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916B1 - 벨트 풀리 정렬 기구 - Google Patents

벨트 풀리 정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916B1
KR100410916B1 KR10-2000-0073021A KR20000073021A KR100410916B1 KR 100410916 B1 KR100410916 B1 KR 100410916B1 KR 20000073021 A KR20000073021 A KR 20000073021A KR 100410916 B1 KR100410916 B1 KR 10041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alignment
belt
aligne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872A (ko
Inventor
나영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9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등에서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벨트 풀리들을 올바르게 정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정렬의 기준이 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그 양단이 구동축과 피동축을 잇는 축간선의 양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기준부; 정렬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기준부와 연결되며, 일단이 축간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정렬부; 및 상기 기준부의 양단과 내주면의 중앙 및 상기 정렬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풀리들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둘 이상의 원통부재를 가지는 밀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풀리 정렬 기구{Device for arranging belt pulley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등에서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벨트 풀리들을올바르게 정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 중 많은 장치들이 엔진으로부터 그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특히, 발전기, 압축기, 냉각팬 등과 같은 장치는 벨트와 벨트 풀리를 통해 엔진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벨트를 통해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러한 벨트와, 벨트 풀리를 이용한 동력 전달에 있어서, 벨트가 연결되는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의 정렬이 매우 중요하다.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 벨트가 손상되거나 또는 벨트 풀리에 진동이 발생되어 동력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벨트 풀리들을 구동축 및 피동축에 장착할 때,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이용하여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를 정확하게 정렬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이용하여 벨트 풀리들을 정렬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풀리 정렬 기구는 구동 풀리(3)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구동 풀리측 밀착부(7a)와, 피동 풀리(1)의 나사산 사이의 골(1a)에 밀착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피동 풀리측 밀착부(7b)를 그 양측에 각각 가진다.
구동 풀리측 밀착부(7a)와 피동 풀리측 밀착부(7b)를 구동 풀리(3)와 피동 풀리(1)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시켜서 각 밀착부들(7a, 7b)이 나사산의 골에 정확하게 밀착되는지 확인하면서 한 풀리에 대해 다른 풀리를 정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 풀리 정렬 기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벨트 풀리 정렬 기구는 밀착부들이 일직선 상으로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 풀리들의 축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일측에 위치된 풀리 부분만 정렬이 이루어져 축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타측에 위치된 풀리 부분에서 정렬 오차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풀리들의 축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양측 모두에 대해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 풀리들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는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이용하여 벨트 풀리를 정렬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준 풀리 1a : 나사산 사이의 골
3 : 피정렬 풀리 2, 4 : 구동축 및 피동축
12 : 기준부 13 : 연결 부재
14 : 정렬부 16 : 밀착부
17 : 원통 부재 17a : 환형 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정렬의 기준이 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그 양단이 구동축과 피동축을 잇는 축간선의 양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기준부; 정렬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기준부와 연결되며, 일단이 축간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정렬부; 및 상기 기준부의 양단과 내주면의 중앙 및 상기 정렬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풀리들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둘 이상의 원통부재를 가지는 밀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도시하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이용한 벨트 풀리의 정렬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는 기준부(12)와 정렬부(14)와 다수의 밀착부(16)를 포함하고 있다.
기준부(14)는 대략 반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양단이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가 각각 장착되는 구동축 및 피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이하, 축간선이라 함)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정렬의 기준이 되는 풀리(1; 이하, 기준 풀리라 함)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정렬부(14)는 대략 사분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일단이 축간선 상에 위치되도록 정렬되는 풀리(3; 이하, 피정렬 풀리라 함)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기준부(12)와 정렬부(14)는 연결 부재(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다.
밀착부(16)는 기준부(12)의 양단과 내주의 중앙 및 정렬부(1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기준 풀리(1)와 피정렬 풀리(3)의 외주에 밀착된다.
이 밀착부(16)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부(12)나 정렬부(14)의 설치 위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원통 부재(17)를 가진다. 원통 부재들(17)은 볼트 및 너트(18a, 18b)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기준부(12)나 정렬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통 부재(17)는 그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 돌기(17a)를 가지며, 이 환형 돌기(17a)가 풀리들(1, 3)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벨트 풀리 정렬 기구를 이용하여 풀리들(1, 3)을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준부(12)에 설치된 밀착부(16)가 기준 풀리(1)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기준부(12)를 기준 풀리(1)의 외주에 위치시킨다. 이때, 기준부(12)의 밀착부(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부재들(17)의 환형 돌기들(17a)이 기준 풀리(1)의 나사산 사이의 골(1a)에 밀착된다.
그리고 나서, 정렬부(14)가 피정렬 풀리(3)의 외주에 위치되도록 기준부(1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정렬부(14)에 설치된 밀착부(16)는 피정렬 풀리(3)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접촉되는데, 그 밀착 정도를 파악하여 원통 부재들(17)의 환형 돌기들(17a)이 나사산 사이의 골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피정렬 풀리(3)의 고정 위치를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풀리와 피동 풀리(1, 3)의 정렬이 완료되면 풀리들(1, 3)에 벨트를 설치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풀리 정렬 기구는 축간선의 양측 모두에 대해 정렬이 이루어지고, 또한 두 줄 이상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벨트 풀리들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벨트의 손상이나 풀리들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정렬의 기준이 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그 양단이 구동축과 피동축을 잇는 축간선의 양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기준부;
    정렬되는 풀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기준부와 연결되며, 일단이 축간선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정렬부; 및
    상기 기준부의 양단과 내주면의 중앙 및 상기 정렬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풀리들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둘 이상의 원통부재를 가지는 밀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정렬 기구.
  2. 삭제
KR10-2000-0073021A 2000-12-04 2000-12-04 벨트 풀리 정렬 기구 KR10041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21A KR100410916B1 (ko) 2000-12-04 2000-12-04 벨트 풀리 정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21A KR100410916B1 (ko) 2000-12-04 2000-12-04 벨트 풀리 정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72A KR20020043872A (ko) 2002-06-12
KR100410916B1 true KR100410916B1 (ko) 2003-12-18

