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632B1 -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632B1
KR100408632B1 KR10-2000-0042268A KR20000042268A KR100408632B1 KR 100408632 B1 KR100408632 B1 KR 100408632B1 KR 20000042268 A KR20000042268 A KR 20000042268A KR 100408632 B1 KR100408632 B1 KR 10040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filament yarn
thin plate
zigz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058A (ko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석 filed Critical 최민석
Priority to KR10-2000-004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6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재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조 사용케 하므로서 과일의 당도 및 성장을 향상케하며, 또한 공기의 유통은 가능케 하되, 빗물이나 해충의 침투는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를 고른 간격으로 지그재그 배시되게 한 다음 요입부가 형성된 열압착롤러로 열압착하므로서, 필라멘트사가 열융착되면서 비닐화되게 한 투명박판을 제조하되, 상기 투명박판상에는 열압착롤러의 요입부에 의해 융착되지 아니한 통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하여 소재를 얻고,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작, 사용케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Material for the fruit protective pack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조 사용할 경우 봉지를 찢지 않고 육안으로 과일의 성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아니라, 햇빛이투과되어 과일의 성장촉진 및 당도를 증진시키고, 또한 빗물이나 해충 등 기타 이물질의 침투는 차단하되, 내부의 유해가스나 열기는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복숭아, 귤, 포도, 배 등과 같은 과일의 경우 외면에 보호용 봉지를 씌워 양질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되고 있는 보호용 봉지의 구성이 대부분 불투명한 종이, 혹은 부직포를 봉지형태로 하여 사용한 것이거나 일부과일의 경우 원통형의 편지를 절단하여 과일의 외면을 씌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불투명재질로 구성된 봉지가 햇빛을 차단하게 되므로 과일의 당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성장이 둔화되는 단점과 유해한 자외선의 차단은 기대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수확기에는 과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봉지를 일일이 찢거나 벗겨봐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러한 확인 작업은 과일의 익어 가는 상태가 과수목 한 그루에서도 위치와 방향에 따라 다르고, 또한 과수목이 과수원에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도 다르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번 사용한 보호용 봉지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햇빛이 투과될 수 있게 투명비닐로 봉지를 만들고, 봉지에 통기공을 뚫어 공기유통이 가능케 할 수도 있으나 통기공을 통하여 해충이 침투하여 과일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빗물 등이 유입되는 폐단이 있어 이상적인 과일보호용 봉지로서의 기능은 기대하기가 힘든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과일보호용 봉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봉지를 씌운 상태에서 햇빛이 투과되게 하되 유해한 자외선은 차단케 하여 과일의 당도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보호용 봉지상에 등간격으로 통기부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은 가능케 하되, 해충이나 빗물의 유입은 차단케 하는 이상적인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소재를 제공하고,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작 사용케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천 가닥의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를 지그재그로 고르게 펼쳐지게 한 다음, 열압착롤러로 가압하므로서 수천 가닥의 필라멘트사들이 융착되면서 비닐화된 투명박판을 제조하되, 상기 투명박판상에는 등간격으로 융착되지 않은 통기부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소재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섬유 필라멘트사의 방사시에는 방사원액상에 자외선차단제나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투입하여 필라멘트사를 제조,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수천 가닥의 필라멘트사가 지그재그로 펼쳐진 상태에서 열압착롤러로 비닐화하는 과정에서 통기부가 형성되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열압착롤러에 요입부를 구성하여 가압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사용되는 필라멘트사는 가능한 투명한 것이 이상적이나 반투명도사용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
도 1 : 본 발명의 소재 제조를 위하여 필라멘트사를 지그재그로 배시한 상태
도.
도 2 : 도1의 필라멘트사를 열압착하여 비닐화가 되게 하는 공정도.
도 3 : 도2의 공정을 거친 소재의 평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통기부의 요부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투명박판 (2)--필라멘트사
(4)--열압착롤러 (6)--통기부
(8)--요입부 (10)--소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칩을 용융조내에 투입, 용융하여 방사원액을 얻는다.
상기 용융조에 합성수지칩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자외선차단제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분말소재와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상기 방사원액을 수천 개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되게 하면서 방사된 필라멘트사(2)가 도1에서와 같이 근접되게 촘촘한 간격으로 지그재그 평활하게 배시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2에서와 같이 열압착롤러(4)를 이용하여 필라멘트사(2)상면을 열압착하므로서 수천 가닥의 필라멘트사(2)가 열융착되면서 비닐화되게 하여 투명박판(1)을 제조하되, 상기 투명박판(1)상에는 도3에서와 같이 등간격으로 비닐화되지 아니한 통기부(6)가 형성되게 하여 과일보호용 봉지소재(10)를 얻는다.
이때 열압착되지 아니한 통기부(6)는 수가닥의 필라멘트사(2)가 지그재그로 엉켜져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은 가능하나 해충이나 빗물은 차단된다.
