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709B1 -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709B1
KR100415709B1 KR1019960070224A KR19960070224A KR100415709B1 KR 100415709 B1 KR100415709 B1 KR 100415709B1 KR 1019960070224 A KR1019960070224 A KR 1019960070224A KR 19960070224 A KR19960070224 A KR 19960070224A KR 100415709 B1 KR100415709 B1 KR 10041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dye
acetate
fab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332A (ko
Inventor
전광수
강기혁
김인욱
황병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70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1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ester and amide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1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dispersed, e.g. acetate,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9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D06P3/241Polyamides; Polyurethanes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D06P3/26Polyamides; Polyurethanes using dispersed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40Cellulose acetate
    • D06P3/401Cellulose acetate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40Cellulose acetate
    • D06P3/42Cellulose acetate using dispersed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사와 나일론사로 복합된 직물을 염색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2∼4% o.w.f의 분산염료로 90∼110℃에서 20∼40분간 염색한 후, 2∼4% o.w.f 산성 염료로 70∼90℃에서 20∼40분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염색방법에 의하면 색상 및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AMN : Acetate mixed Nylon) 직물의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을 분산염료로 염색을 실시한 후, 산성 염료로 염색을 실시하는 2욕 2단의 염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세테이트는 분산염료에 의해 염착을 하고 나일론은 분산염료와 산성 염료에 의해 염착기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아세테이트와 나일론을 상압에서 분산염료로 1욕으로 염색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로는 일본특개평03-97978호 공보에 방법이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용하면 염색은 가능하지만, 나일론이 분산염료에 대한 세탁견뢰도가 매우 낮음으로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 품질이 좋은 AMN직물을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위와 같이 아세테이트와 나일론은 서로 다른 염착기구를 형성함으로써 같은 염료로 염색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AMN을 솔리드(SOLID)로 염색하기 위하여 2종류의 염료로 염색을 하는 2욕 2단 염색법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염색견뢰도가우수한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세테이트사와 나일론사로 복합된 직물을 염색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2∼4% o.w.f의 분산염료로 90∼110℃에서 20∼40분간 염색한 후, 2∼4% o.w.f 산성 염료로 70∼90℃에서 20∼40분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단 2욕의 염료로 염색된 직물을 탄닌산 1∼5% o.w.f로 처리한 후 토주석(tartar emetic) 1∼5% o.w.f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 의하면, AMN 직물을 2℃/min의 승온속도로 90∼110℃로 승온한 후, 2∼4% o.w.f의 분산염료로 20∼40분간 염색하고, 이를 냉각 및 수세한 후, 다시 승온속도 2℃/min으로 70∼90℃로 승온하여 산성 염료로 20∼40분간 염색한 다음 상온∼60℃로 재냉각한다. 그 후 상온∼60℃에서 탄닌산을 1∼5% o.w.f를 투입하여 10∼20분간 처리한 후 다시 승온속도 2℃/min으로 70∼80℃로 승온하여 그 상태로 10∼30분간 방치한 다음, 1-5% o.w.f의 토주석으로 10∼30분간 처리하여 수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분산 염료로 염색하고 나서 산성 염료로 염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염색하는 이유는 산성 염료로 먼저 염색한 후 분산염료로 염색할 경우 나일론이 미리 산성 염료에 의해 염착을 형성함으로 그후 분산염료에 의한 염색시 견뢰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염색후 처리공정에서, 토주석 처리는 탄닌산 처리후 냉각을 거치지 않고 수행하거나 또는 냉각 및 승온 과정을 거친 후 수행하여도 좋다.
탄닌산과 토주석을 이용한 고정(Fixing) 효과의 원리는 음전하를 가지는 탄닌산을 나일론의 표면에 처리하여 염착되어 있는 산성 염료(음전하)를 반발시켜 섬유 표면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토주석은 이러한 탄닌산의 역할을 도와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탄닌산과 토주석을 1-5% o.w.f로 처리하는 이유는 1% o.w.f미만인 경우 충분한 견뢰도 증진의 효과를 보기 어렵고 5% o.w.f를 초과하는 경우 코스트가 증가하게 되며 오히려 변색의 우려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농도범위에서 탄닌산과 토주석을 처리함에 있어서, 토주석의 농도를 탄닌산의 농도 보다 약간 높게 할 경우 염료 고정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는 탄닌산 대 토주석의 농도(% o.w.f) 비율은 1:1.5∼1:2.5 이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MN 190/57/1 1000T/M (아세테이트 120/33 mixed 나일론 70/24, A/GGT 조직, S:Z=2:2, 경위사 동일)로 이루어진 직물을 이용하여 이완(Relax) 공정과 예비 세트(Pre Set) 공정을 거친 BO지에 대하여 분산염료인 세리솔 블랙 비에스엔(Serisol Black BSN) 3% o.w.f로 100℃에서 30분간 염색 후(승온 2℃/분), 상온으로 냉각하고 수세하였다. 다음, 산성 염료 나일로민 블랙 씨-2알(NylomineBlack C-2R) 3% o.w.f로 80℃에서 30분간 염색후 냉각하였다, 다음, pH 3.7에서 탄닌산 (Sunlife TA-200) 2% o.w.f로 60℃에서 15분간 처리후 다시 70℃로 승온하여 15분간 방치한 후 토주석(TA-SOLT) 1% o.w.f를 투입하여 15분간 처리한 후 수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직물을 이용하여 분산염료 Serlsol Black BSN 6% o.w.f로 100℃에서(승온속도 2℃/min) 30분간 염색을 실시한 후 R/C(환원 세정: CH-conc 0.5g/ℓ, 70℃×10분)를 실시하였다. 탄닌산과 토주석은 처리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같은 직물을 이용하여 분산염료 Serisol Black BSN 35 o.w.f로 100℃에서 30분간 염색하고, 수세 공정을 거친 후 산성염료 Nylomine Black C-2R 3% o.w.f로 80℃에서 30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탄닌산과 토주석은 처리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같은 직물을 이용하여 산성염료 Nylomine Black C-2R 3% o.w.f로 80℃×30분간 염색후 분산염료 Serisol Black BSN 3% o.w.f로 100℃×30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탄닌산과 토주석은 처리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염색직물에 대하여 칼라 L치와, 마찰시 및 세탁시 염색견뢰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 에 제시된다.
[표 1]
※ COLOR L 치 : 0 ∼ 100 (0 : BLACK, 100 : WHITE)
※ 견 뢰 도 : 1 ∼ 5 급 (급수가 높을 수록 우수함)
※ Ace : 아세테이트
※ Ny : 나일론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에 의한 염색직물은 비교예 1 내지 3의 직물 보다 블랙 L치에 더 근접하므로 색상이 우수하며, 마찰시 및 세탁시의 견뢰도 급수가 더 높으므로 염색견뢰도도 우수하다.

