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79B1 -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79B1
KR100409179B1 KR10-2001-0033288A KR20010033288A KR100409179B1 KR 100409179 B1 KR100409179 B1 KR 100409179B1 KR 20010033288 A KR20010033288 A KR 20010033288A KR 100409179 B1 KR100409179 B1 KR 10040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iming
motion
video sig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093A (ko
Inventor
손호장
안치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Priority to KR10-2001-003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1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야구, 탁구 등과 같이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인 모션 변화가 필요한 각종 스포츠 동작 시에 모션의 일정 시점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운동 동작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비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캡춰부와; 상기 비디오 캡춰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모션 중에서 특정 모션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타이밍 마크를 조합하여 다시 저장하고, 이를 다시 재생하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의 주사 방식에 맞는 신호로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엔코더와; 상기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모션이 재생되면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려 주는 알람부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를 통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위치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of Alarm for Motion Tim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야구, 탁구 등과 같이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인 모션 변화가 필요한 각종 스포츠 동작 시에 모션의 일정 시점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운동 동작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운동과 같은 운동 경기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정지 상태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인 모션이 이어지는 운동 경기, 예를 들어 골프, 야구, 탁구 등은 자세(form), 특히 연속적인 운동 모션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골프와 같이 성인이 취미로 즐길 수 있는 운동은 많은 사람들이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할애하여 스윙 자세를 올바르게 익히기 위한 전문가의 레슨을 받고 있다.
또한, 골프나 야구의 유명한 선수들도 슬럼프에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는 대부분 자신의 스윙 폼이 어딘가 모르게 바뀐 것에 기인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전성기에 촬영해 놓았던 비디오 또는 다른 우수한 선수들의 경기 모습을 촬영한 비디오를 보거나, 이들 비디오와 자신의 현재 모습을 촬영한 비디오를 비교 분석하면서 자신의 바꿔진 스윙 폼을 다시 바로잡는 시도를 하고 있다.
더욱이, 골프에 있어서는 자신의 핸디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서 드라이브샷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거나, 퍼팅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정확한 타점 시기 및 올바른 체중의 이동을 기하기 위해 수많은 스윙 및 퍼팅 연습과 체력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문가의 레슨은 비용이 많이 들고 반드시 골프 연습장과 같은 특정한 장소로 나가야만 지도를 받을 수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비디오를 이용한 자신의 운동 모션을 교정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아마추어에게는 사용이 어렵고 전문가의 도움을 필수 요건을 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한 교정 방법들은 모두 전문가의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질 뿐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에 기초한 자세 교정은 아니었으므로 교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골프, 야구, 탁구 등과 같이 정지 상태로부터 연속적인 모션 변화가 필요한 각종 스포츠 동작 시에 신체 부위별로 모션에 따른 위치 변화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에서 조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비디오 카메라 11 : 비디오 재생기
13 : 비디오 캡춰부 15 : 메모리
16 : 버퍼 메모리 18 : 비디오 프로세서
20 : 제어부 22 : ROM
23 : I/O 인터페이스 24 : 조작 패널
26 : 비디오 엔코더 27 : 디스플레이
28 : 알람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비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캡춰부와; 상기 비디오캡춰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모션 중에서 특정 모션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타이밍 마크를 조합하여 다시 저장하고, 이를 다시 재생하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의 주사 방식에 맞는 신호로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엔코더와; 상기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모션이 재생되면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려 주는 알람부와; 상기 비디오 캡춰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타이밍 마크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고, 타이밍 마크 신호가 합성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타이밍 마크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재생기는 비디오 카메라와 비디오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와 비디오 프로세서 사이에는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퍼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캡춰부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재생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재생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비디오 프로세서에 의하여 재생될 때에 재생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도중에 특정 모션에서 사용자가 타이밍 마크를 입력할 수 있는 타이밍 설정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타이밍 마크가 설정되어 생성된 것을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는 설정 저장 버튼과, 상기 녹화 버튼 재생 버튼 타이밍 설정 버튼 설정 저장 버튼의 출력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켜 주는 I/O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위치에 타이밍 마크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타이밍 마크가 검출되면 해당 위치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골프, 야구, 탁구 등과 같이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인 모션 변화가 필요한 각종 스포츠 동작 시에 모션의 일정 시점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의 운동 동작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에서 조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타이밍 알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골프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신체 부위의 모션 변화에 따라 경기의 승패가 좌우되는 운동 경기를 연습하고자 할 때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정확한 모션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해당 모션에서 사용자에게 알람부(28)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주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운동 경기의 모션을 이용하여 모션 티칭(motion teaching)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이하, 운동 모션의 타이밍 교정을 위하여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를 포함하여 모두 '사용자'로 칭한다.)의 운동 모션을 비디오 카메라(10)로 촬영하여야 한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10)로 촬영된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의 비디오 신호이며, 이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카메라(10)나 별도의 비디오 재생기(VTR; 11)를 통하여 재생되어 출력된다(S 10).
