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294B1 - 메모리카드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294B1
KR100407294B1 KR10-1998-0701769A KR19980701769A KR100407294B1 KR 100407294 B1 KR100407294 B1 KR 100407294B1 KR 19980701769 A KR19980701769 A KR 19980701769A KR 100407294 B1 KR100407294 B1 KR 10040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emory card
frame
ejection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521A (ko
Inventor
야마모토 요시히사
와타나베 사토루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9004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05K5/0295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having eje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안에 메모리카드(12)를 수취하기 위한 카드수취 영역을 가지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부재(40), 내부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일단(62)은 상기 작동부재의 내부단(42)에 그리고 타단(64)은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기 위한 배출부의 형태로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카드 배출부재의 피봇운동시 프레임으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카드 배출부재(60, 110)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배출부재는 회전부의 부유 축선(28, 66), 회전부의 제 2 축선(30, 68; 112, 122)을 가진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커넥터{A memory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갖춘 메모리 카드 및 전기 접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집접회로를 이용하는 인쇄회로 카드는 퍼스널 컴퓨터와 이와 유사한 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메모리 카드로서 알려져 있다. 인쇄회로 카드는 메모리카드 커넥터를 갖춘 특수 카드 터미널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정규적으로 카드 삽입 및 배출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는 작동부재 및 카드 배출 부재가 카드 배출 부재의 타단에 적용된 작동부재의 작용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일단이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카드를 배출시키는 카드 배출부재를 포함한다.
작동부재와 카드 배출 부재를 갖춘 그와 같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고 제94-243299호 및 일본실용신안공고 제94-3794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 기재된 카드배출부재들이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인쇄회로카드를 배출시키는 작동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이들 커넥터는 카드 배출부재의 전방단에 형성되어 카드 삽입방향과 대면하는 2개의 돌기를 가진다. 이들 2돌기는 카드 배출을 위해 형성된 카드 배출부재의 전방단의 회전 또는 피봇운동에 응하여 연속적인 받침대 역활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기형태의 이들 받침대는 카드와 결합한다. 어떤경우, 이 결합은 불편한 위치에서 일어나고, 그결과 받침대는 필요한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이동이 일어날 때,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부터 인쇄회로카드의 배출에 필요한 적절한 힘을 발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여서 결국 카드가 불충분하게 배출되어진다. 또한 이것에는 카드배출부재가 구부러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만약 그와 같은 상태에서 카드 배출부재를 계속적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면, 카드 배출부재에 인접하여 위치한 플레이트에 문질러져서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프레임으로부터 카드 배출부재의 분리를 막기 위해, 프레임의 일부분은 전체의 카드 배출부재를 고정시키는 C형 구조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프레임 형상은 그의 제조상 복잡하고, 프레임으로부터 카드 배출부재의 리프팅(lifting)을 방지하기란 불가능한 것이었다.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부터 카드의 충분하고 정확한 배출을 제공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플랫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위해 의도한 프레임, 프레임에 삽입된 카드를 수취하기 위한 카드 삽입부의 일단의 반대측에 위치한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된 절연하우징, 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도로 있는 작동부재, 및 일단이 작동부재의 전방단(삽입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연결되고 그리고 타단은 프레임에 유지된 메모리카드의 전방단(삽입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반하여 눌려지면서 삽입의 방도에 대해 직교하여 위치한 카드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절연하우징은 카드 배출부재가 회전되어 결국 삽입의 방향으로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게 될때 프레임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밀 수 있게끔 되어 있고, 카드 배출 부재는 카드 배출 부재의 타단영역에 위치한 길다란 개구안의 초기 회전주기용 제 1 플로팅(floating) 회전축선 및 카드 배출부재가 회전운동의 제 2 단에서 회전되어진 전방단에 있는 카드 배출부재의 제 1 단근처에 위치한 제 2 플로팅 회전축선을 가진다.
