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584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584B1
KR100820584B1 KR1020070005073A KR20070005073A KR100820584B1 KR 100820584 B1 KR100820584 B1 KR 100820584B1 KR 1020070005073 A KR1020070005073 A KR 1020070005073A KR 20070005073 A KR20070005073 A KR 20070005073A KR 100820584 B1 KR100820584 B1 KR 10082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wet steam
clothes
cabinet
clothes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07000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서 발생된 습증기로부터 공기와 액체를 분리시켜 열원을 재사용하며, 습증기 분리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캐비닛의 내부에 건조할 의류를 수용하는 수납실이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측 하부에는 열풍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는 송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실의 습증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배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장치에서 배출되는 습증기로부터 공기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습증기 분리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습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와 액체를 간단하게 분리시킴은 물론 배출되는 고온의 습증기로 의류 건조기에서부터 분리된 공기를 재차 사용할 수 있어 낭비되는 열원을 줄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의류 건조기, 분리장치, 안내판, 배출장치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ing Machine}
도1a는 종래의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의류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습증기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캐비닛 110: 수납실
111: 송풍구 112: 행거
113: 도어 120: 배출장치
121: 덕트
200: 습증기 분리장치 201: 유입구
202: 배출구 204: 배수판
205: 만곡 안내판 210: 안내판
211: 우방 안내판 212: 좌방 안내판
211a,212a: 배수공 211b,212b: 돌기부
211c,212c: 만곡부 213: 최하부 안내판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건조기에서 의류를 건조하면서 발생하는 습증기로부터 수분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사람이 착용함에 따라 땀 등이 배이거나 먼지,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지저분해지므로 세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세탁된 의류는 햇빛에 마르도록 널어 말리거나 우기 또는 비가 지속적으로 오는 시기에는 비교적 건조한 장소에 의류를 걸어 건조시키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들을 위하여 세탁된 의류를 신속하게 말리는 의류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예도 늘고 있다. 이러한 의류 건조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940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로 의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및 1b에 도시하였다.
도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의류 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며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20)를 구비한 의류 건조장치로서, 상기 캐비닛(10)에는 캐비닛(10) 내에 냉풍 및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장치(30), 상기 캐비닛(10)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공급장치(40), 의류를 살균할 수 있도록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60), 냄새 및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50)가 설치된다.
또한 건조장치(3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수납실(11)로 공급되게 하는 송풍팬(31), 상기 송풍팬(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1히터(32)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증기공급장치(40)에는 전장품실(12)에 마련된 물저장탱크(41), 상기 물저장탱크(41)로부터 물을 공급 받아 증발시키도록 내부에 제2히터(43)를 구비한 증기발생기(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의류 건조기는 세탁된 의류를 의류 건조기 내부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건조장치(3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마르도록 하고, 의류 건조기에 설치되어 있는 증기공급장치(40)를 이용하여 의류의 구겨짐을 펴 주어 다림질을 하지 않고도 입을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증기공급장치(40)에서 발생된 증기로 수납실(11)에 있는 의류의 구김을 펴 준 다음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의류를 꺼내므로 증기의 열원은 물론 건조장치(30)에서 발생된 열원을 재사용할 수 없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건조장치(30)와 함께 증기공급장치(40)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수납실(11) 내부의 습증기가 도어(20) 개방 등으로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의 습도를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건조기에서 발생된 습증기로부터 공기와 수분을 분리시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과 분리된 공기를 의류 건조에 재사용토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절감을 기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건조할 의류를 수용하는 수납실이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측 하부에는 열풍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는 송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실의 습증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배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장치에서 배출되는 습증기로부터 공기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습증기 분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습증기 분리장치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습증기 유입구와 공기 및 수분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습증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습증기 분리장치 내측 벽에는 습증기의 통로가 되도록 복수개의 안내판이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습증기 분리장치의 내측 벽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안내판의 타측 단부는 각각 습증기 분리장치의 대향하는 내측 벽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에서 각각의 안내판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안내판의 일단이 고정된 습증기 분리장치의 측벽에서 보았을 때 돌기부가 시작되는 곳의 안내판에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의 습증기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 일측에 설치되는 습증기 분리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수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의류 등을 넣을 수 있도록 수납실(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110) 하부에는 송풍구(111)가 형성된다. 송풍구(111) 하부에는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팬으로 된 열풍발생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수납실(110) 상부 및 적당한 개소에는 의류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행거(112)가 설치되고, 행거(112)는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 설치되며, 이들 행거(112)는 건조할 의류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적당한 위치로 옮길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수납실(110)을 개폐하는 도어(113)가 설치된 다.
또한, 캐비닛(100)의 상부에는 수납실(110) 내부에 있는 습증기를 배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으로 구성된 배출장치(120)가 설치되고, 배출장치(120)에는 수납실(110)의 습증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121)가 연결된다.
이러한 덕트(121)는 습증기 분리장치(200)로 연결되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증기 분리장치(200)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유입구(20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02)가 형성된다.
