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319Y1 - 과일재배용봉지 - Google Patents

과일재배용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319Y1
KR200266319Y1 KR2019980020257U KR19980020257U KR200266319Y1 KR 200266319 Y1 KR200266319 Y1 KR 200266319Y1 KR 2019980020257 U KR2019980020257 U KR 2019980020257U KR 19980020257 U KR19980020257 U KR 19980020257U KR 200266319 Y1 KR200266319 Y1 KR 200266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main body
cultivation bag
sides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119U (ko
Inventor
창 권 안
Original Assignee
안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권 filed Critical 안창권
Priority to KR2019980020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31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319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는 적어도 일면 이상이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로 제조되며, 그 상단 가까이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개되거나 절취선이 형성되어 본체부와 결속부로 구획된다. 본체부의 하측 주연부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되며, 결속부는 본체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본체부의 상단 중앙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목부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거나, 봉지를 완전히 횡단연장하는 절취선을 따라 본체부 상단 전부를 통해 개구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는, 별도의 부재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과일의 생장 과정에서 적절한 일광과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며, 비바람이나 농약 분무시의 분무 압력의 작용에 의한 과일 꼭지의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 재배용 봉지
본 고안은 과일의 생장 기간중 해충과 농약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봉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부재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과일의 생장 과정에서 적절한 일광과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며, 비바람이나 농약 분무시의 분무 압력의 작용에 의한 과일 꼭지의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일 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과수(果樹)는 그 생장 과정 동안 끊임없이 병충해의 위협을 받을 뿐 아니라, 그 당도나 색상 등의 품질 관리를 위해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는, 재배와 관리가 어려운 식물의 하나이다. 따라서, 과수의 생장 과정 동안 대체로 많은 양의 농약살포가 필요하며, 또한 적절한 양의 햇빛에 노출되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농약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일사량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사과, 때, 복숭아 또는 포도와 같은 과일이 과수에 열리기 시작할 때 또는 그 후 적당한 시기에, 과일에 재배용 봉지를 씌운 후 성장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일 재배용 봉지로서, 1991년 6월 29일부로 출원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 제 91-4206 호 및 각각 1994년 7월 16일, 1997년 1월 21일 및 1997년 3월 27일부로 출원 공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제 94-14169 호, 제 97-45 호 및 제 97-775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과일 봉지가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은 봉지들에서는, 모두 봉지의 일측, 즉 봉지의 개구부 측에 철사나 철심 또는 금속판 등이 내장 또는 부착되어 있고, 과수에 열린 과일을 봉지 내에 삽입한 후 이들 철사 등에 의해 봉지의 입구 측을 밀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봉지와 별도의 금속제 철사 등을 봉지에 일체로 부착 또는 삽입하기 위해서는 그 공정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제작 후에도 철사 등에 의해 봉지가 찢어지거나 금속의 부식 등으로 인한 문제점 등이 있다.
한편, 1998년 6월 15일부로 출원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 제 88-899 호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과일 보호용 씌움 봉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봉지에서는 봉지의 상단 개구부의 양면에 접착면을 형성하고 그 접착면의 일측애 끈을 매달리고 접착면에는 띠상 이형지를 부착하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끈과 이형지등이 요구되고 접착면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나 비용이 요구되는 등으로 인해 봉지의 제조 비용이 대단히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그 사용할 때에 이형지를 떼어내고 별도의 끈을 다시 묶어야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의한 과일 봉지들에서는 상부의 개구부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만 주목하고 있을 뿐, 하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모두 직사각형 모서리를 가지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과일의 형태와 과일의 보호호와는 무관한 사각형 구조를 택하는 경우, 실제 과일의 생장 과정에서 바람이나 비, 그리고 농약 분무 등이 가해질 때, 그 모서리 부분은 바람이나 분무 압력 등이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과일의 꼭지 부분에 해로운 효과가 가해지며, 또한 모서리 부분이 과일과 상당히 이격된 빈 공간 부분이 되어 그 부분에 농약, 빗물, 먼지 기타 이물질이 침투, 잔류하여 과일의 생장에 해로운 효과를 끼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봉지들에서는, 그 봉지의 소재에 대해 주목하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과일 재배용 봉지들은 대개 종이 봉지로 되어 있으나, 본 출원인은 부직포를 이용한 과일 보호용 봉지를 1994년 12월 2일부로 출원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제 96-19615 호로서 1996년 7월 18일부로 출원 공개된 바 있다. 