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012A -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012A
KR20010105012A KR1020000026595A KR20000026595A KR20010105012A KR 20010105012 A KR20010105012 A KR 20010105012A KR 1020000026595 A KR1020000026595 A KR 1020000026595A KR 20000026595 A KR20000026595 A KR 20000026595A KR 20010105012 A KR20010105012 A KR 2001010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swing
analysis
data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용
Original Assignee
황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용 filed Critical 황상용
Priority to KR102000002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012A/ko
Publication of KR2001010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를 포함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장면별로 소정 갯수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기본 스윙 자세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생성한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웹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시스템상에서 제공하는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되어 비교 분석된 자신의 스윙 자세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없이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GOLF SWING COMPARATIVE ANALYSIS VISUAL SYSTEM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골프 동호인에게 영상으로 개인 스윙 분석 및 골프 스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골프는 대중 스포츠로써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신체 및 정신 건강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스포츠로써 인식되어졌다. 골프 경기는 경기 운영 방식에 따라 18홀을 3라운드 또는 4라운드로 거치고, 이를 종합하여 최저 타수를 기록한 골퍼가 승자가 되는데 이렇게 많은 홀을 라운딩하기 때문에 집중력 및 신체적인 건강, 정확도 등에서 승패가 좌우된다. 더우기, 골프는 골퍼의 스윙 자세에서 그 정확도가 많이 좌우되며, 특히 비거리나 정확도는 바른 자세에서 정확히 타격을 해야만 원하는 비거리 및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골프 자세 교정 방법을 살펴보면, 스윙 연습자가 자신의 스윙 연습 모습을 녹화하여 스윙 연습자가 직접 집에서 자신의 스윙 자세를 연구함으로써 스윙 자세를 교정하거나 혹은 본부에 위치한 지도자가 각 스윙 연습실에서 연습하는 스윙 연습 자세를 관찰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각 스윙 연습자에게 자신의 교정 지시를 전달하여 교정하는 방법(제목 "골프 스윙 분석 장치"의 대한 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96-6959호 참조)과, 핀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수평 상태를 유지해야 되는 부분에 백스윙 감지 센서와 다운 스윙 감지 센서를 부설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 스윙시 수평 상태의 유지를 골퍼에게 경고음으로 알려주어 스윙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제목 "골프 자세 교정 장치 및 그 방법"의 대한 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0-0012287호 참조)과, 다음의 도 1에 나타낸 제목 "골프 티샷 스윙 모션 분석 시스템"의 대한 민국 등록 특허 제0126443호와 같은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한 민국 등록 특허 제0126443호에서는 영상 분석용 센서(CCD 카메라 : 401)로부터 촬영된 스윙 자세를 특정 영역의 명도 정보와 시간 보간법을 이용하여 스윙 자세 교정에 필요한 특징 프레임을 추출하는 티샷 모션 영상 분석용 컴퓨터 및 체중 이동 분석용 센서(전자 저울 : 301, 302)와 타구 분석용 센서(광센서 배열)로부터 감지된 스윙 템포, 클럽 헤드의 속도, 스윙 패스, 임팩트 포인트, 클럽 페이스를 계산하는 체중 이동 분석 및 타구 분석용 컴퓨터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직접 교정 지시를 하는 것, 경고음을 발생하여 스윙 자세를 교정하는 것 및 지정된 장소에서 분석용 컴퓨터에 연결된 센서로부터 스윙 자세를 분석하는 방법과 같은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막대한 물적 ·인적 자원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 없이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받기 위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티샷 스윙 모션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비교 분석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드라이브 정면의 스윙 분석을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드라이브 옆면의 스윙 분석을 위해 나타낸 도면.
도 7은 아이언 정면 스윙 분석을 위해 나타낸 도면.
도 8은 아이언 옆면 스윙 분석을 위해 나타낸 도면.
