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919A -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919A
KR19990024919A KR1019970046306A KR19970046306A KR19990024919A KR 19990024919 A KR19990024919 A KR 19990024919A KR 1019970046306 A KR1019970046306 A KR 1019970046306A KR 19970046306 A KR19970046306 A KR 19970046306A KR 19990024919 A KR19990024919 A KR 1999002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ynthetic fiber
thermoplastic
fiber nonwoven
thermoplastic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110B1 (ko
Inventor
김병동
안태환
문상엽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7004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1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2Opening bundles to space the threads or filaments from one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각종 산업용 자재로 사용되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저렴한 제조원가, 간단한 공정 및 우수한 조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혼합물(Blender)을 용융 방사하여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랜덤하게 분산하여 다공질 콘베어상에 집적시켜 웹을 제조하고, 이들 웹에 부여하여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각종 건설 자재, 농업 자재, 자동차용 자재 및 위생용품 자재 등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형태 안정성과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므로 각종 건설자재, 농업 자재, 자동차용 자재, 메디칼용 자재, 위생용 자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량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강력이 높고, 적당한 보온성, 통기성, 투습성, 흡습성 및 보수성(保水性)을 갖고, 소재와 색상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경우에는 투광성 및 차광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온실의 내부 커텐용, 차광 및 차열용 및 배수용 덮개나 깔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지금까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수지나 이들의 복합 수지로 제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이들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제조된 멜티필라멘트들을 고압의 공기로 다공질 콘베이어 상에 랜덤하게 분산시켜 웹(Web)을 제조하고, 이들을 연신 및 개섬한 후 열압착 방법, 니들펀칭 방법, 또는 수지결합 방법 등으로 교락하여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종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내후성능이 앞에서 설명한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내후성 향상을 위해 산화 방지제, 내열제, 내후 안정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섬유내에 혼입시키거나 후가공 방법에 의해 섬유 표면에 부착시키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모두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들을 섬유내부에 혼합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칩과 첨가제를 함유한 마스터 칩을 먼저 혼합한 후 이들을 용융 방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첨가제가 방사 공정중에 열분해 되어 연기 등이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조업성 및 작업성이 저하된다. 특히 방사된 멀티필라멘트를 개섬시키는 공정에서는 다량의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첨가제의 열분해로 발생되는 연기는 조업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 물질을 용융 방사 단계에서 첨가하지 않고 후가공 방법에 의해 섬유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지만, 내후성의 지속주기 (내구성)가 짧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내후성 향상을 위한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방사 공정중 연기 발생으로 인한 작업성 및 조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내후성의 지속주기가 길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랜덤하게 분산하여 다공질 콘베어상에 집적시키는 웹화 공정 및 웹에 교락을 부여하는 교락 공정을 거쳐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ET라고 한다.)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이하 PEN이라고 한다)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혼합물(Blender)를 용융 방사하여 제조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혼합물(Blender)로 제조된 멀티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단섬유(Staple)이고, 내후성(인장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부직포의 내후성 향상을 위해 섬유 내부에 첨가하거나 섬유 표면에 부착해 온 산화 방지제, 내열제, 내후 안정제 혹은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사 공정,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랜덤하게 분산하여 다공질 콘베어상에 집적시키는 웹(Web) 공정 및 교락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절단하여 단섬유(Staple)을 제조하는 공정, 이들 단섬유를 다공질 콘베어상에 집적시키는 웹 공정 및 교락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내후성 향상을 위해 장섬유(Multi Filament)를 제조하는 용융 방사 공정에 있어서 PET와 PEN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한다. PEN은 2차 유리 전이온도(Tg)가 PET보다 높기 때문에 용융 방사시 PEN과 PET를 공중합 또는 혼합 사용하면, 종래의 각종 첨가제를 용융 방사 단계에서 첨가하거나 후가공 공정에서 섬유 표면에 부착하지 않고도 지속주기(내구성)이 반영구적인 내후성을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 PET와 PEN의 혼합물(Blener)은 PET 칩과 PEN 칩을 계량 후 혼합하여 제조한다. PET와 PEN의 공중합체(Copolymer)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및 디메틸-2, 6-나프탈렌디카복시레이트를 중합관에 투입한 후 승온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 메탄올을 유출시킨 다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완료되면 촉매를 투입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PET와 PEN이 공중합체(Copolymer)는 PET 80~99 몰%의 PEN 1~20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ET와 PEN의 혼합물은 PET 80~99중량%와 PEN 1~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PEN이 20몰% 또는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PET와의 상용성이 불균일하여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PEN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또한 PEN이 1몰% 또는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내후성이 바람직한 수준까지 향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PET와 PEN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용융 방사하여 단사섬도(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0.5~20데니어인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한다. 단사섬도가 너무 가늘 경우 연신 이젝터에서의 절사가 많아져 공정성이 저하되며 최종 제품의 강력도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단사섬도가 너무 굵을 경우에는 방사공정상에 있어서 원사의 냉각 불균일이 일어나 제품의 물성이 불균일해진다.
