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531B1 -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531B1
KR100411531B1 KR10-2000-0055792A KR20000055792A KR100411531B1 KR 100411531 B1 KR100411531 B1 KR 100411531B1 KR 20000055792 A KR20000055792 A KR 20000055792A KR 100411531 B1 KR100411531 B1 KR 10041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power
distribution center
network
cen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599A (ko
Inventor
쿠넨안토니어스마르세루스조제프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5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04J14/0289Optical multiplex section protection
    • H04J14/029Dedicated protection at the optical multiplex section (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6WDM hierarchical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9Topology aspects
    • H04Q2011/0092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한쪽 단은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되고 다른 단은 종결 포인트에 접속된 제 1 세트의 N개의 직렬 접속된 전력 분배 센터(power splitting centre)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기재되며, 각각의 분배 센터는 전력 신호의 일부분을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서브 네트워크와 결합된 출력을 가지며, 각 전력 분배 센터 내의 전력 분배 인자(power splitting factor)는 가변적이므로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신호의 부분이 가변적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이중 섬유 링 광 네트워크에 관하여 기재된다.

Description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Power splitter for optical network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직렬로 접속된 장치들내의 전력 분배기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보호를 위해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내의 광 전력 분배기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PRISMA 프로젝트(Photonic Routing of Interactive Services for Mobile Applications)에 의해 채택된 바와 같은 증폭된 PON(passive optical network; 패시브 광 네트워크) 아키텍처처럼, 많은 수의 가입자들에 대한 공통 피더 링크(common feeder link)를 배치하는 억세스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가장 고장나기 쉬운 부분들에 대한 라우트 보호가 바람직하다. 몇몇 위치들에서 라우트 보호는 충분히 높은 레벨의 시스템 유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
도시 환경에 설치된 네트워크들에서, 케이블 절단(cable cut)들은 시스템 운전 정지의 최대 원인이다. 케이블 절단의 확률이 케이블의 길이에 비례한다고 가정하면, 시스템의 유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네트워크의 가장 긴 케이블 섹션들에 라우트 리던던시(route redundancy)를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블 절단의 경우에 플립되는 1x2 광 보호 스위치를 갖는, 2개의 평행한 라우트들은 이러한 섹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보호없이 케이블 절단에 기인한 시스템 고장 확률은 pㆍL1과 같으며(여기서 p는 단위 길이당 케이블 절단 확률), 반면에 이는 보호 스킴을 사용하여 (pㆍL1)2으로 감소한다.
필드 설치된 네트워크들에서, 이중 링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에 의한 라우트 리던던시를 제공하는 것이 통상의 실행되며, 정규 동작 조건들에서 신호들은 노드들 사이의 링크들을 통해 한 링을 따라 OLT(Optical Line Termination)들에서 ONU(Optical Network Unit)들로 시계 방향으로 전송되며 같은 경로들을 따라 역방향도 성립한다. 링크 고장의 경우에, 그 신호들은 다른 방법으로 비접속된 노드들에 도달하기 위해, 한 링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링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된다(OLT에서 ONU들로, 그리고 각 링의 같은 경로들을 따라 역방향도 성립함). 두 링들은 선형 버스 네트워크로서 레이아웃될 수 있으며, 2개의 섬유들은 같은 케이블 시트(cable sheet) 또는 같은 덕트(duct)를 공유한다. 보호 스위치는 정규 동작에서 시계 방향으로 모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한 위치내에 설정된다. (두 섬유들을 가로지른 케이블 절단과 같은) 링크 고장의 경우에는 전력 분배 위치로 설정된다. 각 노드로부터, 그 신호들은 예를 들어, PRISMA의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음의 전력 분배 및 파장 라우팅 단들에 공급된다.
그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에서, 어떠한 정확한 제어도 각 노드에 의해 전달된 광 신호의 전력을 통해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한 전력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시도는 제거되거나(예를 들어 접속 고장에 기인하여) 또는 추가되는 노드들에 의해 야기된 임의의 특정 네트워크의 노드들의 수의 변화들에 의해 더 복잡해진다.
