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801B1 -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801B1
KR100416801B1 KR10-2002-0011624A KR20020011624A KR100416801B1 KR 100416801 B1 KR100416801 B1 KR 100416801B1 KR 20020011624 A KR20020011624 A KR 20020011624A KR 100416801 B1 KR100416801 B1 KR 10041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oftware application
test
comput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072A (ko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8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81Call monitoring, e.g. for law enforcement purposes; Call tracing; 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icious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전화기 및 컴퓨터가 랜 버스를 통하여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시험자는 발신측 및/또는 착신측 식별자와, 호 시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MakerCaller)이 지정된 착신측으로 호 발신(MakeCall)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발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시험자가 호 트래픽을 조절하면서 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 할 수 있으며,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ARS)을 통환 호 전환 및 호 분배 기능과 같은 다양한 호 처리 상황에서의 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Method of Call Simulating Using CTI Message in PBX}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PBX)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 CTI)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사설교환기의 호 시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설 교환기(PBX : Private Branch Exchange)는 일반적으로 관청, 회사, 공장, 호텔 등의 사업장에서 구내의 내선(구내 전화회선)전화기 상호간 또는 내선전화기와 국선(전화국 전화회선)간의 교환접속을 실행하는 교환기이다.
구내 교환기는 국선으로부터 내선에의 착신접속, 내선으로부터 국선으로의 발신접속, 내선간 상호접속 등 모든 접속을 수동으로 하는 공전식 구내교환기에서부터 기계접점 개폐방식기의 계전기식 구내교환기, 크로스바 구내교환기 등의 변천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나 IC메모리 등을 이용한 축적 프로그램 제어방식의 전자식 구내교환기(EPBX)로 변천 및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사설 교환기는 양산 전에 충분히 교환기의 성능과 부하율을 충분히 시험하여야 한다. 또한, 가능하다면 여러 가지 시험 항목들을 시험하여 여러 종류의 문제점들을 예측 할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호 시험장치는 하나의 일반 전화기와 같이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 내에 실장 되어 운용되고 있다. 즉, 사설 교환기에 연결될 일반 전화선의 입출력 포트에 하드웨어 방식의 호 시험장치를 연결한 후, 하드웨어 방식의 호 시험장치에서 호를 발신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호를 해제하여 호의발신/착신/해제 등의 기본적인 항목들을 시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드웨어 방식의 호 시험 장치는 교환기에서 만들어진 호의 발신/착신/해제 등의 기본 호 처리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교환국(Call Center)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동 응답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호 전환, ICD(서버 호 분배)등의 CTI 환경하에서 호를 시험할 수가 없으며, 호 진행에 따른 해당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 할 수도 없었다.
또한, 종래의 교환기에서 호 시험을 하는 경우 CTI 서버(교환기와 인터페이스 하는 APP)와 양방향의 메시지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에는 교환기로부터 CTI 서버로 송신되는 메시지 데이터만 존재하였기 때문에 CTI 환경에서의 충분한 성능을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교환기의 어떤 장애로 인하여 CTI 메시지가 유실되거나 비정상적인 메시지 데이터가 발생하게 될 때 시험자가 즉시 발견하기 어려웠다.
또한, 하드웨어 방식의 호 시험 장치의 가격이 상당한 고가이기 때문에 많은 회선을 동시에 시험하기가 곤란하였으며, 시험자가 시험을 할 때 그 하드웨어의 조작이 사용자 편의적이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호 트래픽을 조절하면서 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하고,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ARS)을 통환 호 전환 및 호 분배 기능과 같은 다양한 호 처리 상황에서의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할 수 있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설 교환기 2 : 컴퓨터
3 - 5 : 전화기 6 : 랜(LAN) 버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전화기 및 컴퓨터가 랜 버스를 통하여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시험자는 발신측 및/또는 착신측 식별자와, 호 시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MakerCaller)이 지정된 착신측으로 호 발신(MakeCall)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발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험자가 호 분배 시험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호 발신(MakeCall)을 실행하는 단계 후에, 발신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 상태이면, 현재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시험자가 호 전환 시험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호 발신(MakeCall)을 실행하는 단계 후에,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발신호가 대기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호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호를 지정된 번호로 직접 호 전환하는 단계와, 전환된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 상태이면 현재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상세히 설명해 보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시스템은 사설 교환기(1)와, 사설 교환기(1)의 입출력단자(I/O)를 통하여 랜(LAN) 버스(6)를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2)와, 랜 버스(6)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화기(3 - 5)로 구성된다.
