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552B1 - 음성다중표시를갖는디지탈오디오채널 - Google Patents

음성다중표시를갖는디지탈오디오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552B1
KR100417552B1 KR1019950011653A KR19950011653A KR100417552B1 KR 100417552 B1 KR100417552 B1 KR 100417552B1 KR 1019950011653 A KR1019950011653 A KR 1019950011653A KR 19950011653 A KR19950011653 A KR 19950011653A KR 100417552 B1 KR100417552 B1 KR 10041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voice multiple
recorded
multiple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068A (ko
Inventor
오구로마사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기록동안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때 음성다중 표시가 발생되고, 상기 음성다중 표시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결합된다. 재생동안에, 음성다중 표시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내에 포함된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의 오디오 채널이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음을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음성 다중 표시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채널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기록 재생 장치, 특히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간 스테레오 프로그램 및 음성 2 중(bilingual) 프로그램 또는 유로 스포츠 채널(Euro Sports channel)과 같은 음성다중(multilingual) 프로그램의 방송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방송의 수는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스테레오 프로그램과 음성 2 중(주언어와 부언어)프로그램만이 구별될 수 있다. 음성 2 중 방송의 예로서는 주언어가 일본어이고 부언어가 영어인 프로그램이 있다. 음성 2 중 프로그램의 다른 예로서는 주"언어"가 해설이고 부언어가 어떤 팀에 관한 해설인 스포츠 프로그램이 있다. 본원과 특허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음성다중"은 전술한 예들 즉 여러종류의 언어들로된 동일 내용의 오디오 신호와 동일 언어로된 여러가지 내용의 오디오 신호를 포괄한다.
부분적으로 공개되어온 상업용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포멧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기록 재생 포멧은 고화질(High Definition; HD) 비디오와 표준 화질(Standard Definition; SD) 비디오 모두에 대해서 정의되었다. SD 신호의 경우에는 2 채널 모드(SD 2ch)와 4 채널 모드(SD 4ch)가 정의되었다. HD 신호의 경우에는 4 채널 모드(HD 4ch)와 8 채널 모드(HD 8ch)가 정의되었다. 이들 네가지 모드는 두개의 군으로 고려된다. 모드들중 제 1 군의 SD 또는 HD 신호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량은 모드들중 제 2 군의 신호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량의 2 배이다.
제 1 군은 16 비트 선형 양자화가 48KHz, 44.1KHz 및 32KHz의 샘플링 주파수들로 수행되며 각각 제 1A 도 및 제 1C 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SD 의 2 채널 모드와 HD 의 4 채널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군은 12 비트 비선형 양자화가 32KHz 의 샘플링 주파수로 수행되며 각각 제 1B 도 및 제 1D 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SD의 4 채널 모드와 HD의 8 채널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NTSC 표준(525 라인/60Hz)에 따르면 하나의 SD 비디오 프레임을 표현하는데 10 개의 트랙이 사용된다. PAL 표준(525 라인/50Hz)에 따르면 하나의 SD 비디오 프레임을 표현하는데 12 개의 트랙이 사용된다. 또한 10 개의 트랙(60Hz SD 시스템)이나 12 개의 트랙(50Hz HD 시스템)에는 각각 16 비트 모드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2 채널 또는 12 비트 모드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4 채널에 대한 용량이 있다.
하나의 HD 비디오 시스템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20 개의 트랙(1125 라인 /6OHz)이나 24 개의 트랙(1250 라인/50Hz)가 사용된다. 따라서 HD 신호가 기록되는 경우 16 비트 모드에서는 4 채널에 대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될 수 있고 12 비트 모드에서는 8 채널에 대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될 수 있다.
각 트랙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영역 AAUX 가 제공된다. 다수의 채널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할당(오디오 데이터가 각 채널에 기억됨)을 인식하기 위해서 AAUX 영역에는 AUDIO MODE 라고 하는 모드 신호가 기록된다. 제 2 도는 다음의 약자를 사용하는 AUDIO MODE 데이터값들의 의미를 표시하는 표이다.
CHN : 5 개의 트랙으로된 군(group)으로 표현된 오디오 채널 번호. 즉 오디오 신호는 16 비트 또는 12 비트를 사용하는 기록된다.
L : 스테레오 신호의 좌측 채널
R : 스테레오 신호의 우측 채널
M, M1, M2 : 모노 신호
C : 3 채널 스테레오(3/0 스테레오) 또는 4 채널 스테레오(3/l 스테레오)의 중심 채널
S : 4 채널 스테레오(3/l 스테레오)의 서라운드 채널
LS : 4 채널 스테레오(2/2 스테레오)의 좌측 서라운드 채널
RS : 4 채널 스테레오(2/2 스테레오)의 우측 서라운드 채널
? : 구분 불명
- : 정보 없음
매 트랙마다 AUDIO MODE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한 채널의 각 트랙들에는 동일한 AUDIO MODE 데이터가 여유있게 (redundantly) 기록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자화 비트수가 16 이고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인 SD 2-채널 기록 모드로 음성다중 방송 TV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경우 CH1 과 CH2에는 모노 신호가 기록된다. 각각 5 개의 트랙을 구비하는 양 채널의 AUDIO MODE 는 (0010)이다. 제 3 도에서 굵은선으로 표시된 각 사각형은 5개의 트랙으로된 오디오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기록된 AUDIO MODE 로부터는 그 오디오 신호가 음성다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UDIO MODE 가 제 3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3 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제 1 가능성은 일본어가 채널 1 에 기록되고 영어가 채널 2 에 기록되는 것이다. 제 2 가능성은 일반 해설이 채널 1 에 기록되고 한 팀에 대한 것과 같은 특정 해설이 채널 2 에 기록되는 것이다. 제 3 가능성은 대사가 채널 1 에 기록되고 배경 음악이 채널 2 에 기록되는 것이다.
SD의 4 채널 모드, HD의 4 채널 모드 및 HD의 8 채널 모드에는 가용 채널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들이 연관되어 있는지를 구분할 수 없는 유사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본어 스테레오 사운드와 영어 스테레오 사운드가 테이프상에 4 채널 모드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사운드들이 재생될때까지 그 기록된 사운드들은 구분될 수 없다.
오디오 신호를 8 채널에 기록할 수 있는 VCR, 예컨대 HDVCR은 전술의 유로 스포츠 채널의 4 개 국어 스테레오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록 포멧을 구분할 수 없다.
발명의 목적과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단점을 회피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록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채널에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이 다른 내용의 오디오 신호를 표현하는지, 관련된 내용의 음성다중 오디오 신호들을 표현하는지를 쉽게 판정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서, 전술의 목적은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충족된다. 음성다중 표시는 두 개 이상의 오디오 채널이 공동의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때 생성되며 그 음성다중 표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다수의 오디오 채널 및 두개 이상의 상기 오디오 채널이 공동의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음성 다중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는 음성다중 표시가 두개 이상의 오디오 채널이 공동의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에 동작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된 음성다중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의 모든 채널을 재생하지 않아도 인식될 수 있다. 주 오디오 신호는 한 채널을 선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음성다중 채널들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그 언어들중 한가지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대응 부분이 동일한 참조번호로 병기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후술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진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호한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그 신호를 데이터에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VCR 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디스크와 같은 다른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통신선을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는 디지털 VCR 에서, 합성 디지털 칼라 비디오 데이터는 루미넌스 신호 Y 와 칼라 차분 신호들(R-Y) 및 (B-Y)로 분리된다. 그분리된 신호들은 예컨대 이산코사인 변환(DCT)과 가변길이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압축된다. 그 압축된 신호들은 SD 시스템(525 라인/60Hz 또는 652 라인/50Hz) 또는 HS 시스템(1125 라인/60Hz 또는 1250 라인/ 50Hz)에서 헤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범용 기록 재생 장치처럼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디지털 VCR 의 경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응용 ID 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 제안 시스템에서는 카세트가 비디오 보조 데이터(Video Auxlliary Data; VAUX), 오디오 보조 데이터(Audio Auxiliary Data; AAUX), 서브 코드 데이터 및 그 카세트의 메모리(MIC)를 가지고 있다. 본원에서 팩이라고 하는 상세히 후술될 데이터 유닛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의 후-기록, 비디오 데이터 삽입, 그리고 수직 블랭킹 기간에서 중첩된 데이터의 기록(예컨대 방송국의 관리 신호와 의료용 신호)이 수행된다.
응용 ID 시스템에 의해, 가정용 디지털 VCR 의 카세트, 메카니즘, 서보 시스템, ITI 영역 생성/검출 회로등은 데이터 흐름기(data streamer)나 다중트랙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와 같이 완전히 상이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미리 정해진 하나의 영역의 내용은 그 영역의 응용 ID 에 상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 응용 ID 의 값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 오디오 데이터 및 컴퓨터 데이터가 지정될 수 있다.
이하 제 5 도 내지 제 21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록 포멧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안된 시스템의 응용 ID 를 설명한다.
제 5A 도는 본 발명의 디지털 VCR 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프상에 경사지게 형성된 트랙을 도시하고 있다. 제 5B 도는 제 5A 도에 예시된 트랙들 중 한 트랙을 도시하고 있다. 후-기록 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타이밍 블럭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밍 블럭을 ITI(삽입 및 트랙 정보; Insert and Track Information)라고 한다. ITI 는 후-기록 동작시 다시 쓰여지는 데이터의 영역을 정밀하게 배열하는데 사용된다. ITI 는 항상 트랙을 다시 쓸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ITI 영역에서, 싱크 길이가 짧은 다수의 싱크 블럭들이 쓰여진다. 그 싱크 블럭들에는 트랙 진입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속해서 싱크번호들이 할당된다. 후-기록 동작 수행시, 어떤 싱크 블럭이 검출되면 현재의 트랙 위치가 정밀하게 판정 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기록 동작의 영역은 현재의 트랙 위치와 관련하여 정의된다. 대개는 헤드등의 기계적 정밀성으로 인해 헤드가 트랙 진입측을 안정하게 접촉할 수 없으므로 싱크 길이는 단축되고 그 검출 능력을 높히기 위해서 많은 싱크 블럭들이 쓰여진다.