전력 신호가 직렬 방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드들에 전달되는 장치에서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광 전력 분배기에 대한 통상적인 계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double fibre ring 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직렬 세트의 전력 분배기(power splitter)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분배 기술을 사용하여, 케이블 파손이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에서 발생할 때 그 입력 전력의 결과적으로 탭된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라 직렬 세트의 N개의 전력 분배기들에서, 전력 분배기당 탭 인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전력 분배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된 결과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PRISMA 프로젝트에서 채택된 바와 같은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변 전력 분배기의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OLT 118, 120, 122, 124, 126 : 출력 라인
108, 104, 112, 106, 110 : 광전력 분배 센터
114 : ONU
202, 208, 214, 220, 228, 234, 240 : 제 1 세트의 광전력 분배 센터
238, 232, 226, 222, 216, 210, 204 : 제 2 세트의 광전력 분배 센터
256, 258 : 말단 포인트 600 : 노드
602 : 셀 608 : 기지국 제어기
800 : DOS
본 발명에 따라 한쪽 단은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되고, 다른 단은 종결 포인트에 접속된 제 1 세트의 N개의 직렬 접속된 전력 분배 센터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제공되며, 각각의 분배 센터는 전력 신호의 일부를 그 서브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서브 네트워크와 결합된 출력을 가지며, 각 전력 분배 센터내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가변적이어서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신호의 부분가 가변적이다.각 전력 분배 센터내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신호의 부분이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순환 관계를 따를 수 있고: 여기서 pi-1은 i-1번째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ai-1는 i번째와 i-1번째의 전력 분배 센터들 사이의 감쇠 손실(attenuation loss)이며, pN=1이다(이것은 직렬의 마지막 노드).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한쪽 단은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되고 다른 단은 종결 포인트에 접속된 제 2 세트의 N개의 직렬 접속된 전력 분배 센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세트의 광 분배 센터들 각각은 제 1 세트의 n번째 전력 분배 센터가 제 2 세트의 (N-n+1)번째와 결합되고 전력 분배 센터들의 각각의 쌍이 공통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각의 출력을 갖도록, 제 1 세트의 광 분배 센터들 중 하나와 결합되며, 전력 분배 센터들의 각 쌍 중 단지 하나만 전력 신호를 수신한다.제 2 세트의 각각의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신호의 부분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제 2 세트의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순환 관계를 따를 수 있고: 여기서 qi-1은 제 2 세트의 i-1번째 전력 분배 센터내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ai-1은 제 2 세트의 i번째와 i-1번째의 전력 분배 센터들 사이의 감쇠 손실이며; qN=1이다.네트워크는 제 1 세트 및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에 전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중앙 전력 분배 센터를 더 포함하고, 이 중앙 전력 분배 센터는 그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그 전력 신호를 제 1 세트에 전달하기 위한 제 1 출력과, 그 전력 신호를 제 2 세트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 전력 분배 센터는 가변 전력 분배 인자를 갖는다.정규 동작에서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가변 전력 분배 인자는 전력 신호가 제 1 출력에 모두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직렬 링크에 고장이 있는 경우,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가변 전력 분배 인자는 전력 신호의 일부가 제 1 및 제 2 출력 둘 모두에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직렬 접속이 제 1 세트의 k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k+1번째 전력 분배 센터 사이에서 손실되면,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제 1의 k는 전력 신호의 일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제 1의 N-k는 전력 분배 센터의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이며, 여기서 p1은 제 1 세트의 제 1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q1는 제 2 세트의 제 1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다.제 1 및 제 2 세트들의 각각의 액티브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레벨이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각각의 전력 분배 센터는 광 전력 분배 센터일 수 있다.네트워크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축 케이블들을 배치하는 시스템, 트위스트 구리 쌍 케이블들을 배치하는 시스템 등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한 피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와, 제 1 섬유 링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과, 제 2 섬유 링을 제공하는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링 당 단일 섬유 버스 토폴로지를 사용한 이중 링 보호 아키텍처는 섬유-린(fibre-lean)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노드당 일정한 출력 전력을 획득하고, 그래서 모듈 ONU 디자인을 허용하기 위해서, 노드당 전력 분배 인자는 노드의 위치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광범위하게 조절가능한 분배 인자를 갖는 전력 분배기를 배치하는 것은 새로운 노드들의 삽입을 용이하게할 것이며, 그러므로 네트워크의 확장성(scalability)을 가능하게 한다.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본 발명은 여기에서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구현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 설명에서, 본 발명은 PON(패시브 광 네트워크; Passive Optical Network)용의 보호 스킴(protection scheme)의 실행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그러한 PON은 통상적으로 트리와 브랜치(tree-and-branch) 아키텍처를 가지며 큰 분할 인자들을 위해 몇몇의 캐스케이드형 광 전력 분배단들을 가질 수 있다. PON 아키텍처의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OLT(Optical Line Terminal; 100)는 광 접속(110)상에 전력 레벨 Pin을 갖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며, 광 접속은 제 1 층 광 전력 분배 센터(102)에 접속된다. 상기 광 전력 분배 센터는 전력의 일부가 그의 각 출력 라인들(118, 120, 122, 124, 126)을 통해 제 2 층 광 전력 분배 센터들(108, 104, 112, 106, 110)의 각 센터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라인(102) 상에 신호의 전력을 분배한다. 제 2 층 광 전력 분배 센터들은 복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 광 네트워크 유닛)들(114)에 접속된 복수의 광 라인들(128) 사이에 각각의 입력 신호의 전력을 분배한다. 예를 들어, 제 2 층 광 전력 분배 센터(108)는 3개의 광 접속들(128a)을 통해 3개의 광 네트워크 유닛(114a) 각각에 라인(118)을 통해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분배한다.
