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642B1 -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6642B1 KR100416642B1 KR10-2001-0034956A KR20010034956A KR100416642B1 KR 100416642 B1 KR100416642 B1 KR 100416642B1 KR 20010034956 A KR20010034956 A KR 20010034956A KR 100416642 B1 KR100416642 B1 KR 100416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lerator pedal
- wire
- winding
- electromagnet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10/00—Arrangements, adaptations or methods for cruise controls
- B60K2310/20—Operator actuated switches or levers for cruise control or speed limit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에서 악세레이터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여 운전자가 앨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현주행 속도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중간에 제1접착판(33)을 형성한 회동축(30)의 후방부(32)를 스프링(35)과 와셔(36)를 매개로 전자석(40)의 중심관부에 끼워 탄력설치하고, 이 전자석(40)에 관통돌출된 회동축(30)의 후방단부에는 와셔(37)와 스프링(38)을 매개로 제2접착판(39)을 끼워 탄력설치하며, 상기 회동축(30)의 전방부(31)에는 태엽 권취부(51)와 와이어 권취부(52)로 구획되어 각각 태엽(53)이 권취되고 와이어(54)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중심에 상기 태엽(53)의 권취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55)이 형성된 풀리(50)를 착설하여 개구부(61)가 형성된 케이스(60)와 덮개(70)에 내장하며, 상기 케이스(60)의 개구부(61)를 통해 유출시킨 상기 와이어(54)의 타단을 악세레이터 페달(100)에 연결하고, 상기 전자석(40)을 밧데리전원(500)이 연결되고 메인 스위치(600)와 셋업 스위치(700) 및 브레이크 스위치(201)의 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400)에 배선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에서 악세레이터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여 운전자가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현주행 속도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은, 자동차의 속도를 임의설정값으로 자동주행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차속센서 및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운전자가 설정한 차속과 센서에서 발생하는 현재의 차속신호를 비교·연산하고, 엔진의 스로틀 밸브의 개폐도나 변속단을 제어하여 속도편차를 자동 보정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크로즈 컨트롤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환경, 예컨대 평탄로 또는 등판로에 따라 실제차속이 목표차속으로 자동보정되므로 항시 일정한 주행속도를 유지할 수 있겠으나, 전자제어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시스템이 상당히 고가이면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수반되는 등,고급차량외에 일반차량에 보급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과 달리 자동으로 속도보정이 구현되지는 않으나, 악세레이터 페달을 제어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적용에 관계없이 차량의 정속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2-21288호로 게재된 종래의 자동차 정속주행 자동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악세레이터 페달, (2)는 브레이크 페달, (3)은 클러치 페달, (4)는 드로틀 밸브이고, (5,5')는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과 드로틀밸브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상기 종래의 정속주행 자동제어장치는, 상기 케이블(5,5') 선상에 솔레노이드(7)와 이 솔레노이드(7)에 축설된 반원회전체(8)로 구성된 액츄에이터(6)를 설치하고, 이 반원회전체(8)에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1)에 연결된 케이블(5)의 끝단을 케이블안내홈(9)을 통해 결속홈(10)에 결속시키는 한편, 반대편의 드로틀밸브(4)에 연결되는 케이블(5')은 케이블안내홈(9')을 통해 결속홈(10')에 결속시킨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주행시 운전자가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1)을 밟으면, 이에 따라 인장되어지는 케이블(5)이 악세레이터 페달을 압압시킨만큼 반원회전체(8)를 회전시키고, 드로틀밸브(4)에 연결된 케이블(5')은 상기 반원회전체(8)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면서 드로틀밸브(4)가 열려 연료공급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위치조작 등을 통해 밧데리(B)의 전원을 상기 솔레노이드(7)에 공급하여 반원회전체(8)를 고정함으로써, 밟고 있던 악세레이터 페달(1)을 떼어도 드로틀밸브(4)는 열린상태를 유지하여 정속주행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정속주행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브레이크 페달(2)이나 클러치 페달(3)을 밟아 브레이크 스톱스위치(SW2)나 클러치 스위치(SW1)의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1)에 형성시킨 광센서(SW3)의 광원을 차단시켜 제어기(11)를 통해 솔레노이드(7)의 작동을 중지시켜 반원회전체(8)가 원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속주행 자동제어장치는, 드로틀밸브(4)의 개방도를 임의로 고정하여 정속주행상태를 도모할 수 있으나, 그 구성이 악세레이터(1) 및 드로틀밸브(4)의 연결케이블(5,5')을 끊어 그 중간에 액츄레이터(6)를 설치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구조변경이 수반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기존 차량에의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악세레이터 페달(1)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6)의 반원회전체(8)를 고정할 경우, 드로틀밸브(4)의 케이블(5')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겠으나,통상의 자동차 악세레이터 페달의 경우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있으므로, 악세레이터 페달(1)쪽의 케이블(5)이 이완되는 등 불안정할 뿐 아니라, 최초 정속주행을 설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를 더 높이고자 할 경우 악세레이터 페달(1)의 조작이 불가하며, 이 경우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1)에 형성한 광센서(SW3)를 통해 설정상태를 