제 6 도는 ITI 영역의 도면이다.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ITI는프리앰블, 개시 싱크 블럭 영역(Start Sync Block Area; SSA), 트랙 정보 영역 (Track Information Area; TIA) 및 포스트앰블을 포함하고 있다.
프리앰블은 1400 비트를 가지고 있으며 재생중에 사용되는 위상 고정 루프의실행 영역(run-in area for phase locked loop)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SSA 는 각각 30 비트 가지고 있는 61 개의 블럭을 구비하고 있다.
TIA 는 총 90 비트를 갖는 3 개의 블럭을 구비하고 있으며 모든 트랙에 관한 정보, 즉 3 비트의 트랙 응용 ID (Application ID of a Track; APT), SP/LP 비트(트랙 피치를 표현하며 여유를 위해서 3 배로 기록됨), 예비 비트 및 서보 시스템의 참조 프레임을 표현하는 파일럿 프레임(PF)을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포스트앰블은 280 비트를 갖는 마진이다.
MIC 카세트는 집적 회로(IC) 메모리를 가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MIC 카세트가 VCR 안에 장착될때, 상기 메모리 IC 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된다. 상기 메모리 IC 는 테이프 길이,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유형과 같은 고유 정보뿐만 아니라 목차(Table of Contents; TOC) 정보, 색인(Index) 정보, 문자 정보, 재생 제어 정보, 및 타이머 기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MIC 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합하여, 특정 프로그램의 스킵, 프로그램 재생 순서의 설정, 및 특정 프로그램에 의한 정지 화상(photo image)의 재생과 같은 소정의 동작, 및 타이머 기록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응용 ID 는 상기 MIC 의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APM (MIC 의 응용 ID)으로써 상기 MIC 의 어드레스 0 의 상위 3 비트에 저장되며, 또한 트랙의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APT (트랙의 응용 ID)로써 TIA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 응용 ID 는 응용보다는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규정한다.
제 7 도는 제 5B 도에 도시된 트랙의 보다 상세한 다이어그램이다. ITI 영 역 후, 상기 트랙은 여러 영역, 영역 1, 영역 2, ... 영역 n 으로 분할된다. APT는 트랙상에 분할된 영역의 위치와 같은 데이터 구조, 동기화 블럭의 구조, 및 에러 보정 코드(ECC)의 구조를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영역, 영역 1, 영역 2, ... 영역 n 은 각각 자체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응용 ID인 AP1, AP2, ... APn 을 갖는다.
제 8 도는 상기 트랙 영역에 대한 응용 ID들의 계층 구조 (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APT 는, 주트랙 응용 ID 로써, 트랙 영역의 수를 규정한다. 제 8 도에서, 2 개의 계층 레벨이 도시되나, 추가로 하위 계층레벨이 제공될 수도 있다. APM 은, MIC 의 응용 ID 로써, 항상 한개의 계층 레벨을 나타낸다. APT 의 값은 또한 디지털 VCR 에 의해 APM 에 기록된다.
제9A 도는 APT = 000 일때, 트랙 구조를 도시한다. 영역 1, 영역 2, 및 영 역 3 이 트랙상에 규정된다. 더우기, 영역의 위치, 싱크(Sync) 블럭의 구조, ECC의 구조, 각각의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갭, 및 오버라이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라이트 마진이 규정된다. 영역 1, 영역 2, 및 영역 3 은 각각 자체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응용 ID, AP1, AP2, 및 AP3 를 갖는다. APT = 000 일때, AAUX, VAUX, 서브-코드, 및 MIC 의 각 영역이 공통 팩 구조에 기록된다.
제 9B 도는 AP1 = AP2 = AP3 = 000 일때, 트랙 영역 사용을 도시한다. AP1 = 000 일때, 영역 1 은 소비자 디지털 VCR(CVCR) 오디오 보조 데이터(AAUX)의 오디오용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AP2 = 000 일때, 영역 2 는 CVCR 비디오 보조 데이터 (VAUX)의 비디오용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AP3 = 000 일때, 영역 3 은 CVCR 서브-코드 ID 의 서브 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더우기, APM 의 값은 000이다.
제 10 도는 한 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한 팩은 일반적으로 5 바이트(PC0 내지 PC4)를 포함한다. 팩은 데이터 그룹의 최소 단위이다. 한 팩은 관련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제1 바이트는 헤더이고 나머지 4개 바이트는 데이터이다. 그러나, 문자 데이터가 MIC 에 기록될 때에만, 가변 길이 팩 구조가 제한된 버퍼 메모리를 보다 유효하게 사용하는데 활용된다.
제 11 도는 팩 헤더 계층도이다. 팩 헤더의 상위 4 비트 및 하위 4 비트는 각각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로써 계층적으로 구성되고, 256 엔트리에 대한 용량을 가진 팩 헤더 테이블을 포함한다. 더우기, 레벨 수는 비트 할당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 계층 구조에 있어서, 팩의 내용은 명확하게 구성되어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팩 헤더 테이블은 각 팩의 내용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팩 헤더 테이블에 의해, 각각의 영역이 기록된다.
제 12 도는 한 트랙의 오디오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오디오 섹터로 지칭되며, 프리앰블, 데이터부, 및 포스트앰블을 구비한다. 상기 프리앰블은 500 비트를 가지며,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런-업 패턴(run-up pattern)예 사용되는 400 비트의 런-업 영역, 및 오디오 싱크 블럭을 예비-검출하는데 사용되는 두개의 프리-싱크(pre-sync)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부는 10500 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포스트앰블은 550 비트를 가지며, ID 의 싱크 번호로 오디오 섹터의 끝을 나타내는 한개의 포스트-싱크 블럭, 및 후 기록되는 오디오 섹터가 그 다음 비디오 섹터로 엔터링하지 못하게 막는데 사용되는 500 비트의 보호 영역 (guard area)으로 이루어진다.
제 13 및 14 도는 각각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각각의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은 6 바이트를 갖는다. 프리-싱크 블럭의 6번째 바이트는 SP/LP 식별 바이트이다. SP/LP 식별 바이트의 값이 FFh 일때, 이는 SP 모드를 나타낸다. SP/LP 식별 바이트의 값이 00h 일때, 이는 LP 모드를 나타낸다. 포스트-싱크 블럭의 6번째 바이트는 모조데이터(dummy data), FFh 이다. 상기 SP/LP 식별 바이트는 SP/LP 플래그로써 TIA 영역에도 존재한다. 프리-싱크 블럭의 SP/LP 식별 바이트는 상기 TIA 영역에서 SP/LP 플래그의 예비용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상기 TIA 영역의 값이 판독되면 그 값이 사용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프리-싱크 블럭의 SP/LP 식별 바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의 6 바이트는 각각 24-25 변환이 실행된후 기록된다. 상기 24-25 변환은, 24 바이트의 데이터가 25 비트의 데이터로 변환되는 변조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의 각각의 비트 길이는 다음과 같다.
프리-싱크 블럭(6 x 2 x 8 x 25)/24 = 100 비트
포스트-싱크 블럭(6 x 1 x 8 x 25)/24 = 50 비트
제 15 도는 제 12 도에 도시된 트랙의 오디오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부내의14 개의 싱크 블럭중 한 싱크 블럭 (오디오 싱크 블럭으로 지칭됨)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한개의 오디오 싱크 블럭은 90 바이트를 갖는다. 상기 오디오 싱크 블럭의 처음 5 바이트는 상기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한 오디오 싱크 블럭의 데이터부는 수평 패리티 C1 (8 바이트) 및 수직 패리티 C2(5 개의 싱크 블럭)에 의해 보호되는 77 바이트를 갖는다. 이들 오디오 싱크 블럭은, 24-25 변환이 실행된 후, 기록된다. 따라서, 한 트랙에서 상기 오디오 싱크 블럭의 전체 비트 길이는
(90 x 14 x 8 x 25)/24 = 10500 비트이다.
상기 데이터부의 처음 5 바이트는 AAUX 에 사용되며 1 개의 팩을 구비한다.각각의 트랙은 9 개의 팩을 갖는다. 제 15 도에서 번호 0 내지 8 는 트랙의 팩 번호를 나타낸다.
제 1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트랙의 오디오 영역은 72 x 9 = 648 바이트에 대한 용량을 제공하는 9 개의 싱크 블럭을 포함한다. 5 개의 트랙은 648 x 5 = 3240 바이트의 오디오 데이터 용량을 가지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 용량은 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해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량이다. 다시 말해, 이는 16 비트 모드에서 매 5 개 트랙(60Hz 시스템) 또는 6 개 트랙(50Hz 시스템)마다 한 채널상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량이다.
