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74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746B1
KR100416746B1 KR10-2001-0026217A KR20010026217A KR100416746B1 KR 100416746 B1 KR100416746 B1 KR 100416746B1 KR 20010026217 A KR20010026217 A KR 20010026217A KR 100416746 B1 KR100416746 B1 KR 10041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acklight
valu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203A (ko
Inventor
김재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7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센서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행위를 감지함으로써 입력된 센서 감지 시의 저항 값(Rmax)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방에 의한 저항변화 값(Ropen-R)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전극과, 센서전극의 미세한 저항변화 검출을 위한 브릿지 저항회로와, 저항변화 값에 의한 전압과 기준전압과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비교 증폭기와, 비교 증폭기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변환된 디지털 값에 따라 백라이트의 전원 제어를 하는 제어부와, 측정된 저항변화 값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제어부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덮개 개폐 감지 스위치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화면에 후광을 비추는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막음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Backlight auto control circuit in a mobile phon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센서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행위를 감지함으로써 입력된 센서 감지 시의 저항 값(Rmax)과 이동통신 단말기 덮개의 개방에 따른 저항변화 값(Ropen-R)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으로서, 배터리의 전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시에도 켜져 있는 불필요한 백라이트로 인해 낭비되는 전원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백라이트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부가된 온/오프 스위치(SW1)의 온/오프 상태를 중앙 처리 장치(CPU)(1)가 판별하여 백라이트 구동 회로(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이와 같은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SW1)를 선택함에 따라 중앙처리 장치(CPU)(1)에서 백라이트 구동 회로(2)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SW1)를 온으로 하면 중앙처리장치(1)는 백라이트 구동회로(2)를 동작시켜 백라이트 발광소자(LED) 또는 EL 구동 회로 등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백라이트 전용 스위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기가 편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별도의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백라이트 제어 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사용자 메뉴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13)내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타이머 경과 후에 백라이트 구동회로(16)를 오프하거나,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온/오프 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 수신과 이벤트 발생에 의해 백라이트가 온된 후에 오프하는 시간을 3초, 5초, 15초 등으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비교기(14) 및 버퍼(15)를 통해 백라이트가 온되어 기준 클럭발생기(10)로부터 소정클럭이 입력되는 카운터(11)를 작동시킨 후에 카운트된 값과 설정 레지스터(12)에서 설정된 시간이 일치하는가를 중앙처리장치(13)에서 판별하여 일치하면 버퍼(15)를 통해 백라이트 구동회로(16)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 온/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백라이트 제어장치는 사용자 메뉴에서 현재 시간에 맞추어 백라이트의 온/오프 시간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13)에서 해당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백라이트를 온/오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백라이트 제어장치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에서도 백라이트가 켜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백라이트 전원제어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센서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행위를 감지함으로써 입력된 센서 감지 시의 저항 값(Rmax)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방에 의한 저항변화 값(Ropen-R)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전극과, 센서전극의 미세한 저항변화 검출을 위한 브릿지 저항회로와, 저항변화 값에 의한 전압과 기준전압과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비교 증폭기와, 상기 비교증폭기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변환된 디지털 값에 따라 백라이트의 전원 제어를 하는 제어부와, 측정된 저항변화 값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덮개 개폐 감지 스위치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화면에 후광을 비추는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접촉 여부에 따라 센서 전극에서 최대저항(Rmax)값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에서 상기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을 뺀(Ropen - Rx)값이 상기 최대저항(Rmax)값보다 크면 백라이트를 오프시키고, 작으면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회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타이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 제어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센서전극 22 : 브릿지 저항회로
23 : 비교 증폭기 24 : A/D 변환기
25 : 제어부 26 : 메모리부
27 : 덮개 개폐 감지 스위치 28 : 백라이트 구동 회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전극(21)과, 상기 센서전극(21)의 미세한 저항변화 검출을 위한 브릿지 저항회로(22)와, 상기 저항변화 값에 의한 전압과 기준전압과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비교 증폭기(23)와, 상기 비교 증폭기(23)의 이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24)와, 변환된디지털 값에 따라 백라이트의 전원 제어를 하는 제어부(25)와, 측정된 저항변화 값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26)와, 상기 제어부(25)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덮개 개폐 감지 스위치(27)와, 상기 제어부(2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화면(도시 생략됨)에 후광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전극(2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와 액정 표시화면 주변의 장식부에 위치한 도전성 물체로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수준의 도전성 재질이며, 인체에 잘 접촉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비교 증폭기(23)는 브릿지 저항회로(22)에 흐르는 미세전류의 변화 즉, 두 저항 경로간의 전류흐름 차를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비교하여 증폭한다.
제어부(25)는 디지털 변환된 전류차값을 이동통신 단말기 덮개 개방 시(Iopen)와 통화신호 발생 시(Ix)에 각각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된 전류차값과 인가된 전압값(Vcc)을 통해 덮개 개방 시의 저항값(Ropen)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덮개 개방 시의 저항값(Ropen)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의 차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사용자가 스피커에 귀를 밀착했을 때의 나타나는 저항값(Rmax)을 비교하여 백라이트 구동회로(29)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Rmax값은 이동통신 단말기 설계 시에 설정되는 값으로 다양한 온도조건과 남녀노소의 피부저항값, 휴대폰 밀착 상태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소를 반영하여 결정된 저항값이다.
