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500B1 - 자동차의운전석내의조작부재를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운전석내의조작부재를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500B1
KR100415500B1 KR1019950049114A KR19950049114A KR100415500B1 KR 100415500 B1 KR100415500 B1 KR 100415500B1 KR 1019950049114 A KR1019950049114 A KR 1019950049114A KR 19950049114 A KR19950049114 A KR 19950049114A KR 100415500 B1 KR100415500 B1 KR 10041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at
operating member
dri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783A (ko
Inventor
페터 코르넬리우스
프리들 베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02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과제 : 자동차 운전석 내에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해결수단 : 조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이(10)이 운전석 내에 배치된 계기판 내로 삽입 가능한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 모듈(10)이 점멸등 레버(21) 및 와이퍼 레버(22)를 포함하며, 리세스가 설치된 정면 평판(12)을 구비하고, 또한, 하나의 리세스(13)를 통해서 점멸등 레버(21)가 그리고 다른 리세스(13)를 통해서 와이퍼 레버(22)가 안내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는 개별적이며, 또한 계기판의 여러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점멸등 레버 및 와이퍼 레버는 조작의 용이성때문에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칼럼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배치에서는 스티어링칼럼에 조작 레버를 위한 부가의 고정 부재를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부재를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작 모듈의 도면.
제 2 도는 베이스 모듈을 확장하기 위한 부가 모듈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듈 11 : 하우징
12 : 정면 평판 13 : 리세스
14 :슬릿 15 : 광선회 스위치
16 : 경보 점멸등 스위치 17 : 온도 선택 스위치
18 : 선택 스위치 20 : 대향 콘택트
21 : 점멸등 레버 22 : 와이퍼 레버
24 : 오목부 25 : 스티어링 칼럼
26 : 분리선 30, 37 : 부가 모듈
31 : 조작 부재 32 :커버
34 : 플러그 콘택트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구성 부재가 얻어진다. 모듈은 교체 가능한 박스로서 구성되며, 계기판의 소정의 삽입 개구부로 도입 가능하며, 그의 결합은 플러그 콘택트를 거쳐서 실현 가능하다.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설명된 구성에 의해 독립항에 기재된 장치의 유리한 실시와 개선이 가능하다. 모든 중요한 조작 부재의 통합에 의해서 복잡한 전기식 및기계식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와이퍼 및 점멸등의 조작 레버, 광선회 스위치, 난방 및/또는 공조 및 송풍단의 조절을 위한 온도 예비 선택을 선택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조작 부재가 신호 전류에 의해 작동하고, 고전류 소비 기기가 릴레이, 반도체 또는 CAN-버스를 거쳐 제어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조작 부재를 작은 조작력에 의한 인간 공학적 구성으로 집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호 전류를 위한 전기식 인터페이스는 비용면에서 유리하도록, 예를 들어, 저전류콘택, 비접촉 전송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가인 기계식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보덴케이블(Bowden cable) 및 그 조정 장치(adjustment)는 생략할 수 있다. 중요한 이점은 중량의 저감에 있으며, 이는 조작 부재, 안전 장치 및 제어 장치 간의 고전류 배선이 생략됨으로써 달성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조작 모듈(10)은 정면 평판(front plate; 12)을 구비한 하우징(11)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1) 내에는 예를 들어 광선회 스위치(15), 경보 점멸등 스위치(16), 온도 선택 스위치(17) 및 송풍단 조절을 위한 선택 스위치(18)가 통합되어 있다. 선택 스위치(17, 18)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스위치이다.
전기식 조작 부재는 예를 들어 5V의 신호 전류로 작동한다. 고전류 소비기기(consumer)의 제어는 예를 들어 릴레이 또는 반도체를 거쳐서 수행된다. 고전류 소비기기, 예를 들어 상응하는 유니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는 자동차 분야에서 공지된 CAN-버스를 거쳐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CAN-버스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모듈에 부가 기능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및 온도 예비셀렉터를 구비한 공조 모듈 및/또는 자동차의 키없는 록/록 해제를 위한 쉘 트랜스폰더(shell transponder) 제어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드 덤프 반전 방지를 위한 회로를 모듈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은 단 한번만 보호되면 된다.