제 16 도는 트랙 방향으로 배열된 AAUX 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오디오 데이터 및 서브-코드 데이터가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기록 및 재생된다. 제 16 도에서, 번호 50 내지 55 는 팩 헤더값(16 진법)을 나타낸다. 제 1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팩이 에러 방지를 위해 10 개 트랙 각각 안에 중복 기록된다. 따라서, 주 영역안의 데이터는, 테이프 이송시 수평 스크래치 및 채널 클로깅(channel clogging)이 발생할 지라도, 재생될 수 있다. 팩 헤더가 기록되는 부분은 주영역이라 불리며, 샘플링 주파수 및 양자화 비트 수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에 필요한 기본 아이템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팩은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선택 영역으로 사용된다. 제 16 도에서, 나머지 팩은, 주영역안의 팩을 스킵하면서, a, b, c, d, e, f, g, h ... 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속된다. 한개의 비디오 프레임은 선택 영역에서 30 개의 팩(525 라인/60Hz 시스템) 또는 36 개의 팩(625 라인/ 50Hz 시스템)을 갖는다. 선택 영역에서, 각각의 특정 디지털 VCR 포멧에 대응하는 팩 헤더 테이블로부터 팩들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 17 도는 한 트랙의 비디오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비디오 섹터로 지칭되며, 프리앰블, 149 싱크 블럭의 비디오 데이터부, 및 포스트앰블을 구비한다. 비디오 섹터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 데이터 구조는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비디오 섹터 포스트앰블의 보호 영역의 비트 수는 오디오 섹터 포스트앰블의 그것보다 크다.
제 18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트랙의 비디오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부에서 149 개의 싱크 블럭중 한 블럭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비디오 싱크 블럭으로 지칭된다. 상기 오디오 싱크 블럭에서와 같이, 한 비디오 싱크 블럭은 90 바이트를 갖는다. 상기 비디오 싱크 블럭의 처음 5 바이트는 상기 프리-싱크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비디오 싱크 블럭 데이터부는 수평 패리티 C1 (8 바이트) 및 수직 패리티 C2 에 의해 보호받는 77 바이트를 갖는다. 비디오 싱크 블럭은 24-25 변환이 실행된후 기록된다.
한 트랙에서 비디오 싱크 블럭의 전체 비트 길이는
(90 x 149 x 8 x 25)/24 = 11175O 비트이다.
제 19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트랙의 비디오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부에서의 149 개의 싱크 블럭의 수직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C2 패리티 바로 앞에 선행하는 2 개의 상부 싱크 블럭 및 1 개의 싱크 블럭은 VAUX 전용 싱크 블럭이다. 77 바이트의 데이터는 VAUX 데이터로써 사용된다. 상기 VAUX 전용 싱크 블럭 및 C2 싱크 블럭과는 다른 싱크 블럭, 즉 제 19 도 중간의 135 개의 싱크 블럭에는 DCT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된다. 각각의 BUFO 내지 BUF26 는 버퍼링 유닛을 나타낸다. 한개의 버퍼링 유닛은 5개의 싱크 블럭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트랙은 37 개의 버퍼링 유닛을 갖는다. 따라서, 한 비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10 개의 트랙은 270 개의 버퍼링 유닛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유효 화상 영역은 한 프레임동안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발췌되어 샘플링된다. 합성 디지털 데이터가 셔플링되며, 실제 화상의 여러 부분으로부터 270 개의 그룹이 콜렉팅된다. 이 270 개의 그룹중 하나는 버퍼링 유닛이다. 각각의 그룹은, 모든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량이 소정의 압축 값이 되는 방식으로, DCT 기술, 양자화 기술, 또는 가변 길이 코드 인코딩 기술과 같은 압축 기술에 따라 압축된다. 전형적으로, 발생된 데이터의 량이 원하는 값 또는 그 이하가 되는양자화 단계가 결정되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인코딩되어 발생된 데이터는 5 개의 싱크 블럭을 가진 한개의 버퍼링 블럭안에 팩킹된다.
제 20 도는 한 트랙의 서브-코드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서브-코드 섹터로 지칭되며, 프리앰블, 서브-코드 데이터부, 및 포스트앰블을 구비한다. 서브- 코드 섹터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 데이터 구조는 프리-싱크 블럭 및 포스트-싱크 블럭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오디오 및 비디오 섹터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과 상이하다. 더우기, 상기 서브-코드 섹터의 길이는 기타 다른 섹터의 길이보다 짧은데, 이는 서브-코드 섹터가 200 배에 이르는 고속 서치 동작등의 색인 기록에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더우기, 상기 서브-코드 섹터가 트랙의 최종 부분에서 형성되므로, 트랙의 시작에서 발생하는 에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제 21 도는 제 20 도에 도시된 트랙의 서브-코드 영역의 서브-코드 데이터 부분에서 싱크 블록 중 한 싱크 블럭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 서브-코드 싱크 블럭으로 지칭된다. 상기 서브-코드 싱크 블럭의 길이는 12 바이트이다. 상기 서브-코드 싱크 블럭의 처음 5 바이트의 구조는 오디오- 싱크 블럭 및 비디오-싱크 블럭과 동일하다. 그 다음의 5 바이트는 적을 포함하는 데이터 부분이다. 수평 패리티 C1 는 2 바이트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부분을 보호한다. 상기 오디오 섹터 및 비디오 섹터와는 달리, 서브-코드 섹터에서, Cl 및 C2 를 사용하는 프로덕트 코드 구조는 활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서브-코드 섹터가 주로 고속 서치 동작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C2 패리티는 종종 Cl 패리티와 함께 재생되지 않는다. 각각의 트랙은 12 개의 서브-코드 싱크 블럭을 갖는다. 상기 서브-코드 싱크블럭은, 24-25 변환이 실행된후 기록된다.
한 트랙에서 서브-코드 싱크 블럭의 전체 비트 길이는
(12 x 12 x 8 x 25)/24 = 1200 비트이다.
제 5 내지 21 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디지틸 VCR이 제 22 내지 25 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 2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 의 기록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CR 에서, 디지털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R-Y), (B-Y)가 압축되어 비디오 섹터상에 기록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섹터상에 기록된다. 더우기, VAUX 및 AAUX 가 팩 구조로 기록된다.
제 22 도의 안테나(1)는 방송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이 TV 신호를(NTSC 시스템 또는 PAL 시스템에 대응하는)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는 튜너(2)에 공급한다. 튜너(2)는 스위치(3a)에 합성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치(3h)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외부 비디오 입력 단자(4)는 아날로그 합성 비디오 칼라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3a)에 공급한다.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5)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3b)에 공급한다.
상기 스위치(3a)는 튜너부(2)로부터 수신된 합성 비디오 신호와 외부 비디오입력 단자(4)로부터 수신된 합성 비디오 신호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스위치(3a)의 출력은 Y/C 분리 회로(6) 및 동기화 분리 회로(11)에 공급된다.
상기 Y/C 분리 회로(6)는 상기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R-Y) 및 (B-Y)를 분리하여, 이들 신호를 각각 저역 필터(7a, 7b, 및 7c)에 공급하여 루프-백 왜곡(loop-back distortion)을 제거하도록 입력 신호의 대역을 제한한다. 상기 저역 필터(7a, 7b 및 7c)의 차단 주파수는 각각 NTSC 4:1:1 시스템에서 각각 5.75MHz, 1.45HHz 및 1.45MHz 이다. 상기 차단 주파수는, PAL 또는 SECAM 4:2:0 시스템과 같은 다른 시스템이 사용될 경우, 변화된다.
A/D 변환기(8a, 8b, 및 8c)는 저역 필터링된 신호를 수신하여,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12) 및 분주기(frequency divider, 13)로부터 공급된 클럭 신호에 따라 각각 13.5MHz(4 x rate)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휘도 신호(Y)를, 3.375MHz(1 x rate)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색차 신호(R-Y), 및 3.75MHz(1 x rate)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색차 신호(B-Y)를 샘플링하도록 적응된다.
상기 동기화 분리 회로(11)는 수직 동기화 신호(V 싱크) 및 수평 동기화 신호(H 싱크)를 생성하여 PLL 회로(12)에 공급한다. PLL 회로(12)는 이들 신호를 입력 비디오 신호에 로크된 4 x rate 샘플링 주파수 13.5MHz 에서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13.5MHz 클럭 신호를 A/D 변환기(8a) 및 분주기(13)에 인가한다. 상기 분주기(13)는 상기 13.5MHz 주파수의 l/4 에서 클럭 신호, 즉 3.375MHz 에서 1 x rate 샘플링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1 x rate 클릭 신호를 A/D 변환기(8b 및 8c)에 인가한다.
디지털 콤포넌트 비디오 신호(Y), (R-Y), 및 (B-Y)는 A/D 변환기(8a, 8b, 및 8c)로부터 블러킹 회로(9)에 공급되며, 이 블러킹 회로(9)는 라스터 스캐닝된 데이터를 8 개의 샘플 x 8 개의 라인으로된 블럭으로 변환시키고, 블러킹된 비디오 데이터를 셔플링 회로(10)에 공급한다. 상기 셔플링 회로(10)는 블럭들을 셔플링한다. 상기 셔플링 프로세스는 테이프의 수평 스크래치 및 헤드 클로깅으로 인해 테이프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실행된다. 더우기, 상기 셔플링 회로(10)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가 후속 회로에서 보다 쉽게 처리되도록 블럭의 순서를 변화시킨다.
상기 셔플링된 블럭들은 DCT 압축을 실행하는 압축 회로, 데이터가 소정의 레벨로 압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추정기(estimator), 및 이 추정기에 의한 결정에 따른 양자화 단계로 압축된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장치를 구비한 데이터 압축 및 인코딩부(14)에 공급된다. 상기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프레이밍(framing) 회로(15)에 의해 소정의 싱크 블럭으로 패킹된다. 상기 프레이밍 회로(15)의 출력은 결합 회로(16)에 공급된다.
스위치(3b)는 튜너(2)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5)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A/D 변환기(21)에 공급하며, 이 A/D 변환기(21)는 상기 선택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이 신호를 셔플링 회로 (22)에 인가한다. 상기 셔플링 회로(22)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셔플링한다. 상기 셔플링 회로 (22)의 출력은 프레이밍 회로(23)에 공급된다. 프레이밍 회로(23)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동기 블럭에 집합시킨다. 프레이밍 회로(23)의 출력은 결합 회로(24)에 공급된다.