도 1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단지 구조예로서 제시된다. 네트워크가 보다 많은 광 전력 분배 층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피더 구조(feeder structure)를 구현할 수 있다. OLT는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ONU는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와 결합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신호들은 또한 ONU들(114)에서 OLT(100)로의 방향으로 분배된다.
도 1의 아키텍처와 결합된 문제는 링크 고장(예를 들어, 섬유 파손)의 경우 OLTs(Optical Line Terminals)(100)에서 ONUs(Optical Network Units)(114)로 통신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어떠한 백업(backup)도 없다는 것이다.
제 1 네트워크 레벨, 즉 OLT(100)로부터 제 2 분배단들로의 라인에서, 이러한 백업은 두 섬유 링들을 따라 전력 탭(power tap)들을 갖는 이중 섬유 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의 예가 도 2를 참조하여 기재된다.
OLT(100)는 라인(110)을 통해 Pin의 전력 레벨을 갖는 광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여전히 접속된다. 이 신호는 주요 광 전력 분배 센터(250)에 접속되며, 이 주요 광 전력 분배 센터는 라인(110)상의 그 입력으로 라인들(252, 254)상의 2개의 출력들 사이에 전력을 분배한다. 주요 광 분배 센터(250)가 광 접속들(252, 254)에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아래에 더 기재될 것이다.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202, 208, 214, 220, 228, 234, 240)은 '시계 방향 링'을 형성하기 위해 광 접속(252)과 종결 포인트(258)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직렬 접속의 제 1 광 전력 분배 센터(202)는 입력으로서 라인(252)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의 나머지 각각은 입력으로서 직렬 접속으로 이전의 광 전력 분배 센터의 제 1 출력을 수신한다. 마지막 광 전력 분배 센터(240)는 종결 포인트(258)에 접속된 제 1 출력을 갖는다. 광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은 라인(252)을 통해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그에 접속된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해 광 접속에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광 전력 분배 센터(220)는 신호 라인(268)을 통해 다른 광 전력 분배 센터(260)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광 전력 분배 센터(260)는 라인(268)을 통해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신호 라인들(264a)을 통해 복수의 ONU들(266a) 각각에 전달한다. 유사하게도, 광 전력 분배 센터(228)는 신호 라인(272)을 통해 다른 광 전력 분배 센터(262)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광 전력 분배 센터(262)는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라인(272)을 통해 신호 라인들(264b)을 경유한 복수의 ONU들(266b) 각각으로 전달한다.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238, 232, 226, 222, 216, 210, 204)은 광 접속(254) 및 종결 포인트(25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직렬 접속의 제 1 광 전력 분배 센터(238)는 입력으로서 라인(254) 상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의 나머지 각각은 직렬 접속의 이전의 광 전력 분배 센터의 제 1 출력을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마지막 광 전력 분배 센터(204)는 종결 포인트(256)에 접속된 제 1 출력을 갖는다.
제 1 세트와 같이,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은 라인(254)상의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그것에 접속된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해 광 접속에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중 각각의 센터는 쌍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중 한 센터와 결합되며, 제 1 세트 및 제 2 세트 내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수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센터들(202, 204)은 한 쌍(206)을 규정하며, 센터들(208, 210)은 한 쌍(212)을 규정하며, 센터들(214, 216)은 한 쌍(218)을 규정하며, 센터들(220, 222)은 한 쌍(224)을 규정하며, 센터들(226, 228)는 한 쌍(230)을 규정하며, 센터들(232, 234)은 한 쌍(236)을 규정하며, 센터들(238, 240)은 한 쌍(242)을 규정한다.
각 세트 내에 N개의 전력 분배 센터들이 있는 일반적인 경우에, 제 1 세트 내의 n번째 전력 분배 센터(여기서 n = 1ㆍㆍㆍN)는 제 2 세트 내의 (N-n+1)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도 2의 예에서, 여기서 N=7인 제 1 세트 내의 3번째 전력 분배 센터인 센터(214)는 제 2 세트내의 5번째 전력 분배 센터인 센터(216)와 결합된다.
제 1 세트 및 제 2 세트 내의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의 결합은 각 쌍이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러므로 그 쌍에 대한 공통 서브 네트워크로 언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제 2 세트의 광 분배 센터(222)는 제 1 세트의 광 분배 센터(220)와 쌍을 이루며, 신호 라인(270)을 통해 다른 광 분배 센터(260)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광 분배 센터(260)는 라인(270)을 통해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신호 라인들(264a)을 통해 복수의 ONU들(266a) 각각에 전달한다. 유사하게도, 제 2 세트의 광 분배 센터(226)는 제 1 세트의 광 분배 센터(228)와 쌍을 이루며, 신호 라인(274)을 통해 다른 광 분배 센터(262)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접속된 제 2 출력을 갖는다. 광 분배 센터(262)는 라인(272)을 통해 신호의 광 전력의 일부를 신호 라인(264b)을 경유한 복수의 ONU들(266b) 각각에 전달한다.
