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54Y1 - 과수봉지 - Google Patents

과수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54Y1
KR200171954Y1 KR2019990015445U KR19990015445U KR200171954Y1 KR 200171954 Y1 KR200171954 Y1 KR 200171954Y1 KR 2019990015445 U KR2019990015445 U KR 2019990015445U KR 19990015445 U KR19990015445 U KR 19990015445U KR 200171954 Y1 KR200171954 Y1 KR 200171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paper
present
bi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선 filed Critical 박종선
Priority to KR2019990015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 농가에서 까치등과 같은 조류들로부터 과수에 매달린 각각의 과일에 쪼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일의 개별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한 과수봉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수봉지(10)는 2겹의 기름 종이봉지(2a)(2b)로 이루어진 통상의 과수봉지(1)에 있어서, 양면이 합성섬유사가 촘촘하게 짜여진 직포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개구(12)가 형성된 망봉지(11)가 상기 종이봉지(2)의 외측에 삽입되는 구조로써 상기 망봉지(11)의 개구 상단부에 접착부(13)에 의해서 종이봉지(2)상에 부착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과수봉지는 과수에 매달린 각각의 과일에 설치했을 때에 까치등을 비롯한 새들이 부리로 망봉지를 찢을 수 없기 때문에 과실의 결실기까지 새의 쪼임으로부터 과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망봉지 자체가 원형복원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우박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통상의 종이봉지 외측에 간단하고 손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치 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수봉지{Fruit envelope}
본 고안은 과수농가에서 새들로부터 과수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과수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종이봉지의 외측에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망봉지를 이중으로 씌우므로서 새가 부리로 과수봉지를 찢을 수 없도록 함과 아울러 우박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과수봉지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조류에 의한 과수의 피해는 각종 병충해에 의한 피해에 못지 않게 지속적으로 매우 심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일예로 수확기에 접어든 유실수에 텃새의 일종인 까치와 같은 조류가 날아들어 과실을 쪼아먹거나 하는 경우의 피해는 거의 치명적이라 할 것이다.
이에따라, 수확기의 유실수에 새들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조류퇴치 방법이 대두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조류퇴치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오래된 형태로서 새가 싫어하는 형상의 각종 모형물을 제작하여 과수농장의 곳곳에 설치하여 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하는 모형식 퇴치법, 각종 폭죽의 폭발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거나 다수개의 빈캔등을 줄에 매달아 서로 부딪히도록 하여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서 새가 날아가도록 하는 형태의 소음발생 퇴치법, 반사광을 싫어하는 새의 습성을 이용하여 반사거울이나 반사테이프를 바람에 날리도록 설치하는 반사테이프식 퇴치법 및 과수원 전체를 그물망으로 덮어씌워 과수로 날아드는 새의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조망 퇴치법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퇴치법에서 모형식 퇴치법이나 반사테이프식 퇴치법은 설치 초기에만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 뿐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새들의 퇴치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소음발생 퇴치법의 경우에는 새를 쫓기 위한 소음과 가까운 거리에서 생활하거나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공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으며, 방조망을 이용한 퇴치법의 경우에는 여타 형태의 퇴치법에 비해 효과적인 측면이 있기는 하나 그물망으로 과수원 전체를 씌우는 데 많은 비용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법적으로 포획이 금지된 희귀조류가 망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조류의 경우 자기(磁氣)감지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이러한 자기감지능력을 이용하여 이동을 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새가 특정한 지점으로 날아드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석식 방조구에 의한 퇴치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퇴치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의 퇴치법에도 불구하고 어느정도의 학습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새의 경우에는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 과수에 매달린 과일에 도달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바, 보다 근본적인 조류의 피해에 대한 대처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에, 과수 농가에서의 조류의 피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의 하나로서 종이로 이루어진 과수봉지를 이용하여 유실수에 매달린 각각의 과일을 감싸 결속시키게 되는데, 상기 종이봉지가 도시된 도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종이로 이루어진 과수봉지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과수봉지(1)는 양면이 종이로 이루어진 사각의 봉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개구(3)를 형성하여 과수에 매달린 과일을 상기 개구(3)를 통해 종이봉지(2) 내로 넣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이봉지(2)는 내지(2a)와 겉지(2b)의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종이봉지(2a)(2b)에는 석유와 콩기름이 침적되어 있어서 기름종이로서의 역할을 하여 우중에서도 잘 젖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이봉지(2)는 조류로부터 과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석유와 콩기름등의 침적물에서 발생되는 냄새에 의해서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불투명한 종이봉지(2)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유의 색깔을 유지해야 하는 과일의 경우 햇빛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과수봉지(1)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새가 날카로운 부리로 쪼았을 경우 종이봉지(2) 대부분이 찢어질 수밖에 없으며, 한번 찢어진 종이봉지(2)는 비와 바람등에 더욱 크게 찢어지게 되어 결국에는 과실의 피해를 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과수봉지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종이 과수봉지의 외측에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망봉지를 한 겹 더 덧씌우므로서 까치등과 같은 새들이 부리로 망봉지를 찢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류로부터의 과실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수봉지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 종이봉지의 겉면에 망봉지를 간단히 덧씌우는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하여 저렴하면서도 간단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류의 피해 방지뿐만 아니라 우박의 피해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과수봉지를 제공하는 데 두고 있다.