VCR 의 모드들을 관리하는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 (3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모드 처리 마이크로 컴퓨터(34)는 TV 영상의 필드 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한다(60Hz 또는 50Hz).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34)는 비디오 보조 데이터 VAUX, 오디오 보조 데이터 AAUX 및 서브-코드로 이루어진 팩 데이터를 발생한다.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는 드럼의 회전과 동기하여, 즉 9000rpm 및 l50Hz 에서 동작한다.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는 비디오 보조 데이터(VAUX), 오디오 보조 데이터(AAUX), 서브-코드 데이터, "제목 끝" 팩속에 포함되는 절대 트랙 번호 및, 서브-코드에 기억되는 시간 제목 코드(TTC)를 발생한다. 비디오 보조 데이터 VAUX 는 VAUX 회로(17)에 공급된다. 오디오 보조 데이터 AAUX 는 AAUX 회로(19)에 공급된다.
결합 회로(16)는 프레이밍 회로(15)의 출력과 회로(17)로 부터의 VAUX 데이터를 결합한다. 결합 회로(24)는 프레이밍 회로(23)의 출력과 회로(19)로부터의 AAUX 데이터를 결합한다. 결합 회로(16 및 24)의 출력은 각각 WDATA 및 ADATA 로서 스위치 (26)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회로(18)는 ID 부, 즉, AP3 의 데이터 SID 및,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의 출력에 상응하는 서브-코드 팩 데이터 SDATA 를 발생한다. 발생된 데이터들은 스위치(26)에 공급된다. 싱크(syuc) 발생 회로(25)는 각각의 ID 부에 대한 AP1 및 AP2, 프리-싱크 및, 포스트-싱크를 포함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싱크 블럭의 각 ID 부를 발생하고, 발생된 데이터를 스위치(26)에 공급한다.
스위치(26)는 예정된 타이밍에서 회로(25)의 출력, ADATA, VDATA, SID 및SDATA 중 하나를 선택한다, 스위치 회로 (26)의 출력은 에러 정정 부호 발생 회로 (27)에 공급되고, 이 회로(27)는 스위칭 회로(26)의 출력에 예정된 패리티를 더하고 패리티가 더해질 정보를 난수화 회로(randomizing circuit) (29)에 공급한다. 난수화 회로(29)는 에러 정정 부호 발생 회로 (27)의 출력을 난수화하여, 동일한 값(0 또는 1)을 가지면서 예정된 길이를 초과하는 데이터 문자열(str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난수화 회로(29)의 출력은 24/25 변환 회로(30)에 공급되고, 이 변환 회로(30)는 24-비트 데이터를 25-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기적 기록 및 재생 동작을 위해 DC 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디지털 기록에 적당한 PRIV(부분 응답, 클래스 4) 코딩 처리(1/1-D2)(도시되지 않음)가 수행된다.
24/25 변환 회로(30)의 출력은 결합 회로(31)에 공급되고, 이 결합 회로(31)는 24/25 변환 회로의 출력과 오디오, 비디오 및 서브-코드의 싱크 패턴을 결합시킨다. 결합 회로(31)의 출력은 스위치(32)에 공급된다.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34)는 데이터 APT, SP/LP 및 PF 를 ITl 회로(33)에 인가하고, 이 ITI 회로(33)는 ITI 섹터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ITI 섹터 데이터를 스위치(32)에 공급한다.
스위치(32)는 예정된 타이밍에서 결합 회로(31)의 출력, ITI 섹터 데이터 및 앰블 패턴중 하나를 선택한다. 스위치 (32)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는 스위치(35)에 공급되고, 이 스위치 (35)는 헤드 스위칭 타이밍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헤드 증폭기(36a) 또는 헤드 증폭기(36b)로 보낸다. 증폭기(36a 및 36b)는 선택된 데이터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데이터를 헤드(37a 및 37b)에 각각 인가한다.
VCR 은 기록 및 재생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외부 스위치 블럭(40)을 구비한다. 스위치 블럭(40)은 SP/LP 기록 모드 설정 스위치를 구비한다. 스위치 블럭(40)의 스위치 신호들은 기계적 제어 마이크로컴퓨터 (28) 및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에 제공된다.
제 23 도는 AAUX 팩 데이터 발생 회로의 블럭도이다. 회로들(201 내지 207)은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34)에 의해 실행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메인(main) 영역용 데이터 수집 발생 회로(201)는 디지털 버스로부터의 몇몇카피(copy) 관리 시스템 데이터(SCMS)와, 오디오 모드 데이터, 샘플링 주파수 (SMP), 양자화 비트의 번호 (QU) 및, 튜너로부터의 CP 를 수신하고, 메인 팩의 비트/바이트 구조로 조립된 메인 영역 데이터 그룹을 발생한다. 메인 영역 데이터 그룹은 음성다중(multilingual) 표시를 포함하고, 이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논의된다. 스위치(202)는 적당한 메인 영역 팩 헤더를 메인 영역 데이터 그룹에 부가하고, 그 결과로 발생한 데이터를 스위치(206)를 통해 병렬-직렬(PS) 변환 회로 (208)에 공급한다.
선택(optional) 영역용 데이터 수집 회로(203)는 튜너로부터의 TV 프로그램제목과 함께 PCM 방송의 디지털 오디오 음악 프로그램 제목을 수신하고, 선택 영역데이터 그룹을 발생한다. 튜너로부터 수신된 소위 A 모드 및 B 모드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샘플링 주파수, 양자화 비트 번호 등등이 예정될 수도 있다. AAUX 폐쇄 캡션 팩(55h)을 발생하기 위하여, 수직 소거 기간내의 폐쇄 캡션 신호튜너로부터 수신된다. 오디오 정보는 디코더(210)에 의해 추출된다. 오디오 정보는 주소(50h) 및 (5lh)의 각 팩에 기억된다. 선택 영역에 기록된 팩은 VCR 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설정 회로(204)는 선택 영역 팩 헤더를 발생하고, 이 헤더를 스위치 (205)에 공급한다. 스위치(205)는 상기 헤더를 선택 영역 데이터 그룹에 부가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타이밍 조정 회로 (207)에 의해 제공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스위치(206)를 통해 PS 변환 회로(208)에 공급한다,
PS 변환 회로(208)는 AAUX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직렬 데이터를 예정된 마이크로컴퓨터간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20)는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데이터를 버퍼에 기억한다. AAUX 회로 (19)에서 발생한 커맨드에 상응하여, 병렬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예정된 타이밍에서 결합 회로(24)에 전송된다.
제 24A 도 및 제 24B 도는 본 발명에 적응된 디지털 VCR 의 재생부의 블럭도 이다.
헤드(101a 및 101b)는 재생된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들을 헤드 증폭기(102a 및 102b)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 헤드 증폭기들은 재생된 데이터 신호들을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들을 스위치(103)에 인가한다. 스위치(103)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는 역엠파시스 처리를 수행하는 등화 회로(104)에 공급된다. 데이터가 기록될때, 테이프와 자기 헤드의 전자기 변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위 엠파시스 처리(예컨대 부분 응답, 클래스 4)가 수행된다.
등화 회로(104)의 출력은 A/D 변환기(106) 및 클릭 추출 회로(105)에 인가된다. 클럭 추출 회로(105)는 재생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를 추출한다. 등화 회로 (104)의 출력은 추출된 클럭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타이밍에서 A/D 변환기(106)에 의해 디지털화된다. 그 결과의 1-비트 데이터가 선입선출(FIFO) 메모리(107)에 기입되고, 이 메모리로부터 싱크 패턴 검출 회로 (108)로 독출된다.
각각의 영역의 싱크 패턴은 스위치(109)를 통해 싱크 패턴 검출 회로(108)에 공급된다. 스위치(109)의 스위치 위치는 타이밍 회로(113)에 대응하여 변한다. 싱크 패턴 검출 회로(108)는 우연히 발생하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른바 플라이휠(flywheel) 구성을 갖는다. 플라이휠 구성에서, 싱크 패턴이 검출될때마다 동일 싱크 패턴이 예정된 길이의 기간동안 수신되었는지 그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이 판정 결과가 3 번이상 "예"이면, 회로(108)는 싱크 패턴이 신뢰성 있다고 감지한다.
신뢰성 있는 싱크 패턴이 검출될때, FIFO(107)의 각 스테이지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싱크 블럭을 구성하기 위한 이동량이 결정된다. 이동량에 상응하여, 요구되는 비트들이 스위치(110)를 통해 싱크 블럭 고정 래치(111)에 인가된다.
획득된 싱크의 싱크 번호는 추출 회로(112)에 의해 추출되고 타이밍 회로 (113)에 인가된다. 트랙상의 헤드 위치는 싱크 번호에 상응하므로, 스위치(109 및 114)의 스위치 위치가 변한다.
ITI 섹터의 경우, 스위치(114)는 하위에 위치된다. 분리 회로(115)는 ITI 싱크 패턴을 분리한다. ITI 싱크 패턴은 ITI 디코더(116)에 공급된다. ITI 영역에서,엔코드된 데이터가 기록된다. 따라서 ITI 영역에서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APT, SP/LP 및 PF 데이터가 얻어질 수 있다. 디코드된 데이터는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17)에 공급되고, 이 컴퓨터(117)는 VCR 의 동작 모드등을 판정하고 외부 동작 키(118)에 접속된다.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17)는 기계적 제어 마이크로컴퓨터 (128) 및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51)와 협력하여 VCR 의 재생부를 제어 한다.
오디오 또는 비디오 섹터 또는 서브-코드 섹터의 경우, 스위치(114)가 상위에 위치된다. 분리 회로(122)는 각 섹터의 싱크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싱크 패턴을 24/25 역변환 회로 (123)를 통해 역난수화 회로에 공급하여 원 데이터 시퀀스를 복원한다. 복원된 데이터는 에러 정정 회로(125)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회로(125)는 잘못된 데이터를 검출 및 정정한다. 정정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에러 플래그가 이 데이터에 부가된다. 회로(125)의 출력은 스위치 (126)에 인가된다.