메모리부(2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인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측정되는 저항값을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운용 알고리즘에는 백라이트 구동회로(29)의 전원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과 설정된 사용자의 귀 밀착시 저항값(Rmax)을 통한 백라이트의 전원 온/오프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기 스피커에 귀 밀착 동작 감지가 가능한 센서전극(21)을 통해 측정된 귀 밀착시의 저항 평균값 Rmax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5)에서 덮개 개방 감지 스위치(27)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의 덮개 개방 여부를 판별한다. 덮개가 개방되면 센서 전극(21)을 통해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저항값(Ropen)을 메모리부(26)에 저장한다. 덮개 개방 후에 사용자의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 신호의 발생 여부를 제어부(25)에서 판별하여 통화 신호가 발생되면 센서 전극의 저항값(Rx)을 측정한다.
측정된 Ropen값과 Rx값의 차와 메모리에 입력되어 있는 Rmax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Ropen-Rx값이 Rmax 값보다 크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에 귀가 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25)에서 버퍼(28)를 통해 백라이트 구동회로(29)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전원을 오프시킨다.
한편, 비교결과 Ropen-Rx값이 Rmax 값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에 귀가 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25)에서 버퍼(28)를 통해 백라이트 구동회로(29)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전원을 온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센서전극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 밀착하고 통화하는 동안에도 백라이트가 켜져서 소모되는 수~수백 ㎃까지의 전류 낭비를 방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개선하며, 백라이트가 켜져 발생되는 발열에 의해 인체에 전해지는 불쾌감을 경감시키고, 백라이트 발광소자인 EL의 노이즈로 인한 불쾌감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전극과;
    상기 센서전극의 미세한 저항변화 검출을 위한 브릿지 저항회로와;
    상기 저항변화 값에 의한 전압과 기준전압과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비교 증폭기와,
    상기 비교 증폭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에 따라 디지털 변환된 전류차값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방시와 통화신호 발생시에 각각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된 전류차값과 인가된 전압값을 통해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덮개 개방 시의 저항값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의 차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사용자가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했을 때의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측정된 저항변화 값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덮개 개폐 감지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화면에 후광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전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와 액정 표시화면 주변의 장식부에 위치한 도전성 물체로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도전성 재질이고, 인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3. 삭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스피커 부근에 귀를 밀착했을 때의 저항값은 이동통신 단말기 설계 시에 설정되는 값으로 다양한 온도조건과 남녀노소의 피부 저항값, 휴대폰 밀착 상태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소를 반영하여 결정되는 저항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5.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접촉 여부에 따라 센서 전극에서 최대저항(Rmax)값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과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 개방시의 저항값(Ropen)에서 상기 통화신호 발생시의 저항값(Rx)을 뺀(Ropen - Rx)값이 상기 최대저항(Rmax)값보다 크면 백라이트를 오프시키고, 작으면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방법.
KR10-2001-0026217A 2001-05-14 2001-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17A KR100416746B1 (ko) 2001-05-14 2001-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17A KR100416746B1 (ko) 2001-05-14 2001-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03A KR20020087203A (ko) 2002-11-22
KR100416746B1 true KR100416746B1 (ko) 2004-01-31

Family

ID=2770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217A KR100416746B1 (ko) 2001-05-14 2001-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24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9769B1 (ko) * 2005-12-05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81543B1 (ko) * 2007-01-23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47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터치방식을 사용하는 이동단말기의 액정 화면 및 백라이트 제어방법 그에 따른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47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터치방식을 사용하는 이동단말기의 액정 화면 및 백라이트 제어방법 그에 따른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03A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625B2 (en) Momentarily enabled electronic device
RU2129729C1 (ru) Сх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монитора для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и вычис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JP2001223773A (ja) 移動体通信端末機の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作状態に依存した制御に基づくエネルギー節減回路
KR10113129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4167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5094233A (ja) ヒステリシス検出方法、ヒステリシス検出回路及び携帯機器
JPH11284712A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0324239A (ja) 携帯電話機
JP4983117B2 (ja) 電源スイッチ回路
KR200416473Y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알람 전기장판
JP2002163059A (ja) 携帯端末用外部キーボード装置
JP2002164972A (ja) 携帯端末及びバックライト用ledの制御方法
JP2007243629A (ja) キーled点灯回路及び携帯端末装置
JP3243235B2 (ja) 2出力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3817839B2 (ja) 照明制御装置
KR1004035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계 발광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7694A (ko)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391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26116Y1 (ko) 터치형 조명장치의 터치음 제어회로
KR0128100Y1 (ko) 시계의 밧데리 전원 경보장치
JPH10284260A (ja) 保安灯および保安灯装置
KR100229103B1 (ko) 필름 감기 방법 및 그 장치
JPH10104572A (ja) 液晶表示駆動素子及びバックライト駆動素子制御方法及び装置
KR0134802Y1 (ko) 모니터의 신호 무입력시 경보회로
KR100190970B1 (ko) 최적의 조도를 유지하는 인버터 스탠드의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