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539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539B1
KR100418539B1 KR10-2001-0011113A KR20010011113A KR100418539B1 KR 100418539 B1 KR100418539 B1 KR 100418539B1 KR 20010011113 A KR20010011113 A KR 20010011113A KR 100418539 B1 KR100418539 B1 KR 10041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mage
image data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329A (ko
Inventor
아끼야마미노루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G06K15/1852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involving combining data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62Handling the output data combining generic and host data, e.g. filling a raster
    • G06K2215/0065Page or partial page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화상의 선명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상 처리 장치는 프린트 데이타 내의 드로잉 정보를 분해하기 위한 드로잉 처리 유닛; 칼라 정보를 변환시키기 위한 칼라 공간 변환 유닛; 프린트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기 위한 평활화 보정 유닛; 프린트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기 위한 계조 처리 유닛; 및 평활화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 및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여 프린트 화상 정보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칼라 공간 변환 유닛은 강도 값을 별도 설정하고, 출력 유닛은 드로잉 정보의 분해에 따라 평활화 보정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그레이 스케일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MAGE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은 화상의 선명도와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화상 출력 장치는 표현할 수 있는 계조 및 칼라의 수를 늘리기 위하여 입력된 다가 화상 데이타를 직접 처리한다. 한편, 화상 출력 장치는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과 같은 이진 화상 데이타의 사선의 불균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가 화상 데이타를 처리하는 아웃라인 처리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 특허 5-138945는 전술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화상 출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화상 출력 장치는 화상 정보의 유형에 따라 프린터 엔진의 최소 화소에 적합한 화상에 대해 보간 및 계조 처리를 행한다.
일본 공개 특허 6-234240은 전술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처리 유닛(504)을 통해 칼라 화상을 재생하는 칼라 패턴 생성 유닛, 블랙 도트 검출 유닛(507)을 통해 소정의 화상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장치, 펄스 폭 변조 유닛(503)을 통해 상기 추출 유닛에 의해 추출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화상을 평활화하는 화상 평활화 유닛, 및 상기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 빔을 이용하여 화상 캐리어를 주사하기 위한 광학 주사 유닛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참조 번호 501은 평활화 유닛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502는 저장 유닛을, 참조 번호 505는 다가 신호 지연 유닛을, 참조 번호 506은 감마 보정 유닛을, 508은 분주기를 나타낸다.
상기 펄스 폭 변조 유닛(50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가 화상 데이타 MVIDEO를 래치하여 비교기(603, 604)의 네가티브 입력에 입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603, 604)는 화상 클럭 신호 VCLK 및 1/2 VCLK를 래치된 신호와 비교하여 펄스 폭을 변조한다. 도 12에서 참조 번호 601은 래치 회로를, 602는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를, 605는 선택기를, 606은 OR 회로를, SVIDEO는 이진 화상 데이타를 나타낸다.
일본 공개 특허 5-138945에 개시된 화상 출력 장치는 영역 결정과 같은 복잡한 데이타 검출 과정 후에 전술한 보간 또는 계조 처리를 행한다.
일본 공개 특허 6-234240에 개시된 화상 출력 장치는 칼라 처리 및 블랙 화소 이진화를 동시에 행하며, 따라서 화상 정보에 포함된 평활화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블랙 화소도 이진화되고 평활화된다. 더욱이, 펄스 폭 변조 유닛(503)이 평활화 처리 유닛(501)에 의해 생성된 이진 화상 데이타에 대해 펄스 폭 변조를 행할 때 이진화된 화상 데이타가 감마 보정 유닛(506)으로부터 출력된 다가 화상 데이타에 의해 변조되기 때문에, 평활화 처리는 정확히 수행되지 못한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계조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사선에 대해서만 평활화 처리를 정확히 행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7항에 따른 본 발명은 기본 구성으로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보정하는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아웃라인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프린트 데이타를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을 나타내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7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화상 드로잉 데이타가 분해되고, 프린트 데이타 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프린트 데이타 내의 다른 화상 데이타와 구별된다. 따라서, 다른 유형의 프린트 데이타가 동시에 아웃라인 보정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프린트 데이타 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 상의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도록 식별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칼라 정보 변환 유닛은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프린트 데이타 내의 소정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칼라 정보 변환 유닛에 의해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특정 칼라 정보가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되고,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가 최대 강도 값 이하이면서 상기 일정한 강도 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즉,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상기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아닌 화상 데이타가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된 화상 데이타에 혼합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되며, 일정한 강도 값을 가진 화상 데이타를 식별함으로써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대해서만 아웃라인 보정을 적용하여 식별된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계조 처리 유닛은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유닛은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보다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출력 유닛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다.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계조 처리 없이 외부로 직접 출력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처리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계조 처리 유닛의 영향에 의해 변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화상의 선명도 및 품질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칼라 변환 유닛은 최대 강도 값에서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신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의 모든 강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최대 강도 값으로 설정되고,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최대 강도 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최대 값이 설정되는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뿐이다. 따라서, 최대 강도 값을 가진 화상 데이타를 식별함으로써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만 적당히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여 식별된 화상 데이타에 아웃라인 보정을 행한다.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화소가 보정되어야 하는지, 화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제1 강도 정보가 보정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화소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제1 무게 중심 정보가 보정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보정 선택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계조 처리 유닛은 계조 처리될 화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제2 강도 정보 및 화소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제2 무게 중심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정될 화소가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될 때, 출력 유닛은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대응 화소의 제1 강도 정보 및 제1 무게 중심 정보를 도트 단위로 선택하여 이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보정되지 않을 화소가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될 때, 출력 유닛은 제2 강도 정보 및 제2 무게 중심 정보를 도트 단위로 선택하여 이를 프린트 화상 데이타로서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아웃라인 보정될 화소에 대한 제1 무게 중심 정보 및 제1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1 도트 화상 정보가 생성되거나 아웃라인 보정되지 않을 화소에 대한 제2 무게 중심 정보 및 제2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가 생성된다. 즉, 아웃라인 보정될 화소에 기초한 1 도트 화상 정보가 계조 처리되 화소에 행해진 처리의 영향에 의해 변하지 않고 생성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보정된 화소에 기초한 화상 정보가 계조 처리 유닛의 영향에 의해 변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화상 데이타를 이진화하여 이진 화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이진화 유닛, 및 패턴 매칭을 이용하여 이진화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이진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처리를 행하는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진화된 화상 데이타 내의 최대 강도 화소들이 1로 변환되고, 다른 화소들은 0으로 변환된다. 즉, 화소 또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1로 변환된다. 따라서, 1로 변환된 화소를 식별하고 이 화소에 대해 아웃라인 처리를 행함으로써 텍스트 화상 데이타의 화소가 아웃라인 처리된다.
