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25B1 -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25B1
KR100948025B1 KR1020080028266A KR20080028266A KR100948025B1 KR 100948025 B1 KR100948025 B1 KR 100948025B1 KR 1020080028266 A KR1020080028266 A KR 1020080028266A KR 20080028266 A KR20080028266 A KR 20080028266A KR 100948025 B1 KR100948025 B1 KR 10094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leaf
sculpture
epidermis
chlorop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967A (ko
Inventor
이반
Original Assignee
이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filed Critical 이반
Priority to KR102008002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2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5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ngr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의 도안영역에 잎사귀의 줄기에 해당하는 잎맥만 남기고 표피와 엽록체 등의 세포가 제거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있는 조형물 및 오랜 기간동안 조각작업을 하여도 잎사귀가 손상되지 않고 조각할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나뭇잎을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조형물(A)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A)은 도안영역(10)과 미도안영역(20)으로 구성되도록 조각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도안영역(10)은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에 의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표피(16)와 엽록체(17)가 제거되는 가공공간(12)과 잎맥(11)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뭇잎, 잎사귀, 조형물

Description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SCULPTURE OF LEAF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의 도안영역에 잎사귀의 줄기에 해당하는 잎맥만 남기고 표피와 엽록체 등의 세포가 제거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있는 조형물 및 오랜 기간동안 조각작업을 하여도 잎사귀가 손상되지 않고 조각할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뭇잎은 식물체의 일부로, 나무에서 자라는 동안에는 영양활동을 하기 때문에 생기가 있어, 그 원래의 색상이 훼손되지 않고 자연의 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나뭇잎을 통한 자연의 미를 간직하고자 떨어진 낙엽을 코팅 등에 의하여 보관하거나, 액자에 넣어 보관하여, 심미감을 감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반면 나무 또는 식물체의 줄기 등은, 예전부터 판화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고, 목재를 매끄럽게 하거나 특별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등의 작업 공정을 통하여 심미감있는 작품으로 만들곤 하였다. 또한 나무의 뿌리의 경우에도, 불을 이용하거나 또는 색상을 부가하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작업을 하곤 하였다.
이에 반하여 나뭇잎은 그 구조가 나무기둥에 붙어 있었던 잎자루에 대하여, 주맥 및 측맥 등으로 하는 잎맥이 형성되고, 잎몸 전체의 잎살 내부로 미세한 두께의 잎맥들이 분포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잎사귀는 대체로 그 두께가 너무 얇고, 일정한 수분 함수량이 유지될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분이 너무 많으면 짓무르게 되고 함수량이 너무 낮으면 쉽게 부셔지기 때문에, 가공하는 것은 물론, 보관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식물의 잎사귀도 나무 기둥 또는 나무 뿌리와 같이 조형물로 가공이 되도록 하여, 심미감있는 조형물에 제조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의 도안영역에 잎사귀의 줄기에 해당하는 잎맥만 남기고 표피와 엽록체 등의 세포가 제거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있는 조형물이 제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된 조형물이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형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식물의 잎사귀에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오랜 기간동안 식물의 잎사귀를 대상으로 하여 조각작업을 하여도 잎사귀가 손상되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조각할 수 있어, 더욱 심미감이 뛰어난 조형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를 가공한 조형물의 제조방법은,
나뭇잎을 선별하여 물로 세척하는 선별세척단계(S01);
상기 선별세척된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15)와 하부 수분흡수지(15')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부 수분흡수지(15) 상측으로 15 ~ 30Kg의 가압부재(16)를 적층하여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단계(S02);
압축건조된 상기 나뭇잎의 도안영역(10)이 표시되도록 스케치하는 스케치단계(S03);
스케치된 상기 나뭇잎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끝이 날카로운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어 밑그림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밑그림표시단계(S04);
상기 나뭇잎에 표시된 밑그림을 따라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기 위한 타공단계(S05)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타공단계(S05)는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는 과정 중에,
