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749B1 -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749B1
KR100410749B1 KR10-2001-0042081A KR20010042081A KR100410749B1 KR 100410749 B1 KR100410749 B1 KR 100410749B1 KR 20010042081 A KR20010042081 A KR 20010042081A KR 100410749 B1 KR100410749 B1 KR 10041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hanger
shaft
shack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368A (ko
Inventor
서윤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7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 B60G5/053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a leafspring being used as equilibration unit between two axle-suppor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하나의 행거(9)에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이 핀(10)을 매개로 장착되고, 이 핀(10)에 섀클(7)이 장착되며, 이 섀클(7)의 하단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이 또 다른 핀(11)을 매개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프스프링(3,4)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되므로 행거(9)를 하나만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행거(9)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장착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제 1축과 제 2축간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최소회전반경이 줄어들고, 축중하중이 균일해지며,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a leaf spring mounting structure of large truck}
본 발명은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행거를 사용할 수 있고, 행거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하며, 전륜의 제 1축과 제 2축의 축간거리가 줄어들 수 있도록 된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량 25톤 이상의 카고트럭이나 덤프트럭과 같은 대형 트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이 한쌍 더 구비되는 전륜 2축 차량이다.
전륜 2축의 경우에도 1축일때와 동일하게 각각의 축마다 리프스프링이 장착되어 현가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축(1)과 제 2축(2)에 U볼트를 매개로 리프스프링(3,4)의 중앙이 장착되고, 이 리프스프링(3,4)들의 각 전단과 후단은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행거에 고정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을 고정하는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경우는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을 각각의 행거(5,6)에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은 두 행거(5,6) 중 앞쪽의 행거(5)에 섀클(7)을 매개로 장착되고,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은 뒤쪽의 행거(6) 중앙하단에 직접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섀클(7)은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이 탄성변형할때의 길이방향 변형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제 2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에도 이와 같이 섀클(7)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두 리프스프링(3,4)의 후단과 전단을 하나의 행거(8)를 사용하여 장착하는 방식으로서, 도 2의 경우에 사용된 행거(5,6)에 비하여크기가 큰 행거(8)가 사용되며,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은 상기 행거(8)의 앞쪽 하단에 섀클(7)을 매개로 장착되고,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은 상기 행거(8)의 뒤쪽 연장하단에 직접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두 가지 방식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에 있어서, 먼저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2개의 행거(5,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리프스프링(3,4)에 대하여 개별 행거가 필요하므로 재료비가 높고, 장착을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하나의 행거(8)를 이용하는 도 3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분리형보다는 공간활용도는 높지만 두 리프스프링(3,4)을 하나의 몸체에 장착하여야만 하므로 행거(8)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리프스프링 장착구조는 제 1축용 리프스프링(3)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이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장착됨으로써 양자간의 간섭 때문에 둘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없도록 된 것에서 기인한 것이며, 이는 전륜 2축 차량에 있어서 전륜의 제 1축과 제 2축의 축간거리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두 전륜축 간의 축간거리가 크면 차량의 최소회전반경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 1축과 제 2축간의 축하중이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아 조정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크기가 작은 하나의 행거를 이용하여 제 1축용 리프스프링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의 전단을 장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행거의 수 감소로 재료비와 중량이 감소하고,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며, 또한 제 1축과 제 2축 사이의 축간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되어 조향시 최소회전반경이 줄어들고 조정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가 도시된 트럭의 전반부 측면도,
도 2와 도 3은 종래 대형 트럭의 제 1축용 리프스프링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 전단의 장착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트럭의 제 1축용 리프스프링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 전단의 장착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축용 리프스프링의 전후단 장착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축, 2 : 제 2축,
3 : 제 1축용 리프스프링, 4 : 제 2축용 리프스프링,
5,6,8,9 : 행거, 7 : 섀클,