아래에 더 기재되는 바와 같이, 도 2의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는 한 쌍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중 단지 하나가 각각의 공통 서브 네트워크로의 분배를 위해 전력 신호의 일부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접속들에 어떤 고장도 발생하지 않은 정규 동작에서, 신호 라인(110) 상의 모든 광 전력이 신호 라인(252)으로 전달되고,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은 오로지 전력을 그들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들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는 여분의 것이다.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의 직렬 접속 라인들에 고장이 있는 경우, 제 2 세트가 동작하게 된다. 도 2에서, 접속시 파손이 제 1 세트의 4번째 광 전력 분배 센터(220)와 5번째 광 전력 분배 센터(228)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므로 라인(252) 상의 전력 신호는 광 전력 분배 센터(228, 234, 240)에 더 이상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라인(110) 상의 전력 신호는 주요 광 전력 분배 센터(250)에 의해 라인(252) 및 라인(254) 둘 모두에 전달된다. 이어서 광 전력 분배 쌍들(206, 212, 218, 224)과 결합된 서브 네트워크들이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202, 208, 214, 220)에 의해 공급된다. 광 전력 분배 쌍들(242, 236, 230)과 결합된 서브 네트워크들은 다음으로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238, 232, 226)에 의해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 2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응용은 더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우선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는 방식으로 기재될 것이며, 이어서 도 2의 이중 링 섬유 아키텍처에서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응용가능성이 논의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직렬형으로 접속된 복수의 M개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300 내지 308)이 도시된다. 본 발명이 광 전력 분배 센터들에 관해 기재되었다 할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으며, 비광학(non-optical) 응용들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제 1 광 전력 분배 센터(300)는 라인(310)을 통해 전력 레벨(Pin)을 갖는 광 신호를 수신한다. 광 전력 분배 센터는 제 1 출력 라인(312)을 통해 이 입력 전력의 일부를 다음의 직렬 접속된 광 전력 분배 센터(324)에 전달하며, 제 2 출력 라인(322)을 통해 그 입력 전력의 일부를 전달한다. 제 2 광 전력 분배 센터(302)는 라인(312)을 통해 제 1 전력 분배 센터(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전력 레벨은 접속(312)의 감쇠 손실에 기인한 인자(a1)에 의해 감쇠된다. 제 2 및 다음의 전력 분배 센터들은 입력 전력을 분배하며, 그들은 제 1 전력 분배 센터, 즉,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 사이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한다. 제 1 출력들 각각은 직렬 접속으로 다음의 광 전력 분배 센터에 입력을 제공한다. 제 2 출력들 각각은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서브 네트워크에 입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전력 분배 센터들(302, 304, 306) 각각은 제 1 출력(314, 316, 320) 및 제 2 출력(324, 326, 328)을 갖는다. 마지막 전력 분배 센터는 그 밖의 제 2 출력들에 대응하는 단지 하나의 출력을 갖는다.
M개의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은 전력 분배 인자 pi(여기서 i = 1...M)를 갖는다. 전력 분배 인자는 제 2 출력으로 전달된 입력 전력의 일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제 2 출력들 각각은 도 2에 관해 기재된 바와 같은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광 전력 분배 센터들(300 내지 308) 각각의 전력 분배 인자가 가변적이므로, 각각의 분배 센터에 의해 제 2 출력 상에 전달된 출력 전력도 가변적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력 분배 인자들은 각각의 전력 분배 센터가 그의 제 2 출력 상에 동일한 출력 전력 레벨(P0)을 나타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탭 오프된(tapped off) 광 전력이 모듈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노드들 사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노드 광 전력 분배 인자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각 노드(i)에서의 광 분배 인자(pi)는 소정의 입력 전력(Pin)에 대한 일정한 출력 전력(P0)을 버스에 산출하는 것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Pin= 직렬 접속에 대한 입력 전력;
P0= 각각의 전력 분배 센터의 제 2 출력에서의 출력 전력;
pi= i번째 광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
ai= i번째 광 전력 분배 센터의 초과 손실 + i번째전력 분배 센터와 (i+1)번째 전력 분배 센터 사이의 감쇠 손실, 여기서 i=1...(M-1)이다.
