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372Y1 - 은폐형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은폐형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372Y1
KR200327372Y1 KR20-2003-0021988U KR20030021988U KR200327372Y1 KR 200327372 Y1 KR200327372 Y1 KR 200327372Y1 KR 20030021988 U KR20030021988 U KR 20030021988U KR 200327372 Y1 KR200327372 Y1 KR 200327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cealment
camera device
housing
driv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성철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주) filed Critical 아이에스(주)
Priority to KR20-2003-0021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은폐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창(31) 내부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가 개재된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장치를 은폐 ↔노출시키는 은폐장치를 구비하되, 이 은폐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고 그 하방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시킨 개구부(10)가 갖추어진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며, 그 외면에 나선상의 홈이 형성된 구동봉(23)과, 상기 구동봉(23)의 하방에 상기 구동봉(23)과 일체로 고정된 구동기어(21)와, 하우징(1)의 외측에 고정된 정역기능을 갖고 회전축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모터(2) 및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취합되어 타측 구동봉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기어(22)와, 하우징(1)내측 상하부 일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장치(B)의 은폐점, 노출점 위치를 확인하는 스위치(LS1,LS2)와, 상기 구동봉(23)의 나선상의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홈과 치합되는 형태를 갖는 승하강테(30)와, 카메라 일측 또는 침입자 침범이 가능한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먼저 은폐장치를 제어하여 카메라장치를 노출시킨 후 현장 촬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제어수단이 포함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 것으로, 무단침입을 위한 침입자의 사전조치가 불가능하며, 또한 카메라장치의 가동 녹화동작이 침입여부 감지센서 동작 여부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상시 가동되는 시스템의 운영비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은폐형 카메라장치{A hiding type camera device}
본 고안은 은폐기능을 갖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과 같은 건물천정, 벽면 일부에 카메라장치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센서감지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장치가 노출 녹화되는 은폐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통제구역이나 보안구역 또는 이와 같은 중요한 장소 등에는 사람의 출입이나 접근을 엄격히 통제함과 동시에 접근하는 사람이나 주위의 상황을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카메라의 감시장치는 야간 또는 장시간 동안 건물을 비울 경우 감시장치를 동작시키면 특히, 설치장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단이 작동되어 건물의 침입자 등을 감시하고 있는 바, 경비지역내의 현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항상 각종 장비를 동작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불법 침입자가 감시카메라의 존재여부나 위치를 미리 인지한 상태에서 감시카메라의 사각지대 이용, 감시기능 마비 등의 수단을 조치하여 침입하는 관계로 효과적인 감시기능이 수행되지 못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물 천정 일부에 개구부를 통해 카메라장치가 감추어지는 은폐장치를 설치하되, 이 은폐장치는 승하강수단에 의해 카메라장치가 노출 혹은 은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불법 침입자가 카메라 존재여부 확인이 어렵도록 한 은페형 카메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장치의 가동 녹화동작은 무단으로 침입하는 침입여부 감지센서 동작 여부에 따라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상시 모니터링 감시 기능시 발생되는 유지비용 소모를 최소화 한 은폐형 카메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은폐형 카메라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10 부분확대도,
도 3는 도 1의 내부 제어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0 : 개구부,
2 : 모터, 21 : 구동기어,
22 : 연결기어, 23 : 구동봉,
A : 은폐장치, B : 카메라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명창 내부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개재된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장치를 은폐 ↔노출시키는 은폐장치를 구비하되, 이 은폐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고 그 하방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시킨 개구부가 갖추어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며, 그 외면에 나선상의 홈이 형성된 구동봉과,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된 정역기능을 갖고 회전축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모터 및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취합되어 타측 구동봉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기어와, 하우징 내측 상하부 일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장치의 은폐점, 노출점위치를 확인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봉의 나선상의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홈과 치합되는 형태를 갖는 승하강테와, 카메라 일측 또는 침입자 침범이 가능한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인체감지)을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먼저 