회로(127)는 A/V 섹터, 프리-싱크 및 포스트-싱크의 ID 부를 처리한다, 회로 (127)는 싱크 번호, 트랙 번호 및, 프리- 싱크 및 포스트-싱크의 각 싱크에 기억된 SP/LP 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데이터를 다양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 회로 (113)에 공급한다. 또한, 회로(127)는 응용 ID AP1 내지 AP2 를 추출하고, 이것을 모든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17)에 공급하면, 이 마이크로컴퓨터(117)는 AP1 내지 AP2 에 상응하는 포멧을 결정한다. AP1 내지 AP2 가 000 일 경우, 모드 처리 마이크로 컴퓨터(117)는 AREA2(제 7 도 및 제 8 도 참조)를 영상 데이터 영역으로서정의하고, 정규 동작이 발생할 것으로 가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는 경고 처리를 수행한다.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17)는 ITI 영역에 기억된 SP/LP 정보를 판정한다. ITI 영역의 TIA 영역에서, SP/LP 정보는 세번 기입된다. 다수결의 법칙에 의해, SP/LP 정보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오디오 섹터 및 비디오 섹터에는, SP/LP 정보가 기입되는 총 4 개의 싱크 블럭이 존재한다. 다수결의 법칙에 의하여, 신뢰성이 더욱 개선된다. 만약 ITI 영역에 기입된 SP/LP 정보가 프리-싱크 블럭에 기입된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ITI 영역에 기입된 정보가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비디오 섹터와 재생 데이터는 제 24B 도에 도시된 스위치 (129)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 및 VAUX 데이터로 분리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에러 플래그와 함께 디프레이밍 회로(130)에 공급된다. 디프레이밍 회로(130)는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분해하여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고, 이 영상 데이터는 역양자화 회로(131) 및 역압축 회로(132)를 포함하는 데이터 역압축 및 디코딩부에 공급된다. 회로(131)는 디프레이밍 회로(130)로 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하고, 역양자화된 데이터를 회로 (132)에 공급한다. 회로(132)는 역양자화된 데이터를 역직교 변환하여, 역압축된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역압축된 데이터를 디셔플링 회로(133)로 공급한다. 디셔플링 회로(133)는 역압축된 데이터를 디셔플링하고, 디셔플링된 데이터는 휘도 및 색차 데이터로서 블럭 디세크먼팅 회로(134)에 인가된다. 상기 블럭 디세그먼팅 회로는 원영상 시퀀스를 복구한다.
디세그먼트된 휘도 및 색차 신호는 D/A 변환기(135a, 135b, 135c)로 각각 공급되고, 상기 변환기들은 각각 13.5MHz, 3.375MHz 및 3.375MHz 의 클럭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한다(NTSC신호의 경우).
발진기(139)는 수정 발진기(138)의 출력에 근거한 13.5MHz 클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13.5MHz 클럭 신호를 주파수 분할기(140)로 공급한다. 주파수 분할기 (140)는 6.75MHz 및 3.375MHz 에서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발진기(139)는 13.5MHz 신호를 동기 신호 발생 회로(141)에 인가하고, 동기 신호 발생 회로는 NTSC 기준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같은 동기 신호를 발생하여 결합 회로 (137)로 공급한다.
아날로그 휘도 및 색차 신호는 Y/C 결합 회로(136)로 공급되고, Y/C 결합 회로(136)는 이들 신호를 결합하여 결합된 신호를 결합 회로(137)로 보낸다.
결합 회로(137)는 상기 결합 신호와 동기 신호를 결합하고, 그 결과의 복합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출력 단자 (142)에 공급한다.
오디오 섹터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스위치(143)로 공급되고, 스위치(143)는 상기 더이터를 오디오 데이터 및 AAUX데이터로 분리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디셔플링 회로(145)에 공급된다. 디셔플링 회로(145)는 오디오 데이터의 원시간 베이스를 복구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에러 플래그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가 보간된다. 디셔플링 치로(145)의 출력은 D/A 변환기(146)에 공급되고, D/A 변환기(l46)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여 이를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하여 출력 단자(147)에 공급한다.
스위치(129 및 143)에 의해 선택된 VAUX 및 AAUX 데이터는 각각 VAUX 회로(148) 및 AAUX 회로(150)에 공급된다. VAUX 회로(148) 및 AAUX 회로(150)는 에러 플래그에 따라 다중 기입 상황에 대한 다수법칙(rule-of-majority) 처리와 같은 사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코드 섹터의 ID 부 및 데이터부는 서브-코드 회로(149)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회로(149)는 에러 플래그에 따라 다수법칙 처리와 같은 사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코드 회로(149)의 출력은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51)에 공급되고,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51)는 최종 판독 동작을 수행한다.
제 25 도는 AAUX 팩 데이터 재생 회로(150)의 블럭도이다.
스위치(143)를 통해 수신된 AAUX 데이터는 예정된 타이밍에서 기입측 제어기 (302)에 의해 제어된 스위치(301)에 의해 메인 영역 데이터 및 선택 영역 데이터로분할된다.
팩 헤더 검출 회로(303)는 메인 영역 팩 데이터 헤더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메인 영역 팩 데이터 헤더에 따라 스위치 (304)를 제어한다. 팩 데이터가 에러를 갖지 않을 경우 이 팩 데이터는 메인 영역 메모리(305)에 기입되고, 메인 영역메모리 (305)는 각 데이터 워드에 대해 8 비트의 데이터 및 1 비트의 에러 플래그를 기억한다. 메인 영역 메모리(305)에서 각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내용의 초기 설정은 예컨대 "1'(정보 없음)이다. 에러가 검출된 경우, 어떠한 동작도 수행되지 않는다. 에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에러-프리 데이터 및 에러 플레그 "0"이 기입된다. 동일 팩이 메인 영역에 10 번(NTSC) 또는 12 번(PAL) 기입되므로, 한 비디오 프레임이 완성될때, 에러 플래그 "1"을 갖는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로서 인식된다
하나의 팩이 선택 영역에 기입되므로, 에러 플래그는 데이터와 함께 선택 영역 FIFO(308)에 기입된다.
메모리(305) 및 FIFO(308)의 내용은 판독 타이밍 제어기 (309)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306 및 307)를 통해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51)에 공급된다. 신호 처리 마이크로컴퓨터 (151)는 수신된 팩 데이터 및 에러 플래그에 상응하는 메인 영역 및 선택 영역용 데이터를 분석한다. 병렬 데이터가 직렬 데이터로 변환된 후, 이 변환된 신호는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 (117)로 공급된다. 모드 처리 마이크로컴퓨터(117)는 병렬 데이터를 기억하고, 팩 데이터를 분리하며, 분리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포멧의 음성다중 표시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제 15 도는 제 12 도에 도시된 트랙의 오디오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부내의 9개 싱크 블럭(0 ... 8)을 도시하며, 이 9 개의 싱크 블럭 각각이 5 바이트 AAUX 팩을 포함하고 있음을 상기하자. 제 10 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팩의 첫번째 바이트 (PC0)는 헤더이다.
제 26 도는 헤더 바이트 PC0 = 50h 일때 기록될 소스 자료(source material)에 대한 AAUX 팩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한다. 헤더에 상응하는 많은 데이터 구조 유형의 팩들이 존재하고, 제 26 도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음성다중 비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바이트 PC1은 다음 정보를 포함한다.
LF(1비트) : 이것은 비디오 샘플링 주파수 및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가 고정(lock)되었는지 그 여부를 표시한다. 비디오 샘플링 주파수는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의 단순배수(simple multiple)가 아니므로, 비디오 샘플의 프레임당 오디오 샘플의 수는 고정될 비디오 및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에 대해 변동되어야 한다.
AFSIZE(6 비트) :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에서 오디오 프레임의 크기(오디오 샘플의 수)를 나타낸다. 비디오 및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가 로크될때, AFSIZE 는 비디오 프레임마다 크기와 다르다.
데이터 바이트 PC2 는 다음 정보를 갖는다.
SM(1 비트) : 럼프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SM = "1").럼프된 오디오 신호는 앞의 두 오디오 블럭과 뒤의 두 오디오 블럭을 이용하여 기록되는 HD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며, 따라서 기록된 오디오 신호는 동시에 출력될 것이다.
CHN(2 비트) 5 또는 6 트랙에 걸치는 오디오 블럭내의 오디오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CHN = "00"은 하나의 채널이 오디오 블럭내에 기록되었음을 나타내고, CHN = "01"은 두 채널이 오디오 블록내에 기록되었음을 나타내며, CHN 의 다른 값은 보류된다.
PA(1 비트) : 두 채널이 동시에 재생되는지를 나타낸다 (PA = "0").
AUDIO MODE(4 비트) : 기록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낸다.
데이터 바이트 PC3 는 다음 정보를 갖는다,
ML(1 비트) : 데이터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ML= "0"은 데이터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었음을 나타낸다. ML ="1"은 데이터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50/60(1 비트) :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나타낸다.
STYPE(5 비트) : 비디오 신호가 SD 또는 HD 인지를 나타낸다.
데이터 바이트 PC4 는 다음 정보를 갖는다.
EF(1 비트) : 강세(emphasis)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TC(1 비트) : 시간 정수를 나타낸다.
SMP(3 비트) :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낸다.
QU(3 비트) : 양자화 비트의 수를 나타낸다.
제 27 도는 헤더 바이트 PC2의 AUDIO MODE 정보의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 27 도의 표의 정의는 제 2 도의 표에 대한 정의와 유사하고 또한 다음을 내포한다.
