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003B1 - 제빵기 - Google Patents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003B1
KR100416003B1 KR10-2002-0011035A KR20020011035A KR100416003B1 KR 100416003 B1 KR100416003 B1 KR 100416003B1 KR 20020011035 A KR20020011035 A KR 20020011035A KR 100416003 B1 KR100416003 B1 KR 10041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unit
resistance
baking tray
material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368A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0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50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having removable bak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하로 상호 이격설치되어 제빵재료백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과, 상기 양 반죽드럼 사이에서 배치되며 상기 제빵재료백의 통과를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빵트레이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을 정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제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는 저항감지부와; 상기 저항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이동저항에 따라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저항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저항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제빵트레이 미장착인 것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만약 사용자가 부주의하여 제빵트레이가 미장착된 상태로 제빵기가 운전된 경우에 제대로 반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제빵재료에 의해 오븐실이 오염되는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빵기{BAK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여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빵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실(11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1)와, 오븐실(110)의 전면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103)와, 본체(101)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표시패널부(102)를 갖는다.
오븐실(110)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빵 재료가 담긴 제빵재료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상부반죽드럼(111)과 하부반죽드럼(112)이 상호평행을 이루며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반죽드럼(111)과 하부반죽드럼(112) 사이에는 제빵재료백 내에서 반죽되는 재료가 상부반죽드럼(111)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반죽걸림부재(1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하부반죽드럼(111,112) 사이의 오븐실(110) 하부에는 반죽된 재료가 수용되도록 제빵트레이(104)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빵트레이(104)는 상호 대칭되는 거의 L자 형상의 제1 및 제2트레이부재(140,15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측벽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제빵기에서는, 제빵재료가 수용된 제빵재료백은 상,하부반죽드럼(111,112)에 의해 반죽행정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상부반죽걸림부재(113)와 제빵트레이(104) 사이에서 제빵재료가 반죽된다. 이러한 반죽행정이 종료된 후, 하부반죽드럼(112)만 회전되어 제빵재료백은 상부반죽드럼(111)에서 자동이탈되고, 반죽걸림부재(113)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제빵트레이(104)의 슬릿을 통과하게 되는데, 제빵재료백이 제빵트레이(104)의 슬릿을 통과하게 될 때, 제빵재료백에 수용되었던 제빵재료는 제빵트레이(104)의 슬릿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빵재료백과 분리되어 제빵트레이(104)에 안착되며, 제빵재료백은 제빵트레이(104)의 슬릿을 통과하여 하부반죽드럼(112)에 감기게 된다.
이에 제빵트레이(104)에 안착된 제빵재료는 제빵히터(미도시)로부터의 열에 의해 빵으로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빵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수로 제빵트레이(104)를 오븐실(110)에 장착하는 것을 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제빵트레(104)이 없는 상태에서 운전되면, 반죽걸림부재(113)와 제빵트레이(104) 사이에서 반죽이 이루어져야 할 제빵재료가 반죽걸림부재(113)와 하부반죽드럼(11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빵재료의 반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그런데, 제빵트레이(104)의 미장착하고 반죽행정 종료된 후, 제빵재료백이 제거하게 될 때 제빵트레이(104)에 안착되어야할 제빵재료가 오븐실(110)내로 떨어지게 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오븐실(104)이 제빵재료로 오염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면, 사용자가 오븐실에 제빵트레이를 장착하는 것을 잊고 반죽행정을 선택하였을 때, 상,하반죽드럼에 파지된 제빵재료백 내의 제빵재료가 반죽걸림부재와 하부반죽드럼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반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반죽행정 종료시 이러한 제빵재료가 오븐실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술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여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도어개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부품실영역을 절취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
도 5는 도1의 제빵트레이가 장착된 본체 내에 제빵재료백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빵재료백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도,
도 7은 도1의 제빵트레이가 장착되지 않은 본체 내에 제빵재료백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도7에 따른 제빵재료백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도,
도 9는 종래 제빵기의 도어개방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 오븐실
11 : 상부반죽드럼 13 : 하부반죽드럼
15 : 제빵트레이 25 : 드럼구동부
30 : 회전위치감지부 50,60 : 제어부
51,61 : 표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븐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하로 상호 이격설치되어 제빵재료백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과, 상기 양 반죽드럼 사이에서 배치되며 상기 제빵재료백의 통과를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빵트레이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을 정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는 저항감지부와; 상기 저항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이동저항에 따라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저항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저항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제빵트레이 미장착인 것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감지부는, 상기 드럼구동부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감지한 이동저항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감지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감지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부로부터의 회전신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의 회전시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 따라 이동저항을 평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운전표시패널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도어개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부품실영역을 절취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오븐실(10) 및 부품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오븐실(10)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3)와, 본체(1)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표시패널(5)부를 갖는다.