상기 비디오 재생기(11)를 통하여 출력되는 동영상은 사용자에 의하여 녹화 구간 설정되고(S 11), 상기 비디오 재생기(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캡춰부(13)에 의하여 MPEG 타입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S 12), 메모리(15)에 저장되고(S 13), 동시 또는 추후에 상기 비디오 캡춰부(13)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18)에 의하여 재생되어(S 14), 제어부(20) 및 비디오 엔코더(26)를 통하여 모니터(27)에 표시된다. 여기서,상기 메모리(15)는 HDD와 같은 대용량 메모리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조작 패널(24)에 의한 제어부(20)의 제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 패널(2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27)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의 장면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죠그셔틀(24a), 시스템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주는 온/오프 버튼(24b), 상기 비디오 캡춰부(13)를 통하여 비디오 재생기(11)의 출력이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5)에 저장시켜 주는 녹화 버튼(24c),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시켜 주는 재생 버튼(24d),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모션에 타이밍 마크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밍 설정 버튼(24e), 상기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5)에 재 저장하는 설정 저장 버튼(24f)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죠그셔틀(24a), 온/오프 버튼(24b), 녹화 버튼(24c), 재생 버튼(24d), 타이밍 설정 버튼(24e), 설정 저장 버튼(24f)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I/O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2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은 ROM(22)에 저장되며, 상기 ROM(22)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상기 조작 패널(24)의 상기 죠그셔틀(24a), 온/오프 버튼(24b), 녹화 버튼(24c), 재생 버튼(24d), 타이밍 설정 버튼(24e), 설정 저장 버튼(24f)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설명과 같이 상기 비디오 캡춰부(13)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기(1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상기 메모리(15)에 저장하고, 상기 재생 버튼(24d)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니터(27)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타이밍 마크를 설정할 위치가 되면 해당 위치에 타이밍 마크를 상기 타이밍 설정 버튼(24e)을 이용하여 입력한다(S 14∼S 16).
타이밍 마크가 입력되면, 이를 동영상 데이터에 합성하고, 상기 설정 저장(24f)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15)에 재 저장한다(S 17).
이 때,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타이밍 마크 신호를 합성하는 비디오 프로세서(18)는 RAM 등으로 구성된 버퍼 메모리(16)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타이밍 마크 신호가 합성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메모리(15)로부터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18)에 로드하여 재생하여, 비디오 엔코더(26)로 출력하여 모니터(27)를 통해 표시하면서(S 18), 타이밍 마크 신호가 검출되면(S 19), 이를 상기 알람부(2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 20).
상기 타이밍 마크의 검출 및 알람 과정은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S 21).
상기 알람부(28)는 사용자에게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므로, 예를 들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모니터(27)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일부를 분할하여 재생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영상 윈도우(27a)와, 상기 동영상 윈도우(27a)의 하단에 형성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을 표시해 주는 타이밍 윈도우(27c)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 윈도우(27c)에는 동영상의 재생 타이밍 차트가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맞게 표시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타이밍 설정 버튼(24e)을 통하여 설정한 타이밍 위치에 타이밍 마크(27d)를 표시해 준다.
따라서, 동영상 윈도우(27a)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 모션(27b)이 재생될 때에 타이밍 마크(27d)가 설정된 특정 모션에서 상기 알람부(28)를 통하여 알람이 발생하며, 사용자는 이 알람을 들으면서 해당 동작을 행하면 된다.
