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918Y1 - 과일봉지_ - Google Patents

과일봉지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918Y1
KR200240918Y1 KR2019980022675U KR19980022675U KR200240918Y1 KR 200240918 Y1 KR200240918 Y1 KR 200240918Y1 KR 2019980022675 U KR2019980022675 U KR 2019980022675U KR 19980022675 U KR19980022675 U KR 19980022675U KR 200240918 Y1 KR200240918 Y1 KR 200240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ruit bag
bag
inle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413U (ko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아이.피
Priority to KR2019980022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9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918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과일봉지를 통풍성, 방습성, 신축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고 인장력이 강하며 색깔 및 두께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부직포로 형성함으로써, 과일의 상품가치 및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과일봉지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 형성된 과일봉지의 입구를 봉지하는 묶음부재를 과일봉지와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봉지
본 고안은 과일을 감싸는 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과일 봉지를 형성하고, 과일 봉지의 입구를 묶는 묶음부재를 과일봉지와 일체로 형성하여 과일의 수확량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과일, 예를 들어 사과, 배 및 복숭아등이 어느 정도 생육하게 되면 조류 및 해충등의 피해로부터 이들 과일을 보호하고, 광량을 조절하여 과일의 착색을 좋게 하기 위해서 과수에 달려있는 사과, 배 및 복숭아 등을 종이 재질의 과일봉지로 씌우고 과일봉지의 입구를 철핀으로 묶어 과일의 상품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 재질의 봉지를 이용할 경우 과일의 수확량 및 상품가치가 저하된다.
즉, 종이로 형성된 과일봉지는 인장력이 약하기 때문에 비와 바람 및 조류의 습격에 의해 쉽게 찢어지며, 또한 물을 쉽게 흡수하고 통풍이 좋지 않으므로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 수분 및 통풍으로 인해 과일에 곰팡이가 피거나 과일이 부패하게 된다.
또한, 종이는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과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고, 과일이 과다성장 할 경우 과일봉지가 찢어져 과일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한다.
한편, 과일봉지로는 보통 흰색 계통의 종이가 많이 사용되므로 과일봉지 안으로 입사되는 빛의 량이 저하되어 과실의 생육이 저하된다.
다른 문제점으로 종이로 제작된 과일봉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력이 약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하면 다음 해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과일을 재배하는데 원자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로 제작된 과일봉지는 물을 쉽게 흡수하기 때문에 과수에 농약을 줄 때 과일봉지가 농약을 흡수하므로 과일의 표면에 농약이 묻게 되어 인체에 해롭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종이재질의 과일봉지를 과일에 씌운 후 작업자는 한손으로 종이 봉지의 입구를 오므리고 다른 한손으로는 철핀을 이용하여 종이봉지의 입구를 묶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강한 인장력을 가지고 있고, 통풍성, 방습성, 신축성 및 빛의 투과량이 우수한 과일봉지를 사용하여 과일을 씌우므로 과일의 수확량 및 상품 가치를 증대시키고, 과일 봉지를 재활용하며, 과일의 껍질에 농약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일을 씌우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를 이용하여 과일을 씌운기를 진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과일 봉지를 이용하여 과일을 씌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봉지에 묶음부재를 끼워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과일봉지에 타이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인장력이 강하고, 신축성, 방습성 및 통풍성이 좋으며 두께와 색깔에 따라 빛을 투과시키거나 빛을 차단하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과일봉지를 제작하고 과일봉지의 입구를 봉지하기 위한 묶음부재를 과일봉지의 상단부 소정영역에 결합시킨다.
일예로, 과일봉지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묶음부재를 부착시킨다.
바람직하게, 부직포의 일측 표면에 방수처리된 종이를 더 부착하여 과일봉지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과일 봉지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이 유입되는 입구 (12)와, 과일을 감싸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된 과일봉지(10)를 섬유는 적당히 배열시킨 후 접착제나 섬유자체의 열 융착력으로 섬유를 접합시킨 부직포로 제작한다.