여기서,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메모리 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개수 지정, 시작/종료 시간, 시험 시간, 지연 시간, 호 시험(Call Simulation)형태를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호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모든 CTI 메시지를 지정된 로그파일(Logfile) 이름을 가진 텍스트 파일(Text File)로 저장하는 기능이 지원되어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발신호(MakeCall)를 수행하고, 모니터링(Monitoring)할 때 모니터에 발신자(CallerTEL), 수신자(CalledTEL), 호 상태(CallState), 발신호 카운팅(MakeCall Count), 응답호 카운팅(AnswerCall Count), 연결 시간(Connect Time) 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생성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기능을 수행하고, 모니터링(Monitoring) 할 때 자동 응답 서비스의 전화번호(ARS TEL), 인입 카운팅(InCount), 응답 카운팅(AnswerCount), 분배 카운팅(XferCount) 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생성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보여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나오는 용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CTI 관련 기술은 ECMA의 표준 ECMA-217(Services for Computer Supported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이하 CASA) Phase II, ECMA-218(Protocol for CAST Phase II)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먼저, 발신호(MakeCall)는 지정 전화기가 유휴상태일 경우에 지정번호로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응답호(AnswerCall)는 지정 전화기에 호가 인입될 때 전달 이벤트(DeliveredEvent)의 연결 식별자(ConnectionID)로 호에 응답하여 통화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해제(ClearConnection)는 지정된 전화기에 호 연결이 있는 경우에 호를 해제(Release)하는 것을 의미하며, 만일 발신측과 착신측 모두가 있는 호인 경우에는 호가 종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 호 전환(Single Step Transfer Call)은 통화중인 호를 지정된 번호로 직접 호 전환하여 주는 것을 의미한다.
호 분배(DivertCall)는 ACD 그룹으로 호가 인입되어 대기(Queuing)된 호를 에이전트(Agent)(예를 들어, 교환원)로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는 발신측 기준에서 호가 상대방에게 도달될 경우에, 착신측 기준에서는 호가 인입되어 경보음을 알리는 중일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는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Connected)상태로 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는 한 전화기로부터 경보음을 알리는 중이거나, 대기(Queuing) 중인 호가 다시 경보음을 알리는 상태로 다른 전화기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전달 이벤트(TransferredEvent)는 호가 전환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호 해제 이벤트(CallClearedEvent)는 호가 종료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는 호의 연결이 해제(Released)될 경우에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를 의미한다.
유니버셜 실패 이벤트(UniversalFailureEvent)는 발신호(MakeCall), 응답호(AnswerCall) 등과 같은 CSTA 명령(Command) 요청에 대한 네거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설 교환기(1)의 입출력단자(I/O)와 컴퓨터(2) 및 다수의 전화기(3 - 5)가 랜 버스(6)를 통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시험자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컴퓨터(2)의 화면에는 초기 메뉴가 나타나는데, 이때 시험자는 발신측(Caller ID) 및 착신측 식별자(Called ID)를 입력하며, 원하는 시험 모드를 선택하고, 모니터에 있는 시작 버튼을 선택한다(S11). 이때, 발신측 및 착신측 식별자의 개수는 랜 버스(6)에 물려있는 전화기의 개수 내에서 선택되며, 시험 모드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램 되어있는 모드의 종류(기본 호 시험 모드, 호 분배 시험 모드, 호 전환 시험 모드)중 기본 호 시험 모드들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보인 기본 호 시험 모드, 도 3에 보인 호 분배 시험 모드, 도 4에 보인 호 전환 시험 모드를 예를 들었지만,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원하는 시험 항목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이어, 컴퓨터(2)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시험 시간의 카운팅을 개시하며(S12),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MakerCaller)이 지정된 장치(전화기)로 호 발신(MakeCall)을 시도한다(S13).
