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657B1 -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657B1
KR100411657B1 KR10-2001-0036484A KR20010036484A KR100411657B1 KR 100411657 B1 KR100411657 B1 KR 100411657B1 KR 20010036484 A KR20010036484 A KR 20010036484A KR 100411657 B1 KR100411657 B1 KR 10041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ase
hose
clothes drying
warm ai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218A (ko
Inventor
이나미쥰이치
세키구치다케노리
다구치히로아키
오카다가오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행거 등에 말린 의류나 수건류 등의 건조물이 복수 수용되고, 그 건조물을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온풍을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보내어 건조 불균일을 방지하고 호스측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부자리 건조기(1)에 호스(2)를 거쳐서 장착되고 이부자리 건조기(1)로 부터의 온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건조물(11)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4)에 있어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4b)에 호스(2)의 선단부(3)이 내측으로 돌출하여 장착되는 장착구멍(6)을 마련하고, 바닥면(4b)의 내측에 장착구멍(6)을 덮고 장착된 호스의 선단부(3)의 돌출길이를 규제하여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규제부재(7) 및 위치규제부재(7)을 덮고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온풍을 취출하는 복수의 개구부(8a)를 갖는 커버(8)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위치규제부재에 의해 선단부의 과잉삽입을 억제해서 커버와의 사이에 일정량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공급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DRYING CASE FOR CLOTHES AND DRYER FOR BEDDING ARTICLES}
본 발명은 행거(hanger) 등에 말린 의류나 수건류 등의 건조물이 복수 수용되고, 그 건조물을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부자리 건조기의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1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 5-91596호에 개시된 고안이 있고 도 15에 그것을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는 이부자리 건조기, (22)는 이부자리 건조기(21)에 접속된 호스로서, 그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건조 케이스가접속되어 건조 케이스내에 이부자리 건조기(21)로 부터의 온풍을 공급한다. (24)는 예를 들면 T셔츠나 양말 등의 의류나 수건류 등의 건조물(23)이 복수 수용되고 이부자리 건조기(21)로 부터의 온풍에 의해 건조물(23)을 건조하는 건조물 케이스로서, 나일론제의 부드러운 천에 의해 종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고, 천정면(24a)에 후술하는 행거의 훅을 통과하는 구멍(25)가 마련되고, 바닥면(24b)에 호스(22)의 선단부가 장착되는 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27)은 예를 들면 원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을 갖고, 그 프레임에 거의 등간격으로 빨래집게가 부착되고 프레임을 평행하게 매다는 훅(27a)가 상부에 마련된 행거로서, 복수의 건조물(23)을 말릴 수 있다. (28)은 건조 케이스(24)내의 하부에 마련된 그물(net)로서, 행거(27)에서 빠져 낙하한 건조물(23)이 호스(22)의 선단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건조 케이스(24)를 사용하여 복수의 건조물(23)을 건조시키는 경우 우선, 행거(27)에 건조물(23)을 말리고, 행거(27)의 훅(27a)를 건조 케이스(24)의 구멍(25)로 내측으로 부터 통과시켜 행거(27) 및 건조물(23)을 건조 케이스(24)내에 넣고 훅(27a)를 상인방(lintel) 등에 건다. 계속해서, 호스(22)의 선단부를 건조 케이스(24)의 구멍(26)에 내측으로 부터 삽입해서 장착하고, 건조 케이스(24)에 마련된 파스너(fastener)(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시키고, 건조 케이스(24)의 측면에 종방향으로 마련된 파스너(도시하지 않음)를 닫아 건조물(23)을 수용한다. 그리고, 이부자리 건조기(21)을 구동시켜 이부자리 건조기(21)내에서 발생한 온풍을 호스(22)를 거쳐서 건조 케이스(24)내로 공급한다.공급된 온풍은 건조 케이스(24)내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보내져 건조물(23)을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 케이스(24)는 그의 바닥면(24b)에 마련된 구멍(26)에 이부자리 건조기(21)의 호스(22)를 외측으로 부터 삽입해서 장착하고, 호스(22)를 거쳐서 보내진 이부자리 건조기(21)로 부터의 온풍에 의해서 수용된 건조물(23)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건조 케이스(24)의 구멍(26)에 장착된 호스(22)의 선단부의 취출구는 거의 바로 윗방향(천정면(24a) 방향)으로 향해져 있기 때문에 온풍이 그대로 윗쪽으로 직진해 버리고 그의 직진범위에 있는 건조물(23)에 많은 온풍이 다아 빨리 마르고 그의 범위 외의 건조물(23)은 온풍이 그다지 닿지 않아 건조가 지연되어 버리는 등의 건조 불균일(건조되는 것이 일정하지 않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건조케이스(24)의 구멍(26)은 천정면(24a)에 마련된 구멍(25)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직진한 온풍이 건조 케이스(24)내 전체에 골고루 미치지 않은 동안에 구멍(25)에서 건조 케이스(24) 밖으로 나가버려 건조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고 있었다. 또, 건조 케이스(24)내에는 건조물(23)이 행거(27)에서 빠져 낙하한 경우에 호스(22)의 취출구가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물(28)이 마련되어 있지만, 건조물(23)으로 부터 떨어지는 물방울을 차단할 수가 없기 때문에 건조물(23)으로 부터의 물방울 또는 낙하하여 바닥면(24b)에 고인 물이 호스(22)의 취출구에서 호스(22)내로 들어가 버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부자리 건조기(21)내까지 보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온풍을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보내어 건조 불균일을 방지하고 호스측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정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측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의 사시도 및 그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측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호스의 선단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호스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호스의 선단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호스의 선단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이부자리 건조기의 온풍을 이용해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케이스의 모식도.