부직포를 이용한 봉지는 종이 봉지에 비해 공기의 투과성이 좋고 적절한 투광성(透光性)을 가져 과일 재배용 봉지로서 훨씬 적합한 장점이 있는데, 다만 과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량(光量)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과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부직포가 선택될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와 부재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과일 재배용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일의 생장 과정에서 병해충과 농악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적절한 일광과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며, 비바람이나 농약 분무시의 분무 압력의 작용에 의한 과일 꼭지의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하여, 과일의 품질을 탁월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과일 재배용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과일 재배용 봉지의 개봉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과일 재배용 봉지가 과일에 씌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과일 제배용 봉지의 개봉 상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 은 도 4에 도시된 과일 재배용 봉지가 과일에 씌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과일 재배용 봉지 110, 210 : 본체부
112, 212 : 하측 주연부 113, 213 : 목부
114 : 어깨부 120, 220 : 결속부
130, 230 : 개구 140, 240 : 과일
150 : 나뭇가지 214 : 절취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적어도 일면 이상이 부직포로 제조되는 양면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일면은 본체부와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측연부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되어 하측주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측 주연부는 모서리를 가지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일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연부와 상기 하측 주연부에서 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양면 각각은 그 상단 가까이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를 통해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는 분리된 상기 결속부에 대향하는 어깨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연장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연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면 각각의 상기 어깨부는 접착 폐쇄된 반면에 상기 목부는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써는,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단 가까이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를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속부로 구획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를 통해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양 측연부까지 연장하거나, 또는 상기 목부의 형성없이 상기 절취선이 상기 봉지를 완전히 횡단 연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완전히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일 재배용 봉지를 사용할 때에는, 과수에 매달린 과일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로 수납한 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상기 결속부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과수에 매달린 채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에 수납 결속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몇가지 실시예들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배, 사과, 감등과 같은 알이 비교적 굵고 하나씩 분리하여 열리는 과일을 감싸는 데 적당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100)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100)는 두장의 부직포가 그 테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가열 접합됨으로써 제조되는 데, 상단은 직사각형의 일변(一邊)과 유사하게 양측에 두 개의 직각 모서리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서 하측 주연부(112; lower edge)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모서리를 가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방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 장의 부직포 만으로 과일 재배용 봉지(100)의 양면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과일 재배용 봉지(100)의 일면에 한장의 부직포를 이용하고, 나머지 일면은 비닐등과 같은 투명한 필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 투명 필름의 적절한 위치에는 통기구가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 과일 재배용 봉지(100)는 그 상단 가까이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개되어,본체부(110)와 결속부(120)로 분리된다. 본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하측 주연부(112)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모서리를 가지지 않으며, 본체부(110)의 상단은 그 중앙의 목부(113)에서 결속부(120)와 연결된다. 결속부(120)와 연결되는 목부(113)의 양측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분리된 결속부(120)에 대향하는 어깨부(114)가 마련된다. 