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286B1 - 위생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위생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286B1
KR100407286B1 KR1019970705918A KR19970705918A KR100407286B1 KR 100407286 B1 KR100407286 B1 KR 100407286B1 KR 1019970705918 A KR1019970705918 A KR 1019970705918A KR 19970705918 A KR19970705918 A KR 19970705918A KR 100407286 B1 KR100407286 B1 KR 10040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washing
state
sanitary
washing apparatus
de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518A (ko
Inventor
토시오 구리사키
에이지 키타모토
야스시 임마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70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위생세정장치(20)에는, 양식변기(21)과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센서(180)이 설치되어 있다. 착탈센서(180)에서 오프신호가 출력되면, 제1개폐밸브(137A)가 닫혀서[단계(S82)], 세정수용히터(129)로의 통전이 정지되고[단계(S84)], 더욱이 세정용 노즐(24)가 대기위치로 수납된다. 따라서 양식변기(21)에 대하여 위생세정장치(20)를 분리한 경우에, 세정용노즐(24)는, 토수가 금지됨과 같이 대기위치로 이동되어서 고장의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위생세정장치
종래부터 변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생세정장치는, 변기본체의 후방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올려져서, 인체 국부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세정장치에는,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나 그 주변의 좁은 부분에, 오수나 이물질이 침입한 때에, 청소가 어렵기 때문에 이 부분에 오물이 부착되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생세정장치를 변기 본체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여, 부착된 오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위생세정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구성 등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탑재하고 있고, 변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기구에 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기본체에 대하여 착탈하는 경우, 고장의 요인을 배제한 위생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기본체에 착탈 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 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조작명령을 출력하는 조작수단과, 이 조작수단에서 출력되는 조작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위생세정기능부에 대하여 상기 위생세정처리를 명령하는 위생세정명령수단과, 상기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체와의 착탈를 검출하는 착탈상태검출수단과, 상기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가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 위생세정기능부의 상기 위생세정처리를 금지하는 금지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세정기능부는, 인체국부의 세정이나 건조 등을 행하는 것이고, 조작수단에서의 조작명령을 받은 위생세정명령수단에 의하여 제어된다. 위생세정기능부를 탑재한 위생세정장치는, 변기본체에서 착탈 가능하고, 변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분리한 때에, 착탈 가능검출수단이 그 정보를 금지수단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를 받은 금지수단은 위생세정명령수단에 대하여 위생세정기능부가 위생세정처리를 명령하는 것을 금지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분리한 때에, 조작수단을 눌러도 위생세정기능부의 동작이 금지된다.
상기 착탈상태검출수단은, 변기본체와 위생세정장치가 완전히 장착상태로 되거나, 이탈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이외에, 변기본체와 위생세정장치와의 착탈 작업중인 과도상태를 검지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착탈상태검출수단의 적절한 실시형태로서, 착탈판정부가 착탈신호출력부에서착탈신호를 받은때에 즉시, 이탈상태 또는 장착상태로 판정하지 않고, 착탈신호가 계속하여 있는 때에, 이탈상태 또는 장착상태로 판정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정에 기초하여, 위생세정기능부로의 명령의 금지 또는 금지의 해제명령이 실행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의 착탈에 수고를 덜고, 착탈상태검출수단에서의 신호가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도, 위생세정기능부에 의한 위생세정처리의 금지명령 및 금지해제명령의 번잡한 반복명령을 행하지 않는다.
위생세정기능부의 일실시예로서, 위생세정명령수단에서의 위생세정처리의 명령에 의하여 대기상태에서 세정상태로 이행하는 대기이동포함기능부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금지수단은 착탈상태검출수단에서 이탈상태인 명령을 받으면, 위생세정명령수단에 대하여 대기이행포함기능부를 상기 대기상태로 이행시키도록 명령하고, 그 후 위생세정처리를 금지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가 변기본체에서 벗어난 때에는, 즉시 대기이행포함기능부가 대기상태로 이행되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으로 되지 않는다.