<부호의 설명>
1; 이부자리 건조기, 2; 호스, 3, 33; 선단부, 3a, 31a, 34; 취출구, 4; 의류건조 케이스, 4b; 바닥면, 6; 장착구멍, 7; 위치규제부재, 8; 커버, 8a, 8b; 개구부, 11; 건조물, 31; 머리부, 31b; 절제부, 32; 몸통부.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외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호스를 거쳐서 장착되고 이부자리 건조기로 부터의 온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에 있어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해서 장착되는 장착 구멍을 마련하고, 바닥면의 내측에 장착구멍을 덮고 장착된 호스의 선단부의 돌출길이를 규제하여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규제부재와 위치규제부재를 덮고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온풍을 취출하는(불어 내보내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의 각 개구부를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과 대향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의 각 개구부를 각각에 대응하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한 거리로 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버의 각 개구부를 바닥면의 네모서리에 각각 대응시키고 그 네모서리에 대한 거리를 거의 균일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장방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커버의 개구부를 케이스 바닥면의 긴쪽방향측으로 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장착구멍을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 거의 중심부로 부터 어긋난(변위한) 위치에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를 비통기재료 또는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위치규제부재를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선단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가 장착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있어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장착되는 장착구멍을 마련하고 호스의 선단부를 측면에 복수의 취출구를 갖는 유두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호스의 선단부를 양단부에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 온풍을 취출하는 취출구를 갖는 통형상의 머리부 및 머리부의 거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그 머리부와 연통하고 호스에 연결된 통형상의 몸통부로 이루어지는 정면이 대략 T자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머리부의 양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몸통부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몸통부측으로 경사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머리부의 양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아래쪽에 절제부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장방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호스의 선단부의 취출구를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 긴쪽방향측으로 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장착구멍을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 거의 중심부로 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정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2는 그 측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의 사시도 및 그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그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는 이부자리 건조기, (2)는 이부자리 건조기(1)에 접속된 호스로서, 그의 선단부(3)에 후술하는 의류건조 케이스가 접속되고 선단부(3)의 취출구(3b)에서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이부자리 건조기(1)로 부터의 온풍을 공급한다. 또한, 이 이부자리 건조기(1)은 의류건조 케이스 대신에 호스(2)에 에어 매트(air-mat)를 접속하면 요나 이불 등을 건조시키는 통상의 이부자리 건조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4)는 예를 들면 T셔츠나 양말 등의 의류나 수건류 등의 건조물(11)이 복수수용되고 이부자리 건조기(1)로 부터의 온풍에 의해 건조물(11)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건조 케이스로서,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비통기재료 또는 건조물(11)로 부터의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천정면(4a) 및 바닥면(4b)를 갖는 종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면(4a)의 거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행거의 훅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5)가 마련되고, 바닥면(4b)의 거의 중심부에는 이부자리 건조기(1)의 호스(2)의 선단부(3)이 내측으로 돌출해서 장착되는 고무상태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장착구멍(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의류건조기 케이스(4)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천정면(4a) 및 바닥면(4b)의 형상을 원형 형상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하여 원주 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비통기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바닥면(4b)를 제외한 의류건조 케이스(4)의 일부 예를 들면 측면의 아래쪽에 열교환된 온풍을 배기시키는 배기구를 마련해도 좋다.
