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69Y1 -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69Y1
KR200405369Y1 KR2020050028498U KR20050028498U KR200405369Y1 KR 200405369 Y1 KR200405369 Y1 KR 200405369Y1 KR 2020050028498 U KR2020050028498 U KR 2020050028498U KR 20050028498 U KR20050028498 U KR 20050028498U KR 200405369 Y1 KR200405369 Y1 KR 200405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lothes dryer
heater
generating unit
ai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중
Original Assignee
씨티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엠(주) filed Critical 씨티엠(주)
Priority to KR2020050028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할 세탁물을 걸어서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열풍을 송풍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인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류 건조기(1)는 건조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수납부(3),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 공기를 만드는 열풍발생부(5), 및 상기 수납부(3)와 상기 열풍발생부(5)를 분할하도록 사이에 설치된 격판(29)으로 이루어진 의류 건조기(1)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부(5)는 상기 열풍발생부(5) 내부의 공기를 수납부(3)로 취출하는 송풍팬(21), 상기 열풍발생부(5)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 상기 송풍팬(21)과 상기 히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7), 및 상기 격판(29) 좌우에 관통된 배기관(31)을 통해 상기 수납부(3)와 연결되도록 상기 열풍발생부(5)의 좌우에 형성된 한 쌍의 배기덕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온도가 높은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킴으로써 대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국부 과열로 인한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의류, 건조기, 열풍, 히터, 송풍팬

Description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Having a Symmetrical Type Ventilation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과열원인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풍발생부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열풍발생부 앞덮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의류 건조기 3 : 수납부
5 : 열풍발생부 21 : 송풍팬
23 : 히터 25 : 온도센서
27 : 제어기 29 : 격판
31 : 배기관 41 : 덮개
본 고안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할 세탁물을 걸어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동시에, 온도가 높은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을 증대시킨 대칭형 환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의 자연 건조는 일조량에 의존하므로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고, 세탁물을 실외에 내다 걸어야 하는 등 적지 않은 불편이 있었다. 근래 세탁기가 보급되면서 세탁기 자체로 또는 별도의 탈수기로 세탁물이 탈수 및 건조되고 있으나, 세탁물이 세탁에 이은 탈수 및 건조 과정에서도 계속해서 구겨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손상이 심화되거나 탈수 및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의류 건조기는 구김 없이 고온의 공기에 의해 젖은 의류의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크게 습기 제거방식에 따라 배기식과 응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배기식 의류 건조기는 송풍팬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하여 히터로 가열한 고온의 외기를 이용해 의류에 남아 있는 물기나 습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제거되는 습기는 드럼 내의 공기와 함께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응축식 의류 건조기는 고온의 외기에 의해 의류에 남아 있는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이 배기식과 유사하나, 습기를 포함한 내부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지 않고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응축시켜 포함하고 있는 습기를 물방울 형태로 분리해 내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때, 습기가 제거된 열풍은 재 차 드럼 내부로 흡입되어 의류 제습에 사용되며,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고 제습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배기식 의류 건조기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된 바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도 1에 도시된 하향 송풍식 의류 건조기를 들 수 있다. 이 의류 건조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건조할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부(103)와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의 공기를 만드는 열풍발생부(105)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103)는 다시 도 1 및 2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103) 뿐만 아니라 열풍발생부(105)의 몸통을 이루는 외부 몸체(111), 이 외부 몸체(111)에 의해 둘러싸여진 의류 수납공간(117)을 여닫는 개폐문(113), 여러 벌의 의류를 걸 수 있게 외부 몸체(111) 또는 개폐문(113)의 내벽면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걸이봉(1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열풍발생부(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건조기(101) 내부로 외기를 흡입하여 수납부(103)로 투입하는 송풍팬(121)과 흡입된 외기를 수납부(103) 투입 전에 가열하여 고온화하는 히터(123)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울러 고온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5), 온도센서(125)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송풍팬(121)과 히터(1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27), 송풍팬(121), 히터(123), 온도센서(125), 제어기(127) 등을 지지하고 있는 격판(129), 및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수납공간(117)의 열풍을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하도록 격판(129) 상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배기관(131)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격판(129)에는 배기관(131)이 끼워져 연결되는 배기구(133), 열풍발생부(105) 내부의 열풍이 수납공간(117)으로 투입되는 열풍투입구(135), 그리고 열풍순환구(137)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격판(129) 위에는 또한 송풍팬(121), 히터(123), 온도센서(125), 제어기(127) 등이 장착된 설치대(139)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기(101)가 작동 개시되면 제어기(127)에 의해 히터(123)가 ON되어 열풍발생부(105) 내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동시에 송풍팬(121)이 회전하면서 히터(123)에 의해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열풍투입구(135)를 통해 수납공간(117)으로 투입하게 된다. 