이 식으로부터, 다음이 추론될 수 있다:
이로부터, 직렬 접속(또는 버스)내에서의 마지막 노드(M)가 모든 나머지 전력을 탭 오프해야 하며, 다음의 순환 관계가 규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의 바람직한 시나리오에 대한 본 발명 기술의 바람직한 응용이 이제 기재될 것이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정규 동작 조건들에서, 광 신호들은 2개의 섬유 링들 중 하나를 통해, 예를 들어 제 1 세트의 광 분배 센터들에 의해 형성된 링을 통해 흐른다(즉, 외부 링, OLT에서 ONU들로의 신호들이 시계 방향으로 흐르며, ONU들로부터 OLT로 신호들이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주요 전력 분배 센터(250)는 그의 전력 분배 인자(p0)에 따라 그 2개의 출력들 사이에 광 신호를 분배한다.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은 pk의 전력 분배 인자를 가지며,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각각은 qN-k+1인 각각의 전력 분배 인자를 가지며, 여기서 k=1...N이다.
출력 라인(252)을 통해 전달된 광 전력은 p0의 값을 갖는다. Pin및 출력 라인(254)을 통해 전달된 광 전력은 (1-p0)ㆍPin값을 갖는다.
이러한 정규 동작에서, 분배기(250)의 전력 분배 인자는 p0=1로 설정된다. 즉, 신호 라인(110)상의 모든 광 전력은 출력 라인(252)상의 외부 동작 링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라인(252)을 통해 전달된 광 전력은 Pin이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케이블 파손이 발생한 경우, 라인(110)상의 신호 전력의 적어도 부분이 스탠바이 링(standby ring), 즉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에 의해 규정된 링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즉, 내부 링, OLT에서 ONU들로의 신호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며, ONU들에서 OLT로의 신호들이 그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파손이 전력 분배 쌍들(224, 230) 사이에 발생할 때,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탭 노드들(k, k+1)을 포함하며(여기서는 예를 들어, k=4), 탭 인자(p0), 외부 링 내의 탭 인자들(pi) 및 내부 링 내의 탭 인자들(qi)은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로 각각의 탭에서 일정한 출력 전력(P0)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된다. 이는 전력 탭 인자들(p1내지 pk)를 갖는 외부 링내의 탭 커플러(tap coupler)들 및 전력 탭 인자들(q1내지 qN-k)을 갖는 내부 링내의 탭 커플러들에 관한 것이다. P0=cㆍp0ㆍPinㆍp1=cㆍ(1-p0)ㆍPinㆍq1, 여기서 c는 OLT에서 내부 및 외부 링 내의 제 1 탭들로의 공통 섬유 링크 손실을 나타내고, 이는 중앙 전력 분배 센터(250) 내의 탭 인자(p0)가 다음과 같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인자들(p1, q1)은 (제 1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들 내의 탭 인자들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M=k 및 (제 2 세트의 광 전력 분배 센터 내의 탭 인자들을 결정하기 위해)M=N-k를 설정함으로써 탭 인자들에 대한 순환 식으로부터 따른다.
예로서, 계산이 N=10 노드들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탭 인자들 또는 전력 분배 인자들(pi)로 행해진다. 그 결과들은 표 1에 도시된다. 노드들(ai) 사이의 감쇠 손실 인자를 0.707946로 가정하면, 노드들 사이의 링크 손실들은 모두 1.5㏈와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케이블 파손이 없을 때, 외부 링 내의 탭들은 N=10인 행 내의 값들에 따라서 설정되며, 분배기(p0)는 p0=1로 설정된다. 각 노드에서 탭된 전력은 cㆍPinㆍp1ㆍp0=cㆍPinㆍ0.013이다.
파손이 제 4 노드 후에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외부 링이 N=4인 행 내의 값들에 따라서 설정된 탭 인자들을 갖고, 내부 링이 N=6인 행 내의 값들에 따라서 설정된 탭 인자들을 갖는다. 분배기(p0)는 p0=0.300379로 설정된다. 각 노드에서 탭된 전력(외부 링뿐만 아니라 내부 링에서도)은 다시 일정하게 되며 cㆍPinㆍp1ㆍp0=cㆍPinㆍ0.041568로 주어진다.
노드 k 후의 케이블 파손의 경우, 각 노드에서 일정하게 탭된 전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k에 의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분배 기술을 사용할 때 케이블 파손 위치의 함수(x축)에 대한 입력 전력(Pin)의 탭된 부분(y축)의 관계(dependence)를 도시한다.
표 1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들은 도 5의 그래프에 플로팅된다(plotted). 도 5는 노드 수(i)(x축 상)에 대한 탭 인자(pi)(y축 상)의 플롯(plot)을 도시한다. 곡선(400)은 N=10에 대한 표 1의 결과들의 플롯을 나타내며, 곡선(402)은 N=6에 대한 표 1의 결과들의 플롯을 나타내며, 곡선(404)은 N=4에 대한 표 1의 결과들의 플롯을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 도 6에서, 그 결과들은 일정 전력 탭 부분(p)와 선형 버스로 플로팅된다. 다시, 노드들 사이의 섬유 링크 손실들이 1.5㏈임이 추정된다. 곡선(500)은 0.05의 일정 전력 분배 인자에 대한 결과들을 도시하며, 곡선(502)는 0.15의 일정 전력 분배 인자에 대한 결과들을 도시하며, 곡선(504)은 0.1의 일정 전력 분배 인자에 대한 결과들을 도시한다. N=10인 노드 시스템에서 노드 당 탭된 전력들 간에 약 20㏈의 변화량(variation)이 있는 반면, 제안된 가변 탭 커플러 아키텍처에서 변화량은 없다.