나뭇잎을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와 하부 수분흡수지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과 압축건조과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밑그림표시단계(S04)는 나뭇잎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밑그림표시 과정 중에,
나뭇잎을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와 하부 수분흡수지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과 압축건조과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케치단계(S03)는 상기 압축건조단계(S02)에 따라 가압부재(16)에 의하여 압축 및 건조되어 함수율이 20 ~ 30%가 된 상태에서 스케치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를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조형물(A)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A)은 도안영역(10)과 미도안영역(20)으로 구성되도록 조각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도안영역(10)은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에 의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표피(16)와 엽록체(17)가 제거되는 가공공간(12)과 잎맥(11)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의 도안영역에 잎사귀의 줄기에 해당하는 잎맥만 남기고 표피와 엽록체 등의 세포가 제거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있는 조형물을 제조한 것으로, 제조된 조형물이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형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식물의 잎사귀에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오랜 기간동안 식물의 잎사귀를 대상으로 하여 조각작업을 하여도 잎사귀가 손상되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조각할 수 있어, 더욱 심미감이 뛰어난 조형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에 밑그림이 가공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압축건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분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이 압축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나뭇잎 구조에 대한 단면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A)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뭇잎을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조형물(A)에 관한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조형물(A)은 도안영역(10)과 미도안영역(20)으로 구성되도록 조각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도안영역(10)은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에 의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표피(16)와 엽록체(17)가 제거되는 가공공간(12)과 잎맥(11)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나뭇잎으로는 일반 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조형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풀잎과 같이 식물의 잎을 가공하여 조형된 조형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잎으로는 오동나무잎(백오동나무잎 등), 마로니에 나뭇잎과 같은 나뭇잎, 풀잎 등은 대체로 넓고 잎면의 줄기에 해당되는 잎맥, 즉 도 10에서와 같이 물관(111)과 체관(112)으로 되는 관다발과 그것을 둘러싼 부분인 잎맥(11)이 잎사귀 전체인 잎몸(엽신)를 버티어 주고 수분과 양분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잎맥(11)은 나무의 줄기에 고정되었던 잎자루로부터 굵은 잎맥인 주맥과, 주맥으로부터 잎몸 전체에 중간굵기로 뻗혀지는 측맥, 그리고 잎몸 전체에 걸쳐 얇은 굵기로 퍼져 잎살의 표피 내부에 있는 얇은 잎맥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조형물(A)의 도안영역(10)에서는 주맥, 측맥 그리고 잎살 내의 얇은 굵기의 잎맥 등은 그대로 남겨지도록 가공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잎몸은 잎맥(1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나머지 부분인 내부의 엽록체(13) 등의 세포가 있고, 이러한 세포의 외부로 전후면의 표피(14)(14') 등으로 하여 잎살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A)은 미도안영역(20)은 가공하지 않으면서, 도안영역(10)은 잎맥(11) 부분은 그대로 남겨두고, 엽록체(13)와 표피(14)(14')로 되는 잎살을 제거하여, 결국 잎맥(11) 사이의 빈 공간인 가공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하여 조형물(A)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나뭇잎 또는 풀잎 등 식물의 잎은 수분의 함수량과 그 성질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비록 식물의 잎사귀가 나무 또는 식물의 몸체 기둥의 줄기로부터 떨어졌다 해도, 자체 수분의 함수량이 일정 수준에 이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스스로 분해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수분(대체로 50 % 이상 정도의 함수량에서) 함수량에서는 세균에 의하여 분해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반면 너무 적은 수분 함수량(대체로 5 % 이하 정도의 낮은 함수량)에서는 쉽게 부스러져 그 형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식물의 잎사귀의 잎몸에서 잎맥(11)만 남기고 표피(14)와 엽록체(13) 등이 세포인 잎살 부분만 제거하되, 도안영역(10)의 잎살만 제거하고, 반면 미도안영역(20)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가 매우 곤란한 지경이다.