은폐장치를 제어하여 카메라장치를 노출시킨 후 현장 촬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제어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은폐형 카메라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10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내부 제어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은폐장치(A), 카메라장치(B), 승하강수단, 제어수단, 감지수단으로 나뉠 수 있는 바, 상기 은폐장치(A), 승하강수단, 카메라장치(B)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고 그 하방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시킨 개구부(10)가 갖추어진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며, 그 외면에 나선상의 홈이 형성된 구동봉(23)과, 상기 구동봉(23)의 하방에 상기 구동봉(23)과 일체로 고정된 구동기어(21)와, 하우징(1)의 외측에 고정된 정역기능을 갖고 회전축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모터(2) 및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취합되어 타측 구동봉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기어(22)와, 하우징 내측 상하부 일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장치(B)의 은폐점, 노출점위치를 확인하는 스위치(LS1,LS2)로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장치(B)는 투명창(31) 내부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와, 이 카메라(C)를 은폐장치의 개구부(10)를 통해 은폐 ↔노출시키는 승하강테(30)가 구비되는데, 이때 승하강테(30)는 도 2의 확대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구동봉(23)의 나선상의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홈과 치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은 그 저부로 카메라장치(B)가 내부에 수납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턱형상의 스톱부재(1a)가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
제어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폐장치(A) 내부에 설치되며 개구부(10)를 통해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C)와, 자동타이머 기능에 의한 감시기능설정, 타임스케줄 등 일정 입력신호를 통해 은폐기능 동작여부를 활성화시키는 설정부(104)와, 카메라(C)와 후술하는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01)와, 입출력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02)와,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06)와,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3)와,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03)의 출력신호로 모터(2)를 구동시켜 은폐-노출시키는 승하강구동부(901)와, 각종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5)와, 상기 제어부(103)를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5)와 연결되어 은폐형 카메라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재상황을 유저(User)에게 알려주는 외부 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영상은 추후 영상재생부를 통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300)의 영상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 일측 또는 침입자 침범이 가능한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인체감지)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07)(적외선, 광센서)가 구비되는데, 이 센서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03)에 인가하며, 제어부(103)는 초기에 은폐장치(A)의 승하강수단을 제어하여 카메라장치(B)를 노출시킨 후 현장 촬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도 4의 제어 흐름도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 등 방범, 보안이 필요한 곳의 천장 일부(텍스)를 카메라가 내장된 은폐장치의 크기만큼 절결 개구시킨 상태에서 은폐장치(A)를 천정에 매달아 설치한다. 여기서, 카메라장치(B)는 승하강테(30) 일측과 하우징(1) 내부의 구동봉(23)을 치합시킨 상태로 설치함은 당연하다. 이와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설정부(104) 혹은 외부서버(300)를 통해 타이머 기능에 의해 자동 감시기능 전환, 유저의 직접적인 설정(S1)을 통한 감시기능 전환으로 입력하면(S2) 제어부(103)는 즉시 센서 감시기능으로 전환한다(S3).
단계(S3)의 센서 감시상태에서 제어부(103)는 물체감지센서(107)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S4)에 따라 은폐-노출 신호를 출력하는 바(S5), 감지지역내에 불법 침입자의 물체 움직임이 있을 경우 먼저 그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입출력부(101), 신호변환부(102)를 통해 제어부(103)에 인가된다. 이후 제어부(103)는 은폐→노출로 판단하여 입출력부(101)를 통해 승하강구동부(201)의 모터(2)를 제어하는데, 이때 모터(2) 및 모터기어의 회전으로 구동봉(23)이 구동되며 이 구동봉(23)은 연결기어(22)을 통해 타측 구동봉(23)과 동시에 회전되며 카메라장치의 승하강테(30)와 치합된 나선상의 홈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하방이동은 LS2의 스위치접점이 온될때까지 계속되며(S6) 이후 모터 동작신호가 차단된다.
이어 제어부(103)는 카메라를 "온"시키는 제어 출력신호를 인가하며(S7) 카메라는 보안지역내의 현장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입출력부(101)를 통해 입력하고, 영상신호는 신호변환부(102)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부(106)에 저장된다(S8).
단계(S9)에서 보안지역내의 물체의 움직임이 없거나 혹은 유저에 의해 감시기능을 해제시키면 제어부(103)는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입출력부(101)를 통해 카메라에 출력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제어부(103)는 노출→은폐로 판단하여(S10) 입출력부(101)를 통해 승하강구동부(201)의 모터(2)를 제어하는데, 이때 모터(2) 및 모터기어의 회전으로 구동봉(23)이 역회전 구동되며 이 구동봉(23)은연결기어(22)를 통해 타측 구동봉(23)과 동시에 회전되며 카메라장치의 승하강테(30)와 치합된 나선상의 홈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방이동은 LS1의 스위치접점이 온될때까지 계속되며(S11) 이후 모터 동작신호가 차단된다.