제안된 가변 탭 커플러 아키텍처의 노드 k 후에 케이블 파손의 경우, 노드 당 탭된 전력은 여전히 일정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k에 의존한다. N=10에 대해, 탭된 전력은 5.3㏈ 미만에서 변화하며, 이는 일정 전력 탭 부분(p)을 갖는 노드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훨씬 작다.
PRISMA 구현에서 본 발명의 구현의 결과들이 이후 기재된다. 도 7은 PRISMA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PRISMA 범위 영역의 포개진 육각형의 셀 구조가 가정된다.
7개의 셀들(602) 각각은 기지국들의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의 노드(600)를 갖는다. 그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는 기지국 제어기(608)에 의해 광 접속(606)을 통해 중앙 셀의 노드(600)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도 7의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의 접속은 도 2의 접속과 유사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m 반경의 셀을 각각 덮는 74=2401 기지국들을 호스팅하는 총 영역의 통상적인 직경은 15km이다. 각각의 매크로 셀 내의 중앙 노드들을 접속하기 위해 이중 섬유 링을 쌓는 것은 노드 사이에 3.6km의 섬유 링크 길이를 산출한다. λ=1.54㎛로 설정된 섬유 손실 0.5dB/km에 대해 설명하면, 이는 모든 i에 대해 ai≡0.661이 된다. 그러므로 7개의 노드들을 갖는 시스템에 대한 노드 당 전력 분배 인자들(pi)은 아래의 표 2에 리스트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링크 손실들이 무시할만하면, a=1이고, 9.6km의 링크 길이에 대해서는 a=0.330이다. a=0.661에 대하여, 분배 인자들은 제 1 노드에 대한 3%와 마지막 노드에 대한 100% 사이에서 변화하며, 링크 손실들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화량의 범위가 상당히 증대한다.
본 발명이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를 특별히 참조하여 기재되었을지라도,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광 전력 분배기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전력 분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력 분배기의 가변 전력 제어가 각 전력 분배기 노드에서 균일한 출력 전력을 보장하는데 이용될지라도, 가변 전력 분배 인자는 각 노드에서의 출력 전력이 다르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다른 노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 네트워크들의 크기가 변화하는 곳에서 특히 유리할 것이며, 그러므로 그 서브 네트워크들에 공급된 전력은 변화된 부하를 처리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가변 전력 분배기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와 같은 광 응용에 대하여 가변 전력 분배기의 한가지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다.
도 8은 DOS(digital optical switch)(800)를 도시하며, 이는 입력 포트(802)를 통해 입력 전력(Pin)의 임의의 부분을 2개의 출력 포트들(804, 806) 각각으로 가이드한다. DOS(800)는 2개의 전극들(808, 810)을 포함하며 입력 포트(802)를 통해 광 전력의 일부를 출력 포트들(804, 806)에 각각 전달한다. 전극들(808, 810)은 제어 라인들(812, 814)을 통해 각각 인가된 전압 V1및 V2에 의해 제어된다. 전극들(808, 810)에 의해 2개의 출력 포트들(804, 806)로 전달된 입력 전력(Pin)의 부분들(p, (1-p))은 인가된 전압들(V1, V2)에 의존한다. DOS는 고유 초과 손실 인자(ε)를 가지며, 이는 2개의 출력 포트들 상의 전력의 출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포트(804) 상의 출력 전력은 pㆍεㆍPin이며, 포트(806) 상의 출력 전력은 (1-p)ㆍεㆍPin이다.
광학적 구현에 대한 전력 분배기를 구현하는 다른 방법들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마크 젠더 간섭계(Mach Zehnder Interferometer) 구조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앞서 기재되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력 분배기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접속되며 공통으로 공급되는 임의의 환경에 이용할 수 있다.
보호 스킴(protection scheme)의 한 대안의 구현은 양방향으로 동작되는 단일 섬유 링이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가변 광 전력 분배기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러한 스킴은 단지 하나의 링 예를 들어, 외부 링이 제공되어, 종결 포인트(258)에서 끝나지 않고, 마지막 전력 분배 센터가 중앙 전력 분배 센터(250)에 접속된 그것의 제 1 출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와 실제로 상이하다.
그러한 장치에서 전력 분배 센터들(202, 208, 214, 220, 228, 234, 240)은 두 방향들(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에서 나오는 빛으로 동작할 필요가 있다. 이 전력 분배 센터들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디지털 광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여전히 구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와 비교하면, 단일 섬유 셋업은 광 반사들에 더 취약하며, 그러므로 광 섬유 접합들(예를 들어, 커넥터들 및 스플라이스(splice)들)의 보다 높은 반사 감쇠 인자들을 요구한다.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여러 다른 아키텍처들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신호가 직렬 방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드들에 전달되는, 장치내의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한다.

