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631B1 - 무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631B1
KR100417631B1 KR10-2001-0009461A KR20010009461A KR100417631B1 KR 100417631 B1 KR100417631 B1 KR 100417631B1 KR 20010009461 A KR20010009461 A KR 20010009461A KR 100417631 B1 KR100417631 B1 KR 10041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sing
output shaft
moto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285A (ko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01-000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6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촬영장치는, 일회용 카메라 또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수납되는 카메라 수납부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는 누름단부가 전단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부분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를 구비하는 작동바아와; 선단부에 수나사처리된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수나사부분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분을 구비하여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아의 후단부가 상승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경제적인 비용으로 원하는 정지화상을, 무인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인 촬영장치{Automatic pi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무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성임과 동시에 일반 카메라 또는 일회용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필요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감시카메라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무인 감시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무인 감시 카메라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어서, 장치 전체의 구성과 유지가 매우 복잡하면서 고가인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가이면서도 복잡한 장치인 무인 촬영장치는 설치 및 유지보수의 측면에서 일반인에게 있어서는 접근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저렴한 장비임과 동시에 보다 간단하게 무인 촬영이 가능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일회용 카메라 또는 일반적인 스틸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지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무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회용 카메라 또는 일반적인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저렴하면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무인 촬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의 전체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의 전체를 보인 측면도.
도 3는 카메라 구동부의 예시 단면도.
도 4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12 ..... 카메라수납부
20 ..... 카메라구동부 22 ..... 작동바아
22a ..... 누름단부 24 ..... 구동부
30 ..... 카메라 32 ..... 셔터
50 ..... 고정장치 M .....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촬영장치는, 일회용 카메라 또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수납되는 카메라 수납부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는 누름단부가 전단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부분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를 구비하는 작동바아와; 선단부에 수나사처리된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수나사부분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분을 구비하여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아의 후단부가 상승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일회용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필요한 스틸화상을 촬영할 수 있어서,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촬영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촬영장치는, 카메라(30)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을 천정 또는 벽 등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장치(50)는,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정 또는 벽 등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과 연결되는 연결아암(54), 그리고 케이싱(10)에 연결되는 연결부(58), 그리고 상기 연결부(58)와 연결아암(5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힌지부(56)는 힌지축(56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장치(50)의 고정판(52)이 천정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0)은 힌지부(56)의 조절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의 일측부분에는 카메라(30)를 수납하여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카메라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수납부(12)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카메라(30)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와 동일한 것이어서 임의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수납부(12)에 수납되는 카메라(30)는, 일반적인 스틸 카메라 또는 일회용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카메라(30)는, 주로 몸체의 상단부와 같은 몸체의 일측에 셔터(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셔터(32)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전면 일측에는, 사람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4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예를 들면, 사람이 없는 야간에,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동작시켜 놓으면, 상기 적외선센서(40)는 사람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센서(40)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적외선센서(40) 대신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어떠한 형태의 열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어떠한 형태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적외선센서(40)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4)에 내장된 회로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의 카메라(30)를 동작시킴으로써 침입자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적외선센서(40)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4)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부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4)에서의 동작 신호에 의하여, 카메라구동부(20)는 카메라(30)의 셔터(32)를 누르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구동부(20)는, 카메라의 셔터(32)를 누를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성형된 누름단부(22a)를 가지는 작동바아(22)와, 상기 작동바아(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4), 그리고 상기 구동부(24)를 동작시키는 모터(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바아(22)는, 케이싱(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62)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아(22)에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전단부에는 상기 누름단부(22a)가, 그리고 힌지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가 성형되는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아(22)의 후단부에는 그것을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구동부(2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부(2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바아(22)의 후단부가 들리게 된다. 따라서 작동바아(22)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누름단부(22a)는 카메라(30)의 셔터(32)를 누르게 되어, 카메라(30)는 그 순간의 스틸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작동바아(22)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구성에는 많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인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M)를 이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프레임(F)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M)의 출력축(Ms)의 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4)의 하단부에는 암나사산(24a)이 성형되어 있어서, 모터 출력축(Ms)의 수나사산과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M)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4)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부(24)가 상승하게 되거나,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4)는, 실질적으로 모터 축력축(Ms)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지 못하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터(M)의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구동부(24)가 상승하게 되어 작동바아(22)의 후단부를 들어올리게 된다. 작동바아(22)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지면, 반대로 작동바아(22)의 전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누름단부(22a)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하강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카메라(30)의 셔터(32)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후에는, 상기 모터(M)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작동바아(22)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모터(M)의 동작은, 상술한 적외선센서(4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바아(22)를 구동시킴으로써 카메라(30)의 셔터(32)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모터(M)를 그 구동원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센서(40)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아(2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작동바아(2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적외선센서(40)에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아(22)의 후단부가 상부로 들리도록 구성함으로서, 작동바아(22)의 선단에 성형된 누름단부(22a)가 셔터(32)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센서(40)는 카메라 주변의 사람을 감지한다. 그리고 사람이 감지되었을때,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적외선센서(4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적외선센서(40)와 연결되고 있는 PCB(14)에 전송된다.
