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172A - 수간 보호대 - Google Patents

수간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172A
KR20130104172A KR1020120025439A KR20120025439A KR20130104172A KR 20130104172 A KR20130104172 A KR 20130104172A KR 1020120025439 A KR1020120025439 A KR 1020120025439A KR 20120025439 A KR20120025439 A KR 20120025439A KR 20130104172 A KR20130104172 A KR 2013010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guard
main body
present
b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련
Original Assignee
(주)계림조경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계림조경자재 filed Critical (주)계림조경자재
Priority to KR102012002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172A/ko
Publication of KR2013010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폴리에틸렌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얇은 판 형태로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하여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결착턱(21a)을 지닌 결착구(21)와 함께 내면에 수목(T)의 수피 호흡을 도와주면서 결착구(21)에 맞물려 결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5)을 구비하고, 보호대(30)는 수목(T)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조에 있어 폴리에틸렌으로 제작하여 가벼우면서도 유연하여 사용이 편리함과 함께 재활용은 물론 제품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수목의 성장에도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햇빛으로부터 수피를 보호하여 껍질이 벗겨짐을 방지함과 함께 호흡이 용이하고 수목의 근원부 보호는 물론 훼손을 방지하는 등 신규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생육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간 보호대{Guard for stem protection by covering}
본 발명은 수목을 보호하는 수간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에 있어 폴리에틸렌으로 제작하여 가벼우면서도 유연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수목의 성장에도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수목의 근원부 보호는 물론 훼손을 방지하는 수간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쾌적한 환경과 공해방지, 레져 등 숲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각종 도로 공사나 공원조성, 아파트 주택단지 조성, 레져시설 등 국가와 자치 단체, 공공단체, 민간기업,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고급 조경수종의 식재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거수 보호수 등에 대한 보호 사업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목(나무)의 경우 이식후 활착에 이르기 까지 관리가 대단히 중요한데, 즉 나무를 지탱하는 주요 기관인 나무줄기가 병해충이나 기후 및 외상 등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을 경우,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상처 부위에 부후균 등이 침투하여 부패 및 공동의 원인이 되고 나무 전체가 손상을 입어 정상적인 생육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나무의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치료하여 나무의 건전한 생육을 유지하게 하고, 나무줄기가 연약한 어린나무나 이식 등으로 쇠약해진 나무의 줄기에 대한 예방적 보호 등을 위해서는 사전에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수목의 근원부위는 야생동물에 의한 훼손 및 화재나 병해충, 특히 예초기에 의해 상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수목의 양분 통로인 수피 파괴로 생육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여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는 등 온전한 수목으로 성장할 수 없게 되어 피해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목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시되고 있는 종래 기술로는 나무에 녹화마대나 새끼줄을 감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들 녹화 마대나 새끼줄은 수명이 짧고 인력이 과다 소요되며, 내화 방수성이 없어서 화재에 취약하고, 장마 때 과습으로 나무 생리에 지장이 있고, 오히려 병해충의 잠복처로 이용되는 등 부작용이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4408호의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는 후단부에서부터 수간을 감싸기 시작하여 선단부가 수간주위를 일주한 다음 상기 후단부를 내측으로 두고 지나간 뒤 상기 선단부의 바로 아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후단부에 이르기까지 중첩부가 형성되어지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의 중첩부와 상기 보호판 중첩부의 외측을 파지함으로써 수간 직경이 생장하면서 상기 중첩부가 서서히 미끄러지며 풀리면서 수간에 체결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수단을 포함한 구성을 제안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는 보호판이 소정 길이 단위로 중첩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ㄷ자형의 핀이나 내측으로 절곡되는 파지수단을 통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전체적으로 이음새 없이 한 두 줄로 견고하게 줄기를 감싸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없어 많은 틈새가 발생하여 보호판의 제 기능을 충실히 실행하지 못하는 구성의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5369호 "나무 붕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4408호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에 있어 폴리에틸렌으로 제작하여 가벼우면서도 유연하여 사용이 편리함과 함께 재활용은 물론 제품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수목의 성장에도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햇빛으로부터 수피를 보호하여 껍질이 벗겨짐을 방지함과 함께 호흡이 용이하고 수목의 근원부 보호는 물론 훼손을 방지하는 등 신규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생육을 도모하는 수간 보호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목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얇은 판 형태로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수목의 근원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하여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목의 근원부위 상에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탄성을 지니는 보호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결착턱을 지닌 결착구와 함께 내면에 수목의 수피 호흡을 도와주면서 결착구에 맞물려 결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대는 수목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간 보호대는 제조에 있어 폴리에틸렌으로 제작하여 가벼우면서도 유연하여 사용이 편리함과 함께 재활용은 물론 제품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보급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수목의 성장에도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햇빛으로부터 수피를 보호하여 껍질이 벗겨짐을 방지함과 함께 호흡이 용이하고 수목의 근원부 보호는 물론 훼손을 방지하는 등 신규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생육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주요부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를 수목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대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주요부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를 수목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관련되며, 크게 본체(10) 및 결합수단(2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보호대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녹화마대나 새끼줄 및 철재가 아닌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하여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방식을 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본체(10)는 얇은 판 형태로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체(10)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재질의 특성을 살펴보면 가공이 쉬워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인체 무독성이 우수하며 절연성이 뛰어남과 함게 인장성이 뛰어나 각종 병을 비롯하여 냉장고의 제빙용 상자 등을 만들어진다. 이러한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특성에 의해 소정의 너비를 갖는 얇은 판 형태로 제작되는데, 도 3 및 도 4처럼 원통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사용되고, 펼칠 경우 도 1 및 도 2처럼 원래의 원통 형태로 돌아가는 탄성을 지닌다.
한편, 본체(10)는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목(T)의 굵기에 대응하여 제품의 규격에 따라 다소 달리 제작할 수 있으며,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크기나 형태의 제약이 없이 어떠한 모양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는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목(T)의 근원부위 상에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탄성을 지니는 보호편(13)을 더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하단에 보호편(13)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보호편(13)은 재질의 특성 상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탄성을 지닌다. 이러한 보호편(13)에 의해 수목(T) 쪽으로 구부러져 근원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20)이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하여 결합을 유도한다. 결합수단(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상, 즉 일단과 내면에 각각 형성된다. 결합수단(20)은 본체(10)를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결합수단(20)에 의해 본체(10)가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결착턱(21a)을 지닌 결착구(21)와 함께 내면에 수목(T)의 수피 호흡을 도와주면서 결착구(21)에 맞물려 결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5)을 구비한다. 결합수단(20)은 결착구(21)와 통공(25)으로 이루어지는데, 결착구(21)는 도 1 내지 도 3처럼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어 결착턱(21a)을 지니고, 통공(25)은 본체(10)의 내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착구(21)에 맞물려 결착된다. 여기서 이러한 통공(25)은 도 3처럼 결착구(21)와 상호 연계하여 본체(10)를 원통 형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수목(T)의 수피 호흡을 도와주는 이중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를 이용하여 사용에 있어서, 우선 수목(T)의 근원부위에 보호대(30)를 위치한 상태에서 수목(T)의 직경(굵기)에 맞게 결착한다. 이는 본체(10)를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20)에 의해 수목(T)을 감싸진 상태를 결합한다.
즉 도 3처럼 수목(T)의 굵기에 맞혀 본체(10)의 결착구(21)를 통공(25)에 결합하는데, 통공(25)에 삽입된 결착구(21)는 결착턱(21a)에 의해 통공(25)에 맞물려 이탈이 방지되어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보호대(30)는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한편 햇빛으로부터 수피를 보호하여 껍질이 벗겨짐을 방지하고, 다수의 통공(25)에 의해 수목(T)의 수피 호흡을 도와줌은 물론 훼손을 방지하는 등 신규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생육을 도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대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보호대(30)는 수목(T)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는 보호대(30)를 보다 활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을 병렬로 연결하는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호대(30)를 병렬로 연결한다. 이때 보호대(30)의 연결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체(10)의 결착구(21)를 통공(25)에 결합하는데, 통공(25)에 삽입된 결착구(21)는 결착턱(21a)에 의해 통공(25)에 맞물려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목(T)의 직경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뛰어나다. 한편 도면에서는 2개의 보호대(30)를 이용하여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수목(T)의 직경에 맞게 더 많은 개수를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3: 보호편
20: 결합수단 21: 결착구
21a: 결착턱 25: 통공
30: 보호대 T: 수목