도 9는 프로와 연속 동작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10은 프로와 스윙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11은 분석에 따른 훈련 사항을 체크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3 : 제어부
5 : 입력부
7 : 출력부
9 : 메모리부
11 : 데이터 처리부
13 : 영상 편집부
15 : 스윙 분석부
17 : 수치화 처리부
19 : 비교 분석부
21 : 인터넷
23 : 촬영부
25 : 원격지의 사용자 컴퓨터
27 : 원격지의 프로 골퍼 컴퓨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를 포함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장면별로 소정 갯수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기본 스윙 자세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생성한 개인 스윙분석 데이터를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웹서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시스템상에서 제공하는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이에 대하여 아래에 자세히 후술됨)되어 출력되는 자신의 스윙 자세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없이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인터넷 상에서 원격지의 프로 골퍼에 의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원격 강의 지원 서버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된 자신의 스윙 자세를 토대로 전문 프로 골퍼로부터 실시간으로, 그리고 대화형으로 스윙 자세 교정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교정 교육이 더욱 효과적이고 쉬워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 가능한 데이터로 전환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동작 장면을 소정 갯수 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장면을 비트맵 이미지로 캡쳐하며, 캡쳐된 비트맵 이미지를 압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영상 편집부와; 상기 영상 편집부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된 각 장면의 스윙 자세에 대한 평가 내용을 오버랩하여 기록 가능하게 하는 스윙분석부와; 상기 영상 편집부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된 상기 각 장면의 스윙 자세에 대한 항목별 수치를 산출하는 수치화 처리부와;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와 미리 기억된 복수 개의 프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연속 동작으로 비교 출력하는 비교 분석부를 구비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가 편집되어 평가되는 동시에 수치화되어 다른 전문 골퍼의 스윙 자세와 비교 분석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자신의 스윙 자세를 교정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은 상기 스윙 자세의 평가 내용, 스윙 자세의 항목별 수치 및 비교된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윙 자세를 교정 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또는 골프 동호인)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스윙 분석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함으로써,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 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스윙 자세에 대하여 교정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이 드러날 것이다. 한편,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는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의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1)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이거나 혹은 웹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또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와 프로 골퍼 등과의 커뮤니티가 가능하도록 홈페이지가 시스템 내에 구축되어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어부(3), 입력부(5), 출력부(7), 메모리부(9), 데이터 처리부(11), 영상 편집부(13), 스윙 분석부(15), 수치화 처리부(17) 및 비교 분석부(19)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5)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는 필드 또는 골프 연습장 등지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자신의 스윙 자세가 여러 각도로 촬영되어 생성된 데이터로서, 원격지에서 인터넷 회선을 경유하여 수신되거나 혹은 별도의 입력 장치에 의해 직접 입력부(5)에 입력될 수 있다.
참고로, 인터넷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전용선을 이용하거나, ADSL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전용선을 이용할 경우 가격은 비싸지만 고정적인 IP가 부여되고 안정적인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ADSL을 이용할 경우 저렴한 유지비와 빠른 전송 속도를 갖고는 있지만 접속할때마다 IP가 변경되기 때문에 자료를 보내고 받는 것에 대해 고유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 스윙 자세 분석을 위해서는 PC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분할 캡쳐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은 PC 카메라가 아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PC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콘트롤할 필요가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보통의 윈도우용 동영상 포맷만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드라이버를 콘트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예컨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에는 카메라를 이용하기 위한 방식을 저장해 놓은 AVICAP와 관련된 API들이 존재하며, 윈도우는 이러한 API 들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하드웨어 버전 및 방식등을 읽어와 그 내용을 컴퓨터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한 형태에서 캡쳐하여 표시한다. 이 때, PC용 카메라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콘트롤하여야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작된 윈도우 매디아 디스플레이어와 같은 리얼 플레이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드라이버를 콘트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데이터 처리부(11)는 입력부(5)를 통해 수신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인 AVI, ASF 등으로 전환한다. 예컨데, 윈도우 상에서 AVI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카라세나(CARACENA)사로부터 제조된 프로그램인 "AVI Constructor"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쉽게 AVI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영상 편집부(13)는 데이터 처리부(11)에 의해 전환된 AVI, ASF 형태의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동작 장면을 예컨데, 12 장면으로 분할하여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의 전체 길이를 몇등분으로 구분할 것인가를 결정하면 결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분할 시간을 계산하고 그 시간에 자동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80초 정도의 동영상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에 8분할을 설정하면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10초 단위로 동영상의 화면을 8개로 분할한다.