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의 일측 표면에 방수처리된 종이(25)를 부착하여 과일봉지(10)를 제작함으로써, 과일봉지(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방수처리된 종이(25)가 부착된 부직포(20)로 과일봉지(10)를 제작하였을 때 종이(25)는 과일봉지(10)의 안쪽 위치하며, 과일(5; 도 4b참조)이 유입되는 종이(25)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개구시켜 과일봉지의 통풍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종이(25)의 표면에는 파라핀이나 발수제가 도포되어 있어 종이(2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부직포의 종류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나일론, 폴리비닐 크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부직포로만 형성된 과일봉지(10)는 강한 인장력을 가지고있어 조류의 습격이나 비와 바람에 의해 찢어지지 않으므로 과일의 보호능력이 증대되고, 다음 해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 형성된 과일봉지(10)는 통기성, 방습성, 신축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여 습기로 인해 생성되는 곰팡이 및 균류를 억제할 수 있고, 농약이 과일의 표면에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과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냉해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 과일봉지(10)를 형성할 경우 부직포의 색깔과 두께의 조절에 따라 과일봉지(10) 내부로 입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제어할 수 있어 과일의 생육이 양호하고 과일의 착색이 우수하며, 차광이 필요한 과일과 차광이 필요하지 않는 과일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의 표면에 방수처리된 종이(25)를 부착하여 과일봉지(10)를 제작할 경우 습기의 유입을 100% 차단할 수 있어 곰팡이 및 균류가 발생되지 않아 과일(5)을 보호할 수 있고, 농약이 과일(5)의 표면에 고착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이 유입되는 입구(12)의 폭보다 과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4)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과일 씌우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과일 봉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이 유입되는 입구(12)와 과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4)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과일봉지(10)는 사각형상으로 제작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과일봉지(10)는 도 1a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만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의 일측 표면에 초음파 및 접착제(30)를 이용하여 방수처리된 종이(25)를 부착하여 과일봉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수처리된 종이(25)가 부착된 부직포(20)를 이용하여 과일봉지(10)를 만들 경우 완전한 방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과일 봉지(10)는 과일의 꼭지가 길어 과수의 가지와 과일 사이의 이격공간이 넓은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 봉지(10)로 과일을 감싼 다음에 과일(5)의 꼭지(3) 소정부분에서 묶음부재를 이용하여 과일봉지(10)의 입구를 묶는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5)의 꼭지(3)가 짧아 과수의 가지(1)와 과일(5) 사이의 이격공간이 거의 없는 과일(5)을 씌우기 위해서 제작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2)의 폭과 수용공간(14)의 폭이 동일한 과일봉지(10)에서 입구(12)의 소정부분에 가지 수용홈(16)을 소정깊이로 형성하여 가지(1)의 상부에서 과일봉지(10)의 입구를 묶는다.
바람직하게, 가지 수용홈(16)의 형상은 "V"자 형상이거나 또는 "U"자 형상이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지(10)는 부직포만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일측 표면에 방수처리된 종이를 더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입구(12)에 가지 수용홈(16)이 형성된 과일 봉지를 이용하여 과일(5), 예를 들어 복숭아를 씌우는 과정은 과일 봉지(10)를 벌려 과일봉지(10)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 봉지(10)의 입구(12)를 복숭아(5)의 하부에서 가지(1)쪽으로 상승시켜 복숭아(5)를 감싼다.
그리고, 입구(12)의 중앙에 형성된 가지 수용홈(16)에 가지를 위치시킨 후 가지(1)를 중심으로 가지의 앞쪽과 뒤쪽에 위치한 과일봉지(10)의 입구(12)를 가지 (1)의 상부에서 하나로 합친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부재를 이용하여 가지(1)의 상부에서 과일봉지(10)를 묶는다.
한편, 과일 씌우기 작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봉지(10)에 결합시키는데, 일예로 과일봉지(10)의 상단 소정영역에 접착제(50), 예를 들어, 고무접착제를 이용하여 묶음부재를 부착시킨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 봉지(10)의 상단 소정영역에 묶음부재의 면적과 동일한 2개의 삽입홀(18)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형성한 다음 과일 봉지(10)의 외측에서 묶음부재의 일단을 어느 하나의 삽입홀(18)에 끼워 과일봉지 (10)의 안쪽으로 빼낸 후에 과일봉지(10)의 안쪽으로 유입된 묶음부재의 일단을 나머지 하나의 삽입홀(18)로 빼내어 과일봉지(10)에 묶음부재를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 묶음부재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철핀(100)을 사용하는데, 철핀(100)이 부착되어 있는 면과 대향되는 과일봉지(10)의 뒤쪽으로 철핀(100)을 돌린 다음 철핀(1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비틀어 매듭 짓는다.
여기서, 철핀(100)이 공기 및 수분에 의해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철핀(100)의 표면에 보호물질을 도포한다.