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계조 처리 유닛은 상기 아웃라인 보정 기능을 행할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라인 버퍼, 및 소정의 다가 디더 패턴에 따라 라인 버퍼에 저장된 화상 데이타를 다가 디더링하기 위한 다가 디더링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아웃라인 보정될 화상 데이타는 소정의 타이밍에 다가 디더링 유닛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보정될 동일 화소가 소정의 타이밍에 다가 디더링 유닛에서 디더링된다.
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청구범위 제3항 내지 제8항의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계조 처리 유닛은 화상 데이타가 타이밍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화상 데이타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계조 처리 유닛으로 입력된다. 즉, 화상 데이타는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계조 처리 유닛에 의해 각기 처리된다. 따라서, 계조 처리 유닛이 아웃라인 처리될 정보에 대한 계조 처리를 행하는 중복 처리가 방지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0항 내지 제13항에 따른 본 발명은 공통 기본 구성으로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소정의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제2 단계, 및 아웃라인 보정된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를 위한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으로 출력하는 제3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는 기본 구성으로서 주어진 프린트 데이타를 문자 또는 선의 드로잉을 나타내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가 아닌 데이타로 분해하는 것을 공통적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0항 내지 제13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화상 드로잉 데이타가 분해되고 텍스트 화상 데이타 및 그래픽 화상 데이타는 서로 구별되어, 다른 유형의 프린트 데이타가 동시에 아웃라인 처리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더 빠르게 식별될 수 있고,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식별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아웃라인 보정될 수 있다.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모두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되며, 그래픽 화상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최대 강도 값 이하이고 상기 일정한 값과 다른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프린트 데이타는 저장 유닛에 제공되어 그 곳에 드로잉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화상 데이타는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타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특정 칼라 정보가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되며,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가 상기 일정한 강도 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아닌 화상 데이타가 일정한 강도 값을 가진 화상 데이타에 혼합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으며,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쉽게 식별되어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아웃라인 보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식별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예컨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강도 값을 가진 칼라 정보일 수 있다.
제2 단계는 아웃라인 보정 전후에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는 동시에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제 3 단계는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계조 처리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는 제3 단계에서 계조 처리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계조 처리 없이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계조 처리의 영향에 의해 변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화상의 선명도 및 품질이 쉽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4항 내지 제1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공통적으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문자 또는 선을 나타내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가 아닌 드로잉을 나타내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고 프린트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저장된 프린트 데이타 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아웃라인 보정 단계, 및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으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본 구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4항 내지 제16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화상 드로잉 데이타가 분해되어,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기록 매체 상의 프로그램의 실행 단계에서 프린트 데이타 내의 다른 화상 데이타와 구별된다. 즉, 다른 유형의 프린트 데이타가 동시에 아웃라인 처리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린트 데이타 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빠르게 식별되어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빠르게 아웃라인 처리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저장 단계는 드로잉 분해 유닛에서 결정된 특정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데이타는 드로잉되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특정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되며,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상기 일정한 강도 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즉,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아닌 화상 데이타가 일정한 강도 값을 가진 화상 데이타 내에 혼합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되어,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빠르게 식별되어 텍스트 화상 데이타만이 빠르게 아웃라인 보정될 수 있게 된다. 특정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관련된 칼라 정보는 예컨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강도 값을 가진 칼라 정보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저장된 프린트 데이타 내의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고 아웃라인 보정 전후에 저장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출력 단계는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계조 처리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계조 처리된 텍스트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아웃라인 보정된 데이타는 계조 처리 없이 외부로 직접 출력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가 계조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어 화상의 선명도 및 품질이 쉽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잉 처리 유닛에 의해 수신된 프린트 데이타(D10)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린트 유닛(3)에서 펄스 폭과 프린트 강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유닛(12)에 저장된 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아웃라인 정정 유닛(14)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계조 처리 유닛(15)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출력 유닛(16)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출력 유닛(16)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4)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펄스 폭 변조 유닛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처리 장치
2 : 상위 노드
3 : 프린트 유닛
10 : 드로잉 처리 유닛
11 : 칼라 공간 변환 유닛
12 : 저장 유닛
13 : 비디오 제어 유닛
14 : 평활화 보정 유닛
15 : 계조 처리 유닛
16 : 출력 유닛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가 본원에 칼라 전자사진 프린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1)는 상위 노드(2)로부터 전송된 프린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드로잉 처리 유닛(수신 유닛), 프린터 데이타를 칼라 신호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칼라 공간 변환 유닛(칼라 정보 변환 유닛)(11), 및 화상 데이타를 드로잉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12)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상술한 저장 유닛(12)에 저장되는 화상 데이타를 평활화(smoothing)하기 위한 평활화 보정 유닛(14), 상술한 저장 유닛(12)에 저장된 화상 데이타를 디더링(dithering)하기 위한 계조 처리 유닛(15), 및 상술한 평활화 보정 유닛(14)으로부터의 평활화 정보와 상술한 계조 처리 유닛(15)으로부터의 디더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린팅용 화상 정보를 발생하고 프린팅 유닛(3)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16)을 포함한다.
참조 번호(13)은 비디오 컨트롤 유닛을 가리킨다.
비디오 컨트롤 유닛(13)은 상술한 저장 유닛(12)에 저장된 화상 데이타를 상술한 평활화 보정 유닛(14)와 상술한 계조 처리 유닛(15)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술한 화상 데이타를 동기 신호(타이밍 신호)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프린팅 유닛(3)으로부터 전송된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비디오 제어 유닛(13)이 설계된다.
전체 장치(1)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상술한 동기 신호로 동기화된 소정의 클럭 신호(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화상 처리 장치(1)의 부분들이 동작된다.
상술한 구성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드로잉 유닛(10)은 도 2에서 도시된 프린터 데이타(D10)을 상위 노드(2)(예를 들어, 컴퓨터)로부터 수신한다.
프린터 데이타(D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데이타(D10)는 상위 노드(2)로부터 드로잉 데이타(1 내지 n)으로 제공된다. 참조 번호(1 내지 n)는 드로잉 처리 데이타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드로잉 처리 데이타(1 내지 n)의 각 항목은 드로잉 정보 (D11), 드로잉 처리 정보(D12), 칼라 정보(D13) 및 데이타(D14)를 포함한다. 드로잉 정보(D11), 드로잉 처리 정보(D12), 칼라 정보(D13) 및 데이타(D14)는 차후에 설명될 것이다.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또한 상술한 프린터 데이타(D10)내에 포함된 드로잉 처리 데이타(1 내지 N)의 내용을 분석하고 상술한 드로잉 정보(D11)와 칼라 정보 (D13)을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으로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드로잉 처리 유닛(10)에 의해 해석된 내용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정보(D11)가 문자나 선의드로잉을 나타내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인지 또는 비트맵 화상과 같은 화상 데이타의 드로잉을 나타내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드로잉 처리 정보(12)"에 포함된 문자(선) 및 좌표의 수와 드로잉 처리 데이타의 각 항목에 대해, "칼라 정보(D13)"가 RGB 시스템의 칼라 신호 또는 YMCK 시스템의 칼라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지의 여부 및 "데이타(D14)"가 문자 데이타(선 데이타)인지 화상 데이타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데이타가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인지 화상 드로잉 데이타인지가 결정되고, 프린트 데이타내의 텍스트 데이타와 화상 데이타는 드로잉 처리 유닛(10)에서 구별된다. 이는 신속성 및 평활화 정확도가 부족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프린터 데이타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은 드로잉 정보(D11)가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인지 화상 드로잉 데이타인지 여부에 대한, 드로잉 처리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판단에 기초하여 프린터 데이타를 Y(Yellow)신호, M(Magenta) 신호, C(Cyan) 신호 및 K(Black) 신호로 구성된 다치 화상 데이타(텍스터 화상 데이타)(D15)로 변환하고, 상기 다치 화상 데이타를(D15)를 드로잉 처리 유닛(10)으로 다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텍스트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에 대응하는 다치 화상 데이타를 나타내고 그래픽 화상 데이타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에 대응하는 다치 화상 데이타를 나타낸다.