어깨부(114)는 목부(113)로부터 하향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연장하여 본체부(110)의 측연부(side edge; 115)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부(113)에서 전후 두장의 부직포가 가열 접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13)에 의해 과일이 삽입되는 개구(opening; 130)가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어깨부(113)에서 전후 두장의 부직포가 가열 접착되지 않고 어깨부(114) 전체에 의해 개구(13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속부(120)의 측연부(125)는 처음부터 절개되어 있거나 또는 절결선이 형성되어 절단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결속 스트립(122)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측연부(125)를 절개하지 않은 채 결속부(120) 전체를 그대로 하나의 결속 스트립(122)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과일 재배용 봉지(100)를 사용할 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 사과, 감등과 같은 알이 비교적 굵고 하나씩 분리하여 열리는 과일(140)을, 그 생장 과정 중 적당한 시기에 나뭇가지(150)에 달린 상태에서, 개구(130)를 통해 봉지(100)에 삽입하고, 봉지(100)의 상부를 주름잡은 후, 결속 스트립(122)을 이용하여 묶어주면 된다. 따라서, 별도의 묶음끈을 마련하거나철사 또는 금속제 체결수단 등을 준비할 필요 없이 간단한 동작만에 의해 과일을 과일 재배용 봉지(100)에 의해 씌울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배, 사과 등의 과일에 봉지(100)를 씌운 상태에서, 과일은 생장을 계속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100)를 꽉 채우게 되며, 생장 과정 중에서 병충해의 공격이나 농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지(100)의 하단이나 측부, 기타 전체적인 윤곽(profile)에 있어서 모서리 부분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비, 바람이나 농약 분사에 의한 과일 쪽지에의 충격 등을 방지하고 봉지(100) 내에 농약 기타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200)의 정면도가 도시되었다. 과일 재배용 봉지(200)는 포도와 같이 알이 작은 다수의 열매가 집합한 형태의 과일(240) 용으로 적당하다. 과일 재배용 봉지(200) 역시 두장의 부직포가 그 테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가열 접합됨으로써 제조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과일 재배용 봉지(200)는 전술한 과일 재배용 봉지(100)와 마찬가지로 상단은 직사각형의 일변과 유사하게 양측에 두 개의 직각 모서리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서 하측 주연부(212)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모서리를 가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방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과일 재배용 봉지(200)는 그 상단 가까이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개되지 않고, 다만 그 상측 주연부(upper edge; 221)와 평행한 절취선(dotted line, 214)이 형성되어, 본체부(210)와 결속부(220)로 분리된다. 본체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하측 주연부(212)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모서리를 가지지 않으며, 본체부(210)의 상단은 그 중앙의 목부(213)에서 결속부(220)와 연결된다. 결속부(220)와 연결되는 목부(213)의 양측으로는 전술한 바와같은 절취선(214)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214)을 따라 결속부(220)를 분리하였을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상측에 절취선(214)을 따라 개구(230)가 형성되며, 두 가닥의 결속 스트립(222)이 형성된다. 결속 스트립(222)은 결속부(220)의 양 측연부(225)를 절취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네가닥으로 하거나, 기타의 가닥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부(213)의 형성없이 절취선(214)이 측연부(215)애서 측연부(215)까지 봉지(200)의 상부를 완전히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결속 스트립(222)은 본체부(2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봉지(200)의 결속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과일 재배용 봉지(200)를 사용할 때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포도와 같은 과일(240)의 생장 과정 중 적당한 시기에 나뭇가지(150)에 달린 상태에서, 과일(240)을 개구(230)를 통해 봉지(200)에 삽입하고, 봉지(200)의 상부를 주름잡은 후, 결속 스트립(222)을 이용하여 묶어주면 된다. 이때, 결속 스트립(222)은 도 5에서와 같이 봉지(200)와 일체로 되어 있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과일(240)에 봉지(200)를 씌운 상태에서 과일을 계속 생장시키며, 이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장점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의 과일 재배용 봉지(100, 200)는 적어도 봉지의 일면 이상이 부직포로 만들어지는데, 특히 100%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의부직포로 만들어지는 것이 적당하다. 부직포 봉지는 종이 봉지와 달리 통기성이 좋고 어느 정도 투광성도 있기 때문에 해충과 농약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함과 동시에, 과일에 적절한 양의 신선한 공기와 일광을 공급하는데 있어 종이 봉지 보다 훨씬 유리하다. 다만, 그 적절한 양의 광투과와 통기성의 확보를 위해 적절한 부직포가 선택될 것이 요구되는데, 과일 재배용 봉지는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 사과, 감등과 같은 과일용으로는 평방미터당 18 내지 45그램(g/㎡)의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포도용으로는 평방미터당 18 내지 30그램(g/㎡)의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도와 같은 과일을 위한 두번째 실시예에서의 봉지(200)의 부직포부분은 다림질과 같은 가열 압착에 의해 그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투광성을 높이고 내부의 색깔이 비치도록 하여 재배하는 기간동안 과일이 익어 가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재배용 봉지에서는, 부직포 봉지의 상부를 절결하거나 거기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끈이나 이형지 또는 금속 부재와 같은 별도의 결속수단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봉지의 결속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봉지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감소되며 금속부재로 인한 부식이나 찢어짐의 우려 등이 방지된다.
