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072B1 -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072B1
KR100415072B1 KR10-2001-0013916A KR20010013916A KR100415072B1 KR 100415072 B1 KR100415072 B1 KR 100415072B1 KR 20010013916 A KR20010013916 A KR 20010013916A KR 100415072 B1 KR100415072 B1 KR 10041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s
synthetic resin
film
resin sheet
transparent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754A (ko
Inventor
허발
최공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왕실문화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왕실문화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왕실문화그룹
Priority to KR10-2001-001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0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질의 생화 및 각종 풀을 천연의 색상을 유지하는 상태로 가죽, 직물, 부직물, 종이 등의 표면에 장식하여 액자류, 식탁보, 각종 기구의 커버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식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식체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및 탄력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시이트(1) 상부에 가죽,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기재(2)를 설치하고, 기재(2)의 상부에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을 깔고, 상기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의 상부에 압착 건조시킨 건조생화(4)를 원하는 모양에 맞추어 배열을 한 다음, 일면에 프라이머처리가 되어 있는 라미네이팅필름(5)를 프라이머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적층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5)의 상부로부터 편평한 면을 갖는 프레스(6)를 사용하여 80℃ 내지 1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압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및 장식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ornaments using natural flower}
본 발명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질의 생화 및 각종 풀을 이용하여 장식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화 및 각종 풀을 천연의 색상을 유지하는 상태로 가죽, 직물, 부직물, 종이 등의 표면에 장식하여 액자류, 식탁보, 각종 기구의 커버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식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식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생화 등을 이용하여 장식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생화 등을 그 형상을 유지하는 상태로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수분을 상온건조 등을 통하여 제거하여 건조 생화를 제조하고 이를 그 자체로 벽에 걸어두거나, 화병등을 이용하여 장식을 하거나, 또는 건조된 생화를 합판 등의 기재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을한 다음 공간부를 갖는 액자에 끼워 장식액자를 제조하는 등의 정도로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건조된 생화가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또 대기중에 존재하는 각종의 미생물 및 산소 등의 작용에 의하여 조형을 위하여 사용된 접착제가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부착위치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또, 쉽게 변색을 일으켜 생화로서의 미감을 느낄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잘못 관리하는 경우에는 생화가 스스로 또는 환경에 의하여 부스러지기도 하고, 보기가 흉하게 되어 장식체로서의 기능을 쉽게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생화의 색상을 원색 그대로 유지하면서 액자용 장식물, 각종기구의 커버, 식탁보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식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장식체의 부분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체를 이용한 일실시예의 액자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열성 및 탄력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시이트(1) 상부에 가죽,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기재(2)를 설치하고, 기재(2)의 상부에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을 깔고, 상기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의 상부에 압착 건조시킨 건조생화(4)를 원하는 모양에 맞추어 배열을 한 다음, 일면에 프라이머처리가 되어 있는 라미네이팅필름(5)를 프라이머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적층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5)의 상부로부터 편평한 면을 갖는 프레스(6)를 사용하여 80℃ 내지 1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압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건조생화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수분의 흡수력이 좋은 종이위에 건조시키고자 하는 생화를 위치시키고 그 위에 다시 수분흡수력이 좋은 종이로 덮은 다음 그 상부에 중량물을 설치하여 중량물의 압압에 의하여 생화과 보유하고 있는 수분을 흡수력이 좋은 종이로 전이시키고 종이에 전이된 수분을 대기중으로 충분히 휘산시키는 방법으로 보통 건조생화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24시간 내지 48시간 정도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조생화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아니고 식물질 세포내에 존재하는 유리수 형태의 수분과 조지방 등의 액상 물질만 제거된 상태로 원색을 보존하는 정도의 수분만 함유하게 되어 약간의 유연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장식체를 제조하는 경우 생화 등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필름에 의하여 코팅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온도 등에 의하여 부피의 팽창을 가져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또 대기중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차단이 되어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조화 등이 지니고 있는 효소 및 미생물이 사멸된 상태이므로 색상이 변화되거나 부패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도시된 도면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내열성 및 탄력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시이트(1)의 상부에 가죽,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기재(2)를 재치하고, 기재(2)의 상부에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을 깔고, 상기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의 상부에 압착 건조시킨 건조생화(4)를 원하는 모양에 맞추어 배열을 한 다음, 일면에 프라이머처리가 되어 있는 라미네이팅필름(5)를 프라이머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적층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5)의 상부로부터 편평한 면을 갖는 프레스(6)를 사용하여 80℃ 내지 1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열가압을 하면, 기재(2)의 상부에 놓인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열 