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194B1 -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194B1
KR100415194B1 KR10-1998-0032665A KR19980032665A KR100415194B1 KR 100415194 B1 KR100415194 B1 KR 100415194B1 KR 19980032665 A KR19980032665 A KR 19980032665A KR 100415194 B1 KR100415194 B1 KR 10041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ovable
valve body
pow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677A (ko
Inventor
태 환 김
건 석 서
정 훈 서
상 철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1998-003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1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액션 디스크와 접하는 플런저 선단부를 개선하여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제동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는 리액션 디스크(410)와 접하는 플런저(240)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유격가능하게 가동 플런저(600)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도시안함)을 밟는 정도에 따라 리액션 디스크(410)와 접하는 플런저(240) 선단부(240a)의 접촉 면적이 가변하여 두 개의 배력비가 발생됨으로써, 제동초기에는 제동력을 작게 하고 일정수준 감속된 상태에서는 제동력 상승을 급하게 하여 정지거리가 단축됨으로써 제동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압 차이에 의해 형성된 힘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리액션 디스크와 플런저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BOOSTER)는 진공과 대기와의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전방셀의 전면부에 마스터실린더가 결합되어 있어서 증폭된 힘을 이용하여 제동유압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기능을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텐덤 배력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셀(11)과 후방셀(12)이 밀폐 결합된 케이싱(10) 내부를 전방실(16a,16b)과 후방실(15a,15b)로 구획하는 센터플레이트(19)가 후술하는 밸브본체(20)의 외주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후방셀(12)의 개구된 중심부를 통해 돌출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밸브본체(20)와, 브레이크 패달(미도시)과 연동하는 입력축(30)과, 이의 작동에 따라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실(16a, 16b)과 후방실(15a, 15b)을 전방 정압실(16a)과 전방 변압실(16b), 후방 정압실(15a)과 후방 변압실(15b)로 또 다시 구획하는 전방 다이아프램(14a)과 전방 파워 피스톤(14b), 후방 다이아프램(13a)과 후방 파워 피스톤(13b)이 설치된다. 이러한 정압실(16a,15a)과 변압실(16b,15b)은밸브본체(20)에 형성된 정압통로(23a,23b)를 통해 연통된다. 전방셀(11)의 일측 외벽에는 내부와 부압원을 연통시키는 진공연결 파이프(17)가 결합되고, 전방 정압실(16a) 내부에 복원스프링(18)이 설치되어 배력장치가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에 밸브본체(20)를 복원시킨다.
밸브본체(20) 일단은 외주부에 전방 다이아프램(14a)과 전방 파워 피스톤(14b), 센터플레이트(19) 및 후방 다이아프램(13a)과 후방 파워 피스톤(13b)이 결합되며 공기흡입부(21)가 형성된 타단은 후방셀(1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대기와 연통된다. 그리고 여기에는 정압실(16a, 15a)과 변압실(16b, 15b)을 연통하는 정압통로(23a, 23b)와 대기와 변압실(16b, 15b)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22a, 22b)가 형성된다. 밸브본체(20)의 내부에는 입력축(30)의 단부와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플런저(24)가 설치되는데, 플런저(24) 선단부와 밸브본체(20) 선단부는 출력축(40) 단부에 안착된 리액션 디스크(41)와 접촉된다.
