런닝 클러치(6)의 내단부(61)가 상기한 아마츄어 어셈브리(4)의 공간부(44a)로 깊숙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버런닝 클러치(6)를 종래의 아마츄어 어셈브리(4)에서 보다 더 깊이 조립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으며, 그 만큼 샤프트(41)의 길이를 짧게 제작할 수 있고, 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장(L)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아마츄어 어셈브리를 구성하되, 그 내부에 부시를 삽입하고, 그 부시의 일측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부분으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내단부가 더 깊이 이동될 수 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샤프트의 길이를 짧게하여 전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의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더 작고, 더 가벼운 스타트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

  1. 하우징(1) 및 전, 후 브라케트(1a)(1b) 어셈브리의 내부에 설치하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인터날기어 어셈브리(3)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6)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7)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2)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5)로 이루어진 스타트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아마츄어 어셈브리(4)는 다수의 평판코어(43)들을 다수 중첩하여 형성한 코어(40)를 샤프트(41)의 중단에 끼우되, 상기 코어(40)의 내경과 샤프트(41)의 사이에 일측단면에 공간부(44a)를 가진 부시(44)를 개입시켜 상기한 부시의 공간부(44a)로 오버런닝 클러치(6)의 내단부(61)가 더 깊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여 전장(L)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KR10-2002-0017058A 2002-03-28 2002-03-2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KR10042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058A KR100421095B1 (ko) 2002-03-28 2002-03-2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058A KR100421095B1 (ko) 2002-03-28 2002-03-2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84A KR20030078184A (ko) 2003-10-08
KR100421095B1 true KR100421095B1 (ko) 2004-03-04

Family

ID=3237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058A KR100421095B1 (ko) 2002-03-28 2002-03-28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46B1 (ko) * 2006-08-31 2008-05-20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톱핑 노이즈가 예방되는 스타트모터
KR100830645B1 (ko) * 2006-08-31 2008-05-20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톱핑 노이즈가 예방되는 스타트모터
CN113922574B (zh) * 2021-10-15 2022-09-30 浙江万可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高原高海拔电机换向动力切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069A (en) * 1978-04-17 1981-10-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mature shaft for a vehicle starter motor
JPS63195381A (ja) * 1987-02-10 1988-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用スタ−タ
JPS63295860A (ja) * 1987-05-27 1988-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始動電動機
JPH1182266A (ja) * 1997-09-10 1999-03-26 Sawafuji Electric Co Ltd エンジンの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069A (en) * 1978-04-17 1981-10-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mature shaft for a vehicle starter motor
JPS63195381A (ja) * 1987-02-10 1988-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用スタ−タ
JPS63295860A (ja) * 1987-05-27 1988-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始動電動機
JPH1182266A (ja) * 1997-09-10 1999-03-26 Sawafuji Electric Co Ltd エンジンの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84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8193B2 (en) Electromagnetic switch for auxiliary-rotation starter
US20060201266A1 (en) Engine starter designed to have enhanced stability of engagement of pinion with ring gear
JPH0633743B2 (ja) 同軸形スタ−タ装置
US4962340A (en) Engine starter with variable length front bracket
JP2006161590A (ja) スタータ
US4838100A (en) Starter for engine
KR930004519B1 (ko) 엔진용 스타터
JP2005120899A (ja) スタータ
US5111705A (en) Starter motor
US4295069A (en) Armature shaft for a vehicle starter motor
KR100421095B1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JP2008196373A (ja) スタータ
US5013950A (en) Coaxial starter with recessed pinion
KR100454551B1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JPH0656143B2 (ja) 同軸形スタータ装置
EP1298317B1 (en) Starter having helical ventilation groove
US5953956A (en) Pinion of starter mo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06618A (en) Starter motor with rear bracket elements fixed by through-bolts
US5076109A (en) Starter motor
KR100324177B1 (ko) 스타터
JP2013083182A (ja) スタータ
JP5874288B2 (ja) スタータ
JP2002115636A (ja) スタータのピニオンストッパ装置
KR940009055B1 (ko) 동축형 스타터
JP3663691B2 (ja) 出力軸摺動型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