한편, 제어부(103)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부(105)에 출력하면, 상기 송수신부(105)는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며, 서버(300)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보안상태를 확인한 다음 설정되어 있는 시간주기로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경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저는 원격지에서 장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건물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 천정 일부에 카메라장치가 노출 혹은 감추어지는 은폐장치가 설치되어 미연에 카메라 존재여부 확인이 어렵도록 함으로써 무단침입을 위한 침입자의 사전조치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또한 카메라장치의 가동 녹화동작이 침입여부 감지센서 동작 여부에 따라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상시 가동되는 시스템의 운영비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투명창(31) 내부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가 개재된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장치를 은폐 ↔노출시키는 은폐장치를 구비하되, 이 은폐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고 그 하방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시킨 개구부(10)가 갖추어진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며, 그 외면에 나선상의 홈이 형성된 구동봉(23)과, 상기 구동봉(23)의 하방에 상기 구동봉(23)과 일체로 고정된 구동기어(21)와, 하우징(1)의 외측에 고정된 정역기능을 갖고 회전축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모터(2) 및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취합되어 타측 구동봉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기어(22)와, 하우징(1) 내측 상하부 일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장치(B)의 은폐점, 노출점위치를 확인하는 스위치(LS1,LS2)와, 상기 구동봉(23)의 나선상의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홈과 치합되는 형태를 갖는 승하강테(30)와, 카메라 일측 또는 침입자 침범이 가능한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인체감지)을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먼저 은폐장치를 제어하여 카메라장치(B)를 노출시킨 후 현장 촬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제어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은폐형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은폐장치(A) 내부에 설치되며 개구부(10)를 통해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C)와, 자동타이머 기능에 의한 감시기능설정, 유저 및 서버에 의한 직접 조작 등으로 은폐기능 동작여부를 활성화시키는 설정부(104)와, 카메라(C)와 후술하는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01)와, 입출력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02)와,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06)와,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3)와,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03)의 출력신호로 모터(2)를 구동시켜 은폐-노출시키는 승하강구동부(901)와, 각종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5)와, 상기 제어부(103)를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5)와 연결되어 은폐형 카메라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재 상황을 유저에게 알려주는 외부 서버(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은폐형 카메라장치.
KR20-2003-0021988U 2003-07-04 2003-07-04 은폐형 카메라장치 KR200327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88U KR200327372Y1 (ko) 2003-07-04 2003-07-04 은폐형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88U KR200327372Y1 (ko) 2003-07-04 2003-07-04 은폐형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372Y1 true KR200327372Y1 (ko) 2003-09-19

Family

ID=4941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88U KR200327372Y1 (ko) 2003-07-04 2003-07-04 은폐형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3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1306A (zh) * 2022-10-12 2023-01-06 盛东如东海上风力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云台可隐藏的水下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1306A (zh) * 2022-10-12 2023-01-06 盛东如东海上风力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云台可隐藏的水下机器人
CN115571306B (zh) * 2022-10-12 2024-03-12 盛东如东海上风力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云台可隐藏的水下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3193C (en) Barrier operator control of a camera
US10854060B2 (en) Floodlight controllers with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features
EP1279150B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camera
AU2000241410A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camera
KR20060096909A (ko) 모니터링 제어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012821B1 (ko) 저전력 무선 카메라시스템 및 그 장치
US928845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US10957174B2 (en) Communication-linked floodlight controllers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features
KR200327372Y1 (ko) 은폐형 카메라장치
US7302080B2 (en) System for installation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20010008215A (ko) 실시간동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방법과 그인터페이스장치
KR100368448B1 (ko) 다목적 경보 시스템
JP2004013617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004277A (ja)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622313B1 (ko)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09123149A (ja) 防犯装置
KR1011234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EP14386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a monitoring unit
KR100743761B1 (ko) 애완 동물형 감시장치
KR200296224Y1 (ko) 센서 장치가 설치된 보안 카메라 시스템
KR100561332B1 (ko) 무인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7874A (ko) 현관문 외부 감시장치
KR102026405B1 (ko) 방범용 스마트 램프
JP2004054399A (ja) 侵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