Wo : 우퍼 채널
LC : 8 채널 스테레오의 좌측 중앙 채널
RC : 8 채널 스테레오의 우측 중앙 채널
제 28A 도 내지 제 28E 도는 각 스테레오 모드의 각 채널의 스피커 위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도이다. 청취자 위치는 각 써클의 중앙에 있는 것으로 가정했다.
제 28A 도는 3 스피커(L, C 및 R)가 청취자의 정면에 있고 청취자 뒤에는 스피커가 없는 경우의 3/0 스테레오 모드를 도시한다. 중앙 스피커는 청취자 정면에 바로 위치해 있다. 우측 및 좌측 스피커는 중앙 스피커로부터 떨어져서 45° 위치해 있다.
제 28B 도는 3 스피커(L, C 및 R)가 청취자의 정면에 있고 서라운드 스피커 S 가 청취자 뒤에 있는 경우의 3/1 스테레오 모드이다. 서라운드 스피커는 청취자바로 뒤에 위치해 있다.
제 28C 도는 두 스피커(L, R)가 청취자의 정면에 있고 두 스피커(LS; Left Surround 및 RS; Right Surround)가 청취자측에 위치해 있다는 경우의 2/2 스테레오 모드이다.
제 28D 도는 3 스피커(L, C 및 R)가 청취자의 정면에 있고 4 스피커(Ls1, Ls2, Rs1, Rs2)가 청취자의 뒤에 위치해 있는 경우의 3/4 + Wo 스테레오 모드이다.인간의 귀는 저주파수 음의 방향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우퍼 스피커의 위치는문제되지 않는다.
제 28E 도는 5 스피커(L, Lc, C, Rc, R)가 청취자의 정면에 있고 2 스피커 (Ls, Rs)가 청취자 뒤에 있는 경우의 5/2 + Wo 스테레오 모드이다.
제 29A 도 내지 제 29D 및 제 30A 도 내지 제 30H 도를 참조하여, SD 및 HD신호용 AUDIO MODE, PA, SM 및 CHN 정보를 각각 갖는 오디오 제어 데이터를 설명한다.
제 29A 도 내지 제 29D 도는 표준 품질 신호가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SM = 0 이다.
제 29A 도는 스테레오 신호가 스테레오 2 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오디오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다. 좌측 오디오 신호와 우측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PA 는 "0"이다.
제 29B 도는 서로 다른 내용(예컨데, 2개국어로 된 프로그램)을 가진 두 모노럴 신호가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두 모노럴 신호가 각각 출력되기 때문에 PA 는 "1"이다.
제 29C 도는 3/1 스테레오 신호가 SD 4-채널 모드에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LR(좌측 및 우측 오디오 신호)과 CS (중앙과 서라운드 오디오 신호)는 동시에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PA 는 "0" 이다. 두 오디오 신호는 5 또는 6 트랙에 걸쳐한 오디오 블럭에 기록되기 때문에, CHN 은 "01"이다.
제 29D 도는 두개의 독립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LR 및 L'R')가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두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각각 출력되기 때문에 PA 는 "1"이다. CHN 은 두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오디오 블럭에 기록되기 때문에 "01"이다.
제 30A 도 내지 제 30C 도에서, HD 4-채널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들에서 하나의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오디오 블럭내에 기록되기 때문에, CHN = "00"이다. 이 경우들에서, 앞의 두 오디오 블럭의 오디오 신호 및 뒤의 두 오디오 블럭의 오디오 신호가 각각 출력되기 때문에, SM = 0이다.
제 30A 도는 HD 4-채널 모드에서 앞의 두 오디오 블럭을 이용할때 스테레오 신호가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L(좌측 오디오 신호) 및 R(우측 오디오신호)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PA 는 "0"이다.
제 30B 도는 두 스테레오 신호(LR 및 L'R')가 HD 4-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앞의 두 오디오 블럭들중 L 및 R은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앞의 두 오디오 블럭의 PA 는 "0"이다. 뒤의 두 오디오 블럭들의 L' 및 R' 이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뒤의 두 오디오 블럭의 PA 는 "0" 이다.
제 30C 도는 스테레오 신호 및 두 모노럴 신호가 HD 4-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L 및 R 이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앞의 두채널중 PA 는 "0"이다. 두 모노럴 오디오 신호가 각각 출력되기 때문에, 뒤의 두 오디오 블럭중 PA 는 "1"이다.
제 30D 도 및 제 30E 도에서, HD 럼프된 모드(4ch)가 도시되어 있다. 럼프된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 PA = "1"(정보는 없음)이므로 PA를 기록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들에서,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모두 출력, 즉 이들 신호가 럼프되어있으므로, SM = 1 이다.
제 30D 도는 3/0 스테레오 신호가 HD 4-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 30E 도는 3/1 스테레오 신호가 HD 4-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 30F 도 내지 제 30G 도에서, HD-8 채널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제 30F 도는 3/1 스테레오 신호의 쌍이 HD 8-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앞의 두 오디오 블럭의 L, R, C 및 S 가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앞의 두 오디오 블럭에 대해 PA = "0"이다. 뒤의 두 오디오 블럭의 L', R', C' 및 S'가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뒤의 두 오디오 블럭에 대해 PA = "0"이다. 앞의 두 블럭 (LRCS)의 오디오 신호와 뒤의 두 블럭(L'R'C'S)의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이 오디오 신호는 럼프된 오디오 신호가 아니고 SM = 0 이다.
도 30G는 4세트의 스테레오 신호가 HD 8-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오디오 블럭의 L1R1과 제2 오디오 블럭 L2R2가 분리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앞의 2개 오디오 블럭에 대해 PA="1"이다. 제3 오디오 블럭의 L3R3와 제4 오디오 블럭의 L4R4는 분리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뒤의 2개 오디오 블럭에 대해 PA="1"이다.
제 30H 도는 HD 럼프된 모드(8ch)를 기술하고 있다. 제 30H 도는 5/2 스테레오 신호 및 우퍼 신호가 HD 8-채널 모드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모든 기록된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이 신호는 럼프된 오디오 신호이고 SM = "1" 이다. 이 신호가 럼프된 오디오 신호이기 때문에 PA = "1"(정보없음)이다.
제 31 도는 오디오 신호의 여러 형태에 대하여 트랙 AAUX 영역에 기록되는 제어 데이터 SM, CHN 및 PA의 조합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 26 도는 데이터 바이트 PC3에 하나의 음성다중 비트(ML)를 갖는 AAUX 팩을 도시함을 상기할 것이다. 한 비트로된 음성다중 플래그 M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 :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다.
1 :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다.
"음성다중"은 동일언어로서 다른 내용을 가진 오디오 또는 다른 언어로서 동일 내용을 가진 오디오를 나타낸다.
제 32A 도는 데이터 바이트 PC3에, 2개의 음성다중 비트 ML2, ML1을 갖는 AAUX 팩을 나타낸다. 2 비트의 음성다중 플래그 ML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0;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음성다중으로 기록된 다른 프로그램은 없다.
01;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음성다중으로 기록된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10;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음성다중으로 기록된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있다.
11;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다(이 정의는 후-기록을 위해 요청된다).
제 32B 도는 음성다중인 3 비트 ML2, ML1, ML0 를 갖는 AAUX 팩을 나타낸다.비트 ML2, MLI 은 데이터 바이트 PC3 에 있다. 비트 MLO 은 데이터 바이트 PC1 에 있다. 3 비트인 음성다중 플래그 ML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00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하나의 채널이 있다.
001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도 기록된 2 채널이 있다.
010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3개 채널이 있다.
011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4 채널이 있다.
100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5 채널이 있다.
101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6 채널이 있다.
110 : 동일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로 기록된 7 채널이 있다.
111 :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다(이 정의는 후-기록을 위해 요청된다).
제 33 도 내지 제 35 도는 1 비트, 2 비트 및 3 비트의 음성다중 플래그를 각각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 33A 도 내지 제 33G 도는 1 비트의 음성다중 플래그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 33A 도는 두 모노럴 신호(Ml 및 M2)가 SD 4-채널 포멧으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M1 이 음악 신호이고 M2 가 이야기 신호 일때, ML = 1 이다.
제 33B 도는 두 모노럴 신호(Ml 및 M2)가 SD 4-채널 포멧으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M1 이 일본어 오디오 이고 M2 가 영어 오디오 일때(2개국어 오디오의 경우에), ML = 0 이다. 이런 음성다중 기록모드에서, 일본어 음은 영어 음에 앞서서 5 트랙에 기록되는 주음(main sound)이다. 이런 관계는 다른 기록예에 적용된다.
음성다중 기록 모드의 경우 주음의 기록채널이 할당될때, 주음의 채널이 선택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제 24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기(180)는, VCR 재생회로의 디서플링 회로(145)와 제 24B 도에 도시한 D/A 변환 회로(146) 사이에 위치된다. 선택기(180)는, 음성다중 신호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디스플레이(182)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알파벳 숫자 디스플레이 또는 콘솔상의 램프 또는 리모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 블럭(181) 또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엔트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가용 채널들 사이에서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호가 음성다중 플래그 ML에 대응하여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그 ML의 값이 디스플레이 될때, 사용자는 신호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고,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논의에서, 주 오디오는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에서 부 오디오에 앞서 기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사용자는 각 언어의 기록 위치를 할당할 수 있다(예컨데, 영어는 제 1 채널, 불어는 제 2 채널). 선택적으로, 부 오디오에 앞서 주 오디오를 기록하는 자동 모드와 사용자에게 각 언어의 위치를 할당할 수 있게 하는 수동 모드가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제 33C 도는 4 개의 모노럴 신호 Ml, M2, M3, M4 가 SD 4-채널 포멧으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M1이 일본어 음이고 M2가 영어 음인 때, M1 및 M2(채널 1 및 채널 2)에 대해 ML = 0 이다. M3가 고전음악음이고 M4가 록음악 음 일때, M3 및 M4(채널 3 및 채널 4)에 대해 ML = 1 이다.