(7)은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의 내측에서 장착구멍(6)을 덮도록 마련되고 호스(2)의 선단부(3)의 의류건조 케이스(1)내로의 돌출길이를 규제하고 그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규제부재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통기저항으로 되지 않을 정도의 망사(mesh), 선재(線材) 또는 그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기재료 또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체 등에 의해서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쪽방향에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택(tack)(7a)가 마련되어 있고, 그의 긴쪽방향이 바닥면(4b)의 긴쪽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2)의 선단부(3)이 의류건조 케이스(4)의 장착구멍(6)을 거쳐서 장착되면, 위치규제부재(4)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고 또한 택(7a)를 벌리면서 호스(2)의 선단부(3)은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돌출하지만, 택(7a)가 완전히 벌어진 시점에서 돌출길이가 규제되어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호스(2)의 선단부(3)이 후술하는 커버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량의 공간이 확보되어 선단부(3)의 취출구(3a)가 커버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8)은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의 내측에서 위치규제부재(7)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로서, 의류건조 케이스(4)와 마찬가지 재료에 의해서 측면형상이 대략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긴쪽방향이 바닥면(4b)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개구부(8a)에서 호스(2)를 거쳐서 보내진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공급한다. 이때, 커버(8)이 비통기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8)의 양개구부(8a)로 부터만 온풍이 취출되고,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개구부(8a)와 커버(8)의 표면으로 부터 온풍이 취출된다. 또한, 표면으로 부터의 취출은 양개구부(8a) 보다 소량으로 된다. 또, 커버(8)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물(11)에서 떨어지는 물방울W가 직접 호스(2)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물방울W가 커버(8)에 닿아 그 표면을 거쳐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통기재료로 구성된 커버(8)의 경우에는 물방울W가 커버(8)의 표면에 부착하여 스며드는 일이 있지만, 표면으로 부터 온풍이 취출되기 때문에 그 온풍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W가 비산되어 바닥면(4b)측으로 떨어진다.
(9)는 의류건조 케이스(4)의 삽입통과구멍(5)에서 바닥면(4b)의 근방으로 향하는 종방향으로 마련되어 의류건조 케이스(4)를 개폐하는 퍼스나(9)로서, 삽입통과구멍(5)와 퍼스나(9)의 상단부사이에는 의류건조 케이스(4)를 행거의 훅에 가고정시키는 매직테이프(등록상표)(10)이 마련되어 있다.
(12)는 예를 들면 원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2a)를 갖고, 그 프레임(12a)에 거의 등간격으로 빨래집게(13)이 부착되고 프레임(12a)를 평행하게 매다는 훅(14)가 상부에 마련된 행거로서, 복수의 건조물(11)을 말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행거(12)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건조물(11)을 말릴 수 있는 것이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물(11)을 건조시키는 경우, 우선 복수의 건조물(11)을 각각 빨래집게(13)으로 집어 행거(12)에 말리고, 행거(12)의 훅(14)를 상인방 등에 건다. 계속해서, 파스너(9)를 연 의류건조 케이스(4)의 삽입통과구멍(5)를 훅(14)에 걸어 매직테이프(등록상표)(10)에 의해 가고정시키고, 의류건조 케이스(4)를 행거(12) 및 건조물(11)에 덮어씌워 파스너(9)를 닫고, 의류건조 케이스(4)내에 건조물(11)을 수용한다. 그리고, 이부자리 건조기(1)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근방에 설치하여 호스(2)를 늘리고, 호스(2)의 선단부(3)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장착구멍(6)에 아래에서 끼워 넣어 장착한다.