가급적, 회전의 제 2 단계를 위한 회전축선의 카드 배출부재의 제 1 단 영역에 위치한 길다란 개구에 제 2 플로팅 회전축선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메모리 카드 케넥터는 메모리 카드를 수취하기 위한 카드 수취영역을 가지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부재, 내부단이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일단은 작동부재의 내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는 배출부의 형태로 되어서 작동부재에 의해 카드 배출부재의 피봇운동시 프레임으로부터 메모리카드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된 카드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카드 배출부재는 회전의 초기 단계를 위해 프레임과 카드 배출부재 직교하면서 카드 배출부재의 타단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1 플로팅 회전축선 및 회전의 제 2 단계를 위해 프레임과 카드 배출부재에 직교하면서 카드 배출부재의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플로팅 회전축선을 가진다.
그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상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2a는 도1의 메모리 카드 커네터의 전면도이다.
도2b는 도1a의 26-2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3은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 배출부재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메모리 카드가 배출되기 시작할 때 카드 배출 부재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는 메모리 카드가 배출되어진 후 카드 배출부재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메모리 카드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기 시작할 때 카드 배출 부재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은 초기로 돌아오는 중도의 카드 배출 부재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은 초기 위치에서의 카드 배출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카드 배출부재의 1구현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카드 커넥터(10)는 플랫 메모리카드(12)가 A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삽입된 얇은 금속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는 프레임(20)의 배면에 고정된 절연하우징(도시하지 않았음)을 포함한다. 프레임(2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2)는 절연하우징에 수용된다. 프레임(20)의 좌측연부를 따라 만곡부(22)가 위치하는데 이곳에는 작동부재(40)가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프레임(20)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10)의 베이스 또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 대한 설치하기로 의도된 장착부재(24)를 가진다. 작동부재(40)는 스프링(50)에 의해 외부위치에 통상 유지되는 것으로, 스프링의 일단(52)은 작동부재(40)의 전방단(42)보다 약간 뒤의 위치에 부착되고 타단(54)은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부재(40)는 항상 스프링(50)에 의해 삽입 방향에 마주한 원래 위치로 후퇴한다. 작동부재(40)의 타단 또는 배후단에는 보턴(44)이 설치되는데 이 보턴은 결합하여 작동부재(40)를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작동부재(40)와 관련 구성요소들에 더하여, 메모리 카드 커넥터(10)는 카드 삽입의 방향에 관해 횡방향으로 위치한 카드 배출부재(60)를 포함하고 이 배출부재(60)의 일단(62)은 작동부재(40)의 전방단(20)에 연결되고, 배출부(64)를 구성하는 타단은 절연하우징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와 결합한다. 작동부재(40)가 삽입 방향으로 밀려졌을 때, 카드 배출부재(60)의 배출부(64)는 삽입 방향에 반대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프레임(2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2)를 배출시킨다.
카드 배출부재(60)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다란 개구 및 카드 배출부재(60)의 전방단으로부터 배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호형 돌기(68)를 가진다. 도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일부분은 내향하여 감겨져서 카드 배출부재(60)에 형성된 개구(66)의 연부(70)를 둘러싸는 옵셋 숄더(28)를 형성한다. 이 옵셋 숄더(28)는 오히려 낮은 외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길다란 개구(66) 내부에서 자유롭게 떠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드 배출부재(60)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기울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개구(66)가 삽입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옵셋숄더는 삽입의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카드 배출부재(60)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리고 삽입방향으로 카드 배출부재(60)의 이동은 길다란 개구(66)의 길이로 제한된다. 따라서, 카드 배출부재(60)는 그의배출부(64)가 삽입방향으로 작동부재(40)의 운동에 따라 회전되었을 때 불필요하거나 동요적인 이동을 만들지 않는다.
카드 배출부재(6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른 부재가 프레임(20)에 형성된 스톱부재(26)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 배출부재(60)의 일단(62)은 작동부재(40)의 전방단(42)에 연결되며, 이 전방단은 스프링(50)에 의해 삽입방향에 마주한 위치에 까지 후퇴한다. 프레임과 절연하우징에 삽입된 메모리카드(12)가 스프링(50)에 의해 형성된 힘에 반하여 작동부재(40)를 밀어서 배출된 후에 작동부재(4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었을 때, 작동부재(40)는 스프링(50)에 의해 발생된 스프링 힘에 의해 그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작동부재(40)가 원래위치로 복귀될 때, 카드 배출부재(60)는 삽입방향에 마주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스톱부재(26)는 그의 급작스런 움직임을 막게 된다.
