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61Y1 -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61Y1
KR910000361Y1 KR2019880009134U KR880009134U KR910000361Y1 KR 910000361 Y1 KR910000361 Y1 KR 910000361Y1 KR 2019880009134 U KR2019880009134 U KR 2019880009134U KR 880009134 U KR880009134 U KR 880009134U KR 910000361 Y1 KR910000361 Y1 KR 91000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condensation
drying
drying chamber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794U (ko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김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환 filed Critical 김병환
Priority to KR2019880009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61Y1/ko
Publication of KR900000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통기형 옷걸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기 본체 1C : 공기취입구
1d : 배기구 2 : 가열히터
3 : 송풍기 4 : 온풍발생장치부
5 : 건조실 6 : 지지봉
7 : 수직격벽 9 : 결로실
10 : 결로관 12 : 조절축
13,14 : 작동레버 15,16 : 조절댐퍼
20 : 통기형 옷걸이 21,21′,22,22′ : 수직지지부재
23 : 수평간격부재
본 고안은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기의 내부 일측에 구획 형성한 상향 온풍순환로에 다수의 결로관이 배열 설치된 결로실(結露室)을 형성하고 그 건조실의 내부에는 통기형 옷걸이를 설치하여 건조기내에서 발생되는 다습한 온풍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기내에서 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건조실내에 현수되는 각종의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한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기상조건이나 계절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물세탁된 의류를 실내에서 건조시킬 수 있게한 건조기가 제안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같은 종래의 건조기는 통상 건조기 통체의 내부 상측에 가열히터와 송풍기로 구성되는 온풍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온풍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하부의 건조실내에 송풍시키어 그 건조실내에 수용되는 의류 즉,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후 하강되는 과습한 온풍은 주벽하단부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건조실의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다습한 온풍이 곧바로 건조기가 설치된 실내로 배출되므로, 건조기의 가동에 따라 밀폐된 실내공간을 과습한 공기로 오염시키게 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건조기의 건조실내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개의 옷걸이를 그 건조실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걸림봉에 걸고 이들 옷걸이에 걸린 젖은 옷가지들은 그 앞부분과 뒷부분 또는 상호 인접되어 있는 옷들이 서로 달라 붙게될 뿐만아니라, 이와같은 상태에서 송풍기로부터 발생되는 온풍에 의하여 각 옷가지들이 전·후 또는 좌·우로 요동하게 됨으로써, 상부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각 세탁물의 외부만을 스쳐 지나가게 되어 그 건조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의류건조기의 건조실 일측에 수직 격벽으로 분리된 온풍순환로를 형성하여 건조실의 하부로 불어내려온 온풍이 그 온풍순환로를 거쳐 온풍발생장치부의 상부로 순환되게 하되, 상기 순환로내에는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경사결로관을 건조기 통체의 전·후벽간에 걸쳐 배열 설치하여 상기 순환로를 거쳐 상승되는 온풍중에 포함된 습기가 각 결로관을 거쳐 순환하는 동안 결로되어 건조기의 바닥으로 낙하됨과 아울러 습기가 제거된 건조온풍만이 상부의 온풍 발생장치부로 재공급되게 함으로써 습기가 포함된 온풍의 실내로 배출됨은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그 건조실의 내부에는 그 상·하단이 2개의 걸림봉 및 스프링에 연결 고정되는 통기형 옷걸이를 설치하여 온풍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각 통기형 옷걸이에 안정되게 걸린 세탁물의 내·외측부에 걸쳐 고르게 작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건조실 및 온풍순환로의 상측에는 건조기 외부로 개구된 공기취입구와 배기구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조절댐퍼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온풍의 배출이 가능하게 한 것인 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3도는 그 결로실에 설치된 결로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통기형 옷걸이만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통체상 건조기본체(1)의 내부 상측에는 가열히터(2)와 송풍기(3)가 구비된 온풍발생장치부(4)가 설치되고, 그 하부의 건조실(5)내에는 세탁물이 걸리는 옷걸이가 걸림봉(6)에 의하여 현수지지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1)의 내부 일측에 수직격벽(7)이 설치되어 격벽(7)의 상단과 본체(1)의 상면 및 격벽(7)의 하단과 건조실(5)의 바닥면 사이에 소정간격의 상·하통기로(8)(8′)가 각기 형성되어 있고, 그 격벽(7)과 본체(1)의 일측벽 사이에는 일정폭의 상향온풍 순환로를 형성하는 결로실(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결로실(9)의 내부에는 상기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구경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결로관(10)이 본체(1)의 전·후벽(1a)(1b)간에 걸쳐 소정경사도를 가지고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결로관(10)의 전,후단부는 건조기본체(1)의 전·후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바, 이와같이 설치되는 각 결로관(10)은 열전도율 및 내식성이 양호한 스테인레스 관이 사용된다. 또한 이와같이된 본체(1)의 양측벽 상단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취입구(1c)와 기내의 온풍이 배출되는 배기구(1d)가 각기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추입구(1c) 및 배기구(1d)의 내측에는 이들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한 조절축(12)에 작동레버(13)(14)로 연결지지된 개폐 조절댐퍼(15)(16)가 각기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절축(12)의 일단에 설치한 조절손잡이(11)의 조작에 따라 양 조절댐퍼(15)(16)를 동시에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조기본체(1)의 건조실(5) 내부 상측에는 공지 형태로된 2개의 걸림봉(6)(6′)이 양측벽 간의 중간부에 걸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들 양 걸림봉(6)(6′)에는 수개의 통기형 옷걸이(20)가 설치된다.