상술한 다치 화상 데이타(D15)의 Y, M, C 및 K 신호의 각각은 8-비트 데이타로 가정된다. 상술한 칼라 신호의 강도 값은 "00h"와 FFh"사이이며 "FFh"는 최고값이다.
이 경우에서, 드로잉 정보(D11)가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를 나타낸다면, 칼라 공간 전환 유닛(11)은 최고 강도 값(FFh)에서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임의의 칼라 정보(D13)의 강도 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반대로, 드로잉 정보(D11)가 화상 드로잉 데이타를 나타낸다면, 최고 강도 값보다 낮은 소정의 값에서 최고 강도 값(FFh)을 갖는 칼라 정보(D13)을 설정한다.
따라서, 텍스터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D13)는 최대 강도 값으로 설정되고,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D13)는 최대 강도 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며, 그 결과 최대 강도 값을 갖는 다치 화상 데이타내에 그래픽 화상 데이타가 포함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피할수 있다.
다음에 설명되는 출력 유닛(16)은 상술한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에 의해 설정된 강도 값(00h 내지 FFh)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펄스 폭을 가진 원-도트 펄스를 생성한다. 그 후, 상술한 프린팅 유닛(3)은 소정의 펄스 폭에 대응되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프린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칼라 공간 전환 유닛(11)에 의해 설정된 강도 값은 상술한 프린팅 유닛(3)에서의 프린트 출력의 강도와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출력(프린트의 밀도)에 대한 입력(펄스 폭)의 특성 곡선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입력은 수평축을 따라 표시되고, 출력은 수직축을 따라 표시된다. 상술한 수평 및 수직축에 따른 데이타는 0%와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된다. FFh와 같은 심볼은 상술한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에 의해 설정된 칼라 강도를 나타낸다.
도 3의 특성 곡선은, 입력이 100%에 가까운 경우(FFh, FEh, ...) 100% 출력을 나타낸다. 즉, 상기 소정의 최대 강도 값, FFh에서의 프린트의 강도는 최대값 아래의 소정의 값 - 상기 주어진 FEh - 에서의 프린트의 강도와 같다.
따라서, 최대 강도 값을 갖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D13)가 상술한 칼라 공간 전환 유닛(11)에 의한 최대값보다 낮은 소정의 값(FEh)으로 설정된다 하더라도 프린트의 강도는 변하지 않는다.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D13)는 강도 값(FEh)으로 설정되는데, 이는 다음에 언급될 평활화 과정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입력이 0%에서 80%사이일 경우, 도 3에서 출력은 0%에서 99% 사이다. 이 경우, 출력은 특성 곡선에서 입력에 대해 비례가 아니다. 따라서, 출력이 보다 높아지는 범위, 즉 프린트의 강도가 명확히 높은 지역은 C0h 값 부근임을 특성 곡선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칼라 공간 전환 유닛(11)은 텍스터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D13)의 소정의 임계값을 C0h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그 결과, 다음에 설명될, 명확히 높은 강도를 갖는 임의의 텍스터 화상 데이타에 평활화가 적용되게끔 한다.
저장 유닛(12)는 드로잉 처리 유닛(10)에 의해 드로잉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드로잉 처리 정보(D11) 및 데이타(14)에 따라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으로부터 전송된 다치 화상 데이타(D15)를 드로잉하기 위해 드로잉 처리 유닛(10)에 의해 다치 화상 데이타(D16)가 사용되고, 도 4에 도시된 저장 유닛(12)의 다치 화상 데이타 파일(12A)에 저장된다.
비디오 제어 유닛(13)은 상술한 다치 화상 데이타 파일(12A)에 저장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을 상술한 프린팅 유닛(3)으로부터 입력된 동기 신호(D24)에 따라 Y, M, C 및 K 신호에 기초한 칼라 신호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평활화 보정 유닛(14)과 계조 처리 유닛(15)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비디오 제어 유닛(13)은 다치 화상 데이타를 평활화 보정 유닛(14)과 계조 처리 유닛으로 분리하여 전송한다. 이것은 계조 처리 유닛(15)이 평활화 유닛(14)에 의해 처리된 다치 화상 데이타를 디더링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결과, 다치 화상 데이타는 평활화 보정 유닛과 계조 처리에 의해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평활화 보정 유닛(14)는 이진화 유닛(14A)과 평활화 유닛(아웃라인 처리 유닛)(14B)으로 구성되고 비디오 제어 유닛(13)으로부터 전송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평활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진화 유닛(14A)는 비디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칼라 신호 베이스상의 이진 화상 데이타(D17)로 이진화하고, 이진 화상 데이타(D17)를 평활화 유닛(14B)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진화 유닛(14A)에서, 화상 데이타는 이진화되어 최대 강도를 갖는 이진 화상내의 화소가 "1"로 변환되고 다른 화소는 "0"로 변환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타의 화소만 "1"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평활화 보정 유닛(14B)은, 다음에 설명되겠지만, 텍스트 화상 데이타의 화소를 평활화시킬 수 있다.
평활화 유닛(14B)는 이진화 유닛(14A)으로부터 전송된 이진 화상 데이타(D17)을 기초하여 평활화를 수행하고 화소가 평활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정 선택 정보(D18), 평활화될 화소의 계산된 무게 중심(the center of gravity)을 나타내는 무게 중심 정보(제1 무게 중심 정보)(D19), 화소의 계산된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 정보인 펄스 폭 정보(제1 강도 정보)(D20)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이진 화상 데이타(D17)내의 관련 화소는 다음에 설명될 기준 영역에 대한 패턴 인식에 따라 평활화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술한 평활화 유닛(14B)이 결정하고, 상기 화소가 평활화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1"을 나타내는 보정 선택 정보(D17), 무게 중심 정보(D19) 및 펄스 폭 데이타(D20)를 출력 유닛(16)으로 전송한다. 반대로, 화소가 평활화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되면 평활화 유닛(14B)은 "0"를 나타내는 보정 선택 정보(D18)을 출력 유닛(16)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본원의 기준 영역은, 평활화 유닛(14B)이 상술한 관련 화소 및 관련 화소 주위의 기준 화소로 구성한 영역이다. 상술한 기준 화소는, 평활화 유닛(14B)이 예를 들면 상술한 이진화 유닛(14A)으로부터 전송된 이진 화상 데이타(D17)의 5개 라인들은 유지하여 구성한 화소이다.