이는 골프 스윙 연습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골프채를 들고 백 스윙한 후에 연속적으로 스윙 동작을 한 후에 티 위에 놓인 골프 공을 타격할 때에 정확한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점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모션 티칭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골프, 야구, 탁구 등과 같이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인 모션 변화가 필요한 각종 스포츠 동작을 연습할 때에 모션의 일정 시점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의 운동 동작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모션에서 특정 모션의 타이밍을 알려 주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비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캡춰부와;
    상기 비디오 캡춰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모션 중에서 특정 모션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타이밍 마크를 조합하여 다시 저장하고, 이를 다시 재생하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의 주사 방식에 맞는 신호로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엔코더와;
    상기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모션이 재생되면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려 주는 알람부와;
    상기 비디오 캡춰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타이밍 마크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고, 타이밍 마크 신호가 합성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타이밍 마크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보면서 모션을 수행할 때에, 동영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모션 중에서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특정 모션이 재생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알람을 통하여 특정 모션의 타이밍을 인식하면서 사용자 모션의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재생기는 비디오 카메라와 비디오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와 비디오 프로세서 사이에는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퍼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캡춰부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재생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재생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비디오 프로세서에 의하여 재생될 때에 재생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도중에 특정 모션에서 사용자가 타이밍 마크를 입력할 수 있는 타이밍 설정 버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타이밍 마크가 설정되어 생성된 것을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는 설정 저장 버튼과, 상기 녹화 버튼 재생 버튼 타이밍 설정 버튼 설정 저장 버튼의 출력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켜 주는 I/O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5. 정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모션이 기록된 동영상을 보면서 사용자의 모션 타이밍을 교정 또는 유지하기 위한 모션의 타이밍을 알려 주는 방법에 있어서,
    일련의 동작이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타이밍 마크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동영상 재생 요청에 따라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동영상의 재생 도중 사용자가 설정한 타이밍 마크가 검출되면 해당 시점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타이밍 마크가 설정된 특정 모션이 재생될 때에 사용자가 설정한 시점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인식하면서 사용자의 모션 타이밍을 보정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타이밍 알람 방법.
KR10-2001-0033288A 2001-06-13 2001-06-13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88A KR100409179B1 (ko) 2001-06-13 2001-06-13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88A KR100409179B1 (ko) 2001-06-13 2001-06-13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093A KR20010079093A (ko) 2001-08-22
KR100409179B1 true KR100409179B1 (ko) 2003-12-24

Family

ID=1971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88A KR100409179B1 (ko) 2001-06-13 2001-06-13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1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474A (ja) * 1993-04-21 1994-11-04 Taihei Giken Kogyo Kk 画像処理装置
JPH10127850A (ja) * 1996-11-01 1998-05-19 Soritsudorei Kenkyusho:Kk ゴルフ練習補助装置
KR19980026347A (ko) * 1996-10-09 1998-07-15 김태용 골프 스윙자세 자동 촬영장치
JPH10263126A (ja) * 1997-03-27 1998-10-06 Nec Software Ltd パソコンを使用した運動の姿勢の分析装置
KR200180087Y1 (ko) * 1999-11-18 2000-04-15 김광배 골프자세 교정 장치
KR20010105012A (ko) * 2000-05-18 2001-11-28 황상용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474A (ja) * 1993-04-21 1994-11-04 Taihei Giken Kogyo Kk 画像処理装置
KR19980026347A (ko) * 1996-10-09 1998-07-15 김태용 골프 스윙자세 자동 촬영장치
JPH10127850A (ja) * 1996-11-01 1998-05-19 Soritsudorei Kenkyusho:Kk ゴルフ練習補助装置
JPH10263126A (ja) * 1997-03-27 1998-10-06 Nec Software Ltd パソコンを使用した運動の姿勢の分析装置
KR200180087Y1 (ko) * 1999-11-18 2000-04-15 김광배 골프자세 교정 장치
KR20010105012A (ko) * 2000-05-18 2001-11-28 황상용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093A (ko)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742A (en) Method for teaching body motions
US8848058B2 (en) Method for analyzing the motion of a person during an activity
JP4646209B2 (ja) 実技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47070A1 (en) Swing position recognition and reinforcement
JP4784538B2 (ja) ダイジェスト画像表示装置、ダイジェスト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55416A1 (en) Choreographed athletic movement to music
JP4264368B2 (ja) 実技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63251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407345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00033205A (ko) 골프연습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00210A (ja) 野球におけるスコアメイカーシステムと、自動編集システムと、動作分析システムよりなる情報処理の方法
JP2005034195A (ja) 講習支援システム及び講習支援方法
KR100409179B1 (ko)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9893A (ko) 스포츠 자세 교습용 영상 시스템
KR101888164B1 (ko) 골프 중계 방송 영상의 스트리밍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WO2021187193A1 (ja) 球技映像解析装置、球技映像解析システム、球技映像解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77019A (ko) 스포츠 진행 시뮬레이터
JP5240317B2 (ja) ダイジェスト画像表示装置、ダイジェスト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4224778A (ja) スポーツ用品選択装置
KR100481203B1 (ko) 동영상 골프 연습기
JP3629558B2 (ja) 画像練習装置
JP2000296268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0563475B1 (ko) 자기 모션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모니터링 방법
KR200292214Y1 (ko) 동영상 골프 연습기
WO20221979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an athletic motion by an individu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