또한, 결속 작업 중에도 단순히 절취선을 따라 결속 스트립을 분리하거나 이미 분리되어 있는 결속 스트립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과일 재배 중에는 농약과 해충 등에의 노출은 완전히 방지되면서도 적절한 일광과 신선한 공기에는 용이하게 노출되어 과일의 생육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비바람이나 농약 분무시의 분무 압력의 작용에 의한 과일 꼭지에의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점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부재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과일의 생장 과정에서 병해충과 농약 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적절한 일광과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며, 비바람이나 농약 분무시의 분무 압력의 작용에 의한 과일 꼭지의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하여, 과일의 품질을 탁월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과일 재배용 봉지가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일면 이상이 부직포로 제조되는 양면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일면은 본체부와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측연부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되어 하측 주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측 주연부는 모서리를 가지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일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연부와 상기 하측 주연부에서 서로 접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양면 각각은 그 상단 가까이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를 통해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는 분리된 상기 결속부에 대향하는 어깨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연장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연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면 각각의 상기 어깨부는 접착 폐쇄된 반면에 상기 목부는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며, 과수에 매달린 과일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로 수납한 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상기 결속부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과수에 매달린 채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에 수납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양면 각각의 상단 가까이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양면 각각을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속부로 구획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를 통해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양 측연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양면 각각의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서로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며, 과수에 매달린 과일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로 수납한 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상기 결속부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과수에 매달린 채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에 수납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양면 각각의 상단 가까이에는 상기 본체부를 횡단 연장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를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속부로 구획하며, 상기 양면 각각의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서로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며, 과수에 매달린 과일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 내로 수납한 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상기 결속부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과수에 매달린 채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내에 수납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부직포는 18 내지 30g/㎡의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가열 압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재배용 봉지의 상기 양면 중 일면은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로 제조되며, 상기 양면 중 나머지 일면은 투명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재배용 봉지.
KR2019980020257U 1998-10-23 1998-10-23 과일재배용봉지 KR200266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57U KR200266319Y1 (ko) 1998-10-23 1998-10-23 과일재배용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57U KR200266319Y1 (ko) 1998-10-23 1998-10-23 과일재배용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19U KR19990004119U (ko) 1999-01-25
KR200266319Y1 true KR200266319Y1 (ko) 2002-06-24

Family

ID=6951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257U KR200266319Y1 (ko) 1998-10-23 1998-10-23 과일재배용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3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42A (ko) * 2017-05-02 2018-11-12 이효택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42A (ko) * 2017-05-02 2018-11-12 이효택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
KR101963586B1 (ko) 2017-05-02 2019-03-29 이효택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19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7115A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0266319Y1 (ko) 과일재배용봉지
JP4980498B1 (ja) 果菜類保護カバー
JP2881601B2 (ja)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3001Y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120054305A (ko) 주름 구간이 형성된 과일 봉지
KR200199901Y1 (ko) 과일재배용 봉투
KR200186045Y1 (ko) 과일 보호용 봉투
KR20120006239U (ko) 무용제 타입의 무독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과일재배용 봉지
KR100541941B1 (ko)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JP7481760B2 (ja) 果実袋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0118520Y1 (ko) 포도재배용 봉투
CN219628502U (zh) 一种水果套袋
JP3235513U (ja) 果実袋
CN210054066U (zh) 一种高效套果的育果袋
KR200210377Y1 (ko) 합성수지재 끈봉투
KR20180003449U (ko)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KR101963586B1 (ko)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
KR100494536B1 (ko) 복숭아용 과수봉투
KR101363634B1 (ko) 개방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봉지
CN209897822U (zh) 一种石榴种植用育果袋
KR100360913B1 (ko) 투명창을 형성한 포도보호봉지 및 그 제조방법
JPH0242115Y2 (ko)
KR200402902Y1 (ko) 과일 생육용 보호봉지
KR0157574B1 (ko) 과실재배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