더군다나 잎맥(11)의 경우에도 잎사귀 전체, 즉 잎몸을 지탱한다 하여도 물관(111)과 체관(112)으로 되는 관다발, 그리고 관다발을 둘러싼 부분도 모두 식물성 구성물이기 때문에 너무 함수량이 높으면 짓무르거나 또는 너무 함수량이 낮으면 쉽게 부서질 수 있어, 비록 도안영역(10)이라 해도 표피(14) 또는 엽록체(13)를 제거할 때 쉽게 잎맥(11)도 손상될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A)의 제조가 곤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A)은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어 나뭇잎 잎사귀의 도안영역(10)을 가공하여도 도안영역(10)의 잎맥(11) 및 미도안영역(20)이 손상되지 않고, 잎살의 표피(14)와 엽록체(13)만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안영역(10)의 잎살의 표피(14)와 엽록체(13)를 끝이 날카로운 조형도구로 제거하도록 가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으로는 잎맥(11)을 중심으로 잎사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표피(14)와 엽록체(13)가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잎맥(11)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 작업 및 후면 작업을 통하여 표피(14) 및 엽록체(13)가 제거되도록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잎의 종류와 형태, 잎맥의 형상 등에 따라 가공 순서 및 조형도구의 선택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의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잎사귀는 세밀한 잎맥(11)들 사이에 작은 크기의 가공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서는 가공공간(12) 내의 잎맥(11)이 손상됨을 방지하고, 또한 미도안영역(20)의 표피(14) 및 엽록체(13), 그리고 잎맥 등이 손상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항상 일정한 범위 내의 수분의 함수량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공작업을 하는 것이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인 수분순환공급기술의 적용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어 가공된 앞사귀로 되는 본 발명의 조형물(A)은 기술적 난해성을 극복하여 이루어져, 도 1 내지 도 4 등에서와 같이 심미감이 극대화되어짐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4의 경우에는 오동나무잎에 콜롯세움이 도안영역에 조형된 조형물이고, 도 2의 경우에는 마로니에 나뭇잎에 산수화가 조형된 조형물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잎사귀의 도안영역(10)을 조형하기 위하여 잎사귀의 함수율이 15 ~ 20% 정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비록 끝이 날카로운 조형도구를 이용하고 잎사귀의 함수율이 수분순환공급기술로 알맞은 정도로 유지된다 하여도 잎맥, 표피 그리고 엽록체는 식물성으로 매우 약한 재질 특성을 가지고 있고, 잎살 내부에 분포되는 잎맥의 경우에는 너무 얇고 잎맥 사이의 공간도 너무 좁기 때문에, 잎사귀의 가공기간은 짧게는 수개월에서 대체로 수년에 걸쳐 조형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하나의 잎사귀에 대하여 조형작업을 하게 되면, 쉽게 잎사귀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면서 조형작업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수분순환공급기술의 요지는 ① 일정 시간동안 물속에 침지시킨 후, 잎사귀 전체에 고루 수분이 함수된 후, ② 다시 이를 15 ~ 20 % 정도의 함수율이 되도록 안정되게 압축 및 건조시기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③ 압축 건조된 상태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과정을 지나게 되고, 이런 증발과정 중에 끝이 날카로운 조형도구를 이용하여 잎맥(11) 사이의 표피(14) 및 엽록체(13)를 제거하여 가공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형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미세한 크기의 가공공간(12)에 대한 조형가공이기 때문에 이를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서 하나의 잎사귀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인 반면, 실제 조형가공시간은 불과 몇 시간만 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하나의 잎사귀의 조형에는 ① 침지과정, ② 압축건조과정, ③ 조각과정이 수없이 반복되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수분순환공급기술의 기술적 특징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반복과정 중에 어느 한 순간이라도 수분의 함수율을 맞추지 못하였거나, 침지과정 및 압축건조과정을 알맞게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잎사귀 조형물의 훼손될 수 있어, 조형물로의 가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잎사귀 조형 가공 과정 중에 침지과정, 압축건조과정 및 조각과정이 순환되어 반복되는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최적의 상태로 적용됨이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A)의 가치가 좌우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A)에 있어서,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어 가공되는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를 손상되지 않은 양호한 것으로 선별하여 물로 세척하는 선별세척단계(S01)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나무 또는 풀의 줄기에 붙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낙엽과 같이 떨어진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이 훼손된 것은 가공하기가 곤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세척된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101)를,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부 수분흡수지(15)와 하부 수분흡수지(15')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부 수분흡수지(15) 상측으로 15 ~ 30Kg의 가압부재(16)를 적층한 상태로 5일 내지 10일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단계(S02)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흡수지(15) 및 하부흡수지(15') 사이에 잎사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측으로 15 ~ 30Kg 정도의 가압부재(16)를 위치시킨 상태로 5일 내지 10일 정도 경과하게 되면, 잎사귀의 수분 함수량은 대체로 20 ~ 30 % 정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압축건조단계에서는 생옆인 잎사귀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생옆이 