또한 입력축(30)의 작동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탄성재질의 포펫 밸브(50)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정압통로(23a,23b)와 변압통로(22a,22b)를 개폐한다. 즉, 밸브본체(20)의 내주면에는 포펫 밸브(50) 선단부가 안착되어 입력축(30)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압통로(23a,23b)를 폐쇄하는 제 1 밸브 시트부(25)가 형성되어, 포펫 밸브(50)와 제 1 밸브 시트부(25)가 조합하여 진공밸브를 형성한다. 그리고 플런저(24)의 후단부에도 역시 포펫 밸브(50)의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변압통로(22a,22b)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시트부(24a)가 형성되어 에어 밸브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포펫 밸브(50) 선단부가 제 2 밸브시트부(24a)에 안착되면 외기의 공기는 에어 밸브에 의해 유입되지 못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에는 부압원에 의해 각 정압실(15a, 16a)과 변압실(15b, 16b)은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입력축(30)이 전진하고 플런저(24)가 밀려 리액션 디스크(41)에 힘을 가하며, 제 2 밸브 시트부(24a)와 포펫 밸브(50)의 선단부가 분리된다. 계속하여 에어 밸브가 개방 작동되면, 변압통로(22a, 22b)를 통해 각 변압실(15b, 16b)과 밸브본체(20) 내부가 연통됨과 동시에 탄성재질의 포펫 밸브(50)가 제 1 밸브 시트부(25)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정압실(15a, 16a)과 변압실(15b, 16b)의 연통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공기흡입부(21)를 통해 밸브본체(2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변압통로(22a, 22b)를 통해 변압실(15b, 16b)로 유입된다. 이 때, 외부공기는 차압에 의해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작동가능한 각 다이아프램(13a, 14a)과 파워 피스톤(13b, 14b)이 정압실(15a, 16a) 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러한 힘은 리액션 디스크(41)를 통해 입력보다 증폭된 출력을 출력축(40)에 가하며,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도시안함)로 전달되어 제동 유압을 발생시킨다. 제동 유압은 휠 실린더(도시안함)로 전달되어 제동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거의 순간적으로 일어난다.
결국, 기압 차이로 인해 발생된 힘은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작용하며, 각 다이아프램(13a, 14a)과 파워 피스톤(13b, 14b)이 고정된 밸브본체(20)는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정압실(15a, 16a)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밸브본체(20)중심부위를 통해 리액션 디스크(41)를 밀게 된다. 리액션 디스크(41)는 플런저(24) 선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밸브본체(20) 선단의 중심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작용된다. 이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과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비는 리액션 디스크(41)와 접촉하여 가압하는 밸브본체(20) 선단의 중심부 면적과 플런저(24) 선단부의 면적비로 귀결된다.
그러나 이렇게 발생된 배력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이 일정수준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배력 효과를 상실하여,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이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데, 도 2에 도시한 단일 배력비를 생성하는 배력장치의 입력에 대한 출력의 관계를 나타낸 성능특성곡선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압 차이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과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을 때 가해지는 압력 사이의 비는 리액션 디스크(41)와 접촉하는 밸브본체(20) 중심부위 면적과 플런저(24) 선단부의 면적비로 결정된다(B - C 구간). 따라서 종래 배력장치는 이러한 배력비를 결정하는 부품의 면적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배력비만을 생성한다. 입력이 A - E 구간까지 상승하는 동안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 출력 값은 F - G 까지 증가한다. 실제로 제동 초기에는 감속도를 작게 하고 제동 후기에는 제동력을 증가시켜 정지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차량의 방향 안정성에서도 훌륭한 효과가 있으나 단일의 배력비를 가진 종래 배력장치에서는 운전자로부터 더 많은 힘이 브레이크 패달에 전달되어야 한다. C - D 구간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배력 효과가 상실되어 밟는 힘이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운전자가 제동효과를 향상시키거나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힘을 패달에 가해야 하며, 통상적인 제동에서 운전자는 습관에 의해서 제동할 때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액션 디스크와 접하는 플런저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간격 유격가능하게 가동 플런저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리액션 디스크와 접하는 플런저 선단부의 접촉 면적이 가변하여 두 개의 배력비가 발생되어 제동 초기에는 제동력을 작게 하고 일정수준 감속된 상태에서는 제동력 상승을 급하게 하여 정지거리를 단축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단일 배력비를 형성하는 배력장치의 배력 특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본체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 플런저에 의한 1차 배력비 발생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플런저에 의한 2차 배력비 발생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력장치에서 발생되는 배력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밸브본체 240..플런저
242..섭동홀 243..핀홀
300..입력축 400..출력축
410..리액션디스크 600..가동플런저
610..가동제한핀 620..지지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셀과 후방셀이 밀폐 결합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를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하는 다이아프램과, 다이아프램의 중심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후방셀 중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공기 흡입부를 형성한 밸브본체와, 밸브본체 선단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진퇴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변압실로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플런저와, 일단은 플런저에 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패달과 연계되어 플런저를 작동시키는 입력축과, 다이아프램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과, 출력축 단부에 밸브본체 선단의 중심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밸브본체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리액션 디스크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천공된 섭동홀과, 상기 섭동홀에 구비하여 상기 입력축의 전진정도에 따라 선단부가 상기 리액션 디스크 중심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복수의 배력비를 형성되도록 상기 리액션 디스크를 가압하는 가동 플런저와, 상기 가동 플런저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본체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력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셀(110)과 후방셀(120)이 밀폐 결합된 케이싱(100) 내부가 센터플레이트(190)에 의해 전방실(160, 161)과 후방실(150, 151)로 구획되어 있으며, 전방실(160, 161)과 후방실(150, 151)로의 공기 유로를 제어하는 밸브본체(200)와 이를 작동시키는 입력축(300) 및 배가된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4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셀(110)의 일측 외벽에는 케이싱(100) 내부를 부압원(미도시)과 연통시키는 진공연결 파이프(170)가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80은 밸브본체(200)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다.