완전해제시킨 후 다시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아 재설정해야 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상기외에, 도 2와 같이 래칫기어(12)를 이용하여 악세레이터 페달(13) 자체를 제어하는 자동차의 자동 정속주행장치(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7-36086호)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레이터 페달(14)에 형성한 요철부(15)와 스톱퍼(16)의 치합을 통해 악세레이터 페달을 고정하고 솔레노이드를 채용한 액츄레이터(17)를 통해 상기 스톱퍼(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7-20614호)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속주행장치는, 기존차량의 구조자체를 변경하지 않고 악세레이터 페달을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켜 정속주행상태를 구현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기어의 걸림이나 치합을 통해 페달을 제동하는 것인 바, 이는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어렵고, 오작동이나 고장의 우려가 높으며, 특히 그 부재의 구성이 난잡하여 차량에의 장착성이 좋지 못하므로 실용화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최초 악세레이터 페달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시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아 속도를 재조절하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86846호로 게재된 종래의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를 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레이터 페달(18)과 드로틀밸브의 축(19) 상에 주동구(20)와 종동구(21) 및 브레이크 장치(22)를 형성하여, 악세레이터 페달(18)을 밟으면 주동구(20)의 밀대(23)가 종동구(21)를 밀어 드로틀밸브의 축(19)을 회동시켜 드로틀밸브가 개방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악세레이터 페달(18)로부터 발을 떼면 종동구(21)와 주동구(2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4)에 의해 주동구(20)가 원위치됨과 동시에, 주동구(20)의 밀대(23)가 스위치(25)를 작동시켜 브레이크 장치(22)에 의해 종동구(21)를 고정시켜 드로틀밸브축(19)의 회동이 저지되게 함으로써, 악세레이터로부터 발을 떼는 순간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아울러 악세레이터를 다시 작동시키면 원하는 속도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차량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악세레이터 페달의 복원력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아도 악셀레이터 페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정속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에는 정속주행설정이 해제되도록 하되,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량의 구조변경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악세레이터 페달의 설정상태에서도 다시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아 속도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 - 종래의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 - 본 발명의 차량용 정속주행장치의 설치예시도
도 6 -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분리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8a 및 도 8b -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회동축 33 : 제 1 접착판
39 : 제 2 접착판 40 : 전자석
50 : 풀리 53 : 태엽
54 : 와이어 60 : 케이스
70 : 덮개 100 : 악세레이터 페달
200 : 브레이크 페달 201 : 브레이크 스위치
300 : 액츄에이터 400 : 콘트롤러
500 : 밧데리 600 : 메인 스위치
700 : 셋업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정속주행장치는, 자동차의 악세레이터 페달에 직접 연결되어 악세레이터 페달의 압압력은 수용하고 악세레이터 페달의 복원력은 구속하는 액츄에이터(300)와,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중간에 제1접착판(33)을 형성한 회동축(30)의 후방부(32)를 스프링(35)과 와셔(36)를 매개로 전자석(40)의 중심관부에 끼워 탄력설치하고, 이 전자석(40)에 관통돌출된 회동축(30)의 후방단부에는 와셔(37)와 스프링(38)을 매개로 제2접착판(39)을 끼워 탄력설치한 후 키(42)로 고정하며, 상기 회동축(30)의 전방부(31)에는 중심에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55)이 형성되고 태엽 권취부(51)와 와이어 권취부(52)로 구획되어 각각 태엽(53)이 권취되고 와이어(54)의 일단이 고정된 풀리(50)를 착설한 다음, 개구부(61)가 형성된 케이스(60)와 덮개(70)에 내장하여 일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태엽(53)의 권취방향과 와이어(54)의 권취방향 및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55)의 회전가능방향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60)의 개구부(61)를 통해 상기 와이어(54)가 유출입되고, 이 와이어(54)의 타단이 차량의 악세레이터 페달(10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전자석(40)은, 밧데리전원(500)이 연결되고 메인 스위치(600)와 셋업 스위치(700) 및 브레이크 스위치(201)의 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400)에 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외에,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60)의 하부에 차체 고정용 받침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정속주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정속주행장치는, 종래의 자동차 정속주행장치가 차량구조를 변경하거나 복잡한 구성으로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소형의 컴팩트한 액츄에이터(300)로서 차체 바닥에 고정된 후, 이 액츄에이터(300)의 와이어(54)를 기존차량의 악세레이터 페달(10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히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상세도로서 도 6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도면부호 (40)은 전자석, (30)은 이 전자석의 중심관부에 끼워지는 회동축, (33) 및 (39)는 이 회동축의 후방부에 각기 착설되고 상기 전자석의 전면 및 후면에서 자력에 의해 접착되는 제1접착판 및 제2접착판, (50)은 상기 회동축의 전방부에 착설되고 원웨이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한쪽방향의 회전이 억제되는 풀리 및, (53)과 (54)는 이 풀리에 각각 권취되는 태엽 및 와이어이다.