평활화 유닛(14B)는 이진 화상 데이타(D17)내의 화소가 평활화될 지 여부를 결정하고, 화소가 평활화될거라면,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D19) 및 펄스 폭 데이타(D20)가 출력 유닛(16)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평활화될 화소가 출력 유닛(16)으로 전송될 경우, 출력 유닛(16)은 상기 화소(D19, D20)에 기초한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평활화 보정 유닛(14)의 동작은 특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평활화 보정 유닛(14)이 도 15에 도시된 입력 화상(다치 화상 데이타)를 이진화 유닛(14A)으로 입력할 경우, 이진화 유닛(14A)은 최대 강도 값(FFH)을 갖는 화소를 "1"로 변환하고, 다른 화소들은 "0"으로 변환하여 도 5에 도시된 이진 화상(이진 화상 데이타)를 평활화 유닛(14B)으로 전송한다. 그 후, 이진화 유닛(14A)로부터 전송된 이진 화상(D17)에 있어서, 평활화 유닛(14B)은 도 5에 도시된 보정 선택 정보(D18) - 평활화된 화소에 대해서는 "1"을 나타내고, 평활화되지 않은 화소에 대해서는 "0"을 나타냄 - 및 도 5에 도시된 출력 화상(위치 정보(D19), 펄스 폭(D20))를 출력 유닛(16)으로 전송한다.
계조 처리 유닛(15)은 라인 버퍼(15A) 및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구성되고, 비디오 제어 유닛(13)으로부터 전송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다치 디더링하는 기능을 가진다.
라인 버퍼(15A)는 비디오 제어 유닛(13)으로부터 전송된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소정의 타이밍은 아래에 설명될 다치 디더링 유닛(15B)이 상술한 평활화 유닛(14B)에 의해 결정이 이루어 지는 동일한 화소를 디더링하는 타이밍이다.
따라서, 라인 버퍼(15A)는 다치 화상 데이타(D16)를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송한다.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라인 버퍼(15A)로부터 전송된 다치 데이타(D16)의 다치 디더링을 실행하고 다치 디더링이 실행되는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제2 무게 중심 정보)(D21) 및 화소의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 정보인 펄스 폭 데이타(제2 강도 정보)(D22)를 출력 유닛(16)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다치 디더링 패턴(D25)과 매칭되는 패턴에 따라 다치 디더링 화상 데이타(D16)를 디더링한다. 다치 디더링 패턴(D25)은 다치 디더링 유닛(15B)이 화소에 대해 다치 디더링을 실행하는 방법을 미리 규정하기 위한 데이타이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치 디더링 유닛(15B)의 메모리(15B1)에 저장된다.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예를 들면 강도 처리(intensity processing)를 위해 강도 패턴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다치 화상 데이타(D16)에 대해 다치 디더링을 실행하고, 다치 디더링이 적용되는 화소의 강도 위치 정보(D21) 및 펄스 폭 데이타(D22)를 출력 유닛(16)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은, 디더링될 화소가 출력 유닛(16)에 의해 선택될 경우 -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임 -, 출력 유닛(16)으로 하여금 화소(D21, D22)에 기초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게끔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에 도시된 입력 화상(다치 화상 데이타)(D16)가 상술한 계조 처리 유닛(15)에 의해 입력될 경우, 라인 버퍼(15A)는 먼저 입력 화상(D16)를 저장하고, 그 후, 상술한 평활화 유닛(14B)에 의해 평활화될 지 여부가 결정되는 동일한 화소를 다치 디더링하는 타이밍으로 입력 화상(D16)를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출력한다.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메모리(15B1)에 저장된, 도 6에 도시된 다치 디더링 패턴(D25)과 매칭하는 패턴에 따라 라인 버퍼(15A)로부터 전송된 입력 화상(D16)에 다치 디더링을 실행하고, 도 6에 도시된 출력 화상(무게 중심 정보(D21), 펄스 폭 데이타(D22))를 출력 유닛(16)으로 출력한다.
출력 유닛(16)은 정보 선택 유닛(16A) 및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을 포함한다. 출력 유닛(16)은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 전송된 보정 선택 정보(D18)에 따라 평활화 유닛(14)으로부터 전송된 화소 또는 다치 보정 유닛(15B)으로부터 전송된 화소를 선택하고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를 프린트 유닛(3)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 전송된 보정 선택 정보가 화소가 평활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1"인 경우 정보 선택 유닛(16A)은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 전송된 화소(무게 중심 정보(D19), 펄스 폭 데이타(D20))를 선택하고 화소(D19, D20)를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 전송된 보정 선택 정보(D18)가 평활화되지 않은 화소를 나타내는 "0"인 경우, 정보 선택 유닛(16A)은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부터 전송된 화소(무게 중심 정보(D21), 펄스 폭 데이타(D22))를 선택하고 화소(D21, D22)를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정보 선택 유닛(16A)에서, 보정 선택 정보(D18)가 화소가 평활화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평활화될 화소가 선택되거나, 보정 선택 정보가 화소가 평활화될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다치 디더링될 화소가 선택되고, 선택된 화소는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전송된다. 선택된 화소에 대한 보정 정보가 아래에 설명될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전송되게 된다.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정보 선택 유닛(16A)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화소(D19, D20, 또는 D21, D22)에 기초한 원-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고 변조된 펄스를 비디오 데이타(화상 정보)(D23)로서 프린트 유닛(3)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무게 중심 정보(D19) 및 펄스 폭 데이타(D20)에 기초하여 평활화될 화소에 대해 원-도트 펄스 비디오 데이타를 발생시키고 다치 디더링될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D21) 및 펄스 폭 데이타(D22)에 기초하여 평활화되지 않을 화소에 대해 비디오 데이타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다치 디더링될 화소(D21, D22)에 의해 평활화될 화소(D19, D20)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도트 펄스를 변조하지 않고, 비디오 데이타(D23)가 정확히 생성되도록 한다.