전방실(160, 161)은 전방 다이아프램(140)과 전방 파워 피스톤(141)에 의해 전방 정압실(160)과 전방 변압실(161)로 구획되며, 후방실(150, 151) 역시 후방 다이아프램(130)과 후방 파워 피스톤(131)에 의해 후방 정압실(150)과 후방 변압실(151)로 구획된다. 이러한 다이아프램(130,140)과 파워피스톤(131, 141)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각각 밸브본체(200)의 일단부 외주부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된다.
변압실(151, 161)과 정압실(150, 160)로의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밸브본체(200)는 후방셀(1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는데, 일단 외주부에 전방 다이아프램(140)과 전방 파워 피스톤(141) 및 센터플레이트(190), 후방 다이아프램(130)과 후방 파워 피스톤(131)의 중심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밸브본체(200)의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흡입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본체(200)의 내부에는 각 정압실(150, 160)과 변압실(151, 161)을 연통하는 정압통로(230)와 각 변압실(151, 161)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변압통로(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본체(200)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선단 중심부에는 실린더부(260)가 형성되고 여기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플런저(240)가 설치된다. 플런저(240)의 후단은 브레이크 패달(도시안함)과 결합된 입력축(300)의 단부와 결합되고 그 선단부에는 출력축(400)이 설치되는데, 출력축(400) 선단부에는 밸브본체(200) 선단의 중심부(200a)와 접촉되어 단면적 차이로 인해 힘을 배가시켜 출력축(400)에 전달하는 탄성재질의 리액션 디스크(410)가 구비되어 있다. 밸브본체(200) 내부에는 유동성이 있는 탄성재질의 포펫 밸브(500)의 선단부가 입력축(30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정압 통로(230)를 폐쇄 및 개방하는 밸브기능을 하는 제 1 밸브 시트부(250)가 마련되는데, 포펫 밸브(500)와 제 1 밸브 시트부(250)가 조합하여 진공밸브를 형성한다. 즉, 포펫 밸브(500)의 선단부가 제 1 밸브 시트부(250)상에 안착되면 정압통로(230)는 폐쇄되고 이로 인해 정압실(150, 160)과 변압실(151, 161)의 연통은 차단된다. 또한, 입력축(300)의 단부와 결합되는 플런저(240)의 후단부에는 역시 포펫 밸브(500)의 선단부가 입력축(30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외기의 공기가 변압실(151,16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2 밸브 시트부(241)가 형성되는데, 포펫 밸브(500)와 제 2 밸브 시트부(241)가 조합하여 에어밸브를 형성한다.