상기 회동축(30)은 그 중간에 원판형의 금속재로 된 제1접착판(33)이 일체되고, 이 제1접착판(33)을 기준으로 전방부(31)와 후방부(32)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은 회동축(30)의 후방부(32)는 코일 스프링(35)과 와셔(36)가 끼워진 후 전자석(40)의 중심관부에 끼워져 제1접착판(33)이 탄력설치되고, 다시 전자석(40)의 후면쪽에서 상기 회동축(30)의 후방부(32)에 와셔(37)와 코일 스프링(38)을 매개로 원판형 금속재의 제2접착판(39)이 끼워져 탄력설치된 후, 후방부(32)의 키홈(34)에 키(42)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상기 회동축의 후방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으로 형성되어 제 2 접착판(39)이 회동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전자석(40)에는 전·후면 양쪽으로 접착판(33,39)이 일체된 상태로 회동축(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전자석(40)의 작동시 양쪽의 접착판(33,39)이 동시에 전자석(40)에 부착고정되어 회동축(30)이 제동되고, 전자석 해제시 스프링(35,38)의 탄성에 의해 접착판(33,39)은 각각 이격되어 회동축(30)이 다시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석(40) 양측면으로 각각의 접착판(33,39)을 형성하는 것은 전자석 작동시 양쪽 접착판에 의한 회동축의 구속력을 크게 증가시켜 후술되는 악세레이터 페달을 고정할 때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전자석 및 제1·제2접착판이 결합된 회동축(30)의 전방부(31)에는 풀리(50)가 회동가능하게 착설된다. 이 풀리(50)는 앞쪽의 태엽 권취부(51)와 뒤쪽의 와이어 권취부(52)로 구획되며, 상기 회동축(30)에 끼워지는 중심은 일방향,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원웨이클러치 베어링(55)이 형성된다.
상기 태엽 권취부(51)에는 태엽(53)이 상기 원웨이클러치 베어링(5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와이어 권취부(52)에는 와이어(54)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이 와이어(54)는 도 6에서 부분확대도로 도시한 것처럼 와이어 권취부(52) 표면에 관통구멍(56)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리(57)를 단 와이어(54)를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54)는 상기 태엽(53)의 권취방향과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태엽(53)은 태엽이 권취된 반시계방향으로 풀리(5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풀리(50)에 와이어(54)가 권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회동축(30)을 기준으로 후방부(32)에 제1접착판(33)과 전자석(40) 및 제2접착판(39)이 설치되고, 전방부(31)에 태엽(53)이 감긴 상태로풀리(50)가 설치된 후, 풀리(50)쪽을 케이스(60)에 장입하고 뒤쪽에서 덮개(70)를 체결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54)는 케이스(60)의 상면에 장공으로 형성한 개구부(61)를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출된 와이어(54)의 타단에는 도 5와 같이 고리(58)를 달아 태엽(53)에 의해 와이어(54)가 권취되더라도 케이스(60) 속으로 완전히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후술되는 악세레이터 페달에도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60)의 하면에는 고정용 받침대(62)를 형성하여 자동차 차체에 장착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300)는 도 5와 같이 차체바닥, 예컨대 악세레이터 페달(100)의 앞쪽 근방에 상기 고정용 받침대(62)를 매개로 고정하고, 유출된 와이어(54)의 끝단을 악세레이터 페달에 연결하여 장착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54)와 악세레이터 페달(100)의 연결은 예컨대 악세레이터 페달(100)의 상단쪽에 브라켓(101)을 달고, 이 브라켓(101)에 상기 와이어(54)의 고리(58)를 체결하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 7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악세레이터 페달(100)과 연동되게 장착된 액츄에이터(300)는, 전자석(40)의 전선(41)을 콘트롤러(400)에 배선하고,콘트롤러(400)를 차량의 밧데리전원(500)에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러(400)는 정속주행조작 스위치로서의 메인 스위치(600)와 원하는 차속에서 악세레이터 페달을 고정하기 위한 셋업 스위치(700)와 연결되고, 통상의 브레이크 페달(200)에서 밟으면 접속되고 페달을 떼면 차단동작하는 기존의 브레이크 스위치(201)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 및 셋업 스위치(600,700)는 자동차 운전석 앞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하고, 셋업 스위치(700)는 예컨대 터치식 스위치로 형성하여 1회 접촉시 작동하고 2회 접촉시 해제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트롤러(400)는 메인스위치(600)를 통해 온/오프되며, 셋업스위치(7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밧데리(500)의 전원을 액츄에이터(300)에 인가하거나, 셋업스위치(700)의 신호 또는 브레이크 스위치(201)의 신호를 수신받고 전자석(40)에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8에 의해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케이스(60) 및 덮개(70)를 열은 상태에서 액츄에이터(3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a를 통해 차량의 평상 주행상태, 즉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지 않은상태를 설명한다.