이 때, 호스(2)의 선단부(3)은 의류건조 케이스(4)의 위치규제부재(7)에 의해서 일정량이 끼워넣어지지만, 그 위치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그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또, 행거(12)에 말린 건조물(11)로 부터의 물방울W는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에 떨어지지만, 호스(2)의 선단부(3)은 커버(8)에 의해서 덮여 있기 때문에 호스(2)내로의 물방울W의 직접적인 침입이 차단되고 물방울W는 커버(8)의 표면을 통해 바닥면(4b)로 떨어진다. 그리고, 바닥면(4b)에 고인 물은 바닥면(4b)의 거의 중심부에 모이는 경우가 있지만, 호스(2)의 선단부(3)은 바닥면(4b)에서 윗쪽으로 돌출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4b)에 고인 물이 용이하게 선단부(3)에서 호스(2)내로 들어가지 않아 이부자리 건조기(1)로의 물의 침입은 방지된다. 또, 바닥면(4b)에 고인물은 의류건조 케이스(4)내의 온풍에 의해서 증발된다.
다음에, 이부자리 건조기(1)을 구동하면 이부자리 건조기(1)내에서 발생한 온풍은 호스(2)를 통해 의류건조 케이스(4)에 장착된 선단부(3)으로 보내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바로 윗방향(천정면(4a) 방향)으로 향해진 선단부(3)의 취출구(3a)로 부터 온풍이 취출된다. 그리고, 취출된 온풍은 화살표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의 내면에 닿음과 동시에 커버(8)과 호스(2)의 선단부(3)의 공간에서 커버(8)의 양개구부(8a)로 보내지고, 양개구부(8a)에서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공급된다. 또한, 커버(8)이 통기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풍의 일부가 커버(8)의 표면으로 부터도 공급된다. 계속해서, 공급된 온풍은 의류건조 케이스(4)내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구석구석까지 퍼지면서 보내져 건조물(11)을 건조시킨다. 이 때, 커버(8)의 양개구부(8a)는 의류건조 케이스(4)의 긴쪽방향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구석까지 널리 퍼지게 할수 있고, 행거(12)의 끝에 말린 건조물(11)에도 온풍이 닿아 전체를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호스(2)의 선단부(3)이 돌출하여 장착되는 의류건조 케이스(4)의 장착구멍(6)에 장착구멍(6)을 덮고 선단부(3)의 돌출길이를 규제하고 그 위치에서 유지하는 위치규제부재(7)을 마련함과 동시에, 위치규제부재(7)을 덮어 선단부(3)의 취출구(3a)로의 건조물(11)의 물방울W의 침입을 방지하고 취출구(3a)로 부터의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긴쪽방향으로 유도해서 의류건조 케이스(4) 전체에 온풍을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하는 커버(8)을 마련했으므로, 선단부(3)의 과잉삽입(너무 많이 끼워넣어지는 것)을 억제해서 커버(8)에 의한 취출구(3a)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고,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커버(8)에 의해서 건조물(11)에서 낙하한 물방울W가 호스(2)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출한 선단부(3)에 의해서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에 고인 물이 선단부(3)으로 부터 용이하게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부자리 건조기(1)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커버(8)의 양개구부(8a)가 의류건조 케이스(4)의 긴쪽방향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부(3)의 취출구(3a)로 부터의 온풍이 바로 위로 직진하지 않고 의류건조 케이스(4)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퍼지면서 골고루 미쳐 건조물(11)을 건조 불균일 없이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건조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 케이스(4)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측면측에서 본 모식도, 도 7은 그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에 있어서 그 바닥면(4b)의 거의 중심부에 마련한 장착구멍(6)을 예를 들면 정면측으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 2에서는 장착구멍(6)을 정면측으로 어긋나게 해서 마련했지만, 거의 중심부를 제외한 바닥면(4b)의 어느 위치에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거의 동일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 구멍(6)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의 거의 중심부로 부터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물(11)에서 낙하한 물방울W가 물의 무게로 바닥면(4b)의 거의 중심부가 아래로 처진(늘어진) 상태에서 고이더라도 호스(2)의 선단부(3)으로 부터 고인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착구멍(6)에서 의류건조 케이스(4) 밖으로의 누수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평면도로서, 이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의 커버(8)에 있어서 개구부(8a)가 마련된 긴쪽방향의 거의 중간부의 양표면에 개구부(8a)의 취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온풍을 취출하는 개구부(8b)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거의 동일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호스(2)의 취출구(3a)에서 취출되는 온풍이 의류건조 케이스(4)의바닥면(4b)의 긴쪽방향으로 취출하는 개구부(8a)와 개구부(8a)의 취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출하는 개구부(8b)에 의해서 4방향으로 취출되기 때문에, 의류건조 케이스(4) 전체에 더욱 구석구석까지 퍼지면서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어 건조물(11)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8a)로 부터 바닥면(4b)의 긴쪽방향의 변(4c)의 거리(L1)과 개구부(8b)로 부터 바닥면(4b)의 긴쪽방향과 평행한 변(4d)의 거리(L2)를 동일하게 하는(L1= L2)것에 의해, 각 개구부(8a), (8b)에서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취출되는 온풍의 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3에서는 커버(8)의 양표면에 개구부(8b)를 마련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커버(8)의 형상은 실시예 1,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측면 형상을 원호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평면 