투입된 열풍은 걸이봉(115)에 걸려 있는 습한 세탁물 등에 부딪쳐 세탁물 중의 습기 또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습기를 포함하게 된 열풍은 송풍팬(121)의 흡인력에 의하여 열풍순환구(137)를 통해 열풍발생부(105) 내부로 복귀하여 히터(123)에 의해 재차 가열된다. 온도가 상승한 열풍은 다시 열풍투입구(135)를 통해 수납공간(117)으로 투입되어 다시 한 번 세탁물을 탈수 및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가운데 수납부(103) 내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수납공간(117)의 내부 압력이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납부(103) 내의 다습한 열풍이 배기관(131)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서 포함된 수분도 함께 건조기(101) 밖으로 배출되며, 결과적으로 수납부(103)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의류 건조기(101)는 열축적에 의해 고온화된 수납 부(103) 내부의 공기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는 배기관(131)이 건조기(101)의 횡단면 상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면적이 넓거나 많은 양의 세탁물을 동시에 건조시키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공간(100)이 세탁물(100)에 의해 양분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100)에 의해 배기관(131)으로의 흐름이 방해 받는 구역(A)에서 열축적된 내부공기의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효율이 저하되거나 국부적으로 과열이 발생되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위와 같은 종래의 의류 건조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조기 상단의 열풍발생부 좌우에 한 쌍의 배기덕트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수납부 내부에서 열축적된 열풍의 외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과열로 인한 세탁물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조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수납부,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 공기를 만드는 열풍발생부, 및 수납부와 열풍발생부를 분할하도록 사이에 설치된 격판으로 이루어진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열풍발생부는 열풍발생부 내부의 공기를 수납부로 취출하는 송풍팬, 열풍발생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송풍팬과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이 격판 좌우에 관통된 배기관을 통해 수납부와 연결되도록 열풍발생부의 좌우에 형성된 한 쌍 의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의류 건조기는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 건조기와 마찬가지로 젖은 옷이나 신발 등 건조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수납부(3)와, 이 수납부(3)에 수납된 건조 대상물에 불어 넣을 고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풍발생부(5), 그리고 수납부(3)와 열풍발생부(5) 사이에서 이들을 분할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격판(2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열풍발생부(5)는 다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송풍팬(21), 히터(23), 제어기(27), 그리고 좌우 한 쌍의 배기덕트(4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먼저 송풍팬(21)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앞덮개(55)의 받침판(57) 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열되어 장착된 횡류팬(cross flow fan)으로서, 수납부(3) 내부의 공기를 열풍발생부(5) 내부로 흡인하고,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열풍발생부(5) 내의 고온공기를 수납부(3) 내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송풍팬(21)이 위치하는 받침판(57) 부분과 이 부분에 대응하는 격판(29) 부분에는 송풍팬(21)에 의해 가압되는 열풍이 수납부(3)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기공(59)과 토출공(61)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송풍팬(21)의 둘레 부분에는 히터(23)를 통과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송풍팬(21) 쪽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1/4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안내판(63)이 인접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21)에 의해 열풍발생부(5)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히터(23)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형태로 만곡되어 송풍팬(21)과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받침판(57) 위에 부착된 고정판(65)을 통해 받침판(57) 위에 결합되어 있다. 히터(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부착되어 있고, 히터(23)가 위치하는 받침판(57) 부분과 이 부분에 대응하는 격판(29) 부분에는 수납부(3) 내부의 공기를 송풍팬(21)에 의해 열풍발생부(5)로 흡인하기 위한 슬롯 형태의 통기공(67)과 원형 구멍 형태의 흡입공(69)이 각각 관통되어 있다.
아울러, 송풍팬(21)과 히터(23)가 장착되는 앞덮개(55)의 받침판(57)에는 앞쪽에 송풍팬(21)과 히터(2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 형태의 제어기(27)가 장착되어 있고, 송풍팬(21)과 히터(23) 사이의 제어기(27)와 인접한 위치에 온도센서(25)가 장착되어 있다. 받침판(57)의 앞쪽에 일체로 연결된 앞덮개(55)는 도 4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열풍발생부(5)의 앞쪽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열풍발생부(5)의 좌우에 형성된 배기덕트(40)와 마주보는 전면 좌우측에 복수의 통기공(71)이 관통되어 있다.