프린트 유닛(3)은 프린트 용지상에 데이타를 프린트하기 위해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타(D23)에 기초하여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상술한 출력 유닛(16)과 프린트 유닛(3)사이의 협동작용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의 출력 화상(무게 중심 정보(D19), 펄스 폭 데이타(D20)) 및 도 7에 도시된, 다치 디더링 유닛(15B)로부터의 출력 화상(무게 중심 정보(D21), 펄스 폭 데이타(D22))이 출력 유닛(16)으로 입력될 경우, 정보 선택 유닛(16A)은 평활화 유닛(14B)로부터의 보정 선택 정보(D18)가 "1"이면, 출력 화상의 화소(D19, D20)를 선택하거나, 보정 선택 정보(D18)가 "0"이면, 다치 디더링 유닛(15B)로부터의 화소(D21, D22)를 선택한다. 그리고 정보 선택 유닛(16A)은 선택된 화소(D19, D20 또는 D21, D22)를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각각 출력한다. 그 다음,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정보 선택 유닛(16A)로부터 전송된 화소(D19, D20 또는 D21, D22)에 기초하여 원-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고 펄스를 비디오 데이타(D23)로서 프린트 유닛(3)으로 출력한다. 프린트 유닛(3)은 도 7에 도시된 프린트(P10)를 인쇄하기 위해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타(D23)에 기초한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 8은 상술한 출력 유닛(16)의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도 8은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의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도 8의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보정 정보(D18)가 비디오 데이타(D23)를 생성하는 "1"인 경우, 평활화 유닛(14B)으로부터 전송된 펄스 폭 데이타(D20)와 무게 중심 정보(D19)에 따라 원-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거나, 보정 정보가 "0"인 경우, 비디오 데이타(D23)를 생성하기 위해 다치 디더링 유닛(15B)로부터 전송된 펄스 폭 정보(D22) 및 무게 중심 정보(D21)에 따라 원-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한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1)의 일반적인 동작이 도 9내의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먼저,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프린트 데이타(D10)를 수신한다(단계 S1). 그 후,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프린트 데이타(10)내의 드로잉 처리 데이타(1)에 대해 "드로잉 정보(D11)"내의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드로잉 처리 정보(D12)"내의 문자의 수와 드로잉 좌표, "칼라 정보(D13)"내의 R, G,및 B 신호, 및 "데이타(D14)"내의 문자 데이타를 결정하고 드로잉 정보(D11) 및 칼라 정보(D13)를 칼라 정보 변환 유닛(11)으로 출력한다(단계 S2 : 드로잉 분해 단계)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화상 드로잉 데이타가 결정되고 프린트 데이타(D10)내의 텍스트 데이타 및 화상 데이타가 서로 구별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태의 프린트 데이타(D10)가 동시에 처리되는 상황은 피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은 드로잉 처리 유닛(10)에 처리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3), 처리할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소정 량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칼라 정보 D13를 8비트 다치 화상 데이터 D15(Y, M, C 및 K 신호로 이루어짐)로 변환하고,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칼라 정보 D13를 최대 강도값(FFh)으로 설정한다(단계 S4 : 별도의 변환 설정 프로세스).
그 다음에,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으로부터 제공된 다치 화상 데이터 D15를 드로잉 처리 정보 D12 및 데이터 D14에 따라 드로잉하고, 드로잉된 다치 화상 데이터 D16를 저장 유닛(12)내의 다치 화상 데이터 파일 12A에 저장시킨다(단계 S5).
그 다음에, 드로잉 처리 데이터(2)에 대한 미처리 데이터가 프린트 데이터D10에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6), 미처리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드로잉 처리 유닛(10)은 "드로잉 정보 D11"내의 화상 드로잉 데이터, "드로잉 처리 정보 D12"내의 좌표 및 다른 정보, "칼라 정보 D13"내의 R, G 및 B 신호, 및 "데이터 D14"내의 화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드로잉 정보 D11 및 칼라 정보 D13을 상기한 동작(드로잉 분해 프로세스)과 마찬가지로 칼라 정보 변환 유닛(11)으로 보낸다.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은 드로잉 처리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된 칼라 정보 D13를 Y, M, C 및 K 신호로 이루어지는 8비트 다치 화상 데이터 D15로 변환하고, 최대 강도값(FFh)를 갖는 칼라 정보 D13를 최대 강도값보다 낮은 소정의 값(FEh)로 설정한다(단계 S7).
상기한 단계 S1 내지 S7의 드로잉 분해 프로세스는 제1 프로세스라고 한다.
드로잉 처리 유닛(10), 칼라 공간 변환 유닛(11), 및 저장 유닛(12)은 드로잉 처리 데이터의 결정에 따라 프린트 데이터 D10내의 드로잉 처리 데이터 3 내지 N에 대해 상기한 연산과 유사한 연산을 행하게 된다.
텍스트 드로잉 데이터와 연관된 칼라 정보 D13은 최대 강도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화상 드로잉 데이터와 연관된 칼라 정보는 최대 강도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강도값을 갖는 다치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비디오 제어 유닛(13)은 프린팅 유닛(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24)에 따라 Y, M, C 및 K 신호의 칼라 신호에 기초하여 다치 화상 데이터 파일 12A에 저장된 다치 화상 데이터 D16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치 화상 데이터 D16를 평활화 보정 유닛(smoothing correction unit, 14) 및 계조 처리 유닛(gradation processing unit, 15)으로 보낸다(단계 S8).
그 다음에, 이진화 유닛(binarization unit, 14A)은 비디오 제어 유닛(13)으로부터 제공된 다치 화상 데이터 D16에서 최대 강도값 "FFh"을 갖는 화소를 "1"로 변환하고, 최대값이 아닌 강도값을 갖는 화소를 "0"으로 변환하여 이진 화상 데이터 D17을 생성하고, 이진 화상 데이터 D17을 평활화 유닛(14B)으로 보낸다(단계 S9). 변환의 일례는 도 5에 도시된 이진 화상(이진 화상 데이터) D17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평활화 보정 유닛(14B)은 이진화 유닛(14A)에서 보내온 5 라인분의 이진 화상 데이터 D17를 보유하고 5라인분의 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 영역을 생성한다. 평활화 보정 유닛(14B)은 그 다음에 이진화 유닛(14A)으로부터 제공받은 이진 화상 데이터 D17를 보정 영역과 일치하는 패턴에 따라 평활화된다. 그 다음에, 평활화 보정 유닛(14B)은 평활화된 화소에 대해서는 "1"을, 평활화되지 않은 화소에 대해서는 "0" 을 나타내는 보정 선택 정보 D18, 평활화된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제1 무게 정보) D19, 및 화소의 펄스폭 데이터(제1 강도 정보) D20를 출력 유닛(16)으로 보낸다(단계 S10 : 특정 데이터 평활화 보정 프로세스). 이러한 출력의 일례가 도 5의 보정 선택 정보 D18 및 출력 화상(무게 중심 정보 D19, 펄스 폭 데이터 D20)에 도시되어 있다.
이진화된 화상 데이터 D17에서 평활화될 화소는 평활화되지 않는 화소과 구별되고, 평활화될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 D19 및 펄스 폭 데이터 D20이 이와 같이 출력 유닛(16)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출력 유닛은 이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화소가 평활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출력 유닛(16)은 평활화된 화소에 관한 정확한 정보(D19, D20)를 항상 제공할 수 있다.