Claims (4)

  1. 아세테이트사와 나일론사로 복합된 직물을 염색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2∼4% o.w.f의 분산염료로 90∼110℃에서 20∼40분간 염색한 후, 2∼4% o.w.f 산성염료로 70∼90℃에서 20∼40분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산성염료로 염색된 직물을 탄닌산 1∼5% o.w.f로 처리한 후 토주석 1∼5% o.w.f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토주석 처리는 탄닌산 처리후 냉각을 거치지 않고 수행하거나 또는 냉각 및 승온 과정을 거친 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탄닌산 대 토주석의 농도(% o.w.f) 비율이 1:1.5∼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 방법.
KR1019960070224A 1996-12-23 1996-12-23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KR10041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24A KR100415709B1 (ko) 1996-12-23 1996-12-23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24A KR100415709B1 (ko) 1996-12-23 1996-12-23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332A KR19980051332A (ko) 1998-09-15
KR100415709B1 true KR100415709B1 (ko) 2004-05-06

Family

ID=3731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224A KR100415709B1 (ko) 1996-12-23 1996-12-23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375B1 (ko) * 2010-01-15 2012-11-07 (주)동인섬유 고견뢰 아세테이트 함유 직?편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9428B1 (ko) 2021-07-23 2021-10-29 신성교 생산성이 향상된 나일론 원단의 염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29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효성 염색된 나일론/스판덱스 편직물의 견뢰도 향상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978A (ja) * 1989-09-07 1991-04-23 Mitsubishi Kasei Corp 混合繊維類の染色法
KR960010995A (ko) * 1994-09-28 1996-04-20 김준웅 복합직물의 일욕 염색방법
KR100254696B1 (ko) * 1993-12-30 2000-05-01 조민호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978A (ja) * 1989-09-07 1991-04-23 Mitsubishi Kasei Corp 混合繊維類の染色法
KR100254696B1 (ko) * 1993-12-30 2000-05-01 조민호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KR960010995A (ko) * 1994-09-28 1996-04-20 김준웅 복합직물의 일욕 염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375B1 (ko) * 2010-01-15 2012-11-07 (주)동인섬유 고견뢰 아세테이트 함유 직?편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9428B1 (ko) 2021-07-23 2021-10-29 신성교 생산성이 향상된 나일론 원단의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33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ik et al. Printing of cationised cotton with reactive dyes
EP0359188B1 (de) Verfahren zum Färben und Bedrucken von Cellulosefasern in Abwesenheit von Alkali oder Reduktionsmitteln
Harper Jr et al. Cationic Cotton Plus Easy Care.
WO2002004742A1 (en) Utility of selected amine oxides in textile technology
EP0721524B1 (en) Use of aqueous tannic acid solution to improve resistance to stains on fibrous substrates
KR100415709B1 (ko) 아세테이트/나일론 복합사 직물의 염색방법
US3824076A (en) Liquid ammonia-caustic dye solution and dyeing therewith
EP0286597B1 (en) Dyeing and printing fibres
US5417724A (en) Method of treating acid dyed nylon fibers to enhance colorfastness
CN109403068A (zh) 一种纯棉布料及其染色工艺
US5490865A (en) Method of treating and dyeing animal fibers
WO2000014324A1 (en) Method of dyeing cotton/wool blends
US3653801A (en) Pad-acid steam nylon-cotton blend with acid and vat dyes
KR20020033470A (ko) 나이론/스판덱스 편직물의 고견뢰도 염색방법
Hook et al. The use of reactant‐fixable dyes in the dyeing of cellulosic blends
KR940007030B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복합섬유의 염색방법
US3723055A (en) One pass continuous dyeing of polyester/cellulosic fibers a plurality of colors
Jang et al. Dyeing properties of synthetic fibers with indigoid vat dye
JPH05272075A (ja) ポリエステル/ナイロン混紡品の一浴染色法
SU1344838A1 (ru) Способ крашени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полиамидных волокон
Aspland Chapter 11/Part 1: anionic dyes and their application to ionic fibers: dyeing nylon with acid dyes
Ellingham et al. Neutralizing fluorozirconate and fluorotitanate treated wools
JPH11158785A (ja) 染色方法
JPS61102492A (ja) 染色堅牢度向上方法
JPS61174485A (ja) 再生繊維素繊維又は繊維構造物の染色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