Claims (16)

  1. 한쪽 단은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되고 다른 단은 종결 포인트에 접속된 제 1 세트의 N개의 직렬 접속된 전력 분배 센터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있어서,
    각각의 분배 센터는 상기 전력 신호의 일부를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와 결합된 출력을 가지며,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power splitting factor)가 가변적이어서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전력 신호의 일부가 가변적이고, 상기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상기 전력 신호의 일부가 동일하도록 하며, 상기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순환 관계:를 따르며, 여기서 pi-1은 i-1번째의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ai-1는 i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i-1번째의 전력 분배 센터 사이의 감쇠 손실(attenuation loss)인, 네트워크 아키텍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단은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되고 다른 단은 종결 포인트에 접속된 제 2 세트의 N개의 직렬 접속된 전력 분배 센터들을 포함하며, 제 2 세트의 광 분배 센터들 각각은 상기 제 1 세트의 광 분배 센터들 중 하나와 결합되어 제 1 세트의 n번째 전력 분배 센터가 제 2 세트의 (N-n+1)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결합되고, 전력 분배 센터들의 각 쌍은 공통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각의 출력을 가지며, 전력 분배 센터들의 각 쌍 중 단지 하나가 상기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된 상기 전력 신호의 일부가 동일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각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순환 관계:를 따르며, 여기서 qi-1는 제 2 세트의 i-1번째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ai-1은 제 2 세트의 i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i-1번째의 전력 분배 센터 사이의 감쇠 손실인, 네트워크 아키텍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상기 제 1 세트 및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에 상기 전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중앙 전력 분배 센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전력 분배 센터는 상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상기 전력 신호를 상기 제 1 세트에 전달하기 위한 제 1 출력과, 상기 전력 신호를 상기 제 2 세트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출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앙 전력 분배 센터는 가변 전력 분배 인자를 갖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8. 제 7 항에 있어서,
    정규 동작에서 상기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가변 전력 분배 인자는 상기 전력 신호가 상기 제 1 출력에 모두 전달되도록 설정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의 직렬 링크에 고장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상기 가변 전력 분배 인자는 상기 전력 신호의 일부가 상기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 둘 모두에 전달되도록 설정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접속이 상기 제 1 세트의 k번째 전력 분배 센터와 k+1번째 전력 분배 센터 사이에서 손실된 경우, 상기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 중 제 1의 k개가 상기 전력 신호의 일부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 중 제 1의 N-k개가 상기 전력 분배 센터의 일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이며, 여기서 p1은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이며, q1은 제 2 세트의 제 1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인, 네트워크 아키텍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 및 상기 제 2 세트의 각 액티브 전력 분배 센터의 전력 분배 인자는 각 서브 네트워크에 전달되는 전력 레벨이 같도록 설정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력 분배 센터는 광 전력 분배 센터인, 네트워크 아키텍처.
  14. 제 1 항에 있어서,
    패시브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의 피더 네트워크(feeder network)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이중 섬유 링 아키텍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은 제 1 섬유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전력 분배 센터들은 제 2 섬유 링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KR10-2000-0055792A 1999-09-22 2000-09-22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KR100411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307501.9 1999-09-22
EP99307501A EP1087556B1 (en) 1999-09-22 1999-09-22 Optical network with power split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99A KR20010050599A (ko) 2001-06-15
KR100411531B1 true KR100411531B1 (ko) 2003-12-18

Family

ID=824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92A KR100411531B1 (ko) 1999-09-22 2000-09-22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81083B1 (ko)
EP (1) EP1087556B1 (ko)
JP (1) JP3677202B2 (ko)
KR (1) KR100411531B1 (ko)
CA (1) CA2318614A1 (ko)
DE (1) DE6993901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803B1 (en) 1999-11-02 2003-11-18 Xr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to electrical to optical conversion in an optical cross-connect switch
US6792174B1 (en) 1999-11-02 2004-09-1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between an optical cross-connect switch and attached network equipment
US6571030B1 (en) 1999-11-02 2003-05-27 Xros, Inc. Optical cross-connect switching system
US6597826B1 (en) 1999-11-02 2003-07-22 Xros, Inc. Optical cross-connect switching system with bridging, test access and redundancy
JP2001148662A (ja) * 1999-11-19 2001-05-29 Toshiba Corp 光ネットワーク
US7173927B2 (en) * 2000-12-18 2007-02-06 Raza Microelectronics, Inc. Hybrid network to carry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traffic over symmetric and asymmetric links
US7333512B2 (en) * 2000-12-18 2008-02-19 Rmi Corporation Dynamic mixing TDM data with data packets
GB2375262B (en) * 2001-04-30 2004-05-19 Siemens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ird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US6898206B2 (en) * 2001-06-06 2005-05-24 Advanced Fibre Access Corporatio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WDM) ring passive optical network (PON) with route protection for replacement of splitter based passive optical networks