한편, 이러한 플런저(240) 선단부에는 입력축(300) 전진정도에 따라 복수의 배력비를 형성하도록 리액션 디스크(410) 중심부와 접촉하는 가동 플런저(60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플런저(240) 선단에는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섭동홀(242)이 천공되며, 여기에 가동 플런저(600)가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가동 플런저(600)의 후단부에는 축방향과 수직하게 가동 제한핀(610)이 압입되며, 플런저(240) 선단부에는 가동 제한핀(610) 양단부가 결합되도록 핀흘(243)이 천공된다. 이 때, 핀홀(243)의 내경은 가동 제한핀(6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서, 가동 제한핀(610)은 핀홀(243) 내부에서 약간의 유격이 가능하다. 또한, 섭동홀(242) 내부에는 지지스프링(620)이 내장되어 가동 플런저(600)를 전방으로 항상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제한핀(610)은 핀홀(243)의 전방면(243a)과 접하면서 가동 플런저(600)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동 플런저(600) 선단부는 배력장치의 비작동시 플런저(240)의 선단면과 동일면을 유지하고 리액션 디스크(410)에는 아무런 압력을 미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엔진(도시안함)과 연결된 진공연결 파이프(170)를 통해 부압이 작용함에 따라 배력장치 내부는 엔진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 언제나 정압실(150, 160)과 변압실(151, 161)은 모두 진공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패달(도시안함)을 밟아 입력축(300)이 전진하게 되면, 플런저(240)가 밀리면서 포펫밸브(500)의 선단부는 플런저(240)에 형성된 제 2 밸브 시트부(241)와 분리되고 제 1 밸브 시트부(25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정압실(150, 160)과 변압실(151, 161)의 연통은 차단되고, 포펫밸브(500)와 제 2 밸브 시트부(241) 틈새로 외기의 공기는 공기흡입부(210)와 변압통로(220)를 거쳐 진공상태의 각 변압실(151, 161)로 유입된다. 따라서 차압에 의해 외기공기는 변압실(151,161)로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전방 다이아프램(140)과 전방 파워 피스톤(141) 및 훈방 다이아프램(130)과 후방 파워 피스톤(131)이 밸브본체(200)와 함께 밀리게 된다. 따라서 리액션 디스크(410)를 통해 입력보다 증폭된 출력이 출력축(400)을 통해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미도시)로 전달되어 제동압력을 발생시키며, 이 압력은 휠실린더(미도시)로 전달되어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리액션 디스크(4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240)로부터 전달된 힘과 밸브본체(200)로부터 전달된 힘 등 두 개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가한 힘과 진공에 의해서 배력된 힘의 비는 도 7의 B'-C' 구간으로써, 리액션 디스크(410)와 맞닿아 여기에 압력을 가하는 밸브본체(200) 선단의 중심부(200a) 면적에 대한 플런저(240) 선단부(240a)의 면적 및 가동 플런저(600)선단부(600a)의 면적 합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계속하여 운전자로부터 브레이크 패달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많아지고 이로 인한 정압실(150, 160)과 변압실(151, 161)간의 압력차가 더욱 커지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액션 디스크(410) 위에 작용하는 압력도 커져 가동 플런저(60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스프링(62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가동 플런저(60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 리액션 디스크(410)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은 밸브본체(200)의 선단의 중심부(200a)와 플런저(240)의 선단부(240a) 둘 뿐이기 때문에, 이때의 배력비는 플런저(240)에서 가동 플런저(600) 선단부(600a)의 면적을 뺀 면적과 밸브본체(200) 선단의 중심부(200a) 면적 비가 되어 초기 보다 배력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도 7의 C'- D'구간),
C'- D' 구간은 가동 플런저(600)가 후방으로 압입되는 구간으로 가동 제한핀(610)이 핀홀(243)의 후방면(243b)에 닿는 순간까지 이어지며, 후방면에 닿는 순간 즉, D'점에 이르는 순간 지지스프링(620)의 반력은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대신에 가동 플런저(600)와 플런저(240)가 동일면이 되게 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에 의한 배력 효과는 상실되고, 이때 발생되는 배력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힘을 그대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것은 D'- E'구간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에서 발을 떼면, 복원스프링(180)에 의해 플런저(240)와 입력축(300)이 다시 복원된다. 동시에 제 2 밸브 시트부(241)가 포펫밸브(500)를 밀어 제 1 밸브 시트부(250)에서 분리되고,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밸브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포펫밸브(500)가 제 1 밸브 시트부(250)에서 분리됨에 따라 정압통로(230)가 연통됨으로써, 전방변압실(161)과 후방 변압실(151)의 공기는 진공상태의 전방정압실(160)과 후방 정압실(150)로 빠져나가고, 이러한 정압실(150,160)은 부압원에 의해 진공상태로 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초기상태로 된다.