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착판(33,39)은 전자석(40)과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착판(33,39)과 일체된 회동축(30)은 좌·우 양방향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회동축(30)의 전방부에 설치된 풀리(50)는 중심의 원웨이클러치 베어링(55)에 의해 일방향, 즉 도 8a에서 태엽(53)이 감긴 반시계방향으로는 상기 회동축(30)의 회전과 상관없이 자체회전이 가능하며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회동축(30)과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풀리(50)는 태엽(53)에 의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으며, 이와 같은 태엽의 회동력에 의해 와이어(54)는 감기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악세레이터 페달(100)과 연결된 와이어(54)의 감김은 운전자가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태엽(53)에 의한 풀리(50)의 회전(도 8a에서 실선 화살표로 표시)에 의해 이루어지고, 와이어(54)의 풀림은 운전자가 밟고 있던 악세레이터 페달을 릴리즈함에 따라 통상의 악세레이터 페달의 자체복원력에 의해 페달이 상승하면서 풀리게 되나, 이때는 상기 풀리(50)가 원웨이클러치 베어링(55)에 의해 반대방향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제1 및 제2 접착판(33,39)을 포함한 회동축(30) 전체가 회전되면서(도 8a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 풀리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본 발명의 정속주행장치를 작동하지 않는 한, 통상과 같이악세레이터 페달(100)을 상·하 원활히 조작하면서 정상운행할 수 있다.
다음, 운전자가 운행중 자신이 원하는 속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메인스위치(600)를 켠 상태에서 셋업스위치(700)를 작동하면, 도 7의 콘트롤러(400)는 셋업스위치(7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밧데리(500)의 전원을 액츄에이터(300)의 전자석(4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제1 및 제2 접착판(33,39)은 전자석(40)의 양면에 고착되어 회동축(30)의 회전이 구속되고, 와이어(54)의 풀림이 제지된다.
즉, 운전자가 운행중 셋업 스위치(700)를 작동한 연후에는 악세레이터 페달(100)로부터 발을 떼더라도 페달은 가압된 그 상태로 유지되며 그 위치에서의 정속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차량을 보다 가속하고자 하거나 또는 예컨대 등판로에서 차량속도가 떨어져 속도를 다시 올리고자 할 경우, 상기 설정된 상태의 악세레이터 페달(100)을 다시 밟으면, 와이어(54)가 권취되는 것은 상기 접착판(33,39)에 의해 고정된 회동축(30)과는 상관없이 풀리(50)의 자체회전(도 8b에서 실선 화살표로 표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악세레이터 페달을 초기설정상태보다 더 가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더 가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악세레이터 페달에서발을 떼더라도 제 1 및 제2 접착판(33,39)은 전자석(40)에 고착된 상태에 있고 와이어(54)의 풀림은 상기 접착판과 일체된 회동축(3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악세레이터 페달과 연결된 와이어는 풀리지 않고, 악세레이터 페달의 위치가 보정된 상태로 재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설정상태에서 자동차의 정지나 감속을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200)을 밟으면, 도 7의 콘트롤러(400)는 브레이크 스위치(201)의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을 단속하여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8a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양 접착판(33,39)이 전자석(40)에서 떨어져 회동축(30)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회동축(30)의 회전과 함께 악세레이터 페달(100)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의 해제는 운전자가 셋업스위치(700)를 오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정속주행장치는, 악세레이터 페달 위치를 설정하여 차량의 정속주행을 도모하고, 악세레이터 페달의 설정상태를 재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저렴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기존 차량의 구조변경없이 극히 간편히 장착될 수 있으므로, 일반 승용차는 물론 고속도로 