상기한 옷걸이(2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걸림봉(6)(6′)에 걸려 지지되는 걸고리(21a)가 상단부에 각기 형성된 2개의 수직지지부재(21,21 : 이하, 내측 지지부재라 칭함)와 이들 내측 지지부재(21)(21′)의 외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외측 지지부재(22)(22′) 및, 이들 내,외 지지부재(21)(21′), (22)(22′)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상호 직교되게 설치되는 수개의 수평간격부재(2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외수직지지부재(21)(21′), (22)(22′) 및 수평간격부재(23)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2열의 내식성 강성재를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 양단부를 원호상으로 절곡 연결하여서된 것으로, 이들 지지부재와 간격부재는 상기 각 지지부재(21)(21′),(22)(22′)의 외측부에 각 간격부재(23)의 내측부가 등간격으로 용착되는 방식으로 결합고정되어 있어, 각 지지부재(21)(21′), (22)(22′) 및 수평간격부재(23)의 선재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간부(S)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설치되는 수개의 간격부재(23)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간격부재(23′)는 통상의 상이용 옷걸이와 같이 그 중간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중간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간격부재(23″)(23″′)는 그 중간부가 분리되어 있어 양분된 간격부재(23″)(23″′) 사이에는 하의의 양 바젓가랑이가 끼워질 수 있는 일정간격부(S′)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옷걸이(20)가 설치되는 건조실(5)의 내부 바닥면에는 그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개의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 각 스프링(24) 상단의 고리를 상기 각 옷걸이(20)의 내측 지지부재(21)(21′)의 하단에 걸어 연결함으로써 각 옷걸이(20)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건조실(5)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이고, 18은 건조실(5)의 전면에 설치된 물받이, 19는 건조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사용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건조기를 사용시에는 건조실(5) 내부의 각 통기형 옷걸이(20)에 건조할 의류 즉 세탁된 잦은 옷가지를 걸게되는 바, 이 때에 세탁물이 일반 상의 또는 코트류(C)일 경우에는 제1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옷걸이(20)에 세탁물을 둘러 씌우는 통상의 방법으로 걸게되고, 세탁물이 바지등 하의(T)일 경우에는 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바짓가랑이가 양측 내·외지지부재(21)(22), (21′)(22′) 및 분할된 하측 간격부재(23″)(23″′) 사이의 간격부(S′)를 통하여 끼워지게 하여 그 상측 허리춤 부분을 집게등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양 지지부재(21)(21′)의 하단에 스프링(24)의 상단 고리를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건조기를 가동하여 상부의 열풍발생장치부(4)로부터 발생되는 온풍이 건조실(5)의 하부로 소풍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하여 각 옷걸이(20)에 걸린 세탁물은 상부의 걸림봉(6)(6′)과 하단의 스프링(24)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되고 각 옷걸이(20)의 지지부재(21,21′,22,22′) 및 간격부재(23,23′,23″,23″′)에 의하여 세탁물의 앞·뒷부분 및 인접 세탁물 사이에 일정간격(S)을 유지하게 되므로, 각 세탁물의 안팍에는 상부에서 강하게 불어내리는 온풍이 자유로이 통과될 수 있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게 됨으로써 그 건조효율을 월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각 세탁물을 건조시킨 후 건조실(5)의 하부로 불어내리는 함습한 온풍은 격벽(7)의 하단에 형성된 통기로(8′)를 거쳐 결로실(9)로 유입된 후 상측으로 유도되어 그 결로실(9)을 경유하는 동안 그 내부에 배열 설치된 다수개의 결로관(10)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바, 이때에 상기와 같은 온풍이 경유하는 각 결로관(10)은 그 양단부가 건조기 본체(1)의 전·후벽면간에 걸쳐 소정경사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각 결로관(10)의 내부에는 그 결로실(9)을 통과하는 온풍에 비하여 훨씬 차거운 실내공기가 그 경사방향을 따라 대류되면서 각 결로관(10)을 냉각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각 결로실(9)을 통과하는 온풍중의 습기는 냉각된 각 결로관(10)에 접촉응축되면서 물방울로 변하여 하부로 낙하된 후 건조실(5) 저면에 설치된 집수통(18)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그 결로실(9)의 상부에는 상기와 같은 각 결로관(10)의 결로작용에 의하여 그 습기의 대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이와같이 하여 제습된 온풍은 그 상부통기로(8)를 거쳐 다시 온풍발생장치부(4)로 순환공급되므로 그 건조기내에 별도의 외부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도 온풍의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기 자체에서 이루어지는 온풍의 제습 및 순환공급작용에 