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35B1 -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35B1
KR100419235B1 KR10-2001-0031050A KR20010031050A KR100419235B1 KR 100419235 B1 KR100419235 B1 KR 100419235B1 KR 20010031050 A KR20010031050 A KR 20010031050A KR 100419235 B1 KR100419235 B1 KR 10041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ceway
construction
inner plate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206A (ko
Inventor
이홍수
Original Assignee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1-003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공사시 도수로를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수로의 바닥면과 측벽이 동시에 제작되지 못하고 목재 거푸집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제작비용이 많이들고 거푸집 재사용이 힘들며 도수로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굴착된 도로의 지면(300) 양측으로 외측판(120)을 세워 설치하고 그 외측판(120) 상부에 상부고정대(110)를 연결한 후 외측판(120)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판(130)을 상부고정대(110)에 함께 고정하며, 그 하부에는 하부고정대(1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10)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판(130)의 저면에 바닥판(150)을 설치한 다음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의 사이로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 (220)이 형성되도록 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도수로 공사를 완성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고급인력이 아니더라도 쉽게 공사를 할 수 있고 거푸집을 재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사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Operation method of mold for raceway operation at a roa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로공사중 배수를 위한 도수로를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수로의 바닥면과 측벽을 동시에 타설하면서 비용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고급인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축조 공사시 성토 및 절토에 따라 산마루 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도수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로를 소정 깊이로 굴착한 후 그 지면에 바닥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일부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면 콘크리트가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다른 거푸집을 제작한 다음 콘크리트를 다시 타설하여 측벽을 형성하고 그 후 거푸집을 제거하므로서 도수로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수로 시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닥면과 측벽이 동시에 제작되지 못하고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되는 시간을 거쳐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고 측벽을 타설 및 양생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과정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면이 완성된 후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작 및 설치함에 있어서 고임금의 기술자가 필요하게 되며 사용된 거푸집의 재사용 및 전용성이 낮아 전반적인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닥면이 완성된 후 측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그동안 바닥면에 쌓이는 토사나 이물질 등을 청소해주어야 하므로 도수로의 품질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및 설치와 재사용이 용이한 철재 거푸집을 사용하여 바닥면과 측벽을 동시에 제작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며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의 양측에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는 외측판과, 상기 양쪽 외측판을 상부에서 서로 고정하는 상부고정대와, 상기 상부고정대와 함께 고정되면서 외측판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하부고정대와, 내측판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도수로를 시공하되, 굴착된 도로의 지면 양측으로 외측판을 세워 설치하고 양쪽 외측판의 상부에 상부고정대를 연결한 후 외측판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판을 상부고정대에 함께 고정하며, 내측판 하부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하부고정대를 설치하여 내측판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외측판과 내측판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내측판의 하부에 바닥판을 설치한 후 외측판과 내측판의 사이로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는 도수로 시공방법으로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측판과 내측판 그리고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짧은 공정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도수로를 형성함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고급인력이 아니더라도 쉽게 공사를 할 수 있는 것이며, 거푸집을 재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사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1b,1c,1d,1e,1f 는 발명에 따라 도수로가 완성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도수로가 완성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고정대 120 : 외측판
130 : 내측판 140 : 하부고정대
150 : 바닥판 160 : 고정구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라 굴착된 도로의 지면에 외측판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라 외측판 상부에 상부고정대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라 외측판 내부로 내측판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d 는 본 발명에 따라 내측판 하측에 하부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e 는 본 발명에 따라 내측판 하부에 바닥판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f 는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도수로의 바닥면이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도수로가 완성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수로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구(160)에 의해 지면(300)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외측판(120)과, 상부에서 상기 양측 외측판(120)을 서로 고정해주는 상부고정대(110)와, 상기 외측판(120) 내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고정대(110)에 함께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내측판(130)과, 상기 내측판(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측판(130)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하부고정대(140)와, 내측판(130)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150)으로 이루어진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도수로이며, (210)은 도수로(200)의 바닥면이고 (220)은 도수로의 측벽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가 굴착된 상태에서 지면(3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구(160)를 사용하여 외측판(120)을 세워 설치하는 것이며, 외측판(120)의 상부 요소에는 양측 외측판(120) 간격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부고정대(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대(110)에는 내측판(130)이 함께 설치되는데, 이때 내측판(130)은 외측판(120)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외측판(12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면서 상기 간격이 도수로(200)의 측벽(220)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내측판(130)의 하부 끝단 또한 지면(3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간격은 도수로(200)의 바닥면(210)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판(130)의 상부는 상부고정대(110)에 연결되어 간격이 정확히 유지됨에 따라 내측판(130) 하부 또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내측판(130) 하부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하부고정대(140)를 설치하여 내측판(130)의상하의 간격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대(14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여러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하부고정대(140)가 두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되어 일측부위의 회전에 의해 하부고정대(14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거푸집으로 도수로를 시공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도로의 굴착작업과 거푸집 제작 공정)
도수로(200)를 형성하고자 하는 지점에 굴착작업을 하고 굴착된 지면(300) 양측에 고정구(160)를 이용하여 외측판(120)을 세워 고정하며, 상기 양쪽 외측판 (120)의 상부에 상부고정대(110)를 체결하여 외측판(120)의 상하부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 한다.
그후 외측판(1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내측판(130)을 세워 설치하되 내측판(130)의 상부는 상기 외측판(120)을 고정하고 있는 상부고정대(110)와 함께 고정하고 내측판(130)의 하부는 간격조절을 위해 하부고정대(140)를 설치한다.