라인 버퍼(15A)는 비디오 제어 유닛(13)으로부터 보내온 다치 화상 데이터 D16를 저장하고, 이 다치 화상 데이터 D16를 이하에서 기술하게 될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하여금 전술한 평활화 유닛(14B)에 의해 평활화될 동일 화소에 대해 다치 디더링을 수행토록 하는 타이밍에서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 보낸다(단계 S11).
그 다음에,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메모리(15B1)에 저장된 다치 디더 패턴 D25과 일치하는 패턴에 따라 라인 버퍼(15A)에서 보내온 다치 화상 데이터 D16에 대해 다치 디더링을 수행한다. 다치 디더링 유닛(15B)은 그 다음에 디더링된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제2 무게 중심 정보) D21 및 펄스 폭 데이터(제2 강도 정보) D22를 출력 유닛(16)으로 보낸다(단계 S12 : 계조 프로세스). 이 출력의 일례는 도 6의 출력 화상(무게 중심 정보 D21, 펄스 폭 데이터 D22)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S8 내지 S12의 특정의 데이터 평활화 보정 프로세스를 제2 프로세스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치 화상 데이터 D16는 다치 디더링되고, 다치 디더링된 화소의 강도 정보 D21 및 펄스 폭 데이터 D22는 출력 유닛(16)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이하에서 기술하게 될 출력 유닛(16)은 오류없이 정보(D21, D22)를 정확하게 항상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정보 선택 유닛(16A)은 평활화 유닛(14A)으로부터 제공된 화소(무게 중심 정보 D19, 펄스 폭 데이터 D20)을 선택하고, 평활화 유닛(14A)에서 보내온 보정 선택 정보 D18이 평활화되어 있으면, 즉 "1"이면, 그 화소(무게 중심 정보 D19, 펄스 폭 데이터 D20)을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보낸다(단계 S13).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평활화 유닛(14B)에서 보내온 무게 중심 정보 D19 및 펄스 폭 데이터 D20에 따라 1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비디오 데이터(화상 정보) D23를 생성하고 이 비디오 데이터 D23를 프린트 유닛(3)에 보낸다(단계 S14).
프린트 유닛(3)는 펄스 폭 변조 유닛(16B)에서 보내온 비디오 데이터 D23에 따라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프린트 출력한다(단계 S15). 이 출력의 일례가 도 7의 프린트 P10에 도시되어 있다.
반면에, 평활화 유닛(14B)에서 보내온 보정 선택 정보 D18이 화소가 평활화되지 않은 것을 나타낼 경우, 즉, "0"인 경우, 정보 선택 유닛(16A)은 다치 디더링 유닛(15B)에서 제공한 화소(무게 중심 정보 D21, 펄스 폭 데이터 D22)을 선택하여 그 화소(D21, D22)을 펄스 폭 변조 유닛(16B)으로 보낸다. 펄스 폭 변조 유닛(16B)은 다치 디더링 유닛(15B)으로부터의 무게 중심 정보 D21 및 펄스 폭 데이터 D22에 따라 1도트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비디오 데이터 D23을 생성하고 이 비디오 데이터 D23을 프린트 유닛(3)으로 보낸다(단계 S16).
전술한 단계 S13 내지 S16의 프로세스는 제3 프로세스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하여, 1도트 펄스 비디오 데이터는, 평활화될 화소에 대해서는 무게 중심 정보 D19 및 펄스 폭 데이터 D20에 근거하여 생성되고, 평활화되지 않을 화소에 대해서는 다치 디더링될 화소의 무게 중심 정보 D21 및 펄스 폭 데이터 D22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이와 같이, 평활화될 화소(D19, D20)에 근거하는 1도트 펄스가 다치 디더링될 화소(D21, D22)로 변조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 D23는 정확하게 생성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를 더 개선시킬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1)가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칼라 전자 사진 프린터로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팩시밀리 등의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다색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본 발명은 단색 정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기술한다.
도 10의 기능 블럭도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4)는 중앙 처리 유닛(CPU) 등의 컴퓨팅 유닛을 사용하여 소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계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한 화상 처리 방법을 소프트웨어로 실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 용어는 이상의 설명에서 사용된 그 용어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화상 처리 장치(4)는 먼저 상위 노드(2)에서 보내온 칼라 정보 D13를 포함하는 프린트 데이터 D10을 문자 및 선의 드로잉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터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터로 분해한다(드로잉 분해 유닛(40)). 그 다음에, 화상 처리 장치(4)는 드로잉 분해 유닛(40)에 의해 분해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터 또는 화상 드로잉 데이터에 따라 칼라 정보 D13의 변환을 수행한다(분리 변환 설정 유닛(41)).
분리 변환 설정 유닛(41)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분리 변환 설정 유닛(41)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4)는 드로잉 분해 유닛(40)에 의해 분해된 특정 텍스트 드로잉 데이터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 D13의 강도를 어떤 강도값(FFh)으로 설정하고, 드로잉 분해 유닛(40)에 의해 분해된 화상 드로잉 데이터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 D13의 강도를 최대 강도값 이하의 소정의 값(FEh)으로 설정한다(여기서, FFh ≠ FEh).
이와 같이, 텍스트 드로잉 데이터 및 화상 드로잉 데이터는 분해되고, 프린트 데이터 D10내의 텍스트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서로 구별되어, 여러가지 형태의 프린트 데이터 D10이 동시에 처리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데이터를 보다 고속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화상 처리 장치(4)는 분리 변환 설정 유닛(41)에 의해 설정된 프린트 데이터 D10을 드로잉 및 (저장부(42)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화상 처리 장치(4)는 저장부(42)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 아웃라인 보정 유닛(43)) 프린트 데이터 D10내의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터 D16를 평활화한다. 화상 처리 장치(4)는 저장 유닛(4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D16의 다치 디더링을 (계조 처리부(44)에서) 특정 데이터 아웃라인 보정 유닛(43)에서 특정 텍스트 화상 데이터 D16을 평활화하는 것과 동시에, 그 이전에, 또는 그 후에 행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한 특정 데이터 아웃라인 보정 유닛(43) 및 상기한 계조 처리 유닛(44)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 다음에, 화상 처리 장치(4)는 (출력 유닛(45)에서) 특정 데이터 아웃라인 보정 유닛(43)에 의해 평활화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무게 중심 정보 D19, 펄스 폭 데이터 D20)를 (외부) 프린트 유닛(3)에 계조 처리 유닛(44)에 의해 계조 처리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무게 중심 데이터 D21, 펄스 폭 데이터 D22)에 우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평활화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계조 처리를 하게 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평활화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계조 처리없이 직접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평활화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계조 처리에 의해 변조되고 이 변조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신속성이 부족하고 평활화 보정의 정확성이 부족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다른 기록 매체가 있다.