이때, 착신측 장치(전화기)에 호가 인입되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중(Alerting)일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
S14 단계의 판단결과,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가 보고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5).
S15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한다(S16).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Connected)상태로 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7).
S17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8).
S18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호의 해제를 실행한다(S19).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호의 연결이 해제(Released)될 경우에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지를 판단한다(S20). 즉, 현재 호의 상태가 유휴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20단계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시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2), 종료된 경우에는 모든 호 시험을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S13단계로 진행하여 반복적으로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호 발신/호 응답/호 해제 등에 대한 처리가 실패하면, 네거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발생하게되어 호 시험이 실패된 것으로 간주되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중지되며, 또한 해당 명령의 처리 후 호 진행에 따른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가 유실되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자동으로 중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험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사설 교환기(1)와 다수의 전화기(3 - 5)를 랜 버스(6)를 통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고,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시험자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컴퓨터(2)의 화면에는 초기 메뉴가 나타나는데, 이때 시험자는 발신측(Caller ID) 및 착신측 식별자(Called ID)를 입력하며, 원하는 시험 모드를 선택하고, 모니터에 있는 시작 버튼을 선택한다(S31). 이때, 발신측 및 착신측 식별자의 개수는 랜 버스(6)에 물려있는 전화기의 개수 내에서 선택되며, 시험 모드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램 되어있는 모드의 종류(기본 호 시험 모드, 호 분배 시험 모드, 호 전환 시험 모드)중 호 분배 모드들 선택한다.
이어, 컴퓨터(2)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시험 시간의 카운팅을 개시하며(S32),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MakerCaller)이 지정된 장치(전화기)로 호 발신(MakeCall)을 시도한다(S33).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발신호가 대기중임을 알리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대기 이벤트(Queu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4). 즉, 현재 호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34 단계의 판단결과, 대기 이벤트(QueuedEvent)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대기 이벤트(QueuedEvent)가 보고되면 호를 대기중인 에이전트(통상 교환원)가 호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5). 즉, 현재 대기중인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35 단계의 판단결과,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가 아니면 호 시험을 중단하고,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이면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한다(S36).
이때, 해당 에이전트에 호가 분배되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중(Alerting)일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와, 대기(Queuing) 중인 호가 다시 경보음을 알리는 상태로 다른 전화기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7). 즉, 현재 호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S37 단계의 판단결과,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 및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가 보고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8).
S38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한다(S39).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Connected)상태로 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
S40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
S41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호의 해제를 실행한다(S42).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호의 연결이 해제(Released)될 경우에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지를 판단한다(S43). 즉, 현재 호의 상태가 유휴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43 단계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4).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시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5), 종료된 경우에는 모든 호 시험을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S33단계로 진행하여 반복적으로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호 발신/호 응답/호 해제 등에 대한 처리가 실패하면, 네거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발생하게되어 호 시험이 실패된 것으로 간주되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중지되며, 또한 해당 명령의 처리 후 호 진행에 따른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가 유실되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자동으로 중지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시험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사설 교환기(1)와 다수의 전화기(3 - 5)를 랜 버스(6)를 통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고,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시험자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컴퓨터(2)의 화면에는 초기 메뉴가 나타나는데, 이때 시험자는 발신측(Caller ID) 및 착신측 식별자(Called ID)를 입력하며, 원하는 시험 모드를 선택하고, 모니터에 있는 시작 버튼을 선택한다(S51). 이때, 발신측 및 착신측 식별자의 개수는 랜 버스(6)에 물려있는 전화기의 개수 내에서 선택되며, 시험 모드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램 되어있는 모드의 종류(기본 호 시험 모드, 호 시험 분배 모드, 호 전환 시험 모드)중 호 분배 모드들 선택한다.