또한, 정면 평판(12)은 2개의 리세스(13) 및 슬릿(14)을 구비하고 있다. 점멸등 조작 부재로서의 점멸등 레버(21)가 하나의 리세스(13)를 통해, 그리고 와이퍼 조작 부재로서의 와이퍼 레버(22)가 다른 리세스(13)를 통해서 안내되며, 점멸등 레버(21) 및 와이퍼 레버(22)는 각각 정면 평판(12)의 배후에 배치된 스위치 또는 릴레이를 작동시킨다.
공조 장치에 의해서 가열 또는 냉각된 환기의 일부가 슬릿(14)을 통해서 유도된다. 슬릿(14)의 배후에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환기의 온도가 측정되고 공조 장치가 제어된다.
모듈(10)은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콘택트를 가지며, 이 콘택트에 의해 모듈(10)은 스티어링 칼럼에 있는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계기판 내에 고정되며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하우징(11)은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2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칼럼(25) 중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24)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점멸등 레버(21) 및 와이퍼 레버(22)가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휠(도시 생략)의 조작 영역 내에 이르는 것이 보장된다.
제 2 도는 기타의 조작 부재(31)를 구비한 부가 모듈(30)을 도시한다. 부가모듈(30)은 선회 가능한 커버(32)를 구비하며, 커버의 배후에는 신호 전류 회로의 보호를 위한 전기적 안전 장치가 배치된다. 또한, 부가 모듈(30)은 옆쪽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34)를 구비하며, 플러그 콘택트는 베이스 모듈(10)에 대응 배치된 대향 콘택트(20)와 결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가 모듈(30)이 기계식 회전 스위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 스위치는 보덴케이블을 거쳐 조작될 부재로 안내된다. 그러나, 하나 또는 복수의 전기식 조작 부재를 구비한 구성의 부가 모듈(30)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1)을 단순히 파선으로 도시된 분리선(26)까지 실시하고, 따라서 조작 부재(17, 18)가 또 하나의 부가 모듈(37)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경우, 부가 모듈(37)은 부가 모듈(30)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확장을 위해서 모듈(10)에 CAN-버스용의 부가의 인터페이스를 두고, 이것을 거쳐 부가 모듈(30, 37)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자동차 운전석 내의 계기판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한 형식의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정면 평판(12)을 구비한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스티어링 칼럼(25)에 있는 계기판의 삽입 개구부 내로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정면 평판(12)에는 조작 부재들(15,16,17,18,21,22)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21)는 점멸등 레버이고, 상기 조작 부재(22)는 와이퍼 레버이며, 점멸등의 조작을 위해 정면 평판(12) 내의 리세스(13)를 통해, 모듈(10)의 하우징 내에서 정면 평판(12)의 뒤에 배치된 스위치 또는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은 스티어링 칼럼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은 삽입 가능하게 계기판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식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에 신호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CAN-버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 내에 배치된 조절 장치는 CAN-버스를 거쳐 전기식 조작 부재에 의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은 베이스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모듈(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과 부가 모듈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플러그 콘택트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과 부가 모듈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CAN-버스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석 내의 조작 부재를 위한 장치.