한편, 상기 PCB(14)에는 상기 적외선센서(40)에서 감지신호 출력시에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었을때, 상기 PCB(14)에서는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PCB(14)에서 출력되는 카메라 구동신호는 카메라의 셔터(32)를 동작시키도록 연결되고 있는 모터(M)에 공급되면서 상기 모터(M)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무인 상황에서 사람을 스틸화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금지되는 시간 동안에, 무단 침입자가 발생하면, 적외선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신호는 PCB(14)를 통하여 모터(M)에 전달되어, 침입자에 대한 스틸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는, 은행의 현금 인출장치 등에도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카메라 또는 일회용 카메라 등과 같은 스틸 화상을 잡을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임의의 화상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화상을 잡을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동화상 촬영장치에 대신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스틸화상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일회용 카메라 또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수납되는 카메라 수납부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는 누름단부가 전단부에 구비되고, 그 중심부분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를 구비하는 작동바아와;
    선단부에 수나사처리된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수나사부분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분을 구비하여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아의 후단부가 상승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09461A 2001-02-24 2001-02-24 무인 촬영장치 KR10041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61A KR100417631B1 (ko) 2001-02-24 2001-02-24 무인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61A KR100417631B1 (ko) 2001-02-24 2001-02-24 무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5A KR20020069285A (ko) 2002-08-30
KR100417631B1 true KR100417631B1 (ko) 2004-02-05

Family

ID=2769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61A KR100417631B1 (ko) 2001-02-24 2001-02-24 무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072B1 (ko) 2009-03-30 2010-10-04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합브라켓이 적용된 틸팅 씨씨티브이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16B1 (ko) * 2002-11-15 2004-12-23 (주)엠텍소프트 무인 촬영 시스템
KR100977007B1 (ko) * 2008-10-30 2010-08-19 (주)선인유니텍 감시카메라 설치용 브래킷 어셈블리
KR101445381B1 (ko) * 2012-05-24 2014-10-06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용 카메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503A (ko) * 1992-08-21 1994-03-15 고하라 도시히도 자동 방범 카메라 장치 및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503A (ko) * 1992-08-21 1994-03-15 고하라 도시히도 자동 방범 카메라 장치 및 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072B1 (ko) 2009-03-30 2010-10-04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합브라켓이 적용된 틸팅 씨씨티브이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5A (ko)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697B1 (ko) 광학기기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US4901096A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52730A1 (en) Infrared sensitive security lighting system
JP5033398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417631B1 (ko) 무인 촬영장치
KR100869048B1 (ko)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JPH07182579A (ja) 火災感知器
KR10093214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KR102172186B1 (ko) 인터넷 전용 통신선 활용 중계기
JPH02239779A (ja) 自動合焦、自動画角調定、自動視線調定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テレビドアホン装置
US5339173A (en) Imaging apparatus having object plate and variably positionable image sensor
JP3899207B2 (ja) 画像センサ
JP4407576B2 (ja) 撮像装置、この撮像装置のアイリス調整および電子シャッターの調整方法
KR19990086124A (ko) 영상 표시기를 구비한 콘트롤러
KR200327372Y1 (ko) 은폐형 카메라장치
JP5434068B2 (ja) 撮像装置
KR20110077874A (ko) 현관문 외부 감시장치
KR19980014829A (ko) 렌즈 덮개 개폐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352610Y1 (ko) 발광기능을 가진 감시카메라 시스템
JP2004203320A (ja) ホームドア装置
JP3926650B2 (ja) 撮像装置
JP3017131U (ja) 簡易型監視装置
KR20040027774A (ko) 발광기능을 가진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090111093A (ko) 컬러영상 촬영 카메라
JP3018205U (ja) 簡易型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