10,11 : 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된 행거의 중앙하단에 제 2축용 리프스프링의 전단이 핀을 매개로 장착되고, 이 핀에 섀클이 장착되며, 이 섀클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의 후단이 또 다른 핀을 매개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축용 리프스프링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간에 높이차가 발생하여 양자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작은 하나의 행거사용이 가능해지고, 제 1축과 제 2축간의 축간거리도 좁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트럭의 제 1축용 리프스프링의 후단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의 전단을 장착하는 구조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에서 제 1축(1)과 제 2축(2)의 중간에 해당되는 위치에 하나의 행거(9)가 장착되고, 이 행거(9)의 하방으로 연장된 중앙하단에 핀(10)을 매개로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이 고정되며, 이 핀(10)에 섀클(7)이 장착되고, 이 섀클(7)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이 또 다른 핀(11)을 매개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행거(9)와 섀클(7)은 모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섀클(7)의 상부 양단은 하부에 비하여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9)의 하단 양측부 외측에 겹쳐지고, 상기 행거(9)의 하단 양측부 사이에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이 위치되어 이들을 모두 상기 핀(10)이 관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섀클(7)의 하단 양측부 사이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이 위치되어 이들을 상기 핀(11)이 관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축용 리프스프링(3)과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장착높이가 대략 섀클(7)의 길이만큼 차이가 나게 되는데(섀클의 경사도에 따른 길이 차이는 무시한다.), 이와 같이 두 리프스프링(3,4)이 서로 다른 높이에 장착됨으로써 두 리프스프링(3,4)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행거(9)를 이용하여 두 리프스프링(3,4)의 후단과 전단을 장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자연히 차량의 제 1축(1)과 제 2축(2)간의 축간거리가 작아지도록 차량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행거(9)는 서로 근접해 있는 리프스프링(3,4)들의 후단과 전단을 장착하는 것이므로 그 크기를 작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재료비가 적게 들게 되고, 장착에 필요한 공간의 소모도 작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축(1)과 제 2축(2) 사이의 축간거리가 줄어들게 되면, 차량의 최소회전반경이 줄어들게 되고, 제 1축(1)과 제 2축(2)에 가해지는 하중이 그 거리가 가까워진 것에 비례하여 균일해지며, 이에 따라 조정안정성도 향상되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행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행거의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재료비가 감소하고,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한편, 제 1축과 제 2축간의 축간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최소회전반경이 줄어들고 축중하중이 균일해지며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프레임에 하나의 행거(9)가 장착되고, 이 행거(9)의 중앙하단에 핀(10)을 매개로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이 고정되며, 이 핀(10)에 섀클(7)이 장착되고, 이 섀클(7)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이 또 다른 핀(11)을 매개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섀클(7)의 상부 양단이 행거(9)의 하단 양측부 외측에 겹쳐지고, 상기 행거(9)의 하단 양측부 사이에 제 2축용 리프스프링(4)의 전단이 위치되어 이들을 상기 핀(10)이 관통·체결하고, 상기 섀클(7)의 하단 양측부 사이에 제 1축용 리프스프링(3)의 후단이 위치되어 이들을 상기 핀(11)이 관통·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10-2001-0042081A 2001-07-12 2001-07-12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10041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81A KR100410749B1 (ko) 2001-07-12 2001-07-12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81A KR100410749B1 (ko) 2001-07-12 2001-07-12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368A KR20030006368A (ko) 2003-01-23
KR100410749B1 true KR100410749B1 (ko) 2003-12-18

Family

ID=2771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081A KR100410749B1 (ko) 2001-07-12 2001-07-12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7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811A (ja) * 1981-09-10 1983-03-14 Fuji Heavy Ind Ltd タンデムアクスル懸架装置
JPH0426106U (ko) * 1990-06-26 1992-03-02
KR970034129A (ko) * 1995-12-13 1997-07-22 전성원 대형차량의 2중 차축용 현가장치
KR970034073A (ko) * 1995-12-13 1997-07-22 전성원 탠덤식 후륜 현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811A (ja) * 1981-09-10 1983-03-14 Fuji Heavy Ind Ltd タンデムアクスル懸架装置
JPH0426106U (ko) * 1990-06-26 1992-03-02
KR970034129A (ko) * 1995-12-13 1997-07-22 전성원 대형차량의 2중 차축용 현가장치
KR970034073A (ko) * 1995-12-13 1997-07-22 전성원 탠덤식 후륜 현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368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040B1 (en) Single rotation point attachment part for leaf springs
EP1987969B1 (en) Shackle assembly
EP1147927A1 (en) Front-wheel suspension for buses and such
US6688586B1 (en) Integral transverse spring-axle
KR100410749B1 (ko) 대형 트럭의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CA1328473C (en) Leaf spring
JPH08198134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ロスメンバ
US6079723A (en)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EP0045411A2 (en) Equalized four-spring tandem axle suspension
KR0176315B1 (ko) 리프 스프링식 현가 장치의 스프링 지지구조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KR200203106Y1 (ko) 이축식 후륜 현가장치
KR10031689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100271688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래터럴 로드 고정 구조
RU2098286C1 (ru) Подвеска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452203B1 (ko)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KR0180373B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US4029331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200103913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47905Y1 (ko)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캠버 심
JPH0434083Y2 (ko)
KR200260742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JPH06171331A (ja) トラツク等の後輪懸架装置
JPH01279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