이후, 카드 배출부재(60)의 움직임을 도3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작동부재, 메모리카드 및 기타 구성요소들이 도3-8에서 생략되었다.
도3은 카드가 프레임(20)과 절연하우징에 삽입되었을때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3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옵셋 숄더(28)는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길다란 개구(66)의 배후단에 있다. 카드배출부재(60)는 스톱부재(26)와 결합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메모리카드는 프레임과 절연 하우징에 삽입되어서 강력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전기 컨택트들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 인해,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당한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카드 배출의 초기 단계에 있어, 작동부재(40)(도1참조)는 삽입방향으로 눌려지고 그리고, 도4에 보는 바와 같이, 카드 배출부재(60)의 제 1 단(62)은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그리고 배출부(64)는 옵셋 숄더(28) 둘레를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 1 단(62)과 옵셋숄더(28)간의 간격은 배출부(64)와 옵셋숄더(28)간의 간격보다 크다. 이로 인해, 배출부(64)에 의해 주행된 거리(행정)는 짧고, 메모리 카드에 가해진 힘은 작동부재(40)에 가해진 힘보다 크고, 그에 의해 절연하우징과 프레임(20)에 가해진 힘보다 크고, 그에 의해 절연 하우징과 프레임(20)으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옵셋숄더(18)는 호형돌기(68)가 프레임(20)의 벽(30)과 결합할때까지 회전축선 역할을 하고, 그런다음, 회전은 호형돌기(68)와 벽(30) 사이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계속된다.
작동부재(40)가 삽입방향으로 더욱 눌려질 때, 메모리 카드의 배출은 제 2 단계에 들어간다. 도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이때 회전축선은 호형 돌기(68)와 벽(30) 사이의 결합부에 있다. 이는 배출부(64)의 회전의 제 2 단계중, 회전 축선이 호형돌기(68)와 벽(30)간의 결합부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합부의 지점은 카드 배출부재(60)의 제 1 단의 영역에 위치하고, 결합지점과 제 1 단(62) 간의 간격은 결합지점과 배출부(64)간의 간격보다 짧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는 작동부재(40) 상에 작용하는 비교적 작은 힘에 의해 배출되 수 있고, 그리고 배출부(64)에 의해 주행된 전기(행정)이 길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는 프레임(20)으로부터 상당한 정도로 배출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배출 과정의 완료후, 작동부재(40)에 가해진 힘(도1참조)이 해제된다. 작동부재(40)가 스프링(50)에 의해 삽입방향에 마주한 방향으로 후퇴되기 때문에, 카드 배출부재(60)는 원래위치(도3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이때,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삽입방향에 마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카드 배출부재(60)는 스톱부재(26)에 대하여 결합하고, 그리고 회전 축선과 카드 배출부재(60)간의 결합지점은 원래위치로 복귀한다.