오븐실(1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제빵 재료가 담긴 제빵재료백 양단부가 소정 길이 권취되는 상부반죽드럼(11)과 하부반죽드럼(13)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반죽드럼(11)과 하부반죽드럼(13) 사이의 오븐실(10) 하부에는 반죽된 재료가 수용되는 제빵트레이(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빵트레이(15)는 상호 대칭되는 거의 L자 형상의 제1 및 제2트레이부재(15a,15b)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측벽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된 슬릿(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빵트레이(15)와 상부반죽드럼(11) 사이의 오븐실(10) 상부에는 제빵재료백 내에서 반죽되는 재료가 제빵트레이(15) 상부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반죽걸림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븐실(10)의 후벽면 상부 및 하부와, 오븐실(10)을 향하는 도어(3)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는 오븐실(10) 내부를 가열하는 제빵히터(19)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실(20)은 오븐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품실(21)과 오븐실(10)의 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2부품실(23)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품실(21)내에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11,13)을 정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구동부(25)는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6)와, 하부반죽드럼(13)과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축(28)을 연결하여 하부 및 상부반죽드럼(11)을 연동시키는 연동벨트(27)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1부품실에는 이러한 드럼구동부(25)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전신호전달부재(31)와 회전신호감지센서(51)를 갖는 회전위치감지부(3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80)의 이동저항을 감지하는 저항감지부와 저항감지부의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제빵재료백(80)의 이동저항이 소정 설정 값보다 이하이면 트레이 미장착인 것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저항감지부가 드럼구동부(25)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검출부(53)이며, 전압검출부(53)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빵트레이(15)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를 제1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빵트레이(15)가 오븐실(10)에 장착된 경우, 실링부(81)에 의해 밀가루와 물이 수용된 제빵재료백(80)의 일측을 상부반죽드럼(11)에 권취시키고 타측을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으로 통과시켜 하부반죽드럼(13)에 권취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 시작을 선택하게 되면, 드럼구동부(25)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빵재료백(80)의 실링부(81)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반죽드럼(13)에 제방재료백이 감기도록 드럼구동부(25)가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빵재료백(80)은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을 통해 하향이동되고 재빵재료백 내에 밀가루는 부피가 커서 좁은 슬릿(16)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향이동되므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힘에 의해 실링부(81)가 터지게 된다.
그러나, 도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로 제빵트레이(15)가 오븐실(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즉 실링부(81)에 의해 밀가루와 물이 수용된 제빵재료백(80)의 일측이 상부반죽드럼(11)에 권취되고 타측이 하부반죽드럼(13)에 권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 시작을 선택하게 되면, 드럼구동부(25)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빵재료백(80)의 실링부(81)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반죽드럼(13)에 제방재료백이 감기도록 드럼구동부(25)가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도8과 같이, 제빵재료백(80)은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을 통해 하향이동되는데 제빵트레이(15)가 장착되지 않아 재빵재료백 내에 밀가루가 상향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없으므로 실링부(81)가 터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검출부(53)는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고 있는 드럼구동부(25)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이렇게 전압검출부(53)로부터 감지된 전압을, 제빵트레이(15)가 장착되어 실링부(81)가 터지는 순간에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고 있는 드럼구동부(25)에 걸리는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평가하고 상기 기준 이하이면, 제빵트레이(15)의 미장착임을 표시부(51)인 운전표시패널(5)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경보음발생부인 부저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저항감지부는 회전위치감지부와 타이머(63)를 포함하며, 회전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위치와 타이머(63)로부터의 회전시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 따라 이동저항을 평가하는 제어부(60)를 제2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빵트레이(15)가 오븐실(10)에 장착된 경우, 실링부(81)에 의해 밀가루와 물이 수용된 제빵재료백(80)의 일측을 상부반죽드럼(11)에 권취시키고 타측을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으로 통과시켜 하부반죽드럼(13)에권취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 시작을 선택하게 되면, 드럼구동부(25)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빵재료백(80)의 실링부(81)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반죽드럼(13)에 제방재료백이 감기도록 드럼구동부(25)가 하부반죽드럼9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빵재료백(80)은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을 통해 하향이동되고 재빵재료백 내에 밀가루는 부피가 커서 좁은 슬릿(16)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향이동되므로 도6에서 볼 수 있듯이 그 힘에 의해 실링부(81)가 터지게 된다.