대기이행포함기능부의 일례로서, 세정용 노즐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세정용 노즐은 대기상태로 수납된 후에, 위생세정기능부의 위생세정처리가 금지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벗겨서 청소하고 있는 경우에, 세정용 노즐이 바닥에 접촉하여 세정용 노즐에 하중이 걸리는 등이 없어지고 고장의 원인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대기이행포함기능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히터의 열을 팬으로 보내는 난방수단으로 적용한 경우에, 착탈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가 검출된 때에히터로 통전을 차단하고, 그 후 지연수단에 의하여 팬을 지연시켜 정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통전중에 히터로 가열된 부분이 팬으로 냉각되어 히터의 주변부에 여열에 의한 고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금지수단은, 전체의 위생세정기능부의 기능세정처리를 금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외에, 일부의 것만을 금지하도록 구성하여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위생세정장치가 이탈상태로 된 때에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세정용노즐을 대기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능을 금지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위생세정기능부의 다른 실시형태는, 토수통로를 통하는 세정수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인 경우에, 이상으로 간주하여 고온토수를 금지하는 고온지수(止水)기능을 구비한 고온토수부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금지수단은,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고온토수부의 고온지수능력을 블럭하는 고온지수(止水)블럭수단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탈상태에서는 토수통로를 통하는 세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어도 이상으로 간주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벗긴 경우, 세정수탱크가 경사져서 세정수의 고온 부분이 토출통로로 흘러들어도, 고온지수기능을 동작시키지 않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 부착한 경우, 고온지수부에 의하여 토수의 금지명령을 계속하는 것 없이, 즉시 위생세정처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생세정기능부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가열된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탱크와, 세정수탱크에 접속되는 배출통로와, 배출통로를 통하여 세정수탱크의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용노즐과, 상기 토출통로에 연통하면서 토출통로를 대기에 개방하는대기도입통로와, 대기도입통로를 대기에 개방하는 밸브열림위치와, 세정수탱크에서 세정수의 유출시에 대기도입통로를 닫는 밸브닫힘위치의 밸브동작에 의하여 세정용노즐에서 세정수탱크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진공브레이커를 구비하고, 상기 금지수단은, 상기 대기도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 개폐밸브를 강제적으로 여는 개폐밸브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세정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는 토출통로를 통하여 세정용 노즐에서 인체 국부를 향하여 분출된다. 또한 토출통로에는 대기도입통로를 통하여 진공브레이커가 접속되어 있다. 진공브레이커는, 세정수의 토출시에 급수압을 받아 닫혀 있지만, 급수압이 없는 때에 토출통로를 대기로 개방하여 세정용 노즐에서 세정수탱크로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진공브레이커는, 급수압이 없는 때에, 대기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이탈시켜 위생세정장치를 경사지도록 한 경우에 세정수탱크 내의 세정수가 토출통로에서 대기도입통로를 닫아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폐밸브 및 개폐밸브제어수단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개폐밸브제어수단은, 착탈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개폐밸브를 강제적으로 열고, 외부에 온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해제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해제수단은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 장착하면, 금지수단의 금지명령을 해제함으로써, 해제를 위한 조작수단에 의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해제수단의 적절한 일실시예로서,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에서 장착상태로 돌아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량조절밸브를 소망의 유량으로 복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다음번의 위생세정처리의 준비를 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 장착한 경우에 위생세정처리를 즉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해제수단의 일실시예로서, 위생세정기능부의 금지명령을 2단계로 해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해제수단은 직립시간이 큰 위생세정기능부에 적합하다. 즉 해제수단은, 직립시간이 큰 위생세정기능부를 1단계째에서 우선하여 복귀시키는 것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를 장착상태로 한때에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고, 한편 2단계째로 복귀되는 위생세정기능부의 고장의 요인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온수조절기능부에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온수조절기능부의 금지명령을 우선적으로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 장착한 때에 즉시 적온(適溫)의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기본체에 장착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이러한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대기상태에서 세정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인체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조작명령을 출력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서 출력되는 조작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위생세정기능부에 대하여 상기 위생세정처리를 명령하는 위생세정명령수단과, 상기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이탈시키는 작업중인 이탈과도상태또는 이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검출수단과, 상기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과도상태 또는 이탈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를 상기 대기상태로 이행시키는 명령을 상기 위생세정명령수단에 출력하는 대기상태명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착탈상태검출수단은, 변기본체에서 위생세정장치를 이탈시키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이탈과도상태 또는 이탈상태인 것을 검출한때에, 그 명령을 대기상태명령수단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명령을 받은 대기상태명령수단은, 위생세정명령수단에 대하여 위생세정기능부를 상기 대기상태로 이행시키는 명령을 보낸다. 따라서 변기본체에서 위생세정장치를 이탈시키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때, 또는 이미 이탈한 상태에 있는 때에, 위생세정기능부가 세정상태로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으로 되지 않는다.