이어, 컴퓨터(2)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시험 시간의 카운팅을 개시하며(S52),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MakerCaller)이 지정된 장치(전화기)로 호 발신(MakeCall)을 시도한다(S53).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발신호가 대기중임을 알리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대기 이벤트(QueuedEvent)와, 경보음을 알리는 중(Alerting)일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와, 대기(Queuing) 중인 호가 다시 경보음을 알리는 상태로 다른 전화기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4). 즉, 현재 호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54 단계의 판단결과, 대기 이벤트(QueuedEvent),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 및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대기 이벤트(QueuedEvent),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 및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었으면 대기중인 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한다(S55).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Connected)상태로 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6), 즉, 현재 상태가 연결된 상태를 확인한다.
S56 단계의 판단 결과,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지 않았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었으면 통화중인 호를 지정된 번호로 직접 호 전환을 실행한다(S57). 따라서, 이전 호의 상태는 유휴상태로 천이 된다.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호가 전환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전달 이벤트(Transferr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8). 즉, 현재 전환된 호의 상태가 대기상태인지를 확인한다.
S58 단계의 판단결과, 전달 이벤트(TransferredEvent)가 보고되지 않았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전달 이벤트(TransferredEvent)가 보고되었으면 대기중인 에이전트(통상 교환원)가 호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9). 즉, 현재 대기중인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59 단계의 판단결과,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가 아니면 호 시험을 중단하고, 에이전트가 가용한 상태이면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한다(S60).
이때, 해당 에이전트에 호가 분배되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중(Alerting)일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와, 대기(Queuing) 중인 호가 다시 경보음을 알리는 상태로 다른 전화기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1). 즉, 현재 호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S61 단계의 판단결과,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 및 분배 이벤트(DivertedEvent)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전달 이벤트(DliveredEvent)가 보고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2).
S62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한다(S63).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경보음을 알리는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Connected)상태로 될 때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4).
S64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현재 설립 이벤트(EstablishedEvent)가 보고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5).
S41 단계의 판단결과,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호 시험을 중지하고,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호의 해제를 실행한다(S66).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호의 연결이 해제(Released)될 경우에 발생하는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인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지를 판단한다(S67). 즉, 현재 호의 상태가 유휴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67 단계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지 않으면 호 시험을 중지하고, 연결 해제 이벤트(ConnectionClearedEvent)가 보고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8).
이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시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69), 종료된 경우에는 모든 호 시험을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S53단계로 진행하여 반복적으로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호 발신/호 응답/호 해제 등에 대한 처리가 실패하면, 네거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발생하게되어 호 시험이 실패된 것으로 간주되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중지되며, 또한 해당 명령의 처리 후 호 진행에 따른 상태 이벤트 리포트(State Event Report)가 유실되면 전체 호 시험 동작이 자동으로 중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도2 내지 도 4는 단지 한 가입자 장치(전화기)에 대한 호를 시험 절차를 보였으며, 가입자 장치의 숫자가 늘어갈수록 도 2 내지 도 4에 보인 호 시험 절차가 병렬로 실행된다.
또한, 호 시험의 진행에 따른 발신측, 착신측, ARS 측, ACD 측 별로 미리 설정된 리스트를 통하여 호 시험에 따른 카운트 및 상태 결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자가 호 트래픽을 조절하면서 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 할 수 있으며, 자동응답 서비스 시스템(ARS)을 통환 호 전환 및 호 분배 기능과 같은 다양한 호 처리 상황에서의 교환기의 성능 및 부하율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교환기의 어떤 장애로 인하여 CTI 메시지가 유실되거나 비정상적인 메시지 데이터가 발생하게 될 때 시험자가 즉시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가입자 장치의 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가 있어서 호 시험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호 시험을 컴퓨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시험자가 사용하기 쉽고, 별도의 추가 장비의 지원 없이도 필요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원하는 시험항목을 시험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전화기 및 컴퓨터가 랜 버스를 통하여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내장된 호 시험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시험자는 발신측 및/또는 착신측 식별자와, 호 시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발신측이 지정된 착신측으로 호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발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호 해제 단계의 실행 후 미리 설정된 호 시험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호 시험 절차를 반복하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자가 호 분배 시험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호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발신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 상태이면, 현재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자가 호 전환 시험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호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발신호가 대기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호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호를 지정된 번호로 직접 호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된 호를 수신할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에이전트의 상태가 가용한 상태이면 현재 대기중인 호를 해당 에이전트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발신호를 수행한 후, 발신자, 수신자, 호 상태, 발신호 카운팅, 응답호 카운팅, 연결 시간이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자동 응답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 후, 자동 응답 서비스의 전화번호, 인입 카운팅, 응답 카운팅, 분배 카운팅이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 시험 방법.