따라 건조실(5)로부터 발생되는 함습한 온풍을 건조기의 외부 즉, 건조기가 설치된 실내에 배출시키지 않고도 건조기의 정상가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건조기의 내부 상측에는 조절축(12)의 조정에 따라 개폐되는 조절댐퍼(15)(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그 건조기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조절손잡이(11)를 조작하여 그 공기취입구(1C) 및 배기구(1d)를 임의로 개폐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온풍발생장치부로부터 발생되는 온풍을 세탁물이 현수되는 건조실의 내부로 소풍하여 각종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의 일측에 건조실을 경유한 함습한 온풍이 통과되는 결로실을 형성하고 그 결로실의 내부에는 외기가 연통되는 다수개의 결로관을 건조기의 전·후벽간에 걸쳐 설치하여 결로실을 거치는 온풍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제습된 온풍 발생장치부로 재순환 공급할 수 있게 하고, 그 건조실의 내부에는 각종 형태의 세탁물 내부에 통기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 통기형 옷걸이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므로,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폐풍중의 습기를 건조기 내부에서 회수하여 과습한 온풍이 실내에 배출됨에 따른 실내환경의 오염요인을 배제할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어 건조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원형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조기본체(1) 상부의 온풍발생장치부(4)에는 가열히터(2)와 송풍기(3)가 구비되고, 그 하부의 건조실(5) 내에는 옷걸이용 걸림봉(6)이 설치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5)의 일측에 수직격벽(7)으로 구획된 온풍순환로 겸 결로실(9)을 형성하여 그 결로실(9)의 내부에는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결로관(10)을 본체(1)의 전,후벽간에 걸쳐 배열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부 양측벽에 형성된 공기취입구(1c)와 배기구(1d)의 내측에는 중간의 조절축(12)과 작동레버(13)(14)로 연결된 개폐조절댐퍼(15)(16)를 각기 설치하며, 상기 건조실(5)의 내부에는 내·외한쌍의 수직 지지부재(21,21′), (22,22′) 및 수개의 수평간격부재(23) 이루어지는 통기형 옷걸이(20)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KR2019880009134U 1988-06-14 1988-06-14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KR910000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134U KR910000361Y1 (ko) 1988-06-14 1988-06-14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134U KR910000361Y1 (ko) 1988-06-14 1988-06-14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794U KR900000794U (ko) 1990-01-18
KR910000361Y1 true KR910000361Y1 (ko) 1991-01-18

Family

ID=1927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134U KR910000361Y1 (ko) 1988-06-14 1988-06-14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95B1 (ko) *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및 그의류처리방법
KR20180124352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에어샷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95B1 (ko) *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및 그의류처리방법
KR20180124352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에어샷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794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77A (en) Cloth drying machine
US3066423A (en) Drying system
KR20060060211A (ko)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080098860A (ko) 건조기
KR101436754B1 (ko) 옷 건조시스템
KR20090024583A (ko) 덕트리스 건조기
KR910000361Y1 (ko) 통기형 옷걸이가 구비된 온풍순환식 의류건조기
EP2094897A1 (en) Drying cabinet
JP7453019B2 (ja) 物干しシステム
KR100723992B1 (ko) 대류 건조기
JP2001120899A (ja) 衣類乾燥システム
JP2000218095A (ja) 衣類乾燥機
JP2000218095A5 (ko)
JPH1033896A (ja) 衣類乾燥機
JPH03289999A (ja) 衣類乾燥機
JP2000233099A (ja) 衣類等収納乾燥装置
KR0144207B1 (ko) 건조기능 및 제습기능을 갖는 옷장
US1730501A (en) Deodorizer and drier
KR950003678Y1 (ko) 세탁 건조기
KR200405369Y1 (ko)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AU648333B2 (en) Clothes drying machine
KR950010095Y1 (ko) 공기 조화기 겸용 세탁물 건조기
JP2007202742A (ja) 衣類乾燥装置
JPH09313793A (ja) 衣類乾燥機
JP2926089B2 (ja) 乾燥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