다음에 다른 형태의 발명은, 변기본체에 착탈 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국부에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체와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 검출수단과, 위생세정기능부의 세정수의 온도, 건조 온도 등의 위생세정데이타를 설정하는 데이터설정수단과, 비통전시에서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기억부와,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데이터 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위생세정데이터를 불휘발성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명령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데이타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위생세정데이터 기억수단의 기억명령부는,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데이터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위생세정데이터를 불휘발성기억부에 기억시킨다. 불휘발성기억부는, 비통전시에서도 위생세정데이터를 기억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의 변기본체에서의 이탈작업시에 잘못하여 전원 콘센트가 빠져서 비통전상태로 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위생세정데이터를 잃어버리는 것 없이, 위생세정데이터의 재설정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변기본체를 착탈 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이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체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검출수단과, 위생세정기능부의 세정수의 온도, 건조온도 등의 위생세정데이타를 설정하는 데이터설정수단과, 데이터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위생세정데이터를 기억하는 위생세정데이터 기억수단과, 착탈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상기 위생세정 데이터기억수단에 의한 위생세정데이터의 기억의 갱신을 금지하는 갱신금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갱신금지수단은,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위생세정데이타의 갱신을 금지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의 이탈상태에서 조작수단에 잘못 접촉하여 위생세정데이터를 갱신하는 취지의 신호가 출력되어도, 위생세정데이터가 갱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장착상태로 복귀시킨 때에 위생세정장치를 분리하기 전의 위생세정데이터의 설정에 의하여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갱신금지수단은 복수개의 위생세정데이터 가운데 선택적으로 갱신을금지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갱신금지수단의 선택부는, 복수개의 위생세정데이터 가운데 선택적으로 갱신을 금지하는 것에 의하여 위생세정데이터의 내용에 적응한 데이터가 확보된다. 예를 들면 위생세정데이터가 엉덩이세정명령 신호와 온도설정신호인 경우에 엉덩이세정명령신호가 출력되어도, 이것을 무효로 하도록 갱신하지만, 온도설정신호의 갱신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엉덩이세정명령신호에 의하여 이탈상태에서 세정수가 분출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도, 이것을 해제하고, 한편 온도설정신호의 갱신을 금지하는 것에 의하여 이탈상태의 전과 동일한 세정수의 온도로 토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변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위생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생세정장치를 탑재한 양식변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양식변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3도는 위생세정장치(20)를 일부 파단하여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4-4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5-5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 6-6선 단면도.
제7도는 위생세정장치를 보인 블럭도.
제8도는 위생세정장치(20)에 내장된 전자제어장치(150)을 보인 블럭도.
제9도는 착탈센서(180)을 보인 개략단면도.
제10도는 위생세정기능정지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착탈센서(250)을 보인 개략단면도.
제12도는 위생세정처리의 착탈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3도는 위생세정장치(20)의 착탈판정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4도는 위생세정기능의 복귀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5도는 위생세정장치에 탑재된 난방장치를 보인 개략도.
제16도는 난방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7도는 위생세정장치의 토수경로를 보인 구성도.
제18도는 위생세정장치에 탑재된 고온지수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9도는 진공브레이터(350)을 보인 단면도.
제20도는 진공브레이커(350)의 시트부 부근의 확대단면도.
제21도는 진공브레이커(350)의 시트부 부근의 사시도.
제22도는 덕트스위치를 보인 단면도.
