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986B1 -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986B1
KR100416986B1 KR1019960061343A KR19960061343A KR100416986B1 KR 100416986 B1 KR100416986 B1 KR 100416986B1 KR 1019960061343 A KR1019960061343 A KR 1019960061343A KR 19960061343 A KR19960061343 A KR 19960061343A KR 100416986 B1 KR100416986 B1 KR 10041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te
rotating
convey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645A (ko
Inventor
신언민
이규동
김태하
강두원
김범석
김양국
이성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9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에 관한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캐리어에 장착된 PCB가 솔더링 장치에서 납땜을 하고 이송되는 캐리어를 엘리베이터에서 제2콘베어로 이송시키기 위해 캐리어를 안전하게 90°회전시켜 캐리어가 놓여진 방향을 바꾸어 제2콘베어로부터 캐리어를 리턴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서 여러기종의 PCB를 각 셀별로 동시에 조립하여 하나의 메인 콘베어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캐리어의 PCB가 솔더링 장치에서 PCB에 납땜을 하기 위해서는 상부콘베어에서 이송되는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 납땜을 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를 통과하여 제2콘베어로 이송된 후 다시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야 캐리어가 제2콘베어에 의해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를 제2콘베어 전에서 안전하게 캐리어 회전유니트에 의해 회전시켜 제2콘베어로 이송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본 발명은 다기종 혼류 PBA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종류의 PCB를 캐리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동시에 조립하여 메인 상부 콘베어를 통하여 PCB에 솔더링장치에서 납땜을 하고 이송되는 캐리어를 하부 콘베어로 이송시 캐리어를 회전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자동화 조립시스템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PCB를 조립하기 위해 콘베어 벨트를 이용하여 작업공정에 따라 여러부품을 수동으로 PCB에 삽입한 후 납땜을 하여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기술이 급속도로 변화됨에 따라 제품의 라이프 싸이클(Life Cycle)이 짧기 때문에 기술변화에 대응하여 소비자 욕구에 맞는 새로운 제품을 단기간내에 생산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품을 생산할 경우 소비자는 제품의 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낮은 제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여야 한다.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제조공정의 단순화나 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제조공정의 단순화나 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장자동화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여 적재적소에 최소의 인원을 어떻게 투입하는지 여부에 달여 있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들로부터 여러기종의 PCB를 각 셀별로 동시에 조립하여 납땜을 완료하여 각 해당셀로 리턴시켜 생산성을 높일수 있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1996년 11월 25일자로 본원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제4 작업셀(101, 102, 103, 104)은 다수의 작업자가 다수의 작업대 상부콘베어(111, 112,, 113, 114)에 각각 캐리어를 올려놓은 후 PCB를 캐리어에 장착하여 부품을 삽입하고, 납땜이 완료되어 리턴된 캐리어를 수거하며, 캐리어를 상기 작업콘베어 우측종단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스위치(251)가 눌러질 시 제1콘베어(120)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스위치(251)는 작업자가 누름에 따라 캐리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한다. 정,역방향 회전스위치(252-253)은 작업자가 누름에 따라 다수의 칸막이로된 원형모판(231-238)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다수의 원형모판은 하나의 작업셀에 각각 2개씩 설치되이 있다. 리세트 스위치(254)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원형모판 을 최초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한다. 다수의 컴퓨터(240-243)는 각 PCB종류에 따른 부품삽입 지시도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정,역방향 스위치(252-253)가 눌러짐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상기 원형모판의 회전과 일치된 부품삽입지도서를 표시한다. 다수의 원형모판(231-238)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칸막이가 분리되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부품을 적재하여 PLC(220)의 각각 제어를 받아 해당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제1- 제4 업다운 유니트(131, 132, 133, 134)는 상기 이송스위치(251)이 눌러질 시 캐리어를 받을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상부콘베어(111, 112, 113, 114)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캐리어의 이송이 종료될 시 하강하여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콘베어(120)의 위로 얻져지도록 한다.