상기한 구성 및 기능성 때문에, 수신부의 드로잉 분해 기능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화상 데이터와 다른 화상 데이터를 구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데이터내의 다른 화상 데이터와 구분되고, 아웃라인 보정이 이 텍스트 화상 데이터에 가해짐으로써, 데이터 타입에 관계없이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의 정확도가 상당히 개선된다.
청구항 2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의 타입이 서로 구별되고, 칼라 정보의 강도가 각 타입에 대해 설정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터 및 다른 타입의 화상 데이터가 일정한 강도값으로 설정된 화상 데이터에 혼합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정한 강도값을 갖는 화상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기 위한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텍스트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될 수 있다.
청구항 3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라인 보정이 가해지는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되는 경우에도, 출력 유닛이 효과적으로 동작하여 텍스트 화상 데이터에 계조 처리를 하지 않고 아웃라인 보정이 행해진 텍스트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 직접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아웃라인 보정이 가해진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계조 처리되어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프린트 화상 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정보 변환 유닛의 별도의 변환 설정 기능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의 아웃라인만을 보정하고, 이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직접 출력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화상 데이터가 아웃라인 보정되거나 또는 아웃라인 보정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계조 처리 유닛에 의해 계조 처리되어 외부로 출력되기때문에 프린트 화상 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일정한 텍스트 화상 데이터의 강도값만 최대 강도값으로 설정되고, 최대 강도값을 갖는 텍스트 화상 데이터만 아웃라인 보정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6에 개시된 본 발명은 아웃라인 보정될 화소에 근거한 1도트 화상 정보가 계조 처리될 화소의 제2 무게 중심 정보 및 제2 강도 정보로 변조되기 때문에 아웃라인 보정의 정확도가 손상된다고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회피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7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의 화소만이 "1"로 변환되기 때문에, "1"로 변환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의 화소만이 패턴 매칭을 사용하여 아웃라인 보정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정확하게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8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라인 보정 유닛에 의해 아웃라인 보정될 동일 화소가 다치 디더링 패턴에 따라 다치 디더링 유닛에 의해 다치 디더링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9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가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계조 처리 유닛에 의해 별도로 처리되므로, 아웃라인 보정될 정보가 계조 처리 유닛에 의해 계조 처리되는 문제점을 회피하게 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프로세스에서는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 데이터내의 다른 화상 데이터와 구별되고, 제2 프로세스에서는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식별되고 아웃라인 보정됨으로써, 데이터의 유형에 관계없이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의 정확도가 상당히 개선된다.
청구항 11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데이터의 타입이 서로 구별되고, 칼라 정보의 강도값이 제1 프로세스에서 각 타입에 대해 설정된다. 따라서,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화상 데이터가 일정한 강도값으로 설정된 화상 데이터에 혼합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일정한 강도값을 갖는 텍스트 화상 데이터만이 제2 프로세스에서 평활화-아웃라인 보정된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라인 보정이 가해진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되는 경우라도,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계조 처리없이 직접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더욱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만이 제1 프로세스에서 정확하게 아웃라인 보정되고, 이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는 제3 프로세스에서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직접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아닌 화상 데이터가 제1 프로세스에서 아웃라인 보정되거나 또는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제3 프로세스에서 계조 처리되어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프린트 화상 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 데이터내의 다른 화상 데이터와 구별되고,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여 이 텍스트 화상 데이터에 대해 아웃라인 보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의 정확도가 데이터의 유형에 관계없이 프린트 데이터의 아웃라인 보정을 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증가된다.
청구항 15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데이터 유형이 서로 구별되고, 칼라 정보의 강도가 각 유형의 데이터에 대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일정한 강도값으로 설정된 화상 데이터에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화상 데이터가 혼합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고, 일정한 강도값을 갖는 텍스트 화상 데이터만이 신속하게 아웃라인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된다.
청구항 16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데이터내의 텍스트 화상 데이터만이 정확하게 아웃라인 보정되고, 이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직접 출력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화상 데이터가 아웃라인 보정되거나 또는 아웃라인 보정될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계조 처리되어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프린트 화상 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적절히 보정되고,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크 칼라 문자 및 그래픽만의 대각선의 아웃라인이 처리되고, 정확한 프린트 화상 정보가 외부로 출력됨으로써, 전례없이 양호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 및 품위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근본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측면에서 보아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결코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고, 따라서 청구항들의 의미 및 등가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특허 청구의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한 일본 특원2000-60188(2000년 3월 6일 출원)의 개시 내용 전체는 참조로 여기에 포함하였다.

Claims (16)

  1. 삭제
  2.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칼라에 대한 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한 칼라 정보 변환 유닛;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outline-correcting)하기 위한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아웃라인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의 드로잉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기능을 가지고,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certain intensity value)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별도 설정하기 위한 분리 변환 설정 기능을 가지며,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을 실행하는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기 위한 아웃라인 보정 유닛;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의 계조(gradation)를 처리하기 위한 계조 처리 유닛;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아웃라인 처리 정보 및 상기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계조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의 드로잉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기능을 가지고,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을 실행하는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기능을 가지며,
    상기 계조 처리 유닛에는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기 위한 계조 처리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텍스트 우선 출력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칼라에 대한 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한 칼라 정보 변환 유닛;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outline-correcting)하기 위한 아웃라인 보정 유닛;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기 위한 계조 처리 유닛;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아웃라인 처리 정보 및 상기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계조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의 드로잉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기능을 가지고,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별도 설정하기 위한 분리 변환 설정 기능을 가지며,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을 실행하는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기능을 가지며,
    상기 계조 처리 유닛은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는 계조 처리 기능을 가지며,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정보 변환 유닛의 상기 분리 변환 설정 기능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되고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강도 값을 갖는 임의의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으로 설정하도록 특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화소가 보정되는 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보정 선택 정보, 보정될 상기 화소의 강도를 가리키는 제1 강도 정보, 및 상기 화소의 무게 중심(the center of gravity)을 가리키는 제1 무게 중심 정보를 상기 출력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조 처리 유닛은 계조 처리될 화소의 강도를 가리키는 제2 강도 정보 및 상기 화소의 무게 중심을 가리키는 제2 무게 중심 정보를 상기 출력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대응 화소의 상기 제1 강도 정보 및 상기 제1 무게 중심 정보를 도트 단위로 선택하여 보정될 화소가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면 상기 정보를 상기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출력하고, 상기 계조 처리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대응 화소의 상기 제2 강도 정보 및 상기 제2 무게 중심 정보를 도트 단위로 선택하여 보정될 화소가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면 상기 정보를 상기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은 화상 데이타를 이진화하여 이진 화상 데이타를 발생시키기 위한 이진화 유닛, 및 상기 이진화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진 화상 데이타를 패턴 인식을 통해 아웃라인 처리하기 위한 아웃라인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처리 유닛은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기능을 수행할 시 해당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라인 버퍼, 및 소정의 다치 디더(multi-value dither) 패턴에 따라 상기 라인 버퍼에 저장된 상기 화상 데이타에 대한 다치 디더링(multi-value dithering)을 수행하기 위한 다치 디더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라인 보정 유닛 및 상기 계조 처리 유닛은 타이밍 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타를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상기 소정의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타를 문자 및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고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타를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상기 소정의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상기 소정의 데이타를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단계;
