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274B1 -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274B1
KR100607274B1 KR1020030094462A KR20030094462A KR100607274B1 KR 100607274 B1 KR100607274 B1 KR 100607274B1 KR 1020030094462 A KR1020030094462 A KR 1020030094462A KR 20030094462 A KR20030094462 A KR 20030094462A KR 100607274 B1 KR100607274 B1 KR 10060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ndensate
dryer
dispenser
stora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112A (ko
Inventor
도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274B1/ko
Priority to EP04293024A priority patent/EP1548177B1/en
Priority to AU2004240201A priority patent/AU2004240201B2/en
Priority to US11/013,407 priority patent/US7251905B2/en
Priority to JP2004366610A priority patent/JP4656932B2/ja
Priority to DE602004029438T priority patent/DE602004029438D1/de
Priority to CNB2004101015246A priority patent/CN100462498C/zh
Publication of KR2005006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건조 챔버를 지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순환공기가 컨덴서를 지나면서 응축되고, 상기 응축수를 건조기 외부로 버리기 위해 모아두는 응축수 저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어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와 결합되는 드로어 바디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세탁물을 건조할 때마다 매번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드로어, 응축수, 드럼, 디스펜서

Description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Storage structure of condensed water for dryer}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드로어가 장착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상기 드로어의 정면 사시도.
도 3b는 상기 드로어의 저면 사시도.
도 3c는 상기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응축수 저장 드로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물흐름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4b는 상기 드로어의 저면에 형성되는 물흐름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드로어가 수용되는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6은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 사시도.
도 7은 상기 디스펜서 내부에 형성된 드로어 삽입감지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로어 110 : 드로어 보호판 120 : 프런트 커버
130 : 드로어 바디 140 : 누름돌기 150 : 로킹후크
160 : 오버 플로 제어부 170 : 측면 드로어 리세스 200 : 디스펜서
210 : 디스펜서 함몰부 220 : 디스펜서 경사면 400 : 응축수 배관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건조 챔버를 지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순환공기가 컨덴서를 지나면서 응축되고, 상기 응축수를 건조기 외부로 버리기 위해 모아두는 응축수 저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식 건조기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식 드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13)와, 상기 드럼(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벨트(11)와 연결되는 모터축(21)과,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17)의 회전력 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의 맞은편에서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18)과, 상기 건조팬(18)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12)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내부에 발열부(20)가 장착된 건조덕트(1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삽입되는 개구부 하측에 형성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필터(14)와, 상기 린트필터(14)로 들어간 공기가 응축기(미도시)로 이동되는 통로인 순환덕트(15)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19) 내에 부착된 히터(20)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벨트(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있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벽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상측부에 이르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드럼의 내벽에 부착된 리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승된다.
한편,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건조팬(18)이 모터(17)의 회전과 함께 작동하게 되어,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친 순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9)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히터를 거쳐 고온 건조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 내부를 지나면서 건조 대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린트 필터(14)에 의해 필터링 된 다음,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냉각팬(16)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기 외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각팬(16)을 지나 상기 컨덴서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냉각팬(16)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로 이동된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컨덴서의 형상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컨덴서를 지나면서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빼앗기면서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 지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컨덴서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미도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컨덴서를 지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 다습한 공기로 전환 시키고,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미도시)로 이동된 응축수는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응축수를 따로 모아서 버릴 수 있는 저장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컨텐서 를 통과하면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어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와 결합되는 드로어 바디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따로 모아서 한번에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드로어가 장착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드로어(100)는 건조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100)는 상축부에 위치한 드로어 보호판(110)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세히, 상기 드럼(300)은 외주면에감겨진 벨트(3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건조기의 하측에 위치한 컨덴서(미도시)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건조기 저면에 위치한 섬프(미도시)에 모이게 되고, 상기 섬프에 모인 응축수는 상기 드로어의 응축수 배관(400)을 통하여 상기 드로어(100)로 이동된다.