및 압력에 의하여 용융이 되면서 일부는 기재(2)의 조직층으로 침투하게됨과 동시에 건조생화(4) 등의 하부로부터 건조생화(4)에 형성된 미세기공을 통하여 침투하게 되고, 생화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면에 프라이머처리가 되어 있는 라미네이팅필름(5)를 프라이머층이 하부를 향하여 놓여진 라미네이팅필름(5)은 프라이머층이 용융이 되면서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과 확산효과에 의하여 융합이 일어나게 됨과 동시에 일부는 건조생화(4)의 표피로 침투하게 되어 냉각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생화가 위치라고 있는 부분에서는 기재(2)층과 결합되어 있는 필름층이형성되고, 이 필름층은 다시 생화층과 결합을 하고 있으며 생화층의 상부는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라미네이팅필름과 결합을 하게 됨으로서, 생화는 투명 합성수지로서 코팅되어 있는 상태와 동일한 효과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상부에서 프레스에 의하여 가압을 하는 것으로 표현이 되어 있으나, 가압을 하는 방법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열성 및 탄력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시이트(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가압을 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61은 열선을 의미하나, 이는 프레스(6)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뿐 이와는 다른 방법에 의하여 프레스를 가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 장식체의 부분 절개 단면도로서, 기재(2)의 상부에 합성수지 필름(3)(3')와 라미네이팅필름(5)이 용융 확산에 의하여 접합되어 단일층으로 형성되고, 건조생화(4)가 놓여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라미네이팅 필름(5)의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고 그 포켓의 내부에 건조생화(4)가 놓여져서 건조생화(4)의 상부는 표층을 형성하는 라미네이팅필름(5)과 접합되고 건조생화(4)의 하부는 합성수지필름(3)(3')와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체를 이용한 일실시예의 액자를 도시한 것으로, 제조된 장식체(11)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관통공(12)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와 틀(14)를 끈(13)으로 꿰어 묶어 중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액자를 제조하는 기술은 종래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장식체는 도 3으로 도시된 액자 이외에도 표고 등을 통한 방법에의하여 장식물을 제조할 수도 있고, 그 크기 및 건조생화의 위치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면 여러 가지의 용도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생화가 지니고 있는 자연의 색상을 그대로 표현한 장식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장식체는 천연의 색상을 그대로 지니면서 오랜기간 동안 변색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내열성 및 탄력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시이트(1) 상부에 가죽,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기재(2)를 설치하고, 기재(2)의 상부에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을 깔고, 상기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의 상부에 압착 건조시킨 건조생화(4)를 원하는 모양에 맞추어 배열을 한 다음, 일면에 프라이머처리가 되어 있는 라미네이팅필름(5)를 프라이머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적층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5)의 상부로부터 편평한 면을 갖는 프레스(6)를 사용하여 80℃ 내지 1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압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가죽,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기재(2), 기재(2)의 상부에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과 라미네이팅필름(5)이 융화되어 단일층을 형성하면서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하인 투명합성수지 시이트(3)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층이 형성된 라미네이팅 필름(3')과 라미네이팅필름(5)와의 사이에 건조생화(4)가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
KR10-2001-0013916A 2001-03-17 2001-03-17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KR10041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16A KR100415072B1 (ko) 2001-03-17 2001-03-17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16A KR100415072B1 (ko) 2001-03-17 2001-03-17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754A KR20010067754A (ko) 2001-07-13
KR100415072B1 true KR100415072B1 (ko) 2004-01-13

Family

ID=1970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16A KR100415072B1 (ko) 2001-03-17 2001-03-17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25B1 (ko) 2008-03-27 2010-03-19 이반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46B1 (ko) * 2006-09-11 2008-11-03 강호림 부직포를 이용한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25B1 (ko) 2008-03-27 2010-03-19 이반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754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862B1 (en) Pressed flowers enclosed article
CN1259007C (zh) 能让人体透气的衣服排气装置以及生产该装置的方法
KR100415072B1 (ko)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US6417119B1 (en) Fabric and fabric article made from plant material
US20180015686A1 (en) Method of making a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vamp
KR102014661B1 (ko) 생화를 원단에 고정하는 방법 및 그 원단
TWI571211B (zh) Waterproof and waterproof shoes
KR20010079329A (ko) 압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KR20200027725A (ko) 투방습 수지 표층을 가지는 에어로젤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제품
JP2002201599A (ja) 表面に図柄、文字等を設けたパルプモールド製品の製造方法
US5433803A (en) Lamination of vegetable matter
CN210283527U (zh) 一种具有发光效果的童鞋用仿绒面超纤皮革
KR100190598B1 (ko) 건조압화밀봉장식품및그제조법
KR102500212B1 (ko) 장식 완성품용 조립 편집이 가능한 누름꽃 스티커 제작방법 및 장식 완성품용 조립 편집형 누름꽃 스티커
EP0291160A2 (en) Decorative structure
CN217085313U (zh) 一种透气钻石花膜
KR100969226B1 (ko) 압화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FR2841147B1 (fr) Procede de decoration d'un article, tel qu'un engin de sport
CN210436747U (zh) 一种防风保暖调温面料
KR20010079328A (ko) 압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KR20190064940A (ko) 인테리어용 장식판넬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인테리어 장식소품
KR100834527B1 (ko) 쥬얼리 벽지 및 그 제조방법
JPH09188098A (ja) 貝殻利用の容器およびその製造法
CN206015430U (zh) 一种备长炭墙纸
JP3082891U (ja) 複合層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