아닌 경우에는 다소 압축건조기간을 단축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압부재(16)의 무게 및 압축건조기간 등은 잎사귀의 종류 및 잎사귀의 표피의 형태에 따른 수분증발률 등에 의하여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즉 건조율이 덜한 잎사귀의 경우 압축건조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반대로 수분증가율이 빠른 잎사귀는 압축건조기간이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연약한 잎사귀의 경우에는 가벼운 가압부재를 이용하고 반대로 잎사귀의 면적이 넓거나 두꺼운 경우에는 다소 무거운 가압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건조된 상기 나뭇잎의 도안영역(10)이 표시되도록 스케치하는 스케치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스케치단계(S03)는 상기 압축건조단계(S02)에 따라 가압부재(16)에 의하여 압축 및 건조되어 함수율이 대략 20 ~ 30%가 된 상태에서 스케치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케치단계에서 연필, 샤프, 유성 또는 수성의 펜 등을 이용하여 도안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도용 또는 미술용 연필로 스케치라인이 도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안영역의 스케치라인은, 앞으로 끝이 날카로운 조형도구에 의하여 잎맥(11)을 중심으로 하여 잎살의 표피(14) 및 엽록체(13) 등이 조각될 부분의 경계부분이 표시되어 디자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케치된 상기 나뭇잎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조형도구인 끝이 날카로운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어 밑그림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밑그림표시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도안영역(10)에 대한 조각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스케치라인을 따라 외곽부분 또는 미도안영역과의 경계부분을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여 조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각과정에 의하여 도 3과 같이 밑그림이 표시되는 잎사귀(B)의 잎맥(11)만 남고 잎살의 표피(14) 및 엽록체(13)는 제거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잎맥(11)의 밝은 색상이 보여지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상기 밑그림표시단계(S04)에서는 나뭇잎, 풀잎 등 잎사귀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밑그림표시 과정으로, 끝이 날카로운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자칫 미도안영역의 잎살 또는 도안영역의 잎맥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수분함수율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 또는 기타 다른 도구에 의한 눌림에 의하여도 원하지 않는 부분이 눌려 손상될 수 있고, 또한 수분함수율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비록 도안영역의 잎맥만 남겨두고 잎살의 표피와 엽록체만 제거하려하여도, 도안영역의 표피와 엽록체가 미도안영역의 표피 또는 엽록체와 붙어진 상태로 함께 떨어져 나가려 하기 때문에, 자칫 원하지 않는 부분의 표피와 엽록체가 이탈될 수 있고, 나아가 도안영역에 남겨졌던 잎맥마저도 손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량가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그림표시단계(S04)에서 수분순환공급기술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즉 ① 침지과정, ② 압축건조과정, 그리고 ③ 조각과정 등으로 되는 수분순환공급기술에 의하여 잎사귀를 원하는 형상으로 조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밑그림표시단계(S04)에서의 수분순환공급기술의 적용을 보면, 우선 침지과정은, 나뭇잎, 풀잎 등 잎사귀를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하게 된다. 이후 압축건조과정은 나뭇잎, 풀잎 등 잎사귀(102)를, 도 6에서와 같이 상부 수분흡수지(151)와 하부 수분흡수지(151')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조각과정에 의하여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이러한 밑그림표시단계(S04)에서는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어 침지과정, 압축건조과정과 함께 조각과정이 순환되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대체로 이러한 침지과정은 2 ~ 4시간 정도 이루어지고, 압축건조과정은 대체로 15 ~ 22 시간동안 이루어지며, 이에 잎사귀에 끝이 날카로운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여 잎사귀에 조각을 하게 되는 조각과정은 2 ~ 5시간, 보통 3시간 정도 소요되는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3 등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침지과정, 압축건조과정 및 조각과정을 순환되게 반복되면서 밑그림표시단계를 거치게 되면 대략 1개월에서 4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밑그림표시단계에서의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어 조각에 소요되는 기간은, 잎사귀의 크기, 잎사귀의 재질 그리고 잎사귀에 도안되는 작품에 따른 조각의 난이성 등에 의하여 다소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밑그림표시단계(S04)를 거친 상기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에 표시된 밑그림을 기초로 하여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기 위한 타공단계(S05)가 수행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을 가공한 조형물(A)의 조각 제조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타공단계(S05)도, 잎사귀 도안영역(10)에 대하여 잎맥(11)만 남겨두고 표피(14) 및 엽록체(13) 등의 잎살을 끝이 날카로운 타공도구를 이용하여 타공하는 것으로, 역시 상기 밑그림표시단계에서와 같이 상당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공단계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우선 침지과정은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는 과정 중에,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을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103)를 도 8과 같이, 상부 수분흡수지(152)와 하부 수분흡수지(152')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잎사귀의 수분의 함수량은 대략 17 ~ 20 % 정도가 되는 것으로, 타공도구에 의하여 표피, 엽록체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다.