열풍발생부(5)의 뚜껑 역할을 하도록 앞덮개(55) 받침판(57) 위에 씌워지는 덮개(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납작한 상자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받침판(57)을 덮는 위쪽의 상판(43), 이 상판(43)의 전후좌우 모서리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전후좌우판(45,46,47,48), 그리고 상판(43) 저면에 좌우판(47,48)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부착된 좌우 간막이판(51,52)으로 이루 어져 있다. 따라서, 좌우 간막이판(51,52)은 상판(43) 및 좌우판(47,48)과 함께 열풍발생부(5) 좌우에 배기덕트(40)를 형성하게 되며, 배기덕트(4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전방판(35)에는 앞덮개(55)의 통기공(71)으로 개방된 통기구(53)가 절결 형성되어 있고, 양쪽 통기구(53) 사이의 중앙에는 앞덮개(55)의 받침판(57)이 삽입되는 삽입구(73)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덕트(40)의 밑면을 이루는 격판(29)의 중앙에는 배기덕트(40)와 수납부(3) 내부를 연결하는 배기관(31)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수납부(3)에 건조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수납한 후 의류 건조기(1)의 작동을 개시하면 제어기(27)의 동작 명령에 따라 송풍팬(21)과 히터(23)의 작동이 시작된다. 히터(23)가 점차 가열되면서 주위의 공기 온도를 높이게 되고, 이렇게 해서 온도가 상승한 열풍발생부(5) 내부의 공기는 고속 회전하는 송풍팬(21)의 풍압에 의해 받침판(57)의 통기공(59)과 격판(29)의 토출공(61)을 통해 도 5에 화살표(A)로 도시된 것처럼, 수납부(5) 내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열풍발생부(5)에서 토출된 열풍은 수납부(5)에 수납된 대상물에 가해져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열풍발생부(5) 내부의 송풍팬(21)과 인접한 히터(23) 주위에는 송풍팬(21)의 회전으로 인해 부압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대상물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빼앗은 수납부(3) 내부의 열풍이 흡입공(69)과 통기공(67)을 통해 열풍발생부(5)의 히터(23) 주위로 재차 흡입된다. 이에 따라, 재차 흡입된 열 풍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일부 증발되어 제거되며, 히터(23)에 의해 재차 가열되면서 이전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다시 송풍팬(21)에 의해 수납부(3)로 투입되어 더 높은 온도로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열풍발생부(5) 내부의 온도를 온도센서(25)에 의해 감지하여 열풍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히터(2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납부(3)와 열풍발생부(5)를 순환하는 열풍에 의해 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화된 열풍은 토출공(61)과 흡입공(69)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배기관(31)을 통해 도 5의 화살표(C) 방향으로 배기덕트(40)로 빠져나가 앞덮개(55)의 통기공(71)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며, 이에 의해 열풍에 포함되어 있던 다량의 습기도 함께 대기 중으로 제거된다. 이때, 배기관(31)이 수납부(3) 상단면에 좌우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납부(3) 내부의 고온다습한 열풍을 국부적으로 축적되는 일 없이 균일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열풍발생부 내부의 히터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열되어 고온화된 열풍이 건조 대상물이 위치하는 수납부 내부에서 수납부 좌우측 상단에 대칭 상태로 설치된 배기관과 배기덕트를 통해 원활하게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부적인 열축적으로 인해 과열된 열풍으로 인해 건조 대상물이 변형되거나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납부에서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열풍을 효과적으로 대기 중에 방출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열풍에 의한 건조 효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3)

  1. 건조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수납부(3),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 공기를 만드는 열풍발생부(5), 및 상기 수납부(3)와 상기 열풍발생부(5)를 분할하도록 사이에 설치된 격판(29)으로 이루어진 의류 건조기(1)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부(5)는 상기 열풍발생부(5) 내부의 공기를 수납부(3)로 취출하는 송풍팬(21), 상기 열풍발생부(5)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3), 상기 송풍팬(21)과 상기 히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7), 및 상기 격판(29) 좌우에 관통된 배기관(31)을 통해 상기 수납부(3)와 연결되도록 상기 열풍발생부(5)의 좌우에 형성된 한 쌍의 배기덕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부(5)는 덮개(41)로 덮여 있으며, 상기 덮개(41)는 상판(43) 전후좌우 모서리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된 전후좌우판(45,46,47,48)과 상기 배기덕트(40)를 형성하도록 상기 좌우판(47,48) 안쪽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상판(43) 저면에 부착된 좌우 간막이판(51,5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방판(45)의 상기 배기덕트(40) 대응 부분에는 통기공(53)이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21), 상기 히터(23), 및 상기 제어기(27)가 받침판(57)에 장착되어 있는 앞덮개(55)는 상기 열풍발생부(5) 앞쪽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2020050028498U 2005-10-06 2005-10-06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KR200405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98U KR200405369Y1 (ko) 2005-10-06 2005-10-06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98U KR200405369Y1 (ko) 2005-10-06 2005-10-06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69Y1 true KR200405369Y1 (ko) 2006-01-10

Family

ID=4175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98U KR200405369Y1 (ko) 2005-10-06 2005-10-06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45B1 (ko) * 2006-08-04 2011-12-19 휴지에보 의류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45B1 (ko) * 2006-08-04 2011-12-19 휴지에보 의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312B2 (en) Dryer with heat pump
US5152077A (en) Cloth drying machine
EP3173518B1 (en) Clothing dryer
KR20100090087A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KR20080098860A (ko) 건조기
KR20090024583A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0762370B1 (ko) 건조기
KR2018012874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405369Y1 (ko)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KR101184436B1 (ko) 의류 건조기
KR101039166B1 (ko) 젖은 우산용 드라이어
EP3802942B1 (en) Tumble dryer
EP3450615B1 (en) Dryer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dryer
JP3612740B2 (ja) 衣類乾燥機
KR101129324B1 (ko) 의류 건조기
KR100820584B1 (ko) 의류 건조기
KR10060727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200436159Y1 (ko) 의류 건조기
JP3861667B2 (ja) 衣類乾燥機
KR10109388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이동구조
KR102173718B1 (ko)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의류건조기
JPH09313793A (ja) 衣類乾燥機
KR100607274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EP1148168A2 (en) Mechanized domestic d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