상기 제1콘베어(120)는 상기 다수의 셀(101, 102, 103, 104)로부터 각각 이송된 캐리어를 받아 상기 캐리어들에 각각 장착된 PCB를 납땜할 수 있도록 캐리어를 이송시킨다. 이후 이송된 캐리어는 업/ 다운 회전 유니트에 위치하게 되므로 업/다운 및 회전 유니트(140)는 상기 제1- 제4 업다운 유니트(131, 132, 133, 134)를 통해 상기 제1콘베어(120)로 이송되어온 캐리어가 도착될 시 상기 도착된 캐리어를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90°회전시킨다. 스프레이 플럭스(150)는 상기 업/다운 및 회전 유니트(135)로부터 회전되어 이송된 캐리어내에 장착된 PCB에 플럭스 발포제를 도포되도록 한다. 보조콘베어(160)은 상기 스프레이 플럭스(150)로부터 수평 이송된 캐리어를 6°경사지도록 이송시킨다. 솔더링(Soldering) 장치(170)은 상기 보조콘베어(160)으로부터 경사지게 이송된 캐리어에 장착된 PCB를 납땜을 하여 이송시킨다. 슬로프 콘베어(180)는 상기 솔더링 머신장치(170)로부터 납땜이 완료되어 이송된 캐리어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시 상기 이송된 캐리어를 일측만 하강시켜 이송한다. 엘리베이터(190)는 상기 슬로프 콘베어(180)로부터 이송되어온 캐리어가 설정된 위치까지 진입할 시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2콘베어(210)와 연결되도록 하강시킨다. 회전유니트(200)은 상기 엘리베이터(180)로부터 하강되어 이송된 캐리어를 90°회전시켜 캐리어가 놓여진 방향을 바꾸어 준다. 제2콘베어(210)는 상기 회전유니트(200)로부터 회전된 캐리어를 리턴될 수 있도록 이송시킨다. 제5-제8 업다운 유니트(135, 136, 137, 138)는 상기 제1-제4 업다운장치(131, 132, 133, 134)와 수직으로 상기 제2콘베어(2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콘베어(210)을 통해 이송된 캐리어를 작업대 하부콘베어(115, 116, 117, 118)의 위치까지 상승시켜 리턴되도록 한다. 다수의 리프터(221, 222, 223, 224)는 상기 작업대 하부콘베어(115, 116, 117, 118)을 통해 리턴된 캐리어를 다수의 작업대 상부콘베어(111, 112, 113, 114)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220)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이다. 상기 PLC(220)은 캐리어의 이송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로부터 판별신호를 받아 캐리어를 정지시키거나 이송되도록 제어하고, 다수의 이송스위치가(251)이 각각 눌러질 시 상기 다수의 작업대 상부콘베어(111-114)를 각각 구동시키고, 다수의 정,역방향 스위치(252-253)가 각각 눌러짐에 대응하여 다수의 원형모판(231-238)중 해당 모판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1996년 11월 25일자로 출원된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서 캐리어에 장착된 PCB는 납땜을 하기 위해 솔더링 장치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메인 제1콘베어에서 PCB가 장착된 캐리어를 상승 및 90도 회전시켜 솔더링 장치로 이송되어 캐리어의 PCB에 납땜을 완료하여 캐리어를 엘리베이터로 이송시켜 엘리베이터에 의해 캐리어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캐리어를 제2콘베어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에서 이송되는 캐리어를 다시 90도로 회전시켜 제2콘베어로 이송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상기 솔더링 장치에서 PCB에 납땜을 하기 위해서는 제1콘베어에서 이송되는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 납땜을 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를 통과하여 제2콘베어로 이송될 때 다시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야 캐리어가 제2콘베어에 의해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를 제2콘베어 전에서 안전하게 회전시켜 제2콘베어로 이송시킬 수 있는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가 요구된다. 예를들어 캐리어가 스프레이플럭스 로 이송되기 전에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납땜후 엘리베이터에서 이송된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90도 환원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서 캐리어에 장착된 PCB가 솔더링 장치에서 납땜을 하고 이송되는 캐리어를 엘리베이터에 의해 제2콘베어로 이송시킨후 캐리어를 안전하게 90°회전시켜 캐리어가 놓여진 방향을 바꾸어 제2콘베어로부터 캐리어를 리턴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서 여러기종의 PCB를 각 셀별로 동시에 조립하여 하나의 메인 콘베어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캐리어의 PCB가 솔더링 장치에서 PCB에 납땜을 하기 위해서는 제1콘베어에서 이송되는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 납땜을 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를 통과하여 제2콘베어로 이송될 때 다시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야 캐리어가 제2콘베어에 의해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를 제2콘베어 전에서 안전하게 캐리어 회전유니트에 의해 회전시켜 제2콘베어로 이송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회전유니트장치300:메임프에임
302:가변프레임304:플레이트
306:제1실린더308:콘베어
310:풀리312:회전축
314:풀리416:제2실린더
318:랙기어320:가이드
322:회전판324:고정리브
326:업소바328: 받침판
330:돌기332:가이드리브
334:가이드레일336;제3실린더