형상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형상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9에 도시한 X형상의 경우는 개구부(8a)를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의 네모서리와 각각 대향하도록 마련하고, 그 네모서리에서 각 개구부(8a)까지의 거리(L3)∼(L6)을 각각 동일하게 하는(L3=L4=L5=L6) 것에 의해 각 개구부(8a)에서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취출되는 온풍의 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한 직사각형 형상의 경우는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8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많은 온풍을 취출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개구부(8a)도 원형 형상, 긴구멍 형상, 원호 형상, 직사각형 형상, 슬릿(slit) 형상 또는 노치(잘라냄) 형상 등 온풍이 취출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3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에 실시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예 2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에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호스의 선단부의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 4는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의 바닥면(4b)에 마련된 위치규제부재(7) 및 커버(8)을 생략하고, 호스(2)의 선단부(3)을 양단부에 온풍이 취출되는 취출구(31a)를 갖는 원통 형상의 머리부(31) 및 그의 거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머리부(31)과 연통하고 호스(2)에 연결된 원통 형상의 몸통부(32)로 이루어지는 정면이 거의 T자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머리부(31)의 취출구(31a)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하부측에 절제부(31b)가 마련되어 있고, 행거(12)에서 빠져 낙하한 건조물(11)이 선단부(3)에 덮이더라도(씌워지더라도) 절제부(31b)에 의해서 건조물(11)과의 간극을 형성하고 건조물(11)에 의해서 취출구(31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해서 간극으로 부터 온풍이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3)을 장착구멍(6)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머리부(31)의 긴쪽방향이 바닥면(4b)의 긴쪽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거의 동일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호스(2)의 선단부(3)을 양단부에 취출구(31a)를 갖고 취출구(31a)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하부측에 절제부(31b)를 구비한 머리부(31) 및 그의 거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호스(2)에 연결된 몸통부(32)에 의해서 구성했으므로, 머리부(31)에 의해 건조물(11)로 부터의 물방울W가 차단되어 호스(2)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출구(31a)로 부터의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의 긴쪽방향으로 유도해서 의류건조 케이스(4) 전체에 온풍을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절제부(31b)에 의해서 낙하한 건조물(11)에 의한 취출구(31a)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4)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서는 호스(2)의 선단부(3)을 머리부(31) 및 몸통부(32)로 이루어지는 정면이 거의 T자인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건조물(11)로 부터의 물방울W를 차단하는 천정면을 갖고 의류건조 케이스(4)의 내주면측으로 온풍이 취출되는 복수의 취출구를 측면에 구비한 선단부이면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고, 취출구도 원형 형상, 긴구멍 형상, 원호 형상, 직사각형 형상, 슬릿 형상 또는 노치 형상 등 온풍이 취출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측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취출구를 갖고 내부가 호스(2)와 각 취출구를 연통하는 T자인 형상의 연통로를 구비한 유두(머리부를 갖는) 통형상의 선단부로 해도 좋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33a)에 복수의 취출구(34)를 갖는 유두 통형상의 선단부(33)으로 해도 좋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취출구(34)사이의 측면(33a)에 취출구(34)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한 리브(rib)(35)를 상하방향으로 마련한 선단부(33)으로 해도 좋고,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천정면(33b)의 외주를 측면(33a)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각 취출구(34)의 폐쇄를 방지하도록 한 선단부(33)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1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에 실시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예 2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4)에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외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호스를 거쳐서 장착되고 이부자리 건조기로 부터의 온풍을 이용해서 내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에 있어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해서 장착되는 장착구멍을 마련하고, 바닥면의 내측에 장착구멍을 덮고 장착된 호스의 선단부의 돌출길이를 규제하여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규제부재 및 위치규제부재를 덮고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온풍을 취출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를 마련했으므로, 위치규제부재에 의해 선단부의 과잉삽입을 억제해서 커버와의 사이에 일정량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커버에 의해서 건조물에서 낙하한 물방울의 호스내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돌출한 선단부에 의해서 바닥면에 고인물의 선단부로 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이부자리 