즉, 이러한 배력장치의 작동 중, 제동초기에는 제동력을 작게 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며(도 7의 B'- C'구간), 일정 감속도 이후에는 제동력이 상승(C'- D'구간)되어 정지거리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의 방향안전성에도 훌륭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은 브레이크 패달 압력으로 제동효율을 상승시키고,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등에 적용하게 되면 제동거리 및 제동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는 리액션 디스크와 접하는 플런저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간격 유격가능하게 가동 플런저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리액션 디스크와 접하는 플런저 선단부의 접촉 면적이 가변하여 두 개의 배력비가 발생됨으로써, 제동초기에는 제동력을 작게 하고 일정수준 감속된 상태에서는 제동력 상승을 급하게 하여 정지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어 제동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방셀과 후방셀의 결합으로 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를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중심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셀 중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공기흡입부가 형성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 선단의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진퇴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상기 변압실로의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패달과 연계되어 상기 플런저를 작동시키는 입력축과, 상기 다이아프램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 단부에 상기 밸브본체 선단의 중심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밸브본체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리액션디스크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섭동홀과, 상기 입력축 전진정도에 따라 그 선단부가 상기 리액션디스크 중심부를 가압하면서 복수의 배력비를 형성하도록 상기 섭동홀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플런저와, 상기 가동플런저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섭동홀 내부에 설치된 지지스프링과, 상기 가동플런저의 진퇴범위 제한을 위해 상기 플런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와 상기 가동플런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동제한핀과, 상기 가동제한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제한핀이 상기 가동플런저와 함께 제한된 범위에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제한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10-1998-0032665A 1998-08-12 1998-08-12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KR10041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65A KR100415194B1 (ko) 1998-08-12 1998-08-12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65A KR100415194B1 (ko) 1998-08-12 1998-08-12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77A KR20000013677A (ko) 2000-03-06
KR100415194B1 true KR100415194B1 (ko) 2004-06-09

Family

ID=1954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665A KR100415194B1 (ko) 1998-08-12 1998-08-12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67A (ko) * 2000-02-08 2001-08-20 밍 루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10109717A (ko) * 2000-06-02 2001-12-12 밍 루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
KR100413388B1 (ko) * 2000-06-23 2003-12-3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20009027A (ko) * 2000-07-22 2002-02-01 밍 루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리턴스프링
KR20020040326A (ko)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이중 점프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부스터
KR100916397B1 (ko) * 2008-05-19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2242A (ja) * 1982-11-16 1984-05-28 Nissan Motor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JPH0438874U (ko) * 1990-07-27 1992-04-02
JPH0848235A (ja) * 1994-01-12 1996-02-20 ルーカス・インダストリー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電子制御ブースタを具備する車両ブレーキ・システム
JPH0885442A (ja) * 1994-09-19 1996-04-02 Tokico Ltd 気圧式倍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2242A (ja) * 1982-11-16 1984-05-28 Nissan Motor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JPH0438874U (ko) * 1990-07-27 1992-04-02
JPH0848235A (ja) * 1994-01-12 1996-02-20 ルーカス・インダストリー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電子制御ブースタを具備する車両ブレーキ・システム
JPH0885442A (ja) * 1994-09-19 1996-04-02 Tokico Ltd 気圧式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77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982Y2 (ja) 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付油圧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装置
JPS6346956A (ja) スリップ制御ブレ−キ装置
US6550245B2 (en) Hydraulic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JP3582155B2 (ja)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415194B1 (ko) 차량용브레이크의배력장치
US4182536A (en) Adaptive braking modulator valve
JP2719834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10041338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457213B1 (ko) 브레이크부스터를 이용한 제동성능 향상장치
US4693523A (en) Slip controlled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67784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240163Y1 (ko) 진공식 배력장치
KR10072109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10077767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H10508553A (ja) 弁装置
KR100916397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774131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3852286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20007614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2002004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
KR19990028991U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20010045027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20025418A (ko) 차량용 부스터
JPH021702B2 (ko)
KR19990050616A (ko) 후방 진공 연결포트가 구비된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