340:스톱퍼342;구동모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회전유니트 동작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200)는 캐리어에 장착된 PCB가 솔더링 장치(170)에 의해 납땜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190)상측에서 캐리어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제2콘베어(210)로 이송시키기 전에 상기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 제2콘베어(210)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200)는 메인프레임(300)의 내측에는 플레이트(30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0) 하단 중앙에는 제1실린더(306)를 설치하여 제1실린터(306)의 플랜저가 상기 플레이트(30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플레이트(304)의 상부에는 수평상태로 제2실린더(316)가 고정되게 설치된 플랜저에 랙기어(318)가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318)는 플레이트(304)에 고정된 가이드(320)에 안내되며, 상기 랙기어(318)는 플레이트(304)에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판(322)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322)의 일측에는 회전을 규제하는 고정리브(324)를 이루며, 상기 회전판(322)의 고정리브(324)의 회전을 90도로 규제하는 업소버(326)가 플레이트(304)의 상부에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322)에는 캐리어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330)가 형성된 받침판(328)을 설치하며, 상기 받침판(328)의 일측에는 가변프레임(302)을 설치하되, 상기 가변프레임(302)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단에 가이드 리브(332)와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34)과 결합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일측 메인프레임(300)의 외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336)의 플랜저가 상기 가변프레임(302)과 결합되며, 상기 가변프레임(302)과 타측 메인프레임(300)의 내측에는 PCB가 장착된 캐리어를 이송시킬수 있도록 롤러체인 콘베어(308)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어(308)는 각각 양측 풀리(310)와 선단부측에 양측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회전축(312)의 풀리(314)와 연결한다. 상기 회전축(312)이 설치된 타측 메인프레임(300)의 내측에 구동모터(342)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31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구동모터(342)와 회전축(312) 사이에는 체인으로 연결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내측 선단부에는 이송되는 캐리어를 정지시키는 스톱퍼(340)를 설치한다. 상기 콘베어(308)는 풀리(310)와 선단부측의 회전축(312)에 설치된 풀리(314)와 연결도록 체인으로 된 것이며, 상기 실린더(306,316,336)는 공기압실린더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는 캐리어에 장착된 PCB가 솔더링 장치(170)에 의해 납땜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190)상측에서 캐리어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제2콘베어(210)로 이송시키기 전에 상기 캐리어를 90도 회전시켜 제2콘베어(210)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190)에서 캐리어가 이송될 때 구동모터(342)는 동작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342)가 회전하면서 체인으로 연결된 회전축(312)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회전축(312)에 고정되게 설치된 풀리(314)가 회전하게 되므로 이격된 위치의 풀리(310)와 연결된 양쪽 콘베어(308)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가 콘베어(308)를 따라 이송되어 회전유니트내로 들어오면 메인프레임(300)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포토센서의 감지에 따라 스톱퍼(340)가 동작되어 이송되는 캐리어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342)의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메인프레임(300)하단에 설치된 제1실린더(306)가 작동하여 플랜저가 회전판(322)이 설치된 플레이트(304)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회전판(322)에 고정된 받침판(328)의 돌기(330)가 캐리어의 음각부에 삽입되고 캐리어를 상향으로 들게 된다. 이때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제3실린더(336)가 동작하여 플랜저가 가변프레임(302)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가변프레임(302)은 하측 가이드리브(332)가 메인프레임(300)의 가이드레일(334)에 안내되며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플레이트(304)에 설치된 제2실린더(316)가 동작되어 플랜저와 결합된 랙기어(318)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판(322)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판(322)에 고정된 받침판(328)이 시계방향으로 같이 회전되어 캐리어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판(322)은 회전되며 일측에 고정된 고정리브(324)가 업소바(326)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된다. 