건조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개구부에 의해서 선단부로 부터의 온풍이 바로 위로 직진하지 않고 의류건조 케이스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퍼지면서 골고루미쳐 건조물을 건조 불균일 없이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 케이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의 각 개구부를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과 대향하도록 마련했으므로, 개구부에서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공급된 온풍이 바로 윗방향으로만 직진하지 않고 의류건조 케이스 전체로 퍼져 건조 불균일이 없는 건조를 실행할 수 있는 의류건조 케이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의 각 개구부를 각각 대응하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에 대하여 거의 균일한 거리로 되도록 했으므로,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취출되는 각 개구부로 부터의 온풍의 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버의 각 개구부를 바닥면의 네모서리에 각각 대응시키고 그 네모서리에 대한 거리를 거의 균일하게 했으므로,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취출되는 각 개구부로 부터의 온풍의 양을 거의 균일하게 하여 구석구석까지 온풍을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장방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커버의 개구부를 바닥면의 긴쪽방향측으로 향하게 했으므로, 선단부로 부터의 온풍이 바로 윗방향으로 직진하지 않고 의류건조 케이스전체에 구석구석까지 퍼지면서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하여 건조물을 건조 불균일 없이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건조 케이스를 얻을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장착구멍을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 거의 중심부로 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했으므로, 바닥면의 중심부에 고이기 쉬운 물의 선단부로 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구멍으로 부터의 의류건조 케이스 밖으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커버를 비통기재료 또는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비통기재료인 경우에는 커버의 개구부로 부터 확실하게 온풍을 공급할 수가 있고,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인 경우에는 커버전체로 부터도 온풍을 공급할 수 있어 더욱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 케이스는 위치규제부재를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호스의 선단부로 부터 취출되는 온풍의 통기 저항을 높이는 일 없이 호스의 선단부를 소정 위치에 유지할 수가 있어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온풍을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선단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가 장착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있어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장착되는 장착구멍을 마련하고, 호스의 선단부를 측면에 복수의 취출구를 갖는 유두 통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돌출한 호스의 선단부에 의해서 건조물로 부터의 물방울이 차단되어 호스내로의 물의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이부자리 건조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호스의 선단부를 양단부에 의류건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 온풍을 취출하는 취출구를 갖는 통형상의 머리부 및 머리부의 거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그 머리부와 연통하고 호스에 연결된 통형상의 몸통부로 이루어지는 정면이 거의 T자인 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머리부에 의해 건조물로 부터의 물방울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호스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이부자리 건조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머리부의 양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몸통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몸통부측으로 경사시켰으므로, 낙하한 건조물에 의한 취출구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머리부의 양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아래쪽에 절제부를 마련했으므로, 낙하한 건조물에 의한 취출구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을 장방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호스의 선단부의 취출구를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 긴쪽방향측으로 향하게 했으므로, 취출구로 부터의 온풍을 의류건조 케이스의 긴쪽방향으로 유도해서 의류건조 케이스 전체에 온풍을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부자리 건조기는 장착구멍을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의거의 중심부로 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했으므로, 바닥면의 중심부에 고이기 쉬운 물의 호스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구멍으로 부터의 의류건조 케이스 밖으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외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상기 호스를 거쳐서 장착되고 상기 이부자리 건조기로 부터의 온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장착되는 장착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 상기 장착구멍을 덮고 장착된 호스의 선단부의 돌출길이를 규제하여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규제부재 및
    상기 위치규제부재를 덮고 상기 의류건조 케이스내로 온풍을 취출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를 비통기재료 또는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의 통기재료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 케이스.