도1은 종래 과수봉지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과수봉지의 일실시예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과수봉지의 다른 실시예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과수봉지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종이봉지 11. 망봉지
12. 개구 13. 접촉부
22. 결속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2겹의 기름 종이로 제조되는 통상의 종이 과수봉지 외측에 합성섬유가 촘촘한 직포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된 망봉지가 외삽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망봉지의 상단 중앙부상에는 클립이나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상기 망봉지가 통상의 종이봉지 외측에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망봉지만으로 구성된 과수봉지에 있어서는 상기 망봉지를 각각의 과실에 씌운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클립이나 노끈등을 이용한 결속부가 망봉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 과수봉지의 일실시예 구조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과수봉지(10)는 이중의 기름 종이봉지(2a)(2b)로 이루어진 통상의 종이 과수봉지(1)에 있어서, 양면이 합성섬유로 짜여진 직포로 형성되고,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개구가 형성된 망봉지(11)가 종이봉지(2)의 외측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과수봉지(10)는 종이봉지(2)의 외측에 씌워진 망봉지(11)가 상·하부중 한쪽이 개방되어 개구(12)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12)를 통해서 과수에 매달린 과일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망봉지(11) 개구의 상단 중앙부상에는 클립이나 접착제의 도포등에 의한 접착부(13)가 형성되어 종이봉지(2)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과일이 과수에 매달린 채 종이봉지(2)의 개구(12)를 통해 과수봉지(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 후에 종이봉지(2)의 개구(12)를 과실꼭지에 감아 묶음으로서 단단한 결속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과수봉지(10)의 상단부로 연장형성된 종이봉지(2)만을 과실꼭지에 감아 과수에 고정시키게 되는 데, 이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종래의 종이 과수봉지(2)의 개구를 철사 또는 노끈등을 이용하여 고정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수봉지(10)에서 종이봉지(2)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망봉지(11)가 종이봉지(2)의 외측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종이봉지(2)와 망봉지(11)를 같이 과수에 묶게 되며, 이때 철사나 노끈등이 망봉지(11)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한면에 일렬의 작은 돌기가 구비된 알루미늄 밴드를 사용하므로써 알루미늄 밴드 각각의 돌기가 망상에 결합되도록 하여 과수봉지(10)의 풀림이 없이 과수에 결속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종이봉지(2)의 외측에 형합되는 망봉지(11)는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섬유사가 촘촘한 직포의 상태로 형성되며, 합성섬유 자체가 잘 끊어지지 않고 매우 질긴 성질을 지니고 있음에 기인하여 웬만한 외력으로는 찢어지지 않으므로 조류의 쪼임에 완벽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의 종이봉지(2)와 마찬가지로 과일에 피해를 주는 조류 즉, 까치등과 같은 새가 싫어하는 냄새가 나는 물질이나 향료를 망봉지(11)상에 도포하거나 망봉지(11) 내부의 종이봉지(2) 외측에 넣어둠으로써 조류의 일차적인 접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3은 본 고안 과수봉지의 다른 실시예 구조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과수봉지(20)는 상단부가 개방된 개구(21)를 이루고 상기 상단부를 가로질러 결속부(22)가 구비되며, 합성섬유사가 촘촘하게 짜여진 직포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의 과수봉지(20)는 상기 도2에 도시된 망봉지(11)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써, 도2의 과수봉지(10)는 망봉지(11) 내부의 종이봉지(2)에 의해서 햇빛이 차단되어 배나 복숭아와 같이 빛의 차단에 의한 색깔 유지가 필요한 과일을 감싸는데 사용되는 반면에 본 실시예의 과수봉지(20)는 사과등과 같이 충분한 일조량이 필요한 과일에 감싸므로써 햇빛이 투과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류의 쪼임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과수봉지 설치상태를 도4에 의거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은 본 고안의 과수봉지를 유실수에 매달린 각각의 