US7181142B1 (en) 2002-04-09 2007-02-20 Time Warner Cable Inc. Broadband optical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KR100569825B1 (ko) * 2003-08-07 2006-04-11 최준국 절체형 미디어 변환기와 그를 포함하는 상하향 동일파장의 링형 wdm pon 시스템
DE102005010610A1 (de) * 2005-03-08 2006-09-21 Siemens Ag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JP2007124422A (ja) * 2005-10-28 2007-05-17 Pyxisway Networks Inc 光リングネットワーク装置
CN101453666B (zh) * 2007-12-07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源光网络的主备链路保护方法、环路系统及装置
GB2470978A (en) * 2009-03-31 2010-12-15 British Telecomm Optical fibre network in which primary nodes are connected directly to a plurality of core nodes
US8934771B2 (en) * 2009-10-16 2015-01-13 Xieon Networks S.A.R.L.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US8798472B2 (en) 2012-07-10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gile light source provisioning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ystems
US9948399B2 (en) 2015-01-09 2018-04-1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beat interference from splitters/combiners
US20160301495A1 (en) * 2015-04-08 2016-10-13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Power Efficient Multi-Degree ROADM Using Variable Optical Splitter
US9674591B2 (en) 2015-06-08 2017-06-0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symmetric distribution of mixed content via a network
JP7415192B2 (ja) * 2020-03-06 2024-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oltシステム
JP7439901B2 (ja) 2020-03-17 2024-02-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及び光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4091B (en) * 1984-01-27 1987-10-14 Yokogawa Hokushin Electric Optical data way
US4730888A (en) * 1986-02-20 1988-03-1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mized guided wave communication system
CA1226934A (en) * 1986-09-26 1987-09-15 Henry Downs Reconfigurable beam-forming network that provides in- phase power to each region
GB2214755B (en) * 1988-01-29 1992-06-24 Walmore Electronics Limit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FR2718908B1 (fr) * 1994-04-13 1996-06-21 France Telecom Réseau de télécommunication organisé en boucles optiques multicolores reconfigurables.
AU697597B2 (en) * 1994-06-08 1998-10-0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ccess network
FR2756442B1 (fr) * 1996-11-26 1999-05-28 France Telecom Reseau en anneau multilongueur d'onde pour le raccordement d'usagers, notamment d'usagers professionnels
US5912749A (en) * 1997-02-11 1999-06-15 Lucent Technologies Inc. Call admission control in cellular networks
SE520876C2 (sv) * 1998-06-10 2003-09-09 Ericsson Telefon Ab L M ADD/Drpo-nod för ett optiskt WDM-nät, som har trafik endast mellan angränsande n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6188A (ja) 2001-05-18
JP3677202B2 (ja) 2005-07-27
KR20010050599A (ko) 2001-06-15
US6681083B1 (en) 2004-01-20
EP1087556A1 (en) 2001-03-28
EP1087556B1 (en) 2008-07-02
CA2318614A1 (en) 2001-03-22
DE69939017D1 (de)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531B1 (ko) 광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분배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US6590681B1 (en) Optical WDM network having an efficient use of wavelengths and a node therefor
US5774244A (e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s
EP0803996B1 (en) Optical network having protection configuration
US6616349B1 (en) Two-fiber interconnected ring architecture
US7027732B2 (en) WDM cross-connects for core optical networks
JPH04326334A (ja) 光子相互接続スイッチ
USH2075H1 (en) Restorable architectures for fiber-based broadband local access networks
AU681230B2 (en) Interconnected passive optical networks
US20120251097A1 (en) Passive architectural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US20040175071A1 (en) Wdm ring network for flexible connections
AU676029B2 (en) Optical network
EP1193895B1 (en) Pasive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US20030020994A1 (en) Optical system and method in an optical system
Kodama et al. Colorless and directionless coherent WDM-PON architecture with extended star topology using a self-healing for bidirectional link protection
EP1050130B1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star / ring topology
Wuttisittikulkij et al. Multiwavelength self-healing ring transparent networks
JP2000115133A (ja) 光パス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光ネットワーク
US20030156845A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 two parallel transmission paths
US8116631B2 (en) Hardened, wavelength enabled optical capacity
JP7439901B2 (ja) 光通信システム及び光通信方法
Garg et al. Reliable T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With Multilevel Fault Correction Capability
Bhar et al. Protection architecture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using cascaded AWG and tunable components
Hamada et al. WDM four-fiber ring with add/drop acousto-optic tunable filter and 4/spl times/4 optical switch
Ab-Rahman et al. Protection Switching against Failure in Distribution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