이후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을 거쳐 타공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는 타공단계의 침지과정, 압축건조과정, 그리고 조각과정은 순환되어 반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도안영역에 조각된 작품이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잎맥(11) 사이의 가공공간이 협소하고, 잎맥도 아주 얇으며, 미도안영역이 손상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비록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된다 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의 조형과정 중, 타공단계의 과정은 대략 수개월에서 수년이 경과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랜 시간이 경과된 뒤에라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심미감을 갖는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가 가공된 조형물(A)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 풀잎 등의 잎사귀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조형물(A)에 의하면 잎사귀의 도안영역(10)의 잎맥(11) 사이의 가공공간(12)으로는 표피(14) 및 엽록체(13) 등의 세포가 제거되어 전면과 후면이 서로 관통되는 것이어서, 전체적으로 도안영역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밝게 보여지고, 불빛에 비춰보면 작은 망 사이로 불빛이 비춰져서, 탁월한 심미감이 제공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식물의 잎사귀를 조각 가공함에, 잎사귀의 미도안영역 및 도안영역에서의 잎맥이 손상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조각가공하기 위하여 수분순환공급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에 밑그림이 가공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압축건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분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이 압축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나뭇잎 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10 : 도안영역 11 : 잎맥
12 : 가공공간 13 : 엽록체
14 : 표피 15, 15' : 수분흡수지
16 : 가압부재 20 : 미도안영역
101 : 압축건조단계의 나뭇잎
102 : 밑그림표시단계의 나뭇잎
103 : 타공단계의 나뭇잎

Claims (5)

  1. 나뭇잎을 선별하여 물로 세척하는 선별세척단계(S01);
    상기 선별세척된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15)와 하부 수분흡수지(15')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부 수분흡수지(15) 상측으로 15 ~ 30Kg의 가압부재(16)를 적층하여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단계(S02);
    압축건조된 상기 나뭇잎의 도안영역(10)이 표시되도록 스케치하는 스케치단계(S03);
    스케치된 상기 나뭇잎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끝이 날카로운 밑그림표시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어 밑그림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밑그림표시단계(S04);
    상기 나뭇잎에 표시된 밑그림을 따라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기 위한 타공단계(S05)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단계(S05)는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타공하는 과정 중에,
    나뭇잎을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와 하부 수분흡수지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과 압축건조과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그림표시단계(S04)는 나뭇잎의 스케치라인을 따라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밑그림표시 과정 중에,
    나뭇잎을 물에 2 ~ 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나뭇잎을 상부 수분흡수지와 하부 수분흡수지 사이에 위치시켜 15 ~ 22 시간 동안 압축 및 건조시키는 압축건조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되,
    잎맥(11) 사이의 엽록체(13)와 표피(14)가 제거되도록 하는 조각과정과 압축건조과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치단계(S03)는 상기 압축건조단계(S02)에 따라 가압부재(16)에 의하여 압축 및 건조되어 함수율이 20 ~ 30%가 된 상태에서 스케치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제조방법.