제23도는 스위치의 설정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24도는 위생세정데이터의 갱신처리를 보인 플로챠트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실시형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가 부착된 양식변기의 외관도, 제2도는 그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생세정장치(20)는, 양식변기(21)에 장착되는 것이고, 세정수를 가열하거나 온풍을 토출하기 위한 장치 등을 수납하며,도시하지 않은 축에 의하여 변기시트(2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케이스본체(22)와, 변기시트(28)에 앉은 사람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여 국부세정을 행하는 세정용노즐(24)과, 조작을 행하는 조작판넬(25)을 구비하는 조작부(2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생세정장치(20)가 양식변기(21)의 후방에 부착되면, 변기시트(28)는 양식변기(21)에 대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변기의 변기덮개(29)도 변기시트(28)과 동일하게 케이스본체(22)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양식변기(21)에 대하여 개폐된다.
다음에 양식변기(21)로의 케이스본체(22)의 부착 이탈 상태에 대하여, 케이스본체(22)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제3도와 그 4-4선확대단면도인 제4도, 5-5선 확대단면도인 제5도 및 6-6선 확대단면도인 제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2)의 내부에는, 양식변기(21)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31)에 들어가는 고정구삽입부(32)가, 고정구(31)의 피치에 맞춰서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31)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1a)를 통하여 양식변기(21)에 고정되는 것이고, 볼트부(33)의 정상부에 판상의 변기접지편(34), 동일하게 판상의 가이드편(35) 및 판상의 계합편(36)을 구비한다. 변기접지편(34)과 가이드편(35)는, 동일 방향(제4도에서의 우측)으로 볼트부(33)의 정상부에서 연출하고, 계합편(36)은, 이것과 반대 방향으로 연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구(31)는, 변기접지편(34) 및 가이드편(35)가 양식변기(21)의 후방을 향하고, 계합편(36)이 양식변기(21)의 전방을 향하며, 더욱이 변기접지편(34)이 양식변기(21)의 상면으로 접지하기 까지 체결되어, 양식변기(21)에 고정된다.
결합편(36)은, 양식변기(21)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그 상면과 거의 평행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그 중앙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계합돌기(3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계합편(36)은, 그 소정 간격이 변화하도록 볼트부(33)의 정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만곡(탄성변형)한다. 또한 가이드편(35)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접지편(34)보다 근소하게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1)가 들어가는 케이스본체(22)의 고정구삽입부(32)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2)의 저면판(22a)와, 후부 측면판(22b)에서 케이스본체(22)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내부천정판(22c)와, 그 양측의 측벽면판(22d)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2)의 후부측면판(22b) 측에 있어서, 즉 고정구삽입부(32)의 후방에 있어서, 그 내부천정판(22c)와 그 양측의 측벽면판(22d)로 둘어 쌓인 부분이, 고정구(31)가 들어가는 개구(38)로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본체(22)가 양식변기(21)의 상면 전방으로 재치되고, 이 고정구(31)을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고정구(31)는 우선 케이스본체(22)의 고정구삽입부(32) 후부의 개구(38)에, 계합편(36)의 선단에서 삽입된다.
고정구(31)가 들어가는 개구(38)의 양측벽면판(22d)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접지편(34)이 들어가는 접지편삽입홈(39)와, 가이드편(35)이 들어가는가이드편삽입홈(40)이,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본체(22)가 더욱 고정구(31)을 향하여 후방에서 슬라이딩하면, 고정구(31)의 변기접지편(34), 가이드편(35)는, 접지편삽입홈(39), 가이드편삽입홈(40)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각편이 그 홈에 들어가는 것으로, 케이스본체(22)는, 양식변기(21)에 대하여 가로로 어긋나지 않고, 케이스본체(22)의 후부에 양식변기(21)의 상면에서 뜨지 않게 된다.