유입구(201)는 수납실(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습증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며, 배출구(202)는 습증기 분리장치(200)에서 분리된 공기와 수분이 각각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구(202a)와 집수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20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습증기 분리장치(200) 내부에는 다수개의 안내판(210)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내판(210)은 교호의 관계로 배열된다. 즉, 안내판(210)은 도면상 일단이 습증기 분리장치(200)의 좌측 벽에 고정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우방(右方) 안내판(211)과, 도면상 일단이 습증기 분리장치(200)의 우측 벽에 고정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좌방(左方) 안내판(212)이 교호의 관계로 다수개 배열된다.
아울러 우방 안내판(211)에는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떨어지도록 배수공(211a)이 형성되고, 배수공(211a) 오른쪽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211b)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211b)는 우방 안내판(211)과 습증기 분리장치(200)의 상측 내벽 또는 좌방 안내판(212) 사이를 좁게 하여 습증기가 지나는 통로에 병목 구간 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습증기로부터 수분이 분리되기 쉽게 함은 물론 분리된 수분이 배수공(211a)으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좌방 안내판(212)에도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배수공(212a)이 형성되고, 이들 배수공(212a)의 왼쪽에는 각각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212b)가 형성된다. 좌방 안내판(212)에는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떨어지도록 배수공(212a)이 형성되고, 배수공(212a) 왼쪽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212b)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212b)는 좌방 안내판(212)과 습증기 분리장치(200)의 상측 내벽 또는 우방 안내판(212) 사이를 좁게 하여 습증기가 지나는 통로에 병목 구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습증기로부터 수분이 분리되기 쉽게 함은 물론 분리된 수분이 배수공(212b)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배수공(211a,212a)은 하부에 위치하는 안내판(210)으로 액체가 떨어지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들 배수공(211a,212a)은 수분이 최종적으로 최하부 안내판(213)의 배수공(213a)에 도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우방 안내판(211) 및 좌방 안내판(212)에는 배수공(211a,212a)과 돌기부(211b,212b)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우방 안내판(211)과 좌방 안내판(212)은 그 위치를 달리하여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우방 안내판(211)과 좌방 안내판(212)은 교호로 배열되는데, 도면상 좌측의 유입구(201) 하부에는 우방 안내판(211)이 고정되고, 우방 안내판(211) 보다 다소 낮은 위치의 우측에는 좌측으로 경사진 좌방 안내판(212)이 고정되며, 이들 우방 안내판(211)과 좌방 안내판(212)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다수개 배열된다.
또한 우방 안내판(211) 및 좌방 안내판(212)에의 일단 즉, 습증기 분리장치(200)에 고정되는 측에는 습증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만곡부(211c,212c)를 형성한다.
이렇게 배열된 안내판(210) 중에서 맨 아래쪽에는 최하부 안내판(213)이 고정되며, 이 최하부 안내판(213)의 선단은 공기 배출구(202a)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최하부 안내판(213)에도 배수공(213a)과 돌기부(213b)가 형성되며, 최하부 안내판(213) 저면에는 수분이 배수구(202b)로 안내되도록 배수판(204)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최상단의 우방 안내판(211)에 대향하는 습증기 분리장치(200)의 내벽 모서리에는 유입구(201)로부터 유입된 습증기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된 만곡 안내판(205)이 고정된다.
아울러 공기 배출구(202a)는 수납실(110) 하부로 연결되어 의류 건조용 공기로 재활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의류 건조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어(113)를 열고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행거(112)에 걸어둔 상태에서 도어(113)를 닫고 열풍발생장치가 작동되도록 조작한다.
이에 따라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열풍은 수납실(110) 하부의 송풍구(111)를 통해 수납실(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열풍은 수납실(110)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키면서 고온의 열풍에 습기가 포함된 습증기가 발생되며, 습증기는 수납실(1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장치(120)에 의해 흡입된다.
이와 같이 배출장치(120)로 흡입된 습증기는 배출장치(120)에 연결된 덕트(121)를 통해 습증기 분리장치(200)로 유입되고, 유입구(201)로 유입된 습증기는 우방 안내판(211)과 좌방 안내판(212)을 따라 순차적으로 지그재그 이동된다.
이렇게 안내판(210)을 따라 이동되는 습증기는 돌기부(211b,212b)에 의해 형성된 병목 구간을 지나게 된다. 이때 병목 구간에서는 습증기의 압력과 밀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높아진 압력과 밀도에 의해 습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와 수분이 분리된다.
즉, 기체는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체 분자간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져 밀착됨과 함께 액체 분자간의 거리도 가까워져 액체 분자끼리 결합되어 비중이 무거워진 액체 분자가 아래쪽의 안내판(210) 상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수분이 1차 분리된 습증기는 우방 안내판(211)을 거친 다음 만곡 안내판(205)과 좌방 안내판(212)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좌방 안내판(212)을 따라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되는 습증기는 좌방 안내판(212)의 돌기부(212b)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습증기로부터 재차 공기와 수분이 분리된다.
이러한 공기와 수분의 분리 과정은 분리장치(200) 내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판(210) 및 이들 안내판(210)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11b,212b)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와 수분이 보다 완벽하게 분리된다.