또, 영상 편집부(13)는 소정 갯수로 분할된 장면을 비트맵 이미지로 캡쳐한다. 이와 같이 비트맵 이미지로 캡쳐하는 것은 비록 용량은 크지만 윈도우라는 운영 체제에서 그 콘트롤이 쉽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95, 98, 98SE 등 모든 윈도우 운영 체제의 기본 동영상 포맷과 그림 포맷은 AVI와 BMP이다. 이 두가지 포맷은 다른 포맷에 비해 용량은 크지만 윈도우라는 운영 체제에서 콘트롤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AVI 형태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동영상은 그림들의 연속을 연이어 보여주는 것으로, 이것은 1초에 바뀌는 그림의 장면수와 같다. 실제적으로 25 프레임 이상되는 동영상은 실제 움직임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을 캡쳐한다는 의미는 상기한 프레임을 캡쳐하는 것과 동일하다. 캡쳐된 프레임은 하드웨어에 직접 저장되지 않고 우선적으로 클립보드(clipboard)라는 윈도우의 기본 버퍼로 옮겨진다. 그 이유는, 캡쳐된 프레임을 곧바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을 하는 시간 동안 이동되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콘트롤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하드디스크 보다 속도가 빠른 메모리에 상주하는 버퍼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는 지정된 분할 갯수 만큼의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취하여 하나씩 파일로 저장한다. 본 발명은 이 때에 저장되는 파일을 BMP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BMP 파일은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있고, 또 하나의 점과 점이 이루어져 하나의 그림을 만들어내는 형태로서 점의 위치 및 상태 값의 변경만으로도 쉽게 그림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마우스를 이용해서 해당 부분을 클릭하고 해당 부분을 빨강색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에 그 마우스 좌표에 위치한 점의 색만 변경을 해 준다면 손쉽게 그림을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BMP 형태로 저장된 장면들은 프로 골퍼에 의한 레슨시에 수정이 쉽다.
이와 같이, AVI 파일이 BMP 파일로 캡쳐된 후, 윈도우 상의 그림판에서 프로 골퍼에 의해 수정되면, JPG 파일의 형태로 압축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스윙 분석부(15)는 영상 편집부(13)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된 각 장면의 스윙 자세에 대한 평가 내용을 오버랩하여 기록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의 관리자 또는 프로 골퍼는 메모리부에 편집되어 저장된 그림 파일을 불러내기 하여 그림 파일에 첨부된 빈공란에 각 스윙 자세에 대한 평가 내용을 문자로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수치화 처리부(17)는 메모리부에 편집되어 저장된 그림 파일을 기초로하여 어드레스, 백스윙탑, 임펙트, 피니쉬와 같은 구분 동작 별로 예컨데, 옆기울기, 스탠스, 볼위치, 스윙 센터, 안정성, 앞기울기, 허리와 클럽의 각도 및 어깨와 무릅의 정렬 각도등을 자동으로 수치화하여 표시한다.
비교 분석부(19)는 스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어드레스, 백스윙탑, 임펙트, 피니쉬 자세에서 개인과 프로의 자세를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개인이 쉽게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 스윙을 객관적으로 데이터 처리하도록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와 미리 기억된 복수 개의 프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연속 동작으로 비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3)는 인터넷을 경유한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스윙 자세의 평가 내용, 스윙 자세의 항목별 수치 및 비교된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출력부(7)를 통해 자동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제공하며, 각 분석 사항들을 종합하여 개인 스윙 중에서 가장 문제가 있는 스윙 자세를 제시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 출판이란, 시스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파일들을 문서와 함께 콘트롤하여 일정 모양으로 편집된 상태로 출력하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시스템 내에 간단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에디터를 만들어 그 에디터를 이용해서 일정 형태의 HTML 템플릿을 주고 이에 따라 그림을 배치해 출력하는 것이다.