그러나, 도7과 같이 사용자의 실수로 제빵트레이(15)가 오븐실(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즉 실링부(81)에 의해 밀가루와 물이 수용된 제빵재료백(80)의 일측이 상부반죽드럼(11)에 권취되고 타측이 하부반죽드럼(13)에 권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 시작을 선택하게 되면, 드럼구동부(25)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빵재료백(80)의 실링부(81)를 제거하기 위해 하부반죽드럼(13)에 제방재료백이 감기도록 드럼구동부(25)가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도8에서와 같이 제빵재료백(80)은 제빵트레이(15)의 슬릿(16)을 통해 하향이동되는데 제빵트레이(15)가 장착되지 않아 재빵재료백 내에 밀가루가 상향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없으므로 실링부(81)가 터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위치감지부는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신호를 감지하고 타이머(63)는 회전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이렇게 회전위치감지부와 타이머(63)로부터의 회전신호와 회전시간에 기초한 회전속도를, 제빵트레이(15)가 장착되어 실링부(81)가 터지는 순간에 상부반죽드럼(11)의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평가하고 상기 기준 이하이면, 제빵트레이(15)의 미장착임을 표시부인(61)운전표시패널(5)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부저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는 저항감지부와; 상기 저항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이동저항에 따라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저항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저항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제빵트레이 미장착인 것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가 마련됨으로써,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오븐실에 제빵트레이를 장착하는 것을 잊고 반죽행정을 선택하였을 때, 상,하반죽드럼에 파지된 제빵재료백 내의 제빵재료가 반죽걸림부재와 하부반죽드럼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반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반죽행정 종료시 이러한 제빵재료가 오븐실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빵트레이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만약 사용자가 부주의하여 제빵트레이가 미장착된 상태로 제빵기가 운전된 경우에 제대로 반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제빵재료에 의해 오븐실이 오염되는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Claims (4)

  1. 오븐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하로 상호 이격설치되어 제빵재료백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과, 상기 양 반죽드럼 사이에서 배치되며 상기 제빵재료백의 통과를 위한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빵트레이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을 정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빵트레이의 슬릿을 통과하는 제빵재료백의 이동저항을 감지하는 저항감지부와;
    상기 저항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이동저항에 따라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저항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동저항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제빵트레이 미장착인 것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부는, 상기 드럼구동부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감지한 이동저항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감지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부로부터의 회전신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의 회전시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 따라 이동저항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빵트레이의 미장착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운전표시패널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KR10-2002-0011035A 2002-02-28 2002-02-28 제빵기 KR10041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35A KR100416003B1 (ko) 2002-02-28 2002-02-28 제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35A KR100416003B1 (ko) 2002-02-28 2002-02-28 제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68A KR20030071368A (ko) 2003-09-03
KR100416003B1 true KR100416003B1 (ko) 2004-01-24

Family

ID=3222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035A KR100416003B1 (ko) 2002-02-28 2002-02-28 제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061B1 (ko) * 2002-09-1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87A (ko) * 1989-08-09 1991-03-29 마에다 가쓰노스께 폴리옥시메틸렌 다원공중합체 및 그의 수지조성물
WO1992010100A1 (en) * 1990-12-13 1992-06-25 Heden-Team Ag Automatic baking apparatus and mixbag therefor
KR920004671Y1 (ko) * 1989-12-08 1992-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빵기의 반죽날개 유무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87A (ko) * 1989-08-09 1991-03-29 마에다 가쓰노스께 폴리옥시메틸렌 다원공중합체 및 그의 수지조성물
KR920004671Y1 (ko) * 1989-12-08 1992-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빵기의 반죽날개 유무감지장치
WO1992010100A1 (en) * 1990-12-13 1992-06-25 Heden-Team Ag Automatic baking apparatus and mixba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68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9420A1 (en) Fluid sensing in a drip tray
EP1633631A2 (en) Vacuum packaging appliance with removable trough
JP2018121757A (ja) 加熱調理器
KR100416003B1 (ko) 제빵기
KR20040096201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8868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799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991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3741693B2 (ja) 製パン機
KR20020057012A (ko) 제빵기
EP1382282B1 (en)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94400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3792234B2 (ja) 製パン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645209B2 (ja) スープ類の供給装置
JP4779528B2 (ja) 製パン機
EP1474985B1 (en) Bread maker
KR20040008862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EP1475878B1 (en)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96231A (ko) 제빵기
JP6735548B2 (ja) 圧力フライヤー
KR100494399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006104A (ja) スープ類の供給装置
JP5146208B2 (ja) 自動製パン機
KR20040096200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H05172336A (ja) 加熱調理器の被調理物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