제2공정(콘크리트 타설 공정)
상기와 같이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이 설치된 후 외측판(120)과 내측판 (130)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지면(300)으로부터 쌓여지게 하는데, 이때 도수로(200)는 바닥면(210)과 그 바닥면(210)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측벽(220)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가 지면(300)부터 쌓여지다가 쌓여지는 콘크리트의 상단이 내측판(130)의 하부 끝단에 위치되면 내측판(130)의 하부 끝단에 바닥판(150)을 체결하여 도수로(200)의 바닥면(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의 사이로 계속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완전히 타설되면서 도수로(200)의 측벽(220)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제3공정(거푸집 해체 및 마무리 공정)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도수로(200)의 바닥면(210)과 측벽(220)이 이루어지면 얼마의 시간이 지나 양생된 상태에서 하부고정대(140)를 제거하고 바닥판(150)을 분리시킨 다음 상부고정대(110)와 외측판(120) 및 내측판(130)을 제거하고 외측판(120) 바깥쪽에 남아있던 빈 공간에는 토사 등을 집어넣어 채우므로서 도수로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수로를 공사함에 있어서, 고급인력을 사용하여 복잡하게 거푸집을 제작하고 공사기간을 오래 걸리며 공사비용 또한 많이 소모되던 종래와는 달리 간단한 구조의 거푸집을 통해 일반적인 작업자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굴착된 도로의 지면(300) 양측으로 고정구(160)에 의해 각각 세워져 설치되는 외측판(120)과; 상기 외측판(12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고정대(110)와; 상기 외측판(120)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고정대(110)에 세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내측판(130)과; 상기 내측판(130) 상하부의 동일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내측판(13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대(140)와; 상기 내측판(130)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바닥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을 이용한 도로 공사시 도수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착된 도로의 지면(300)에 외측판(1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외측판 (120)의 상부는 상부고정대(110)에 의해 고정되며 외측판(1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판(130)을 설치하되, 내측판(130)의 상부는 상부고정대(110)에 고정되고 내측판(130)의 하부는 하부고정대(14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공정;
    외측판(120)과 내측판(13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지면(300)으로부터 쌓여지게 하되 쌓여지는 콘크리트의 상면이 내측판(130)의 하부 끝단에 위치되면 내측판(130) 하부 끝단에 바닥판(150)을 설치한 후 다시 계속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완전히 타설되도록 하는 제2공정;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도수로(200)를 이루는 바닥면(210)과 측벽(220)이 완전히 양생된 상태에서 하부고정대(140)를 제거하고 바닥판(150)을 분리시키고 상부고정대(110)를 제거하고 내측판(130)과 외측판(120)을 제거하여 도수로(200)를 완성하는 제3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2001-0031050A 2001-06-04 2001-06-04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041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50A KR100419235B1 (ko) 2001-06-04 2001-06-04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50A KR100419235B1 (ko) 2001-06-04 2001-06-04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548U Division KR200244705Y1 (ko) 2001-06-04 2001-06-04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06A KR20020094206A (ko) 2002-12-18
KR100419235B1 true KR100419235B1 (ko) 2004-02-19

Family

ID=277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50A KR100419235B1 (ko) 2001-06-04 2001-06-04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238A (ja) * 1982-06-15 1983-12-23 吉田 勉 現場打されるコンクリ−ト製側溝の構築方法
JPS608333U (ja) * 1983-06-28 1985-01-21 寺沢 要 内梁兼用締付金具
JPS6011953U (ja) * 1983-07-06 1985-01-26 大山 章博 鋼製型枠の直壁天端用セパレ−タ−
JPS6157731A (ja) * 1984-08-30 1986-03-24 安部 武男 側溝構築方法
JPS62173451U (ko) * 1986-04-23 1987-11-04
JPH09217412A (ja) * 1996-02-08 1997-08-19 Nimura:Kk 溝体へのグレーチングの敷設方法とクレーチン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238A (ja) * 1982-06-15 1983-12-23 吉田 勉 現場打されるコンクリ−ト製側溝の構築方法
JPS608333U (ja) * 1983-06-28 1985-01-21 寺沢 要 内梁兼用締付金具
JPS6011953U (ja) * 1983-07-06 1985-01-26 大山 章博 鋼製型枠の直壁天端用セパレ−タ−
JPS6157731A (ja) * 1984-08-30 1986-03-24 安部 武男 側溝構築方法
JPS62173451U (ko) * 1986-04-23 1987-11-04
JPH09217412A (ja) * 1996-02-08 1997-08-19 Nimura:Kk 溝体へのグレーチングの敷設方法とクレーチ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06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821B1 (ko) 조립식 거푸집 구조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0244705Y1 (ko)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KR20180089806A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0419235B1 (ko)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110777659A (zh) 箱涵模板体系施工方法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1002828B1 (ko) 산마루 측구 및 산마루 측구의 일체형 시공법
US6921501B2 (en) Method of forming a circumferentially closed concrete wall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over the entire height thereof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101563710B1 (ko) “j”형 측구수로관의 설치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200458490Y1 (ko) 콘크리트 측구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CN219968314U (zh) 一种便于装拆桩板墙挡土板模板
KR20100009983A (ko) 뚜껑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과, 이 맨홀의 시공 방법 및도로 보수 방법
KR200233297Y1 (ko)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
KR20010002727A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CN215291442U (zh) 一种用于狭窄空间模板加固的支撑架体系
JP2552435B2 (ja) 擁壁の設置方法
KR100224459B1 (ko)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지하층 슬래브의 시공방법
JP2608253B2 (ja) 開渠の設置方法
JP348198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床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基礎床の構築方法
KR200397597Y1 (ko) 암거형 중앙분리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200371989Y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