이때 회전판(322)의 회전 각도는 90도이므로 캐리어도 90도 회전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프레임(300)의 하단에 설치된 제1실린더(306)가 동작하게 되어 플랜저가 플레이트(304)를 하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회전판(322)에 고정된 받침판(328)도 같이 하향으로 이동되므로 받침판(328)의 상부에 있던 캐리어가 하강하여 양측의 콘베어(308)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342)가 동작하게 되어 캐리어가 콘베어(308)를 따라 이송되어 제2콘베어(210)로 안전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342)는 정지하여 콘베어(308)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어 제1실린더(306)가 작동하여 플랜저가 회전판(322)이 설치된 플레이트(304)를 상향으로 이동시킨후 제2실린더(316)가 동작되어 플랜저를 당기게 되면 랙기어(318)에 의해 회전판(322)의 피니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판(32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고정된 고정리브(324)가 타측 업소바(326)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된다. 이때 회전판(322)의 최초상태인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상태가 되며 제1실린더(306)의 하향이동으로 회전판(322) 및 플레이트(304)가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후 일측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제3실린더(336)가 동작되어 플랜저에 의해 가변프레임(302)을 내측으로 밀어 최초의 상태인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캐리어는 제2콘베어(210)에 의해 이송하여 리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여러개의 작업셀에서 서로다른 모델의 PCB에 부품을 삽입한 캐리어를 메인제1콘베어를 통해 이송시켜 PCB가 솔더링 장치에서 납땜을 하고 이송되는 캐리어를 엘리베이터로 하향으로 이동시켜 제2콘베어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캐리어를 안전하게 90도 회전시켜 캐리어를 제2콘베어 상에서 수평으로 이송 되도록 하여 캐리어가 안전하게 이송되어 리턴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어 회전유니트는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실린더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하단에 실린더 설치하고, 상기 회전장치의 일측에 가변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가변프레임은 일측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변프레임과 타측 메인프레임의 내측에는 PCB가 장착된 캐리어를 이송시킬수 있도록 콘베어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어는 선단부측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플레이트의 상부에 실린더의 플랜저에 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에 안내되며, 상기 랙기어는 회전판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는 회전을 규제하는 고정리브를 이루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업소버가 플레이트의 상부에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캐리어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 받침판이 설치된 것을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이러 회전유니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어는 각각 양측 풀리와 선단부측에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의 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장치.
  4.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어 회전유니트는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플레이트와 하단 중앙에는 제1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터의 플랜저가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2실린더의 플랜저에 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에 안내되며, 상기 랙기어는 회전판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는 회전을 규제하는 고정리브를 이루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업소버가 플레이트의 상부에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캐리어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 받침판을 설치하며,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는 가변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가변프레임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가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며, 상기 일측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의 플랜저가 상기 가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가변프레임과 타측 메인프레임의 내측에는 PCB가 장착된 캐리어를 이송시킬수 있도록 콘베어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어는 각각 양측 풀리와 선단부측에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의 풀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은 내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체인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선단부에는 이송되는 캐리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캐리어 회전유니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포토센서에서 캐리어를 감지한후 프로그램로직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슬로프 콘베어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플랜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공기압실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슬로프 콘베어 장치.