도 3a는 상기 드로어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드로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c는 상기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저장 드로어(100)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120)와, 상기 프런트 커버 하측 내부로 홈지게 형성된 드로어 손잡이(121)와, 상기 프런트 커버(120) 배면으로부터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응축수 저장 챔버가 형성되는 드로어 바디(1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120) 상측부에는 상기 드로어(100)가 건조기에 완전히 밀착되어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킹 후크(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120)와 상기 드로어 바디(130)가 접하는 부분의 드로어(100) 상측부에는, 상기 드로어(100)가 삽입되면서 건조기의 탑 플레이트(미도시)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누름돌기(14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한 편, 상기 누름돌기(140)는 상기 드로어(100)가 삽입되는 삽입구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드로어(100)를 밀어 넣을 때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킹 후크(150)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탄성홈(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어(100)를 밀어 넣을 때 상기 탑플레이트에 눌려진 다음, 상기 드로어(100)가 완전히 삽입되면 다시 원위치로 솟아오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로킹 후크(150)가 원위치로 솟아올라 상기 드로어(100)가 삽입되는 삽입구(미도시) 상측 내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드로어(100)는 상기 건조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140)는 대략 중앙부가 솟아오른 형상을 하기 때문에, 상기 건조기의 탑플레이트에 접하게 되면 상기 드로어(100)가 하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커버(120)가 상기 탑플레이트와 간섭되는 현상이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돌기(140)는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상측면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드로어 바디(130)가 상기 프런트 커버(120)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로어 바디(130)가 시작되는 전면 상측부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후크(150)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120)의 상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2)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한 편,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상측면 대략 끝단부에는 상기 섬프에 모여진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응축수 배관(400)과 연결되는 오버 플로 제어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오버 플로 제어부(160)는 상기 응축수 배관(400)으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낙하홈(161)과, 상기 드로어(100) 내부에 응축수가 가득 차는 경우 오버 플로(overflow)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오버 플로 저장부(162)와, 상기 오버 플로된 응축수를 다시 섬프로 보내주는 사이폰 발생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오버 플로되는 응축수는 상기 사이폰 발생부(163)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사이폰 원리에 의하여 섬프로 다시 역류하게 된다.
사이폰 원리라 함은, 높은 쪽의 액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으로 인해 액체가 관 안으로 밀어 올려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리를 이용하면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관을 통하여 액체를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버 플로 제어부(160)의 저면에는 상기 드로어 바디(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바이패스 튜브(164)가 포함된다. 상기 바이패스 튜브(164)를 통하여 오버 플로된 응축수가 섬프로 흐르게 된다.
상세히,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드로어 챔버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홀과, 저면에서 상측면으로 드로어 챔버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홀이 만나되, 서로 연통되지 않는 구조의 형상 지지부(131)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드로어 바디(130)를 사출 방식으로 제작할 때, 상기 드로어 바디(130) 내부는 중공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상측면과 저면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사출 성형시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저면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는 상기 드로어(100)가 상기 드럼(300)의 일측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드럼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드로어 저면의 형상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끝단은 상기 응축수 배관(400)이 수용되기 위하여 오목진 형상을 이루는 응축수 배관 수용곡면(165)이 형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응축수 저장 드로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물흐름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드로어의 저면에 형성되는 물흐름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드로어(100) 내부에 응축수가 가득차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 제어부(160)에 구비된 응축수 낙하홈(161)을 통하여 응축수가 오버플로된다. 상기 오버플로된 응축수는 상기 오버 플로 저장부(162)에 고이게 되고, 고인 응축수는 사이폰 발생부(163) 저면에 형성된 틈새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상기 틈새와 연결된 바이패스 튜브(164)를 통하여 다시 섬프로 되돌아 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오버플로 저장부(162)를 통해 섬프로 가는 응축수의 양보다, 상기 응축수 낙하홈(161)을 통해 오버플로 되는 응축수의 양이 많은 경우, 상기 오버플로된 응축수는 상기 드로어 바디(130) 외벽을 타고 흘러 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로어 바디(130)는 상기 드로어(100)를 수용하는 디스펜서(후술함) 내벽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벽면을 타고 드로어 전면부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드로어 전면부로 흐르는 응축수는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물흐름 방지구조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오버 플로 제어부(160)가 구비되는 부분의 측면에, 수직하게 그루브를 이루는 측면 드로어 리세스(17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낙하홈(161)을 통해 오버플로 되는 응축수가 상기 홈을 타고 바로 디스펜서의 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로어 바디(130)의 외주면을 타고 드로어 전면부로 흐르는 현상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튜브(164)가 형성되는 드로어 저면에 상기 드로어 저면의 곡면을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홈이 지는 저면 드로어 리세스(180)를 형성한다.