  3. 내부에 온풍공급장치를 갖고 선단부에 수용된 건조물을 온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건조 케이스가 장착되는 호스를 구비한 이부자리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호스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장착되는 장착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호스의 선단부를 측면에 복수의 취출구를 갖는 유두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부자리 건조기.
KR10-2001-0036484A 2001-04-11 2001-06-26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 KR100411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2199A JP3963207B2 (ja) 2001-04-11 2001-04-11 衣類乾燥ケースおよびふとん乾燥機
JP2001-112199 2001-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218A KR20020080218A (ko) 2002-10-23
KR100411657B1 true KR100411657B1 (ko) 2003-12-18

Family

ID=1896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484A KR100411657B1 (ko) 2001-04-11 2001-06-26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63207B2 (ko)
KR (1) KR100411657B1 (ko)
CN (2) CN11931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496A (ja) * 2005-03-3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袋
CN106012452B (zh) * 2015-03-25 2020-06-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被褥干燥机
CN110475926B (zh) * 2017-04-10 2021-03-23 夏普株式会社 棉被干燥机及吹出单元
JP6948142B2 (ja) * 2017-04-11 2021-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2474U (ko) * 1977-05-27 1978-12-19
JPS6273896U (ko) * 1985-10-30 1987-05-12
JPH0374163A (ja) * 1989-05-31 1991-03-28 Nippondenso Co Ltd 交流発電機
JPH0523492A (ja) * 1991-07-23 1993-02-02 Masao Aoki 衣類乾燥具
JPH0591596U (ja) * 1992-04-27 1993-12-14 ひろみ 加藤 角ハンガー乾燥ケース
JPH07185195A (ja) * 1993-12-28 1995-07-25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ふとん乾燥機
JPH11114290A (ja) * 1997-10-08 1999-04-27 Shigeru Kawaguchi 雨の日も物干竿の洗濯物等を乾燥させる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63C (zh) * 1993-12-28 2000-05-03 三菱电机株式会社 被褥干燥机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2474U (ko) * 1977-05-27 1978-12-19
JPS6273896U (ko) * 1985-10-30 1987-05-12
JPH0374163A (ja) * 1989-05-31 1991-03-28 Nippondenso Co Ltd 交流発電機
JPH0523492A (ja) * 1991-07-23 1993-02-02 Masao Aoki 衣類乾燥具
JPH0591596U (ja) * 1992-04-27 1993-12-14 ひろみ 加藤 角ハンガー乾燥ケース
JPH07185195A (ja) * 1993-12-28 1995-07-25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ふとん乾燥機
JPH11114290A (ja) * 1997-10-08 1999-04-27 Shigeru Kawaguchi 雨の日も物干竿の洗濯物等を乾燥させる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4177A (zh) 2005-02-23
CN100406638C (zh) 2008-07-30
JP3963207B2 (ja) 2007-08-22
KR20020080218A (ko) 2002-10-23
CN1380459A (zh) 2002-11-20
JP2002306899A (ja) 2002-10-22
CN1193128C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043B1 (ko) 옷장형 건조기
US5412928A (en) Dehydration device
EP081655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10073625A1 (en) Pole-Mounted Garment Hanger Air Dryer
US20070164062A1 (en) Garment hanger incorporating garment drying system
KR100411657B1 (ko) 의류건조 케이스 및 이부자리 건조기
KR20150145995A (ko) 에어 스피드 건조대
KR101068655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ITFI970016V0 (it) Macchina lavatrice a secco di biancheria e indumenti con riscaldamento a vapore dell&#39;aria di asciugamento
JP2002061882A (ja) 空気供給装置
JP2002306899A5 (ko)
KR200304476Y1 (ko) 건조장치
KR20100106709A (ko) 위치맞춤 광역분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행어
WO1998054392A1 (en) Portable dryer for garments
KR200457201Y1 (ko) 빨래 건조구
KR20050102047A (ko) 신발 건조장치
JP2543503Y2 (ja) トンネルフィニッシャ
CN218722756U (zh) 一种服装面料除湿干燥装置
JP3017695U (ja) 洗濯物干し具
KR910000361Y1 (ko)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JPH0415199Y2 (ko)
JP2000237029A (ja) ハンガー及びハンガー用付属具
KR101594260B1 (ko) 세탁물 건조기
CA1256283A (en) Drying device
JP3104826U (ja) 衣類乾燥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