운행이 잦은 화물차 등에 널리 보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 중간에 제1접착판(33)을 형성한 회동축(30)의 후방부(32)를 스프링(35)과 와셔(36)를 매개로 전자석(40)의 중심관부에 끼워 탄력설치하고, 이 전자석(40)에 관통돌출된 회동축(30)의 후방단부에는 와셔(37)와 스프링(38)을 매개로 제2접착판(39)을 끼워 탄력설치하며,상기 회동축(30)의 전방부(31)에는 태엽 권취부(51)와 와이어 권취부(52)로 구획되어 각각 태엽(53)이 권취되고 와이어(54)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중심에 상기 태엽(53)의 권취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55)이 형성된 풀리(50)를 착설하여 개구부(61)가 형성된 케이스(60)와 덮개(70)에 내장하며,상기 케이스(60)의 개구부(61)를 통해 유출시킨 상기 와이어(54)의 타단을 악세레이터 페달(100)에 연결하고, 상기 전자석(40)을 밧데리전원(500)이 연결되고 메인 스위치(600)와 셋업 스위치(700) 및 브레이크 스위치(201)의 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400)에 배선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956A KR100416642B1 (ko) | 2001-06-20 | 2001-06-20 |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956A KR100416642B1 (ko) | 2001-06-20 | 2001-06-20 |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2421A KR20010082421A (ko) | 2001-08-30 |
KR100416642B1 true KR100416642B1 (ko) | 2004-02-05 |
Family
ID=1971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4956A KR100416642B1 (ko) | 2001-06-20 | 2001-06-20 |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664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47128A (ja) * | 1987-03-31 | 1988-10-13 | Aisin Seiki Co Ltd | 定速走行装置 |
JPH0429434U (ko) * | 1990-07-04 | 1992-03-10 | ||
KR940009980A (ko) * | 1992-10-12 | 1994-05-24 | 윤종용 | 광픽업 고속이송방법 및 그 장치 |
KR19980054016A (ko)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자동차의 크루즈 컨트롤장치 |
-
2001
- 2001-06-20 KR KR10-2001-0034956A patent/KR1004166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47128A (ja) * | 1987-03-31 | 1988-10-13 | Aisin Seiki Co Ltd | 定速走行装置 |
JPH0429434U (ko) * | 1990-07-04 | 1992-03-10 | ||
KR940009980A (ko) * | 1992-10-12 | 1994-05-24 | 윤종용 | 광픽업 고속이송방법 및 그 장치 |
KR19980054016A (ko)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자동차의 크루즈 컨트롤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2421A (ko) | 200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68323B2 (en) |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 |
JP4597482B2 (ja) | 電動駐車ブレーキ作動アセンブリ | |
US6125983A (en) | Electric parking sprag | |
JP2001520140A (ja) | モーターサイクル用経済速度走行制御装置 | |
KR100416642B1 (ko) | 차량용 정속주행장치 | |
US4887684A (en) | Vehicle speed limiting system | |
US4495912A (en) | Constant speed running device for automobile | |
US4865151A (en) | Actuator and an automatic car-speed controller | |
JPS5921057Y2 (ja) | アクセルペダルスイツチの取付構造 | |
KR200218636Y1 (ko) | 자동차 정속주행장치 | |
KR100376399B1 (ko) | 전자식 가속페달장치 | |
JP2594517Y2 (ja) | クラッチぺダル踏力軽減装置 | |
JP2794738B2 (ja) | スロットル制御装置 | |
JP2555819Y2 (ja) | アクセルペダル | |
KR200363922Y1 (ko) |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 |
KR100456862B1 (ko) | 자동차용정속주행제어시스템 | |
JP2794735B2 (ja) | スロットル制御装置 | |
KR100401623B1 (ko) | 엑셀 페달과 엔진 로드의 연결 구조 | |
JP4112347B2 (ja) | アイドリングアップ装置 | |
JPH0546509Y2 (ko) | ||
KR0153333B1 (ko) | 자동차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 | |
KR100201070B1 (ko) | 자동차의 클러치와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연동장치 | |
KR0139453B1 (ko) |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 |
JPH02157434A (ja) | スロットル制御装置 | |
KR19980054142A (ko) | 자동 브레이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