카드 배출부재(60)가 카드 배출부재(60)와 스톱부재(26)의 결합 지점 주위를 회전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질 때,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드 배출부재(60)는 가이드로서 사용되고 있는 길다란 개구(66)와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회전은 옵셋 숄더(28)가 길다란 개구(66)의 배후단에 결합할 때 종료한다. 도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카드 배출부재(60)는 슬립없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배출부(64)는 적절한 위치에 항상 있게 되고, 작동부재(40)를 조작하는 사람의 부분에서 어떠한 특정작용없이 미리 정해진 크기의 배출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으로부터 형성된 옵셋숄더(28)는 길다란 개구(66)의 연부(70) 둘레를 감싸고, 카드 배출부재(60)의 움직임은 회전의 평면부로부터 편향을 유도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다른 구현예에 관한 설명을 도9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확대도로서, 도1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구성품들에 상응하는 모든 구성품들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였다. 파선은 메모리 카드가 프레임과 절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 배출 부재의 위치를 보여준다.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는 도1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와 같이 호형돌기(68) 대신에 카드 배출부재(10)에 길다란 개구(112), 및 연부들이 개구(122)의 연부들 둘레를 감싸는 옵셋숄더(28)(도2참조)에 유사한 옵셋숄더(122)를 가진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있어, 카드 배출부재 회전의 제2단계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10)에서와 같이 호형돌기(68)와 벽(30) 사이의 결합지점 대신에 옵셋숄더(122) 둘레에서 일어난다. 카드 배출부재 회전이 옵셋숄더(28 및 122)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프레임(120)에 있는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카드 배출부재(110)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2개의 분리된 회전 축선을 가지는데, 그 하나는 회전체의 초기 단계용이고 다른 하나는 회전체의 제2단계용으로서 회전체는 길다란 개구에 부유될 수 있어서, 카드 배출부재가 부적절한 위치로 슬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리고 메모리 카드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는 아울러 카드 배출부재의 변형을 막을 수 있게 하며 커넥터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또는 기타부품과 결합하게 된다. 동시에 커넥터의 조작은 용이하고 확실하게 된다.

Claims (6)

  1. 안에 메모리카드(12)를 수취하기 위한 카드수취영역을 가지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따라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부재(40), 내부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일단(62)은 상기 작동부재의 내부단(42)에 그리고 타단(64)은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기 위한 배출부의 형태로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카드 배출부재의 피봇운동시 프레임으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카드 배출부재(60, 110)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출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카드 배출부재에 직교하면서 상기 카드 배출부재(60,110)의 하단(64)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 1 회전 단계용 플로팅 축선(28, 66), 및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카드 배출부재(60, 110)에 직교하면서 상기 카드 배출부재(60,110)의 일단(62)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 1 회전 단계용 플로팅 축선(30, 68; 112, 1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제 1 플로팅 축선(28, 66)이 상기 카드 배출부재(60)의 길다란 개구(66)에 배치된 옵셋 숄더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20)의 로울형 내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제 2 플로팅 축선(30, 68)이 상기프레임(20)에 의해 제공된 벽(30)과 그리고 상기 카드 배출부재(60)의 전방 연부에 위치한 호형돌기(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제 2 플로팅 축선이 상기 카드 배출부재(110)의 길다란 개구(112)에 배치된 옵셋 숄더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로울형 내향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팅 축선 및 제 2 플로팅 축선이 상기 카드 배출부재(60, 110)의 중심면의 각 측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작동부재(40)와 상기 프레임(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초기 위치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1998-0701769A 1995-09-11 1996-09-05 메모리카드커넥터 KR100407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53495A JP3274794B2 (ja) 1995-09-11 1995-09-11 カード用コネクタ
JP7/232534 1995-09-11
JP9/232534 199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21A KR19990044521A (ko) 1999-06-25
KR100407294B1 true KR100407294B1 (ko) 2004-03-20

Family

ID=1694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769A KR100407294B1 (ko) 1995-09-11 1996-09-05 메모리카드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67811A (ko)
EP (1) EP0850550B1 (ko)
JP (1) JP3274794B2 (ko)
KR (1) KR100407294B1 (ko)
CN (1) CN1146310C (ko)
DE (1) DE69603085T2 (ko)
WO (1) WO1997010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93A (ja) * 1994-03-10 1995-10-20 Whitaker Corp:The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JP3886182B2 (ja) * 1996-10-02 2007-02-28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ジェクト装置
DE19722126C1 (de) * 1997-05-27 1998-11-19 Siemens Nixdorf Inf Syst Auswurfmechanismus für in schlitzartige Vertiefungen eines Gehäuses einsetzbare Steck-Baugruppen
JP3269791B2 (ja) * 1997-06-30 2002-04-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イジェクト機構付コネクタ