Family

ID=2767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021A KR100410916B1 (ko) 2000-12-04 2000-12-04 벨트 풀리 정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034B1 (ko) 2020-05-21 2021-08-06 수광산업 주식회사 동력 전달용 벨트 풀리의 정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7263A1 (en) * 1987-06-02 1989-01-04 FIAT AUTO S.p.A. A pre-assembled drive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drive between parallel axes
JPH08285052A (ja) * 1995-04-13 1996-11-01 Mitsubishi Motors Corp プーリーアライメント調整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プーリー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US6031616A (en) * 1999-05-25 2000-02-29 Seiffert; Russell W. Laser pulley align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7263A1 (en) * 1987-06-02 1989-01-04 FIAT AUTO S.p.A. A pre-assembled drive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drive between parallel axes
JPH08285052A (ja) * 1995-04-13 1996-11-01 Mitsubishi Motors Corp プーリーアライメント調整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プーリー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US6031616A (en) * 1999-05-25 2000-02-29 Seiffert; Russell W. Laser pulley align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034B1 (ko) 2020-05-21 2021-08-06 수광산업 주식회사 동력 전달용 벨트 풀리의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72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8605A2 (en) Split sprocket assembly
EP1519077B1 (en) Drive belt pulley and belt drive system
KR100410916B1 (ko) 벨트 풀리 정렬 기구
US4642081A (en) Adjustable drive belt
US20060216164A1 (en) Impeller apparatus for water pump and water pump
JP3911480B2 (ja) ベルト取外し具
JPS63254266A (ja) プ−リ
US4680839A (en) Link chain, especially a tentering chain
JP2019190505A (ja) 固定用プレート
KR100508166B1 (ko) 벨트 풀리의 얼라이먼트 자동조절장치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US7111523B1 (en) Rotational power transmitting drive component with improved acoustic and assembly characteristics
JP2003314668A (ja) 分割型アイドラホイール
JPS63254267A (ja) プ−リ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EP0222941B1 (en) Spring-locked variable speed pulley
KR200154641Y1 (ko) 스플라인 조립체
KR100246965B1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축이음장치
KR200154860Y1 (ko)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US4525150A (en) Belt pulle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0130370Y1 (ko) 워터펌프풀리와 파워스티어링 펌프의 구동풀리 일체화 구조
KR100535128B1 (ko) 체인 스프로켓
KR19980048220U (ko) 자동차용 타이밍벨트의 구조
KR970000634Y1 (ko)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브이벨트
US4622023A (en) Belt pulle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