또한 습증기에서 분리된 수분은 각 돌기부(211b,212b)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211a,212a)과 그 단부를 통해 아래쪽의 안내판(210)으로 떨어지며, 이렇게 떨어진 수분은 최하단에 있는 최하부 안내판(213)에 도달된다.
이렇게 최하부 안내판(213)에 도달된 수분은 배수판(204)으로 떨어진 다음 배수구(20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액체가 분리된 공기는 교호로 배열된 안내판(210)을 따라 이동되어 최하단의 최하부 안내판(213)에 도달된 다음 공기 배출구(201a)로 배출되는데, 공기 배출구(201a)로 배출되는 공기는 열풍발생장치 쪽으로 이동되어 재사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습증기 분리장치가 캐비닛(100)에 상하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습증기 분리장치(200)가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이므로,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증기 분리장치(200)는 상부에 제1습증기 분리장치(200a)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제2습증기 분리장치(200b)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습증기 분리장치(200a)의 유입구(201)는 덕트(121)와 연결되고, 제1습증기 분리장치(200a)의 배출구(202) 중 공기 배출구(202a)는 제2습증기 분리장치(200b)의 유입구(201)에 연결된다.
또한 제1습증기 분리장치(200a)의 배수구(202b)에는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파이프 등이 연결 설치되며, 제2습증기 분리장치(200b)의 배수구(202b)에도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파이프 등이 연결 설치된다.
아울러 도4에서는 2개의 습증기 분리장치가 상하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2개의 습증기 분리장치(200)가 수평상 병렬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에 따르면, 습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와 액체를 간단하게 분리시킴은 물론, 고온의 습증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재차 사용할 수 있어 낭비되는 열원을 줄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캐비닛의 내부에 건조할 의류를 수용하는 수납실이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측 하부에는 열풍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는 송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실의 습증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배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장치에서 배출되는 습증기로부터 공기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습증기 분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습증기 분리장치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습증기 유입구와 공기 및 수분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습증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습증기 분리장치 내측 벽에는 습증기의 통로가 되도록 복수개의 안내판이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은 좌측 단부가 습증기 분리장치의 좌측 벽에 고정되고 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판과, 우측 단부가 습증기 분리장치의 우측 벽에 고정되고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판이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증기 분리장치의 내측 벽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안내판의 타측 단부는 각각 습증기 분리장치의 대향하는 내측 벽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내판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안내판의 일단이 고정된 습증기 분리장치의 측벽에서 보았을 때 돌기부가 시작되는 곳의 안내판에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들은 돌기부가 1개 형성된 안내판과 돌기부가 2개 형성된 안내판이 서로 교호되게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안내판에 형성된 돌기부들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습증기 분리장치의 내측 벽에 고정되는 각각의 안내판 모서리는 원호형의 만곡부로 형성되되, 오목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 중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안내판은 그 일단이 습증기 유입구에 고정되되, 습증기 유입구에 고정되는 안내판의 일단은 원호형의 만곡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에 위치하는 안내판과 대향하는 습증기 분리장치의 상부 모서리에는 원호형의 만곡 안내판이 설치되되, 상기 만곡 안내판의 오목한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들 중 최하부에 설치된 안내판의 단부는 공기 배출구의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최하부에 설치된 안내판 내측의 습증기 분리장치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에 설치된 안내판 내측에는 일단이 배수구에 연결되는 경사진 배수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2. 삭제
KR1020070005073A 2007-01-17 2007-01-17 의류 건조기 KR10082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73A KR100820584B1 (ko) 2007-01-17 2007-01-17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73A KR100820584B1 (ko) 2007-01-17 2007-01-17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584B1 true KR100820584B1 (ko) 2008-04-08

Family

ID=3953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073A KR100820584B1 (ko) 2007-01-17 2007-01-17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5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84B1 (ko) * 2009-03-03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786076A (zh) * 2019-02-01 2019-05-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波供电公司 油浸式变压器的单孔真空注油设备及注油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599A (ja) * 1994-08-05 1996-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60032350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100648168B1 (ko) 2005-12-16 2006-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599A (ja) * 1994-08-05 1996-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60032350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100648168B1 (ko) 2005-12-16 2006-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84B1 (ko) * 2009-03-03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786076A (zh) * 2019-02-01 2019-05-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波供电公司 油浸式变压器的单孔真空注油设备及注油方法
CN109786076B (zh) * 2019-02-01 2023-12-29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波供电公司 油浸式变压器的单孔真空注油设备及注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0316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191055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275595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US1004120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4127358A (zh) 衣物护理装置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0820584B1 (ko) 의류 건조기
KR20080081498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80000540A (ko) 세탁물 건조기
EP2123823B1 (en) Home laundry drier
KR101129324B1 (ko) 의류 건조기
KR20080090743A (ko) 세탁물건조기
KR10245506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20133473A (ko) 의류 건조기
KR200436406Y1 (ko) 고추 건조기
KR1015728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405369Y1 (ko) 대칭형 배기구조를 갖는 의류 건조기
KR2023011672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777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7345B1 (ko) 세탁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