고정구삽입부(32)는, 개구(38)의 뒷편에, 고정구(31)의 계합편(36)의 계합돌기(37)에 계합하도록 하여, 저면판(22a)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형성돌기(41)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형상돌기(41)의 전단면(제4도에서의 우측단면)은, 고정구삽입부(32)에 고정구(31)이 들어간 때에 가이드편(35)의 선단이 당접하는 스톱퍼면으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케이스본체(22)가 더욱 고정구(31)을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고정구(31)의 계합편(36)은, 계합돌기(37)가 돌출형상돌기(41) 각부의 테이퍼면에 닿고 이 계합돌기(37)가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들려 올라가는 것에 의하여 볼트부(33)의 정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만곡한다. 그 후 계합돌기(37)가 돌출형상돌기(41)를 타고넘으면, 계합편(36)은 탄성하여 복귀하고, 계합돌기(37)와 돌출형상돌기(41)이 계합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편(35)의 선단이 돌출형상돌기(41)의 전단면에 당접하여서, 케이스본체(22)는, 고정구(31)을 통하여 양식변기(21)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구삽입부(32)으로의 고정구(31)의 삽입이 완료된다.
이외에, 케이스본체(22)에는, 제3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계합돌기(37)와 돌출형상돌기(41)와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계합해제바아(42)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계합해제바아(42)의 일단은 케이스본체(22)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일단에는 그 계합해제바아(42)를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43)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해제바아(42)는, 케이스본체(22)의 내부에 있어서 4개의 축지지블럭(44a-44d)(제6도 참조)에 축지지되어 있고, 그 축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계합해제바아(42)의 설치위치는, 고정구삽입부(32)에 고정구(31)가 완전하게 삽입된 때에, 계합편(36)의 선단이 그 계합해제바아(42)와 간섭하는 위치이고, 상기 간섭부분에는 그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취부(45)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축지지블럭(44a-44d)의 어느 한개에는, 계합해제바아(42)의 절취부(45)가 상부를 향하고 있는 때에 계합해제바아(42)를 해제위치로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접촉 기구(도시없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기구는, 축지지블럭에 스프링과 강구를 강구가 근소하게 브럭의 관통공을 나오도록 조립하고, 계합재헤바아(42)의 외주에 그 강구가 들어가는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계합해제바아(42)는, 그 접촉기구에 의하여 통상은 절취부(45)를 상부로 향하여 멈추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구(31)는 지장 없이 고정구삽입부(32)에 완전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2)는 상술한 계합돌기(37)와 돌출형상돌기(41)의 계합을 경유하여, 고정구(31)를 통하여 양식변기(21)에 고정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양식변기(21)에 고정된 케이스본체(22)를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핸들(43)을 한손으로 조작하여 계합해제바아(42)를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계합해제바아(42)가 회전하면, 절취부(45)에 의하여 그 까지는 계합편(36)과 간섭하고 있지 않는 계합해제바아(42)는, 회전에 의하여 계합편(36)을 볼트부(33)의 정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만곡된다. 이와 같이 계합편(36)가 만곡되면, 계합돌기(37)가 들어들어져서, 계합돌기(37)와 돌출형상돌기(41)과의 계합은 해제된다. 따라서 이 후에는, 상술한 케이스본체(22)의 부착과 역동작으로, 케이스본체(22)를 변기시트(28) 마다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케이스본체(22)를 양식변기(21)의 상면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고정구(31)에서 케이스본체(22)를 잡아당겨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후에는, 양손으로 케이스본체(22)를 변기시트(28)에서 잡아올리면 변기시트(28)는 케이스본체(22)와 같이 양식변기(2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술한 예에서는, 계합해제바아(42)를 회전시키는 것이지만, 절취부(45)의 상면을 핸들(43) 측이 들어올려진 경사면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핸들(43)을 제3도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미는 것으로,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계합돌기(37)와 돌출형상돌기(41)과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기시트 부착기구에서는, 변기시트(28)을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계합돌기(37)과 돌출형상돌기(41)과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핸들 조작과 양식변기(21)의 후방으로의 케이스본체(22)의 슬라이딩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기시트를 케이스본체(22)와 같이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위생세정장치(20)의 급수계통을 제7도의 블럭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수원(水原)은, 세정수탱크에 배관 접속됨과 동시에 도중의 분기고정구(120)에서, 연결관(121)을 통하여 위생세정장치(20)으로도 배관 접속되어 급수하고 있다.