KR1019950049114A 1994-12-20 1995-12-08 자동차의운전석내의조작부재를위한장치 KR100415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45379.5 1994-12-20
DE4445379A DE4445379B4 (de) 1994-12-20 1994-12-20 Modul zur Anordnung von Bedienelementen an einer Instrumententafel im Cockpit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783A KR960021783A (ko) 1996-07-18
KR100415500B1 true KR100415500B1 (ko) 2004-04-06

Family

ID=653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114A KR100415500B1 (ko) 1994-12-20 1995-12-08 자동차의운전석내의조작부재를위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8216734A (ko)
KR (1) KR100415500B1 (ko)
DE (1) DE4445379B4 (ko)
FR (1) FR2728201B1 (ko)
IT (2) IT2373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3907A3 (de) * 1998-09-03 2001-09-19 Mannesmann VDO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dienen von Einrichtungen in einem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87206A (fr) * 1963-12-16 1965-01-29 Citroen Sa Andre Boîtier d'appareillage électrique pour véhicule
FR2421750B1 (fr) * 1978-04-06 1985-10-31 Kirsten Elektrotech Montage des commutateurs de commande a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DE2814821C2 (de) * 1978-04-06 1986-08-21 Franz Kirsten Elektrotechnische Spezialfabrik, 6530 Bingen Vorrichtung zur Aufnahme der Betriebsschalter eines Kraftfahrzeuges
IT1128402B (it) * 1980-04-08 1986-05-28 Fiat Auto Spa Sistema di alloggiamento di un gruppo di interconnessione elettrica per comandi e o strumenti e o elementi accessori di un veicolo
DE65040T1 (de) * 1981-05-13 1983-08-04 Deere & Co., 61265 Moline, Ill. Armaturenbrett fuer ein fahrzeug.
DE3333138A1 (de) * 1983-09-14 1985-03-28 Franz Kirsten Elektrotechnische Spezialfabrik, 6530 Bingen Schalterleiste an einem armaturenbrett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EP0399895B1 (fr) * 1989-05-23 1994-10-12 Valeo Electronique Platine de servitude associée au tableau de bord d'un véhicule automobile
DE4128306A1 (de) * 1991-08-27 1993-03-04 Leonische Drahtwerke Ag Bedienungseinrichtung fuer peripherie-einrichtungen und stellantriebe in kraftfahrzeugen
DE4233865A1 (de) * 1992-10-08 1994-04-14 Bosch Gmbh Robert Bedienvorrichtung für elektrische Verbraucher, wie Blinker, Scheinwerfer, Scheibenwischer o. dgl. in einem Fahrzeug
IT1257964B (it) * 1992-12-30 1996-02-19 Borletti Climatizzazione Plancia porta-strumenti per veicoli, con dispositivo scambiatore di calore incorpor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52453A1 (it) 1996-06-21
ITMI950818U1 (it) 1997-05-24
KR960021783A (ko) 1996-07-18
FR2728201B1 (fr) 1998-01-02
FR2728201A1 (fr) 1996-06-21
DE4445379A1 (de) 1996-06-27
ITMI950818V0 (it) 1995-11-24
ITMI950818U4 (it) 1996-06-24
DE4445379B4 (de) 2007-04-05
IT237310Y1 (it) 2000-09-05
ITMI952453A3 (it) 1996-06-20
ITMI952453A0 (ko) 1995-11-24
JPH08216734A (ja) 1996-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233A (en) Light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528899B1 (en) Power supply network apparatus
US6441510B1 (en) Reconfigurable modular instrument cluster arrangement
EP3566910B1 (en) Wire harness, component module for wire harness, and vehicle component
US6511342B1 (en) Modular instrument panel system having a flat flexible bus
JPH10236319A (ja) 機能モジール
US7180020B2 (en) Steering column module
JP2001516307A (ja) 自動車部品の位置制御装置
JPH09175231A (ja) メ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組付け構造
US5589715A (en) Meter module assembly
US6492744B1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motor vehicle
US4028738A (en) Central circuit control plates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415500B1 (ko) 자동차의운전석내의조작부재를위한장치
JPH07257233A (ja) メータモジュール組立体
US787485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GB2036469A (en) Control and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in Motor Vehicles
US6777824B2 (en) Electronic mirror circuit and outside mirror assembly with such a circuit
US5668415A (en) Arrangement of harnesses in a vehicle
JPH0665533B2 (ja) 自動車用電気配線装置
US4661796A (en) Normal and abnormal condition indicating device
JPH0537718Y2 (ko)
JPH08216805A (ja) 車両の電源分配構造
JP3585011B2 (ja) メータ駆動装置
RU26494U1 (ru) Узел панели приборов автомобиля и прибо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панель приборов
JP2004217020A (ja) 車両計器盤内側の電気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