  5. 나뭇잎을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조형물(A)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A)은 도안영역(10)과 미도안영역(20)으로 구성되도록 조각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도안영역(10)은 끝이 날카로운 조각도구에 의하여 나뭇잎의 잎맥(11) 사이의 표피(16)와 엽록체(17)가 제거되는 가공공간(12)과 잎맥(11)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KR1020080028266A 2008-03-27 2008-03-27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66A KR100948025B1 (ko) 2008-03-27 2008-03-27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66A KR100948025B1 (ko) 2008-03-27 2008-03-27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67A KR20090102967A (ko) 2009-10-01
KR100948025B1 true KR100948025B1 (ko) 2010-03-19

Family

ID=4153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266A KR100948025B1 (ko) 2008-03-27 2008-03-27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12B1 (ko) 2013-08-19 2014-09-04 김종명 낙엽에 조형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방법
KR101910143B1 (ko) * 2018-09-13 2018-10-19 김남기 회화용 죽피의 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죽피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6631A (zh) * 2017-02-22 2017-07-07 桂林前檐设计有限公司 一种半叶曲线叶脉编织装饰画的制作方法
CN109740614B (zh) * 2018-11-20 2024-01-23 广东智媒云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用于叶雕的叶片背景图的方法及装置
CN109624574B (zh) * 2018-11-20 2021-09-07 广东智媒云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叶雕的雕刻路径生成方法及装置
CN109733101B (zh) * 2018-11-20 2021-09-07 广东智媒云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叶雕的雕刻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900A (ja) 1998-03-11 1999-09-21 Kenji Wakasugi 花木を基材表面に一体的に定着させる方法及び薄物を基材表面に一体的に定着させる方法
KR100415072B1 (ko) 2001-03-17 2004-01-13 주식회사 왕실문화그룹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KR20090094607A (ko) * 2008-03-03 2009-09-08 구례군 압화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900A (ja) 1998-03-11 1999-09-21 Kenji Wakasugi 花木を基材表面に一体的に定着させる方法及び薄物を基材表面に一体的に定着させる方法
KR100415072B1 (ko) 2001-03-17 2004-01-13 주식회사 왕실문화그룹 생화를 이용한 장식체의 제조방법
KR20090094607A (ko) * 2008-03-03 2009-09-08 구례군 압화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12B1 (ko) 2013-08-19 2014-09-04 김종명 낙엽에 조형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방법
KR101910143B1 (ko) * 2018-09-13 2018-10-19 김남기 회화용 죽피의 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죽피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67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25B1 (ko) 나뭇잎을 가공한 조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43593B (zh) 一种黄瓜插接育苗方法
WO2007038210A3 (en) Plant trimmer
CN106358919A (zh) 海派树桩盆景的制作技法
CN103210762A (zh) 一种月季的快速扩繁方法
CN107933184A (zh) 一种根雕制作方法
CN102363405B (zh) 一种人物根雕制作方法
CN104396476A (zh) 一种保鲜花树桩盆景的制作方法
TNSN05016A1 (en) Method of increasing the volume of cultivated fruit
JP5020418B1 (ja) 樹木の再活性化方法
CN104823724B (zh) 一种甜柿高位嫁接方法
CN203467268U (zh) 一种适用于芽接和枝接的果树嫁接器
CN108967106A (zh) 一种榆树盆景及其制作方法
CN105309181A (zh) 一种杜鹃修剪方法
CN104442145A (zh) 一种根雕立体画的制作方法
CN204047279U (zh) 园林剪刀
CN111391561A (zh) 一种工艺品中树木枝干的制作方法
KR102024131B1 (ko) 가발의 제조방법
CN107926202B (zh) 一种促进荔枝半败育种子萌发的方法
CN111645450A (zh) 唐草皮雕的制作工艺
CN101195322B (zh) 枯干草书壁挂制作工艺
CN110249817A (zh) 一种珍贵树种山桂花的扦插繁殖方法
KR101437012B1 (ko) 낙엽에 조형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방법
CN111591079A (zh) 一种平面蟾皮画的制作方法
CN206260362U (zh) 一种花卉植株成型修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