위생세정장치(20)은, 상류측에서, 급수아답터(122), 감압밸브(123), 전자밸브(124), 안전밸브(125)로 구성되는 밸브유니트(126)와, 공급되는 물을 온수용 서미스터(128a)에 의하여 온도검출하면서 세정수용 히터(129)로 적온까지 가열하는 열교환기(130) 및 열교환기 내의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트스위치(131)로 구성되는 열교환기유니트(132)와, 역방지밸브(133), 유량조절모터(134)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량조절밸브(135)를 구비하는 유량조절유니트(136)와, 제1개폐밸브(137a) 및 제2개폐밸브(137b)를 구비하는 개폐밸브유니트(137)을 구비하고, 그 선단에는, 노즐장치(140)이 접속되어 있다. 노즐장치(140)는, 상기 세정용노즐(24)를 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14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는 위생세정장치(20)의 전자제어장치(150)의 내부 구성과 그 주변장치를 보인 블럭도이다. 전자제어장치(150)는, 미리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세정수의 온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152)와, 중앙처리장치(152)에서 각종 연산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브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 등이 저장된 롬(ROM)(154)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52)에서 각종 연산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램(RAM)(156)과, 비통전상태에서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백업램(157)과, 위생세정장치(20)에 부속하는 각종의 센서나 스위치에서의 신호를 입력하여 중앙처리장치(152)의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입력처리회로(158)과, 중앙처리장치(152)에서의 연산결과에 따라 전자밸브(124) 등을 구동하는 출력처리회로(158)과, 중앙처리장치(152)에서의 연산결과에 따라 전자밸브(124) 등을 구동하는 출력처리회로(159)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백업램(157)은, 내장된 전지에 의하여 백업되어서,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등 전기적으로 리드/라이트 가능한 디바이스이고, 전원차단시에도 그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는 각종의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변기시트(28)에는, 상기 변기시트(28)에의 착좌를 검출하는 착좌센서(170)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센서(170)으로서는 예를 들면 변기시트(28)의 표면의 변기시트용히터(153)에 대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착좌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나 압력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생세정장치(20)을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한 것을 검출하는 착탈센서(180)이 조작부(26)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센서(180)는, 위생세정장치(20)의 회로기판(P)에 고정되어 있다. 착탈센서(180)는, 회로기판(P) 상에 고정된 포트(182)와 포트(182)에 수납된 수은(183)과, 포트(182)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184)와, 덕패(184)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고정된 리드단자(185)와, 회로기판(P)에 입설되면서 포트(182)에 접속되는 단자(186a)와, 회로기판(P)에 입설되면서 리드단자(185)에 접속되는 단자(186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면, 수은(183)이 포트(182) 내를 이동하고, 단자(186a)와 단자(186b)의 사이가 오픈되고, 이러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장치(150)이 착탈유무를 판정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150)에는, 조작부(26)의 조작판넬(25)의 조작버튼(210)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조작버튼(210)은, 각종 기능에 대응한 여러 가지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즉 엉덩이세정버튼(210a), 비데세정버튼(210b), 정지버튼(210c), 온풍을 불기위한 건조버튼(210d), 맛사지세정을 설정하는 맛사지설정보튼(210e), 무브세정을 수행시키는 무브설정버튼(210f), 토수온도의 조절용의 토수온도설정버튼(210g), 수량조절용의 수량조절버튼(210h), 세정용 노즐(24)를 전후 방향을 이동하는 노즐위치조절버튼(210i), 위생세정장치(20)를 이탈상태에서 장착상태로 이행한 때에 장착완료를 알리는 확정버튼(210k), 변기시트용히터(153)을 소정 시간 오프로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예약버튼(210m)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각 유니트 등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변기시트(28)에 사용자가 앉으면, 착좌센서(170)에서 그 신호가 출력되고, 그 후 조작판넬(25)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버튼(210a)를 누르면, 구동장치(141)(제7도 참조)를 구동시켜 세정용 노즐(24)를 일체적으로 세정위치까지 전진시키고, 밸브유니트(126)의 제1개폐밸브(137a)를 열어서 세정수의 분출을 개시한다. 