US7014118B1 (en) * 1997-10-10 2006-03-21 Robinson Nugent, Inc Module header apparatus
CN1146083C (zh) * 1997-10-15 2004-04-14 姚立和 一种记忆卡匣插座
JPH11224749A (ja) * 1997-10-31 1999-08-17 Whitaker Corp:The 回路基板取付型カードリーダ及びその組立方法
JP3335311B2 (ja) 1998-06-12 2002-10-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395582U (en) * 1998-07-04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reject mechanism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US6056566A (en) * 1999-03-12 2000-05-02 Japanese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Card connector with an eject mechanism having an increased eject stroke
JP2000277208A (ja) 1999-03-24 2000-10-06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6572317B2 (en) 2000-09-14 2003-06-03 Piolax Inc. Resilient fastener clip
US20040235325A1 (en) * 2001-06-27 2004-11-25 Hideki Iijima Card connector with ejection mechanism
JP2003017185A (ja) * 2001-06-27 2003-01-17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JP3768125B2 (ja) * 2001-08-10 2006-04-19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4335303A (ja) 2003-05-08 2004-11-25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054022B2 (ja) * 2004-03-18 2008-02-2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558583B2 (ja) * 2005-05-31 2010-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4664212B2 (ja) * 2006-02-07 2011-04-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FR2948486B1 (fr) * 2009-07-27 2011-10-21 Sagem Comm Boitier destine a recevoir un disque dur extractible et comprenant une came basculante pour extraire ce disque dur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5699003B2 (ja) * 2011-02-24 2015-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210313743A1 (en) * 2021-06-18 2021-10-07 Intel Corporation Dual in-line memory module (dimm) socket that prevents improper dimm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871A (en) * 1988-02-29 1993-01-19 Fuji Photo Film Co., Ltd. System for unloading a memory cartridge
JP2659030B2 (ja) * 1991-09-12 1997-09-30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コネクタ装置
JPH0637947A (ja) * 1992-07-20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761490B2 (ja) * 1993-01-21 1998-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メモリカードの挿入保持装置に於ける複数支点式イジェクト機構
US5466166A (en) * 1993-08-13 1995-11-14 Apple Computer, Inc. Ejection mechanism
US5456610A (en) * 1993-09-16 1995-10-1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pparatus equipped with an ejector mechanism for IC packs
US5533906A (en) * 1993-09-27 1996-07-0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IT1273164B (it) * 1994-04-28 1997-07-07 Olivetti & Co Spa Unita' di lettura di schede di memoria magnetica con dispositivo manuale di espulsione di sche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310C (zh) 2004-04-14
WO1997010691A1 (en) 1997-03-20
CN1196162A (zh) 1998-10-14
JP3274794B2 (ja) 2002-04-15
KR19990044521A (ko) 1999-06-25
DE69603085T2 (de) 2000-01-27
JPH0982411A (ja) 1997-03-28
US5967811A (en) 1999-10-19
DE69603085D1 (de) 1999-08-05
EP0850550B1 (en) 1999-06-30
EP0850550A1 (en) 199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294B1 (ko) 메모리카드커넥터
US5435744A (en) Sliding boot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EP0607848B1 (en) Multi-fulcrum card ejecting mechanism
US7309259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hutter mechanism
US4887188A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JP3407194B2 (ja) プッシュ−プッシュ式カードコネクタ
EP1132860B1 (en) Card connector with eject device
US4713020A (en) Connector unit
US6379167B1 (en)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6478592B1 (en) Card ejecting mechanism for CF card connector
JPH10112353A (ja) エジェクト装置
US6159027A (en) Card connector with expandable modular card ejection device
US6796816B2 (en) Card connector having strengthened ejection mechanism
KR100405012B1 (ko) 이젝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US5912445A (en) Miniature pushbutton switch with coil spring contact
JP2002544655A (ja) スマートカードを排出する手段を備えた、スマートカード接続用コンパクトアセンブリ
US6702599B2 (en) Card eject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card connector
WO2003003289A1 (en) Card connector with ejection mechanism
US20040235325A1 (en) Card connector with ejection mechanism
US6413106B1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with two ejection drawer plates
US6071134A (en) Card connector ejector mechanism with retractable push button
JP4035392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6146163A (en) Ejection mechanism for electrical card connector
MY122130A (en) Ic socket
US6159026A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