도 3은 인터넷에 연결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인터랙티브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인터넷상에 연결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은인터넷(21)에 접속된 원격지 촬영부(23)와, 원격지 사용자 컴퓨터(25)와, 원격지 프로 골퍼 컴퓨터(27)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1)은 원격지 촬영부(23)에서 디지털 카메라(23)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장면별로 소정 갯수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기본 스윙 자세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생성한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27)를 통해 시스템에 구축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되어 비교 분석된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 볼 수 있게 된다.
또,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1)은 원격 강의 지원 서버(도시되지 않았음)가 구축되어 있다. 원격 강의 지원 서버는 사용자의 정보 관리, 동영상, 그림, 문서 등의 공유 및 전송 기능을 갖고, 원격지의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 그리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콘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21) 상에서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원격지의 프로 골퍼(27)에 의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25)에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원격지의 프로 골퍼로부터 자신의 스윙 자세에 대한 교정 교육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일로서 다운로드하여 오프라인 상태에서 언제든지 실행하여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비교 분석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29에서는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받기를 희망하는 골프 동호인의 요청에 의해 필드 또는 골프 연습장 등지에서 해당 고객의 골프 스윙 동작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다. 촬영시에는 비교 분석되기를 희망하는 자세를 촬영한다. 기본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 정면 스윙 모습, 드라이브 옆면 스윙 모습, 아이언 정면 스윙 모습 및 아이언 옆면 스윙 모습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촬영하는 것이 좋다.
단계 31에서는 촬영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 처리가 용이하도록 특정한 동영상 파일로 전환시킨다.
단계 33의 편집 과정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분되어 촬영된 각 영상을 장면에 따라 12 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장면에 따른 교정 내용을 빈공란에 오버랩하여 기록한 데이터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비교하기를 희망하는 프로 골퍼의 스윙 동작과 자신의 스윙 동작을 중첩하여 비교 분석한 데이터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의 기울기, 스탠스, 볼위치, 스윙 센터 등과 같은 항목별로 구분되어 수치화된 데이터에 의해 비교 분석한 데이터와, 도 11과 같이 최종 분석에 따른 키 포인트 사항과 중점 연습 사항을 제시한 데이터로서 편집되어 메모리부에 각각 저장된다.
단계 35에서는 단계 33에서 편집된 데이터가 통합되어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단계 37에서는 사용자가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에 구축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각 개인의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실행함으로써,도 5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틀을 갖춘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되어 비교 분석된 자신의 스윙 자세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시스템상에서 제공하는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되어 비교 분석된 자신의 스윙 자세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및 시간적 제한없이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된 자신의 스윙 자세를 토대로 전문 프로 골퍼로부터 실시간으로, 그리고 대화형으로 스윙 자세 교정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교정 교육이 더욱 효과적이고 쉬워진다.