제 33D 도는 두 스테레오 신호(Ll, Rl 및 L2, R2)가 SD 4-채널 포멧으로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Ll 및 Rl 이 고전음악일때, Ll 및 Rl에 대해 ML = 1이고, L2 및 R2가 록음악일때, L2 및 R2 에 대해 ML = 1 이다.
제 33E 도는 두 스테레오 신호(Ll, Rl 및 L2, R2)가 SD 4-채널 포멧으로 기록된 다른 예를 나타낸다. L1 및 R1이 일본 영화 언어 일때, L1 및 R1에 대해 ML = 0이다. L2 및 R2가 영어 영화 언어 일때, L2 및 R2에 대해 ML = 0이다, 일본 언어(주 오디오)는 영어 언어(부 오디오)전에 기록된다.
제 33F 도는 HD 8-채널 포멧의 일례를 나타낸다. 4 개 스테레오 음이 기록되고 Ll 및 R1 이 영어 영화 언어일때, Ll 및 Rl 에 대해 ML = 0 이다. L2 및 R2가 프랑스 영화 언어일때, L2 및 R2 에 대해 ML = 0 이다. L3 및 R3 가 네덜란드 영화 언어일때, L3 및 R3 에 대해 ML=0 이다. L4 및 R4 가 독일 영화 언어 음일때 L4 및 R4 에 대해 ML = 0 이다. 따라서, 기록된 4 개 언어 스테레오 신호가 플래그 ML 에 대응하여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제 33G 도는 두 스테레오 신호와 4 개 모노럴 신호가 기록된 HD 8-채널 포멧의 다른예를 나타낸다. L1 및 R1이 영어 영화 언어 일때, Ll 및 Rl(채널 A 및 채널 B)에 대해 ML = 0 이다. L2 및 R2가 고전음악 음일때, L2 및 R2(채널 C 및 채널 D)에 대해 ML = 1 이다. 이 경우에, 영어 언어는 주 오디오로서 취급된다. M1, M2, M3 및 M4 가 각각 네덜란드, 독일, 일본 및 스페인 언어일때, 이들 신호(채널 E-H)에 대해 ML = 0 이다.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 내의 1 비트인 음성다중 플래그 ML = 0 카운트함으로써,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에 기록된 언어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록번호를 가진 오디오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재생된다. 사용자가 제 2 오디오를 선택하였을때 제 2 오디오의 언어가 선택되고 재생된다.
제 34A 도 내지 제 34D 도는 HD 8-채널 포멧으로 2 비트인 음성다중 플래그를 이용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제 34A 도는 4 개 언어 영화 언어(영어, 불어, 네덜란드어, 독일어)가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모든 2 비트인 음성다중 플래그 ML은"00"으로서,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더라도 음성다중으로 기록되는 다른 프로램이 없음을 나타낸다.
제 34B 도는 3 개국의 영화 언어(영어, 네덜란드어 및 독일어)와 고전음악 (L2 및 R2)이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L2 및 R2 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는 "11"을 나타내는데, 이 "11"은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지 않았거나 알려져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음성다중 플래그는 "00"이다.
제 34C 도는 2 개국의 영화 언어(일본어, 영어)가 Ll 및, Rl, 그리고 L2 및 R2 로서 각각 기록되고, 또한 일본어 뉴스 프로그램 및 영어 뉴스 프로그램이 L3 및 R3 그리고 L4 및 R4 로서 각각 기록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채널들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ML)는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을지라도, 음성다중으로 기록된 다른 프로그램이 있음을 나타내는 "01"이다.
제 34D 도는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국어의 영화 언어가 각각 L1 및 R1 과 L2 및 R2 로서 기록되어 있고,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국어의 뉴스 프로그램이 각각 M3 및 M4 로서 기록되어 있고,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국어의 코믹 대담이 각각 M3 및 M4 로서 기록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주 오디오는 부 오디오전에 기록된다. 이 경우, 모든 채널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ML)는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져 있더라도, 거기에는 음성다중으로 기록된 2개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10"이다.
제 35A 도 내지 제 35F 도는 HD 8-채널 포멧으로된 3 비트의 음성다중 플래그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35A 도는 영어, 프랑스어, 네델란드어 및 독일어로된 4개국어의 영화 음성이 스테레오 신호로서 기록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모든 채널에 대한 ML = 010 은 동일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기록된 3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5B 도는 영어, 프랑스어 및 독일어로된 3개 국어 영화 음성이 스테레오신호로서 기록되어 있고 클래식 음악이 L2 및 R2로서 기록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있다. 이 경우, 클래식 음악의 채널에 대한 ML = 111은 동일 프로그램이 음성다중으로 기륵되어 있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채널에 대한 ML = 001 은 동일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 2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5C 도는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 국어의 영화 음성이 각각 L1 및 R1 과 L2 및 R2 로 기록되어져 있고, 일본어 및 영어로된 2 개 국어의 뉴스 프로그램이 각각 L3 및 R3 와 L4 및 R4 로서 기록되어져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모든 채널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 ML = 000 은 동일 프로그램이 상이한 언어로 기록되어져 있는 1 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5D 도는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 국어의 영화 음성이 각 Ll 및 Rl 과 L2 및 R2 로서 기록되어 있고,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 국어의 뉴스 프로그램이 각각 M1 및 M2 로서 기록되어 있고, 일본어 및 영어로된 2개 국어의 코믹 대담 프로그램이 각각 M3 및 M4로서 기록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든 채널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 ML = 000은 동일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 1 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5E 도는 모노럴 신호(Ml 내지 M8)가 8 개의 채널상에 기록되어져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본어의 일반해설, 일본어의 특정팀 해설, 영어의 일반해설, 및 영어의 특정 팀 해설로 이루어져 있는 야구경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는 각각 Ml, M2, M3 및 M4 로서 기록되어 있다. 이들의 신호(채널 A-D)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 ML = 010 은 동일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 3 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본어 및 영어로된 뉴스는 M5 및 M6으로서 기록되며, 한편 일본어 및 영어로된 코믹 대담은 M7 및 M8 로서 기록된다. 이들의 신호(채널 E 내지 H)에 대한 음성다중 플래그 ML = 000 은 동일 프로그램이 서로다른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 2 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5F 도는 모노럴 신호(Ml 내지 M8)가 8 개의 채널 상에 기록되어져 있는 또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음성다중 영화 음성은 모노럴 신호(Ml 내지 M8)로서 기록되어 있다. 주음으로서의 일본어 영화 음성은 다른 언어로된 영화 음성 사운드 이전에 기록된다.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및 스페인어로된 다른 언어의 영화 음성 사운드는 각각 M2 내지 M8로서 기록된다. 8개 채널 모두에 대해 세트되어져 있는 음성다중 플래그 ML = 110 는 동일 프로그램이 상이한 언어로 기록되어져 있는 7 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36 도는 음성다중 표시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 36 도의 플로우차트는 제 24 도의 VCR 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이 기록된 오디오 채널에서 나타내어진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의 수를 사용자에 통보하고 그 사용자가 본 발명의 부분이 아닌 종래기술에 따라서 그들의 프로그램중 하나를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즉, 제 36 도의 플로우차트는 선택된 프로그램이 그와 관련된 음성다중 채널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은 상황에 관한 것이다.
단계(610)에서, N은 1로 초기화된다. 파라미터 N은 일련의 관련 오디오 채널중 어느 오디오 채널이 평가되는지를 나타낸다. 4 개의 채널 시스템에서, N 의 최대값은 4(예컨대, 4개국어로된 오디오 프로그램)이며, 반면, 8 개의 채널 시스템에서, N 의 최대 값은 8(예컨대, 8개국어로된 오디오 프로그램)이다,
단계(620)에서, N 번째의 오디오 블록이 재생된다.
단계(630)에서, ML 표시기가 제로(0)의 값을 갖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제로값을 갖지 않는다면, 예컨대, ML = "1"일때, 그 다음 단계(670)에서, 음성다중 디스플레이가 해제되고, 단계(680)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단계(630)에서, ML = "0" 이 결정되었다면, 그 다음단계(640)에서, 시청될 프로그램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언어 또는 해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음성다중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된다. 음성다중 디스플레이는,예를 들어, 텔레비젼 세트상에 표시된 메시지 또는, 콘솔(console) 또는 원격 장치상의 램프일 수 있다.
단계(650)에서, 휴대용 원격 제어장치 상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특정 채널번호를 입력하는 식으로, 사용자가 그 다음 채널을 선택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만약, 그 다음의 채널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상기 사용자는 현재 재생된 언어 또는 해설로 만족하고 있다고 간주하고, 단계(680)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만약, 단계(650)에서, 사용자가 그 다음의 채널을 선택한 것이 결정되면, 그 다음의 단계(660)에서, N은 증가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620)로 되돌아간다. 단계(660)에서, 방금 증가된 N의 값이 선택된 프로그램의 관련 오디오 채널의 수를 초과한다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관련 오디오 채널수는 방금 증가된 N의 값으로부터감산되며, 그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프로그램의 음성다중 채널을 루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바꿔 말해서, 사용자는 그에 대한 모든 채널을 재생할 필요없이 기록된 사운드의 언어를 알수 있다. 주음의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영역, 예컨대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에서 프론트 사운드 채널상에 기록될때, 주음은 채널을 전환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초기에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음성다중으로 기록되어 있는 언어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재생될 오디오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적인 실시예와 그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명확한 실시예 및 기술된 수정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과,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A 도 내지 제 1D 도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레코딩 포멧을 도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AUDIO MODE 데이터를 설명하는 표.