KR1019960061343A 1996-11-29 1996-11-29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KR10041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343A KR100416986B1 (ko) 1996-11-29 1996-11-29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343A KR100416986B1 (ko) 1996-11-29 1996-11-29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45A KR19980041645A (ko) 1998-08-17
KR100416986B1 true KR100416986B1 (ko) 2004-06-16

Family

ID=3731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343A KR100416986B1 (ko) 1996-11-29 1996-11-29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33B1 (ko) * 2001-02-23 2003-09-13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104A (en) * 1985-10-28 1989-07-25 Cimm, Inc. System for configuring, automating and controlling operations performed on PCBS and other products
KR930009885A (ko) * 1991-11-04 1993-06-21 강진구 부품자동 삽입을 위한 기판의 이송 및 위치 결정 콘베이어 시스템
JPH0722773A (ja) * 1993-06-30 1995-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ステム機器における最小単位段取り方法およびその機械設備
KR960044020A (ko) * 1995-05-31 1996-12-23 배순훈 파형검사 조정기의 기판 이송 컨베이어 방향 전환장치
KR19980031087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인쇄회로기판(pcb)의 인라인 인써키트테스트씨스템
KR19980025369U (ko) * 1996-11-01 1998-08-05 추호석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멈춤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104A (en) * 1985-10-28 1989-07-25 Cimm, Inc. System for configuring, automating and controlling operations performed on PCBS and other products
KR930009885A (ko) * 1991-11-04 1993-06-21 강진구 부품자동 삽입을 위한 기판의 이송 및 위치 결정 콘베이어 시스템
JPH0722773A (ja) * 1993-06-30 1995-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ステム機器における最小単位段取り方法およびその機械設備
KR960044020A (ko) * 1995-05-31 1996-12-23 배순훈 파형검사 조정기의 기판 이송 컨베이어 방향 전환장치
KR19980031087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인쇄회로기판(pcb)의 인라인 인써키트테스트씨스템
KR19980025369U (ko) * 1996-11-01 1998-08-05 추호석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멈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4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154882U (zh) 带自动翻板功能的植板机
CN106824829A (zh) Ict转盘测试机
JPH04343631A (ja) 部品の組付け装置
CN211619102U (zh) 双层循环输送装置
KR100416986B1 (ko)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캐리어 회전유나트 장치
KR100438446B1 (ko) 캐리어업다운유니트장치
CN109533848B (zh) 一种在线式多层线路板缓存设备
KR100416984B1 (ko) 캐리어 업다운 회전유니트 장치
CN218590966U (zh) 一种在线式自动点胶机
CN113909623B (zh) 一种波峰焊机用自动运输部件
KR19980041643A (ko)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슬로프 콘베어장치
CN211053049U (zh) 用于多功能机电实训系统的销轴装配单元
CN220105676U (zh) 一种多层测试在线回流设备
CN217919727U (zh) 一种可换向的自动传输系统
KR100602949B1 (ko) 방향전환컨베이어 구동장치
CN216597333U (zh) 一种薄膜按键自动贴合装置
CN218433384U (zh) 一种pcb板输送装置
KR100424653B1 (ko)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시스템의 작업대
CN220879617U (zh) 一种视觉输送训练模块
CN213801776U (zh) 一种用于汽车生产线的传输设备
CN220584799U (zh) 一种自动装调实训模拟操作台
CN214114045U (zh) 一种具有压控限位机构的传动翻板机
CN216271755U (zh) 双工位料板自动翻转对位机构
CN215393370U (zh) 通孔焊接作业供料系统
CN218482509U (zh) Type-C连接器自动折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