다음으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ET와 PEN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용융 방사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에어이젝터에서 고압의 공기로 연신한 후 개섬 장치를 이용하여 연신된 멀티필라멘트를 이동하는 다공질 콘베어상에 균일하게 분산, 집적시켜서 웹(Web)을 제조한다. 개섬 장치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코로나 방전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신은 연신후의 단사섬도가 0.5~20데니어가 되도록 연신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융 방사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절단하여 단섬유(Staple)를 제조한 후, 단섬유(Staple)들을 이동하는 다공질 콘베어 상에 분산, 집적시켜서 웹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제조된 웹(Web)에 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열압접 방법, 니들 펀치법 및/또는 수지 결합법 등으로 교락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 100g/㎡ 이하일 경우에는 주로 열압접 방법을 이용하고, 100g/㎡ 이상일 경우에는 주로 니들 펀치법을 이용한다. 수지 결합법은 이들 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강력을 보강하는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교락이 부여된 웹(Web)을 권취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2차 유리 전이온도(Tg)가 높은 PEN을 PET와 공중합 또는 브랜드 시킨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의 각종 첨가제 사용 없이도 내후성이 매우 우수하며 내후성의 효과도 반영구적이다.
아울러 종래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 공정중 연기 발생으로 인한 작업성 및 조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소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아래 평가 방법으로 측정한 내후성(인장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내후성, 조업성 및 인장 강력의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내후성(인장 강도 유지율)
JIS L-1096 6.30 내후성 측정법(일본)에 준해서 JIS B 7752[자외선 카본아아크등(燈) 내후성 시험기] 또는 JIS B 7753[일광 카본아아크등(燈)내후성 시험기]에 정한 시험기를 이용해서 소정의 시간동안 노출(Ageing)한후 시험편을 취외하여 자연건조해서 표준상태로 조습한 시험편의 인장 강력을 인스트롱으로 측정한다. 또한 에이징 처리전의 시험편의 인장 강도를 인스트롱으로 측정한 후 아래식으로 내후성을 계산한다.
· 조업성 평가
스펀본드(Spubond)법에 있어서 24시간 조업성(수율) 및 방사 구금직하에서 연기 발생을 관찰하여 연기 발생 유무를 조사함.
· 인장 강력
JIS L-1096법 (일본)/KS K 0520 (한국)에 준해서 폭 50㎜, 길이 100㎜의 시편을 이용 300m/분 인장 속도에서 최대 인장 강력을 측정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디메틸-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이하 2, 6-NDC라고 한다) 1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하 DMT라고 한다) 99 몰% 및 과량의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기에 투입 후 이들을 공중합시켜 PET와 PEN의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제조한 공중합체를 용융 방사후 에어이젝터에서 연신하여 단사 섬도가 20데니어인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코로나 방전 방식의 개섬 장치로 개섬한 후 네트 콘베이어 상에 랜덤하게 분산시켜 웹(Web)을 형성한 다음, 제조한 웹을 200℃의 로울러로 열압착하여 단위 중량이 80g/㎡ 인장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5]
2, 6-NDC 및 DMT의 공중합 몰 비 단사 섬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6]
PEN 칩 1중량% 및 PET 칩 99중량%를 혼합하여 PET와 PEN의 혼합물(Blender)을 제조한다. 제조한 혼합물(Blender)를 용융 방사후 에어이젝트에서 연신하여 단사 섬도가 20데니어인 열가소성 멀티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코로나 방전 방식의 개섬장치로 개섬한 후 네트 콘베이어 상에 랜덤하게 분산시켜 웹(Web)을 형성한 다음, 제조한 웹을 200℃의 로울러로 열압착하여 단위 중량이 80g/㎟인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7~ 실시예 9]
PET 칩 및 PET 칩의 혼합 중량비 및 단사 섬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비교실시예 1]
시바가이이사의 벤조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20ppm 첨가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 방사한 후 에어이젝트에서 연신하여 단사 섬도가 15데니어인 PET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한다. 방사된 PET 멀피필라멘트를 코로나 방전 방식의 개섬 장치로 개섬한후 네트 콘베이어 상에 랜덤하게 분산시켜 웹(Web)을 형성한 다음, 제조한 웹을 200℃의 로울러로 열압착하여 단위 중량이 80g/㎡인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비교실시예 2]
산화 방지제 대신에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표 1] 제조 조건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조업성 및 내후성을 앞에서 설명한 평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물성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는 2차 유리 전이 온도(Tg)가 비교적 높은 PEN을 PET와 공중합 또는 혼합한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내후성이 70% 이상으로 우수함과 동시에 내수성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제조시 내후성 향상을 위해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제제 및 내열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 방사 공정중 연기발생으로 인한 작업성 및 조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며, 공정도 간소화 된다.