제 3 도는 종래의 두 채널 레코딩 포멧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4 도는 제 3 도의 채널들의 가능한 용법을 표시하는 표.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트랙 레코딩 포멧들의 도면.
제 6 도는 ITI 영역에 관한 도면.
제 7 도는 제 5B 도에 도시된 트랙의 상세도.
제 8 도는 트랙 영역들에 대한 응용 ID 들의 계층적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제 9B 도는 AP1 = AP2 = AP3 = 000 인 경우의 트랙 영역 용법을 도시하는 도면,
제 10 도는 팩의 데이터 구조도.
제 11 도는 팩 헤더 계층도.
제 12 도는 오디오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
제 13 도 및 제 14 도는 각각 프리 싱크 블럭과 포스트 싱크 블럭에 관한 데이터 구조도.
제 15 도는 제 12 도에 도시된 트랙중 오디오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부에 있어서 14 개의 싱크 블럭들중 한 싱크 블럭의 데이터 구조도.
제 16 도는 트랙 방향으로 배치된 AAUX 부의 구성도.
제 17 도는 트랙중 비디오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
제 18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트랙중 비디오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부에 있어서 149 개의 싱크 블럭들중 한 싱크 블럭의 데이터 구조도.
제 19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트랙중 비디오 영역의 비디오 데이터부에 있어서 149 개의 싱크 블럭들의 수직 배치도.
제 20 도는 트랙중 서브 코드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
제 21 도는 제 20 도에 도시된 트랙중 서브 코드 영역의 서브 코드 데이터부에 있어서 싱크 블럭들중 한 싱크 블럭의 데이터 구조도.
제 2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 의 레코딩부의 블럭도.
제 23 도는 AAUX 팩 데이터 발생 회로의 블럭도.
제 24A 도 및 제 24B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 의 재생부의 블럭도.
제 24C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 의 부분 블럭도.
제 25 도는 AAUX 팩 데이터 재생 회로의 블럭도.
제 26 도는 AAUX 소스 팩의 데이터 배치를 나타내는 표.
제 27 도는 헤더 바이트 PC2 에서의 AUDIO MODE 정보값들을 나타내는 표.
제 28A 도 내지 제 28E 도는 각 스테레오 모드의 각 채널의 스피커 위치들을나타내는 도면.
제 29A 도 내지 제 29D 도 및 제 30A 도 내지 제 30H 도는 기준이 각각 SD 신호와 HD 신호에 대한 오디오 제어를 설명하도록 작성된 도면.
제 31 도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 형태에 대한 트랙중 AAUX 영역에 레코드된 제어 데이터 SM, CHN 및 PA 의 조합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 32A 도 및 제 32B 도는 각각 2 개 음성다중 비트와 3 개 음성 다중 비트를 갖는 AAUX 팩을 나타내는 도면.
제 33 도 내지 제 35 도는 각각 1 비트, 2 비트 및 3 비트의 음성다중 플래그를 사용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 36 도는 음성다중 표시를 갖는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테나 2: 튜너
4 : 외부 아나로그 비디오 입력 5 : 외부 아나로그 오디오 입력
6 : Y/C 분리 회로
7a, 7b, 7c : 저역 통과 필터 8a, 8b, 8c : A/D 변환기

Claims (20)

  1. 데이터 발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오디오 채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2개의 오디오 채널들이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때 음성다중표시(multilingual indication)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는 데이터 비트인, 데이터 발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다른 오디오 관리 정보와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와 결합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에러 방지를 위해 반복되는, 데이터 발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와 결합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매체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방법.
  7.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오디오 채널 및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음성다중 표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다중 표시가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상기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음을 표시할때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오디오 채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디오 채널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상기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때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첫번째 채널을 자동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 이 터 재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반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반복적으로 수신된 음성다중 표시에 다수결의 규칙(a rule of majority)을 적용하여 상기음성다중 표시의 본래값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1. 데이터 발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때 음성다중 표시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는 데이터 비트인, 데이터 발생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다른 오디오 관리 정보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와 결합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에러 방지를 위해 상기 음성다중 표시와 결합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반복적으로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데이터 발생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중 표시와 결합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 매체에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발생 장치.
  17.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오디오 채널 및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음성다중 표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음성다중 표시가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음을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오디오 채널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채널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채널들중 적어도 2개가 공통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때 상기오디오 채널들중 첫번째 채널을 자동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음성다중 표시를 반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반복적으로 수신된 음성다중 표시에 다수결의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음성다중 표시의 본래 값을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19950011653A 1994-05-12 1995-05-12 음성다중표시를갖는디지탈오디오채널 KR10041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2997 1994-05-12
JP12299794A JP3477818B2 (ja) 1994-05-12 1994-05-12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68A KR950034068A (ko) 1995-12-26
KR100417552B1 true KR100417552B1 (ko) 2004-06-11

Family

ID=1484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653A KR100417552B1 (ko) 1994-05-12 1995-05-12 음성다중표시를갖는디지탈오디오채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4939B2 (ko)
EP (1) EP0682421B1 (ko)
JP (1) JP3477818B2 (ko)
KR (1) KR100417552B1 (ko)
DE (1) DE695296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5238A (zh) * 1996-03-15 2005-06-08 英戴克系统公司 盒式磁带录像机索引和电子节目引导的组合
JP3357288B2 (ja) * 1998-04-10 2002-12-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H11296997A (ja) * 1998-04-10 1999-10-29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TW465235B (en) * 1998-09-17 2001-11-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gital storage
US7231268B1 (en) 1999-08-17 2007-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US6813281B1 (en) 1999-08-17 2004-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US6694091B1 (en) 1999-08-17 2004-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US6888951B1 (en) * 1999-08-23 2005-05-03 Nagaoka &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perational and analyte data acquired from optical disc
DE69934809T2 (de) * 1999-12-29 2007-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Kennzeichen von Tonkanälen
EP1273167B1 (en) 2000-04-10 2005-12-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e with media guidance interface
EP2262262A1 (en) 2000-10-11 2010-12-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TW588346B (en) * 2000-12-22 2004-05-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ayer record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recording thereon
US8046792B2 (en) 2002-03-20 2011-10-25 Tvworks, Ll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for television
US20040120698A1 (en) * 2002-12-20 2004-06-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DV metadata to DVD-video data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JP4000095B2 (ja) * 2003-07-30 2007-10-31 株式会社東芝 音声認識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65449B2 (en) * 2003-10-01 2012-04-24 Microsoft Corporation DV metadata extraction
US7613615B1 (en) * 2004-06-17 2009-11-03 Magnum Semiconductor, In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de-shuffling of shuffled audio data
US20070154169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media program options based on program segment interest
US20070154168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media program options based on program segment interest
WO2007123302A1 (en) 2006-04-25 2007-11-0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20090158350A1 (en) * 2007-12-14 2009-06-1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recording options of media content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JP5743144B2 (ja) * 2011-05-02 2015-07-0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Rfidタグを備えた複数のチップからデータを読み取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4433A1 (de) * 1988-12-16 1990-06-27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Fernsehempfänger mit digitaler und analoger Tonsignalverarbei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8399A1 (de) * 1982-10-16 1984-04-19 Gorenje Körting Electronic GmbH & Co, 8217 Grassau Videorecorder fuer stereo-tonaufnahme
DE3843821A1 (de) * 1988-12-24 1990-06-28 Broadcast Television Syst Verfahren zur aufzeichnung von nach einem mac/paket-fernsehuebertragungsstandard codierten signalen
JP2845920B2 (ja) * 1989-02-09 1999-0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方式
FR2650136B1 (fr) * 1989-07-21 1994-04-08 Toret Alain Dispositif de constitution de cellules a partir de signaux numerises et dispositif de multiplexage associe
JPH04321959A (ja) * 1991-04-22 1992-11-11 Sony Corp オーデイオ信号記録装置及びオーデイオ信号再生装置
DE4209544A1 (de) * 1992-03-24 1993-09-30 Inst Rundfunktechnik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oder Speichern digitalisierter, mehrkanaliger Tonsignale
JP2951502B2 (ja) * 1993-05-26 1999-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US5576843A (en) * 1993-10-29 1996-11-19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ple dialog audio tracks of a software carr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4433A1 (de) * 1988-12-16 1990-06-27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Fernsehempfänger mit digitaler und analoger Tonsignalverarbei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9696D1 (de) 2003-04-03
JP3477818B2 (ja) 2003-12-10
US20010015863A1 (en) 2001-08-23
DE69529696T2 (de) 2003-12-11
JPH07307062A (ja) 1995-11-21
EP0682421A1 (en) 1995-11-15
EP0682421B1 (en) 2003-02-26
KR950034068A (ko) 1995-12-26
US6344939B2 (en) 2002-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552B1 (ko) 음성다중표시를갖는디지탈오디오채널
KR100383690B1 (ko) 디지털비디오및오디오신호재생및불법더빙방지장치
KR100263690B1 (ko) 디지탈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기록 및 재생장치
EP0675612B1 (en)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reproducing and recording apparatus
JPH0998375A (ja) デ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329692B1 (ko) 디지털화상.음성신호기록재생장치
EP0711085B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television signals
JP3674095B2 (ja) カメラ設定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H08307897A (ja) テレビジョン信号記録装置
JPH07272461A (ja) 画像信号及び音声信号記録方法及び画像信号及び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521495B2 (ja) 音声信号記録方法、音声信号再生装置、及び音声信号記録再生方法
JPH07296519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伝送装置
JP357504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477778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57265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493729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582130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550826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
JP3326648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582129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538941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記録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記録再生装置
JP3555162B2 (ja) 記録再生装置
JPH0970014A (ja) デジタル画像信号の再生処理方法及び再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