상기 리세스(170)(180)를 따라 흘러 내린 응축수는 상기 디스펜서 저면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저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배관이 결합되고 상기 배관은 섬프로 연결되어 있어, 응축수는 다시 섬프로 이동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드로어가 수용되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디스펜서 내부에 형성된 드로어 삽입감지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200)는 상기 드로어(100)가 수용되는 수용부로써, 상측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드로어 바디(130)를 보호하기 위한 드로어 보호판(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0) 저면의 대략 끝단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는 디스펜서 함몰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함몰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어(100)로부터 오버 플로 되는 응축수가 포집되어 상기 드로어 저면을 타고 드로어 전면부로 흘러서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 저면은 전면에서 후방으로 갈 수록 하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오버 플로된 응축수가 전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편, 상기 디스펜서(200) 내부는 상기 드럼(300)과 접하는 쪽의 측면벽(232)이 상기 드럼의 원주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반대편 측면벽(230)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측단에는 상기 드로어 보호판(11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 리브(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저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측으로 갈수록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는 디스펜서 경사면(220)과, 상기 경사면(220)의 일정 지점에서 후단 끝부분까지 함몰되는 디스펜서 함몰부(21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함몰부(210) 저면에는 상기 드로어(100)가 삽입될 때 어느 정도 삽입되었는지 감지하기 위한 드로어 삽입 감지돌기(250)가 형성된다.
상기 드로어 삽입 감지돌기(250)는 상기 디스펜서 함몰부(210)가 시작되는 위치에서의 디스펜서 저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어(100)가 상기 디스펜서 저면을 따라 삽입되다가 상기 드로어 삽입 감지돌기(250)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드로어(100)가 거의 끝부분까지 삽입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드로어 삽입 감지돌기(250)는 상기 드로어(100)와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로어(100)가 부드럽게 밀려 올라갈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써,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이 가능하나, 상기 드로어 삽입 감지돌기(250)의 형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00)의 후측벽에는 상기 응축수 배관(400)이 수용되는 응축수 배관 수용부(240)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배관 수용부(2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어(100)의 끝단이 오목하게 함몰되는 응축수 배관 수용곡면(165)을 형성한다.
한 편, 상기 디스펜서 측면벽(230)(232)은 상기 드로어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므로, 상기 드로어(100)로부터 오버플로 되는 응축수가 상기 벽멱을 타고 전면부로 흐를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벽(230)(232)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드로어 이격 리브(27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어 이격 리브(27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짧은 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 리브(270)가 적어도 한 줄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명백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 리브(270)가 시작되는 부분은 라운드진 곡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로어(100)가 삽입될 때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로어 이격 리브(270)의 형성위치와 형성 개수 및 길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와 형상이 제안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세탁물을 건조할 때마다 매번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저장구조에 응축수를 저장한 다음 상기 응축수 저장구조에 응축수가 가득차면, 한번에 모아서 버릴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어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와 결합되는 드로어 바디가 포함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바디의 상부면 일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드로어가 삽입될 때 상기 드로어를 눌러주는 누름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부면 일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드로어가 상기 디스펜서 내부에 삽입되어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후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탄성홈이 형성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바디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커버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저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위하여 홈지게 형성된 손잡이가 포함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20030094462A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060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62A KR100607274B1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EP04293024A EP1548177B1 (en) 2003-12-22 2004-12-17 Condensed water storing apparatus of a dryer
AU2004240201A AU2004240201B2 (en) 2003-12-22 2004-12-17 Condensed water storing apparatus of a dryer
US11/013,407 US7251905B2 (en) 2003-12-22 2004-12-17 Condensed water storing apparatus of a dryer
JP2004366610A JP4656932B2 (ja) 2003-12-22 2004-12-17 乾燥機
DE602004029438T DE602004029438D1 (de) 2003-12-22 2004-12-17 Kondenswassersammelbehälter eines Trockners
CNB2004101015246A CN100462498C (zh) 2003-12-22 2004-12-21 干衣机的冷凝水存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62A KR100607274B1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112A KR20050063112A (ko) 2005-06-28
KR100607274B1 true KR100607274B1 (ko) 2006-07-28

Family

ID=3725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462A KR100607274B1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50B1 (ko) * 2008-09-10 2015-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50B1 (ko) * 2008-09-10 2015-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112A (ko) 200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932B2 (ja) 乾燥機
US7036243B2 (en) Laundry dryer and condenser assembly thereof
KR101021778B1 (ko) 건조기의 컨덴서 하단부 배수유로 구조
JP3955571B2 (ja) 改善された凝縮ダクト構造を有する洗濯機及び乾燥機
KR20060040352A (ko) 린트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세탁기
US2009007103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condens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use i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093830B1 (ko) 건조기의 램프 커버 장착구조
KR101094609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KR10060727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0607274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0607275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0607277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150064B1 (ko) 건조기 섬프의 수위 감지 장치
KR10109388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이동구조
KR20050063118A (ko) 건조기의 응축수 배관구조
KR101067956B1 (ko)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KR200405369Y1 (ko)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KR20050056361A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KR101079899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KR101012947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KR101100019B1 (ko) 건조기 섬프의 수위 감지 장치
KR20060085969A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부 구조
KR100607268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101241900B1 (ko) 건조기의 사이클론을 이용한 린트 프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