Claims (4)

  1.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여 수간의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대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얇은 판 형태로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수목(T)의 근원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하여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목(T)의 근원부위 상에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탄성을 지니는 보호편(1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결착턱(21a)을 지닌 결착구(21)와 함께 내면에 수목(T)의 수피 호흡을 도와주면서 결착구(21)에 맞물려 결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30)는 수목(T)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 보호대.
KR1020120025439A 2012-03-13 2012-03-13 수간 보호대 KR2013010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39A KR20130104172A (ko) 2012-03-13 2012-03-13 수간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39A KR20130104172A (ko) 2012-03-13 2012-03-13 수간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72A true KR20130104172A (ko) 2013-09-25

Family

ID=4945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39A KR20130104172A (ko) 2012-03-13 2012-03-13 수간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1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3963A (zh) * 2015-12-02 2016-04-06 天津创世生态景观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杨柳槐防晒保湿的方法
KR102547236B1 (ko) 2022-12-22 2023-06-22 김진수 다용도 나무줄기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3963A (zh) * 2015-12-02 2016-04-06 天津创世生态景观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杨柳槐防晒保湿的方法
KR102547236B1 (ko) 2022-12-22 2023-06-22 김진수 다용도 나무줄기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536B2 (en) Silicone rubber universal fit flexible tree trunk guard
AU2012216464B2 (en) Methods for rapidly growing a tree
US20130152465A1 (en) Methods for Rapidly Growing A Tree
US5605009A (en) Protective covering for plants and trees
KR20130104172A (ko) 수간 보호대
US20030140554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KR20170045878A (ko) 조경수 패키징 장치
KR100824408B1 (ko)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
KR20010058068A (ko) 동절기 가로수나 원예용묘목 보호대
Owen et al. The effect of plastic tree wrap on borer incidence in dogwood.
JP2007110903A (ja) 樹木保護部材
ES2359622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lantas.
KR102547236B1 (ko) 다용도 나무줄기 보호대
KR200295456Y1 (ko) 과수에 대한 조수 피해 방지 및 색상 개선용 봉지
RU2447647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охранных зон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206683Y1 (ko) 과일 보호용 덮개
Dūmiņš et al. Forest management practices in reduction of damage caused by Pine weevil (Hylobius abietis L.) and Cervidae animals in newly planted Scots pine forests.
CA2601727A1 (en) Bernie's plant protector
ES1037629U (es) Bolsa para proteccion contra plagas de plantones en agricultura.
JPH0870713A (ja) 樹木の表皮保護カバー
JP5437937B2 (ja) 樹木の根元保護具及び樹木の根元保護方法
KR200206769Y1 (ko) 과일 보호용 커버
Meyer New Additions to the WSU Arboretum Staff
CN103650806A (zh) 一种新型茶园林网系统
CN102461424A (zh) 有罩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