Claims (4)

  1.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를 랜덤하게 분산하여 다공질 콘베어상에 집적시키는 웹화 공정 및 웹에 교락을 부여하는 교락 공정을 거쳐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혼합물(Blender)를 용융 방사하여 제조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99 몰%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1~20 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3.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혼합물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99 중량%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1~20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4.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혼합물(Blender)로 제조된 멀티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단섬유(Staple)이고, 내후성(인장 강도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섬유 부직포.
KR1019970046306A 1997-09-09 1997-09-09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KR10049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06A KR100493110B1 (ko) 1997-09-09 1997-09-09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06A KR100493110B1 (ko) 1997-09-09 1997-09-09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19A true KR19990024919A (ko) 1999-04-06
KR100493110B1 KR100493110B1 (ko) 2005-09-12

Family

ID=3730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306A KR100493110B1 (ko) 1997-09-09 1997-09-09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32B1 (ko) * 2000-07-22 2003-12-06 최민석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100493111B1 (ko) * 1997-10-15 2005-09-08 주식회사 코오롱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KR20230030079A (ko) * 2021-08-23 2023-03-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및 uv차단 기능을 가지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30A (en) * 1979-06-15 1981-01-06 Teijin Ltd Original fiber for tire cord textile woof and tire cord textile
JPS6257917A (ja) * 1985-09-04 1987-03-13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繊維
JP2977679B2 (ja) * 1992-09-25 1999-11-15 帝人株式会社 芯鞘型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11759B1 (ko) * 1993-12-01 1996-08-30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5587143A (en) * 1994-06-28 1996-12-24 Nanosystems L.L.C. Butylene oxide-ethylene oxide block copolymer surfactants as stabilizer coatings for nanoparticle compositions
KR970042815A (ko) * 1995-12-27 1997-07-26 이웅열 포장재료용 폴리에스터 수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111B1 (ko) * 1997-10-15 2005-09-08 주식회사 코오롱 내후성이우수한폴리에스터스펀본드및그의제조방법
KR100408632B1 (ko) * 2000-07-22 2003-12-06 최민석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20230030079A (ko) * 2021-08-23 2023-03-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및 uv차단 기능을 가지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110B1 (ko) 200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2014T2 (de) Polyester mit kontrolliertem schmelzpunkt und fasern daraus
DE60313305T2 (de) Reversible, thermofixierte, elastische fasern, herstellungsverfahren und daraus hergestellte artikel
KR100453609B1 (ko) 열융착성복합섬유및이로부터제조된부직포
EP2245222A1 (en) Bicomponent fibers, textile sheets and use thereof
FI72350B (fi) Polyolefina fibrer med foerbaettrade vaermebindningsegenskaper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ssa
JP4758804B2 (ja) 不織布
CA2172236A1 (en) Formable, heat-stabilizable open network structure
KR101038466B1 (ko)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464A (ko) 외피―코어 일체형 폴리유산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EP0311860B1 (en) Nonwoven fabric made of heat bondable fibers
KR100493110B1 (ko)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CN101387035A (zh) 一种双组分的阻燃纤维织物
KR100488245B1 (ko) 열가소성합성섬유부직포및그의제조방법
JP6713873B2 (ja) 軽量性に優れた自動車内装用のウェブ及びそれを用いたニードルパンチ不織布、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自動車内装部品
EP1169499A1 (en) Polypropylene fibres
CN111556912B (zh) 改性乙烯-乙烯醇共聚物纤维
CN1165877A (zh) 调温纤维及其制品
JP4582886B2 (ja) 耐候性長繊維不織布
KR101483368B1 (ko) 열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장섬유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RU2465381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е волокна, текстильные лист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H08144128A (ja) 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および編織物
JP4807012B2 (ja) 耐加水分解性に優れた生分解性不織布
Lin et al. Binding property evaluation of low melting point filaments with conventional filaments in weft-knitted fabrics
JP2007247080A (ja) スポーツウエア用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15149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섬유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