KR10-2002-0011624A 2002-03-05 2002-03-05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KR10041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24A KR100416801B1 (ko) 2002-03-05 2002-03-05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24A KR100416801B1 (ko) 2002-03-05 2002-03-05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72A KR20030072072A (ko) 2003-09-13
KR100416801B1 true KR100416801B1 (ko) 2004-01-31

Family

ID=3222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24A KR100416801B1 (ko) 2002-03-05 2002-03-05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8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453A (en) * 1989-02-28 1990-11-20 At&T Bell Laboratories Autonomous expert system for directly maintaining remote telephone switching systems
JPH06217000A (ja) * 1993-01-19 1994-08-05 Toshiba Corp 構内交換機
JPH06343187A (ja) * 1993-06-01 1994-12-13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交換機−コンピュータ連動サービスのコンピュータ側に於ける端末状態管理方式
JPH07321915A (ja) * 1994-05-30 199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換機試験用装置
JPH08331249A (ja) * 1995-05-30 1996-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Pbx試験用装置
JP2000092200A (ja) * 1998-09-16 2000-03-31 Nec Commun Syst Ltd 交換機試験装置及び交換機試験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3092627A (ja) * 2001-06-28 2003-03-28 Toshiba Corp 通信装置、構内交換装置、保守端末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453A (en) * 1989-02-28 1990-11-20 At&T Bell Laboratories Autonomous expert system for directly maintaining remote telephone switching systems
JPH06217000A (ja) * 1993-01-19 1994-08-05 Toshiba Corp 構内交換機
JPH06343187A (ja) * 1993-06-01 1994-12-13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交換機−コンピュータ連動サービスのコンピュータ側に於ける端末状態管理方式
JPH07321915A (ja) * 1994-05-30 199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換機試験用装置
JPH08331249A (ja) * 1995-05-30 1996-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Pbx試験用装置
JP2000092200A (ja) * 1998-09-16 2000-03-31 Nec Commun Syst Ltd 交換機試験装置及び交換機試験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3092627A (ja) * 2001-06-28 2003-03-28 Toshiba Corp 通信装置、構内交換装置、保守端末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72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7941B2 (ja) コンピュータと電話の統合システム
US6704404B1 (en) Callback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100166B2 (en) Network application decentralized execution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network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therefor, and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equipment
KR20010074556A (ko) 메시지 모니터링 시스템,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전화호출 원격 모니터링 장치
CA235739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in techniques to facilitate servicing of calls by a group of users
JPH08223302A (ja) 電話端末の制御下での自動コールバック
JP2002523014A (ja) 電話機システム用自動ログオフ送信
KR100416801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컴퓨터 전화 통합 메시지를 이용한 호시험 방법
EP1791338A1 (en) Measuring the gain in efficiency which is attained by a CTI system
US582872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336887B2 (ja) ボタン電話装置
US72572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or monitoring a MULAP line
US20060165057A1 (en) Presenting dialup access numbers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utomated voice response system
EP0879528B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762998B1 (en) Access network system
JP3517057B2 (ja) 擬似呼試験装置の自己試験装置
US8718264B2 (en) Automated agent availability detection
JP3816251B2 (ja) 遠隔測定インタフェース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20010040284A (ko) 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과 메시지 녹음을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100228313B1 (ko)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JP2024033419A (ja) 通話システム、通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20091508A1 (en) Emulating exchange for multiple servers
KR0135491B1 (ko) 전화 교환 시스템과, 데이타 액세스 장치로부터 고객 구내 장치를 액세스하는 방법.
JP2022131745A (ja) 電話交換機及び電話交換システム
JP3166639B2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