    상기 드로잉 분해 단계에서 분해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드로잉 분해 단계에서 분해된 상기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별도 설정하는 분리 변환 설정 단계; 및
    상기 저장 유닛의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드로잉하기 위해 상기 변환된 프린트 데이타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제공하는 드로잉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화상 데이타는 텍스트 화상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2.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상기 소정의 화상 데이타에 대한 아웃라인 보정 처리 및/또는 계조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화상 데이타 및 상기 계조-처리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타를 상기 소정의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고 상기 화상 데이타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 및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 전 또는 후와 동시에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는 계조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에서 아웃라인 보정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계조 처리 단계에서 계조-처리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3.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타를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상기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 및/또는 계조 처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화상 데이타 및 상기 계조-처리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데이타를 상기 소정의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및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는 드로잉 분해 단계;
    상기 드로잉 분해 단계에서 분해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을 갖는 화상 데이타로 설정하고, 상기 드로잉 분해 단계에서 분해된 상기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을 갖는 화상 데이타로 별도 설정하는 분리 변환 설정 단계; 및
    상기 프린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기 위해 상기 화상 데이타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제공하는 드로잉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는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 및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 전 또는 후와 동시에 상기 저장 유닛에 드로잉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는 계조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단계에서 아웃라인 보정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계조 처리 단계에서 계조-처리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문자 또는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고 상기 프린트 데이타를 저장 유닛에 드로잉하고 저장시키기 위한 저장 프로세스;
    상기 저장된 프린트 데이타 포함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시키기 위한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프로세스;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된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 프로세스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5.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서의 문자 또는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기 위한 드로잉 분해 프로세스;
    상기 분해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해된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별도 설정하기 위한 분리 변환 설정 프로세스;
    상기 변환된 프린트 데이타를 드로잉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 프로세스;
    상기 저장된 프린트 데이타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기 위한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프로세스; 및
    상기 아웃라인 보정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프린트 화상 정보로서 프린트 유닛에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6.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된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프린트 데이타를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서의 문자 또는 선을 표현하는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 및 상기 프린트 데이타에 포함된 다른 드로잉을 표현하는 화상 드로잉 데이타로 분해하기 위한 드로잉 분해 프로세스;
    상기 분해된 텍스트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모든 칼라 정보를 일정한 강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해된 화상 드로잉 데이타와 연관된 칼라 정보를 최대 강도 값 이하의 소정의 값으로 별도 설정하기 위한 분리 변환 설정 프로세스;
    상기 변환된 프린트 데이타를 드로잉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 프로세스;
    상기 저장된 프린트 데이타의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아웃라인 보정하기 위한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프로세스; 및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프로세스 전 또는 후와 동시에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타의 계조를 처리하기 위한 계조 프로세스; 및
    상기 특정 데이타 아웃라인 보정 프로세스에서 아웃라인 보정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를, 상기 계조 프로세스에서 계조 처리된 상기 텍스트 화상 데이타에 우선하여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프로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1-0011113A 2000-03-06 2001-03-0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418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0188A JP3463645B2 (ja) 2000-03-06 2000-03-06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0-060188 2000-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29A KR20010087329A (ko) 2001-09-15
KR100418539B1 true KR100418539B1 (ko) 2004-02-11

Family

ID=1858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113A KR100418539B1 (ko) 2000-03-06 2001-03-0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57776B2 (ko)
JP (1) JP3463645B2 (ko)
KR (1) KR100418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976B2 (en) * 2002-05-01 2009-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mage enhancement with color
EP1439517A1 (en) * 2003-01-10 2004-07-2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for display on a display device
JP2004306555A (ja) * 2003-04-10 2004-11-04 Seiko Epson Corp 印刷処理装置及び印刷処理方法
KR100661351B1 (ko) * 2005-01-17 200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하프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4165521B2 (ja) * 2005-03-30 2008-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0488B2 (ja) * 2008-04-28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296681B1 (ko) * 2008-09-24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CN105644161B (zh) * 2014-11-13 2017-11-17 株式会社理光 医疗图像打印装置及其医疗图像打印系统
JP6455232B2 (ja) * 2015-03-02 2019-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処理実行制御装置、画像形成出力制御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833552B2 (ja) * 2017-02-16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JP7171382B2 (ja) * 2018-11-21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83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문서화상에서 문자 에지강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354B2 (ja) * 1989-12-29 2000-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ディジタルカラー複写機
JPH05138945A (ja) 1991-11-19 1993-06-08 Seiko Epson Corp カラープリンタ
KR0136762B1 (ko) * 1992-09-25 1998-04-29 김광호 프린터의 계조데이타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06227041A (ja) 1993-01-29 1994-08-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06234240A (ja) 1993-02-10 1994-08-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115148A (en) * 1994-06-02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856149B2 (ja) 1996-05-15 1999-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写真プリンタ
US6646759B1 (en) * 1996-05-15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data using a dither pattern
JPH10294854A (ja) * 1997-04-21 1998-11-0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方法
JPH11331605A (ja) 1998-05-15 1999-11-30 Ricoh Co Ltd 印字装置の画像補正処理方法
JPH11348352A (ja) * 1998-06-11 1999-12-2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88436B1 (en) * 1998-06-12 2004-09-07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the degeneration of a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and image rea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83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문서화상에서 문자 에지강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9432A1 (en) 2001-09-06
KR20010087329A (ko) 2001-09-15
US7057776B2 (en) 2006-06-06
JP3463645B2 (ja) 2003-11-05
JP2001251514A (ja) 200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9798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7903872B2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EP1073260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ed thereby
US7667711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US92471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for
US6332666B1 (en) Printing apparatus, resolution conversion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KR10041853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4285127B2 (ja) 減色処理装置及び減色処理方法
US6954556B2 (en) Smoothing method, smoothing circuit and image output apparatus
KR100510132B1 (ko) 컬러 영상의 이진화 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마스크생성장치 및 방법
JP333243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EP0949801A2 (en) Image process apparatus, image proces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3396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pecifies edge pixel in target image by calculating edge strength
JP2006135936A (ja) プリンタコントローラ、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848558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US1038990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pecifies edge pixel in target image using minimum and maximum component values of pixel value in target image data
JP417239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15678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029997B2 (ja) 色変換装置、色変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300308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output apparatus
JP4135713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200306981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10665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605684B1 (en) Method of processing a digital image in order to enhance the text portion of said image
EP194265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