상기에서 비닐화된 소재(10)에 구성되는 통기부(6)의 형성은 열압착롤러(4)상에 요입부(8)를 구성하여 필라멘트사(2)가 가압되게 하므로서 요입부(8)에 의해 통기부(6)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며, 통기부(6)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재(10)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과 같이 과일보호용 봉지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재(10)를 이용하여 통상의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조한 다음 과일의 외면에 씌워 보호용 봉지로 사용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고안의 소재(10)로 제조한 과일보호용 봉지는 투명 혹은 반투명의 필라멘트사(2)를 열압착하여 비닐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중 햇빛이 과일보호용 봉지를 투과하여 과일의 표면을 직접투시하게 되므로 과일의 당도가 높아질뿐 아니라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10)제조시 자외선차단제를 투입하게 될 경우에는 과일의 성장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소재(10)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작 사용하게 되면 소재(10)가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봉지를 일일이 찢거나 벗겨볼 필요없이 과일의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할뿐 아니라 최적의 상태에서 과일을 선별하여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소재에 구성된 통기부(6)는 사용중 봉지내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나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빗물이나 해충은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통기부(6)는 열압착되지 아니한 수가닥의 필라멘트사(2)가 지그재그로 엉켜있어 빗물 등은 내부로 침투되지 아니하나, 공기의 유동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라멘트사의 방사시 칩과 함께 기능성 첨가제 즉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분말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게 되면 보호용 봉지의 사용시 소재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과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와 함께 병해충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봉지는 한번 사용한 다음 재차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소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천개의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사를 직접 지그재그로 배치하지 않고, 이미 제조된 필라멘트사를 지그재그로 배치한 다음 열압착하여 소재를 얻을 수도 있으며, 필라멘트사가 아닌 절단된 단섬유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열압착하여 소재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천 가닥의 투명 및 반투명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를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한 다음 열압착하여 비닐화되게 하되 등간격으로 통기부가 형성되게 한 소재를 얻고,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과일보호용 봉지를 제작. 사용케하므로서, 과일의 당도 증가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될뿐 아니라 통기공을 통하여 통기는 이루어지게 되나 빗물이나 유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한번 사용한 봉지는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합성섬유 필라멘트사(2)를 서로 근접되게 촘촘한 간격으로 지그재그 평활하게 배시한 다음 요입부(8)가 형성된 열압착롤러(4)를 이용하여 열압착하므로서 필라멘트사(2)가 융착, 비닐화된 투명박판(1)을 얻고, 상기 투명박판(1)상에 부분적으로 필라멘트사(2)가 융착되지 아니한 통기부(6)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제조를 위한 소재.
  2.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를 서로 근접되게 촘촘한 간격으로 지그재그 평활하게 배시한 다음 요입부가 형성된 열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열압착하므로서 열압착롤러의 표면에 의해 필라멘트사가 융착, 비닐화된 투명박판을 얻고, 상기 투명박판상에 열압착롤러의 요입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필라멘트사가 융착되지 아니한 통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봉지 제조를 위한 소재의 제조방법.
KR10-2000-0042268A 2000-07-22 2000-07-22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100408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68A KR100408632B1 (ko) 2000-07-22 2000-07-22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68A KR100408632B1 (ko) 2000-07-22 2000-07-22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058A KR20020009058A (ko) 2002-02-01
KR100408632B1 true KR100408632B1 (ko) 2003-12-06

Family

ID=1967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268A KR100408632B1 (ko) 2000-07-22 2000-07-22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534A (ko) * 1996-05-21 1997-03-27 최민석 농업용 반사 필름
KR19990024919A (ko) * 1997-09-09 1999-04-06 구광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171954Y1 (ko) * 1999-07-30 2000-03-15 박종선 과수봉지
KR100248939B1 (ko) * 1997-12-22 2000-06-01 최민석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잡초 성장억제용 부직포
KR20000031559A (ko) * 1998-11-07 2000-06-05 이영관 광투광성 및 박테리아 차단성이 우수한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534A (ko) * 1996-05-21 1997-03-27 최민석 농업용 반사 필름
KR19990024919A (ko) * 1997-09-09 1999-04-06 구광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48939B1 (ko) * 1997-12-22 2000-06-01 최민석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잡초 성장억제용 부직포
KR20000031559A (ko) * 1998-11-07 2000-06-05 이영관 광투광성 및 박테리아 차단성이 우수한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171954Y1 (ko) * 1999-07-30 2000-03-15 박종선 과수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058A (ko)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211B1 (ko) 농산물보호용 봉지
US20050180664A1 (en) Farm product protecting bag
KR100408632B1 (ko)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102133952B1 (ko) 농업용 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JP6980214B2 (ja) ナノラミネートフィルムが付着された果樹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2962B1 (ko) 멀칭용 다층 구조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 방법
JP2881601B2 (ja)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769001B2 (ja) 農業用シートおよび袋状物
KR100562856B1 (ko)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Z297039B6 (cs) Zpusob výroby kvetináce
KR200214120Y1 (ko) 과수봉지
KR200258402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185732Y1 (ko) 과실 및 포도 보호용 봉투
KR100600472B1 (ko) 통기성 요철부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
JPH10165010A (ja) ぶどう用笠紙
CN217012025U (zh) 一种黑肉柿双层果实套袋
KR200240918Y1 (ko) 과일봉지_
KR200221044Y1 (ko) 철핀이 열접착되어 있는 과일재배용 부직포 봉지
KR200214068Y1 (ko) 다공성필름을 이용한 과일 야채 보호용 봉투
JPH09172884A (ja) 通気性果実被覆シート
KR20000018570U (ko) 과일 재배용 봉지
KR880004423Y1 (ko) 과일 보호대
KR200166760Y1 (ko) 과실보호용커버
KR200322045Y1 (ko) 묶음끈이 구비된 폐펄프를 이용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WO2023064541A1 (en) Covers utilizing recycled polyester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