바람직하게, 묶음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에 걸림부(114)가 형성되고, 표면에 요철(112)이 형성된 타이 밴드(110)이다. 여기서, 걸림부(114)에는 타이밴드(110)의 타측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홀(도시 안됨)이 형성되고, 요철 (112)과 마주보는 삽입홀의 내측에는 요철(112)과 결합되는 걸림돌기(도시 안됨)가 형성된다.
타이 밴드(110)가 결합된 과일 봉지(10)는 앞면에서 타이 밴드(11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과일 봉지(10)의 후면으로 돌린 후 타이 밴드(110)의 일측단부를 걸림부(114)의 삽입홀에 끼운 다음 타이밴드(110)의 일측단부를 잡아당기면 과일봉지의 입구가 묶여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장력이 강하고, 통풍성, 방습성, 신축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며 색깔 및 두께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과일 봉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과일의 상품가치 및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과일봉지를 재활용하여 원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물에 대해 소수성을 갖기 때문에 농약이 부직포 내부로 침투하지 못한다. 따라서, 과일의 껍질에 농약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일봉지의 입구를 봉지하는 묶음부재를 과일봉지의 상단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부직포로 형성되고, 과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과일을 감싸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과수에 달려 있는 상기 과일을 보호하며, 상기 입구를 봉지하기 위한 밴드가 상기 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입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입구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4. 제 3 항에 있어서, 꼭지의 길이가 짧은 과일을 씌우기 위해서 상기 입구로부터 가지 수용홈이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방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방수처리된 종이를 더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지.
KR2019980022675U 1998-11-20 1998-11-20 과일봉지_ KR200240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75U KR200240918Y1 (ko) 1998-11-20 1998-11-20 과일봉지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75U KR200240918Y1 (ko) 1998-11-20 1998-11-20 과일봉지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13U KR20000010413U (ko) 2000-06-15
KR200240918Y1 true KR200240918Y1 (ko) 2002-08-16

Family

ID=6950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75U KR200240918Y1 (ko) 1998-11-20 1998-11-20 과일봉지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9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10B1 (ko) * 2012-08-20 2013-12-31 (주)농협아그로 결속 타이를 포함하는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6516A (ko) 2015-07-08 2017-01-18 전미진 과일보호봉지 연화용 조성물
KR20190059877A (ko) * 2019-05-13 2019-05-31 이목형 배 재배용 봉투의 연속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 및 그로써 제조된 배 재배용 봉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10B1 (ko) * 2012-08-20 2013-12-31 (주)농협아그로 결속 타이를 포함하는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6516A (ko) 2015-07-08 2017-01-18 전미진 과일보호봉지 연화용 조성물
KR20190059877A (ko) * 2019-05-13 2019-05-31 이목형 배 재배용 봉투의 연속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 및 그로써 제조된 배 재배용 봉투
KR102022831B1 (ko) * 2019-05-13 2019-09-18 이목형 배 재배용 봉투의 연속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 및 그로써 제조된 배 재배용 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13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810A (en) Protective shroud for nursery stock
KR200240918Y1 (ko) 과일봉지_
JP2015139401A (ja) 果実保護体
JP2881601B2 (ja)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76561A1 (en) Foliage wrap thermal bag
KR200258402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186045Y1 (ko) 과일 보호용 봉투
KR20200089009A (ko) 수목보호덮개
KR200221044Y1 (ko) 철핀이 열접착되어 있는 과일재배용 부직포 봉지
KR200374053Y1 (ko) 농산물 재배용 수납봉지
KR200166863Y1 (ko) 과일보호구
KR200266319Y1 (ko) 과일재배용봉지
CN216752972U (zh) 一种水果种植用便于封口的果实套袋
JP2004057142A (ja) 果実袋
JPH0510600Y2 (ko)
CN211631114U (zh) 一种野生藤蔓苗木的果实用套袋
KR20090024316A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258520Y1 (ko) 과실보호용 봉지
KR20090005963U (ko) 끈 일체형 식용과일 보호용 봉지
KR200175069Y1 (ko) 과일재배용 보호구
KR200268474Y1 (ko) 과실수의 병충해 방지용 보호캡
KR20010058068A (ko) 동절기 가로수나 원예용묘목 보호대
KR200186126Y1 (ko) 망을 구비한 과실보호용 커버
JP2007104946A (ja) 苗保護カバー及び苗保護カバーの埋設方法
KR200175548Y1 (ko) 과실(果實)피해방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