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자신의 골프 스윙 자세가 편집되어 평가되는 동시에 수치화되어 다른 전문 골퍼의 스윙 자세와 비교 분석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자신의 스윙 자세를 교정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범위를 이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치환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윈도우의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윈도우 이외에 OS/2, VMS, UNIX,Linux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이 지원되는 모든 컴퓨터 운영 체제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영상 데이터를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12 장면으로 분할하는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분석 사항 및 장면을 고려하여 8 및 6 장면 또는 20장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이하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를 포함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장면별로 소정 갯수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기본 스윙 자세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생성한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웹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인터넷 상에서 원격지의 프로 골퍼에 의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강의 지원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3.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 가능한 데이터로 전환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동작 장면을 소정 갯수 만큼 분할하고, 분할된 장면을 비트맵 이미지로 캡쳐하며, 캡쳐된 비트맵 이미지를 압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영상 편집부와;
    상기 영상 편집부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된 각 장면의 스윙 자세에 대한 평가 내용을 오버랩하여 기록 가능하게 하는 스윙 분석부와;
    상기 영상 편집부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된 상기 각 장면의 스윙 자세에 대한 항목별 수치를 산출하는 수치화 처리부와;
    상기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와 미리 기억된 복수 개의 프로 골프 스윙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연속 동작으로 비교 출력하는 비교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은 상기 스윙 자세의 평가 내용, 스윙 자세의 항목별 수치 및 비교된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개인 스윙 분석 데이터를 전자 출판의 형태로 편집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KR1020000026595A 2000-05-18 2000-05-18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KR20010105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595A KR20010105012A (ko) 2000-05-18 2000-05-18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595A KR20010105012A (ko) 2000-05-18 2000-05-18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012A true KR20010105012A (ko) 2001-11-28

Family

ID=4581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595A KR20010105012A (ko) 2000-05-18 2000-05-18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0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079A (ko) * 2001-01-26 2002-08-01 (주)맥컴정보기술 인터넷 골프교실 운영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97551B1 (ko) * 2001-04-04 2003-09-17 김상훈 골프 연습 시스템
KR100409179B1 (ko) * 2001-06-13 2003-12-24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1417B1 (ko) * 2000-08-07 2005-04-08 노아텍이엔지(주) 영상기술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0863055B1 (ko) * 2007-02-23 2008-10-13 프림포주식회사 영상분석에 기반한 태권도 학습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347A (ko) * 1996-10-09 1998-07-15 김태용 골프 스윙자세 자동 촬영장치
KR200143330Y1 (ko) * 1996-04-26 1999-06-01 박혁기 골프 스윙 자세 비교장치
KR20010102751A (ko) * 2000-05-08 2001-11-16 정진구 동영상을 이용한 골프레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330Y1 (ko) * 1996-04-26 1999-06-01 박혁기 골프 스윙 자세 비교장치
KR19980026347A (ko) * 1996-10-09 1998-07-15 김태용 골프 스윙자세 자동 촬영장치
KR20010102751A (ko) * 2000-05-08 2001-11-16 정진구 동영상을 이용한 골프레슨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417B1 (ko) * 2000-08-07 2005-04-08 노아텍이엔지(주) 영상기술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20020063079A (ko) * 2001-01-26 2002-08-01 (주)맥컴정보기술 인터넷 골프교실 운영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97551B1 (ko) * 2001-04-04 2003-09-17 김상훈 골프 연습 시스템
KR100409179B1 (ko) * 2001-06-13 2003-12-24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모션 타이밍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3055B1 (ko) * 2007-02-23 2008-10-13 프림포주식회사 영상분석에 기반한 태권도 학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EP1907076B1 (en) A method for analyzing the motion of a person during an activity
US201803574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arget motion, capturing motion, analyzing motion, and improving motion
US20180315329A1 (en) Augmented reality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tion captured virtual hands
JP2852925B2 (ja) 肉体的運動熟達教育用システム
US20110039659A1 (en) User-Participating Type Fitness Lecture System and Fitness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JP4646209B2 (ja) 実技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6881067B2 (en) Video instructional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motor skills
US20080090679A1 (en) Video instructional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motor skills
US20050119036A1 (en) Input system and method
JPH11339009A (ja) 解析データ生成装置
US20040162154A1 (en) Kinetic motion analyzer
JP6165815B2 (ja) 学習システム、学習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hen et al. Using real-time acceleration data for exercise movement training with a decision tree approach
EP308944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WO2018069985A1 (ja) 採点支援プログラム、採点支援装置および採点支援方法
WO2019153053A1 (en) A system for recorded e-book digital content playout
EP1515782A2 (en) An athletic game learning tool, capture system, and simulator
JP2005034195A (ja) 講習支援システム及び講習支援方法
KR20010105012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골프 스윙 비교 분석 비쥬얼 시스템
WO20010286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 physical skill
JP2002248194A (ja) ゴルフ練習用クライアント・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863055B1 (ko) 영상분석에 기반한 태권도 학습시스템
KR102027877B1 (ko) 댄스 싱크로 분석 및 랭킹 결정 시스템
KR20210149478A (ko) 매트영상 제공 방법, 매트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