과일에 설치하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과수봉지(10)(20)는 유실수(w)에 매달린 각각의 과일(f)을 상기 과수봉지(10)의 개구부(12)를 통하여 수납한 후 과수봉지(10)(20)의 상단 중앙부상에 설치된 결속부(13)를 과일꼭지의 상단부에 결속하여 단단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과수봉지(10)는 망봉지(11)가 그 내부의 수납되는 과일(f)의 표면에 밀착되어 씌워지지 않도록 하여 어느정도의 여유공간을 이루어지도록 하고 딱딱하지 않은 부드럽고 원형복원력이 좋은 합성섬유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과실(f)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유동성있게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과수봉지는 2중의 종이봉지로 구성된 통상의 종이 과수봉지 겉면에 합성섬유사로 촘촘하게 짜여진 망봉지를 덧씌워서 각각의 과일에 설치했을 때에 까치등을 비롯한 새들이 부리로 합성섬유로 구성된 망봉지를 찢을 수 없기 때문에 과실의 결실기까지 새의 쪼임으로부터 과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수봉지는 망봉지 자체가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고 어느정도의 원형복원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우박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과수봉지는 통상의 종이봉지의 외측에 간단하고 손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치 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양면에 합성섬유가 촘촘한 직포의 형태로 짜여진 망봉지(20)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봉지(20)의 개구(21) 상단부에 결속구(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봉지.
KR2019990015445U 1999-07-30 1999-07-30 과수봉지 KR200171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45U KR200171954Y1 (ko) 1999-07-30 1999-07-30 과수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45U KR200171954Y1 (ko) 1999-07-30 1999-07-30 과수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54Y1 true KR200171954Y1 (ko) 2000-03-15

Family

ID=1958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445U KR200171954Y1 (ko) 1999-07-30 1999-07-30 과수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32B1 (ko) * 2000-07-22 2003-12-06 최민석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200469748Y1 (ko) * 2011-03-29 2013-11-05 대성과수산업 주식회사 과실봉지 및 이를 이용한 과수 재배 방법
KR101346310B1 (ko) * 2012-08-20 2013-12-31 (주)농협아그로 결속 타이를 포함하는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32B1 (ko) * 2000-07-22 2003-12-06 최민석 과일보호용 봉지제조를 위한 소재 및 그 소재의 제조방법
KR200469748Y1 (ko) * 2011-03-29 2013-11-05 대성과수산업 주식회사 과실봉지 및 이를 이용한 과수 재배 방법
KR101346310B1 (ko) * 2012-08-20 2013-12-31 (주)농협아그로 결속 타이를 포함하는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1954Y1 (ko) 과수봉지
CN100346693C (zh) 一种用塑料薄膜围阻防治榆紫叶甲的方法
WO2003032712A1 (en) A net style paper bag for fruits
US20070251460A1 (en) Bug guard
KR200213306Y1 (ko) 망사형 과일싸개봉지
KR100283978B1 (ko) 과일 싸개
KR200166772Y1 (ko) 과수용과일봉지
JP2004217623A (ja) 有害動物による食害の防御用保護材
KR200406252Y1 (ko) 투피스 타입의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200406251Y1 (ko) 과일보호 및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200166783Y1 (ko) 과수용과일봉지
KR20180003449U (ko)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JP2937953B2 (ja) 害虫駆除バンド
KR200281217Y1 (ko) 과일 보호캡
KR200258585Y1 (ko) 과실용 보호 커버
KR20130104172A (ko) 수간 보호대
KR200169870Y1 (ko) 과일싸개
KR19980087888A (ko) 과실보호커버
KR880000110Y1 (ko) 잠 복 소
JP3068776U (ja) 果物の包み袋
KR200351931Y1 (ko) 과일 보호커버
KR200268458Y1 (ko) 과실수의 과실 보호장치
AU2004289067A1 (en) Plant protection device
GB2327179A (en) Cover for hanging baskets and other plant containers
KR0140725Y1 (ko) 포도보호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