그리고 세정 종료후, 조작판넬(25)의 정지버튼(210c)(제8도 참조)를 눌러 세정 종료를 지시하면 제1개폐밸브(137a)를 닫아서 세정수의 분출을 종료하고, 그 후 구동장치(141)을 역전시켜 세정용 노즐(24)를 수납위치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비데세정버튼(210b)(제8도)을 누르면, 비데세정위치까지 세정용 노즐(24)(제1도)가 진출하여 제2개폐밸브(137b)를 열어서 세정수의 분출을 개시하고, 정지버튼(210c)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세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변기시트(28)에는 변기시트용히터(153)이 설치되어 있고, 변기시트면을 적온으로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경우의 위생세정기능의 정지처리에 대하여 제1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전원투입시에서 전자제어장치(150)에 의하여 반복 실행되는 루틴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최초 단계(S80)에서, 착탈센서(180)에서 이탈상태를 보이는 오프신호가 출력되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게 된다. 이 판정처리에서 부정판정된 때에는 본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오프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82)로 진행한다. 단계(S82)에서, 제1개폐밸브(137a) 및 제2개폐밸브(137b)를 오프 구동하고, 더욱이 단계(S84)에서 세정수용노즐(129)를 오프로 한다. 그 후 단계(S86)에서 구동장치(141)를 구동시켜, 세정용노즐(24)을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그 세정용노즐(24)이 대기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한 때에, 구동장치(141)도 오프로 한다. 그리고 위생세정장치(20)의 전자제어장치(150)의 기능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확정버튼(210k)(제8도)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처리에 의하면,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한 때에, 세정용노즐(24)가 토수중이어도, 제1개폐밸브(137a)가 닫혀서 지수되는 것과 같이, 세정수용히터(129)로의 통전도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착탈작업중 또는 이탈 상태인 때에, 세정용노즐(24)에서 불의의 토수가 되는 것이 없어지고, 또한 세정수용히터(120)로의 통전중으로 되는 것도 없다. 또한 세정용노즐(24)도 대기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20)를 분리하여 청소 등을 하고 있는 때에, 세정용노즐(24)에 접촉하는 것이 없어지고, 그 고장의 원인으로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위생세정기능부에 대한 위생세정처리를 금지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조작버튼에서 신호를 출력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각종 조작버튼을 로킹하여, 조작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서 분리하는 작업중 등에, 조작부(26)의 조작버튼을 잘못눌러도, 세정수가 토출되는 불의의 동작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1도는 착탈센서(250)의 부근을 보인 개략도, 제12도는 위생세정장치(20)의 세정기능정지처리를 보인 플로챠트, 제13도는 착탈판정처리를 보인 플로챠트이다.
우선 제11도의 착탈센서(2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착탈센서(250)는, 케이스본체(20B)의 내측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이고, 스위치본체(251)와, 스위치본체(251)의 일단에 힌지지지된 가동편(252)과, 가동편(252)에 의하여 압압되는 스위치노브(253)을 구비한다. 이 착탈센서(250)는, 케이스본체(20B)의 가이드요부(20Ba)의 내측벽에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요부(20Ba)에 가동편(252)의 일단을 돌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요부(20Ba)를, 변기(도시생략)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22B)의 가이드부(22Ba)로 가이드시켜서, 케이스본체(20B)를 베이스플레이트(22B)에 장착하면, 착탈센서(250)은, 온으로 되어 장착신호가 출력되고, 한편 케이스본체(20B)를 분리하면, 오프로 되어 이탈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착탈센서(250)을 사용한 제12도 및 제13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의 처리는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 대하여 착탈한 때에 기능정지 및 복귀를 실행하는 것이다. 제12도에 있어서, 단계(S112)에서 착탈플래그(Fs)의 판정을 실행한다. 이 착탈플래그(flag) (Fs)는, 제13도의 처리에서 세트된 플래그이고, 위생세정장치(20)가 분리된 때 1로 세트되고, 한편 장착된 때에는 0으로 세트된는 플래그이다. 이 착탈플래그(Fs)의 판정에 의하여 1로 판정된 때에는 단계(S112)에서 제10도의 단계(S82) 내지 단계(S86)과 같이 기능정지 처리가 수행되고, 한편 단계(S110)에서 착탈플래그(Fs)가 0으로 판정된 때에는 예를 들면 변기시트용히터(153)으로의 통전이나 탈취장치(도시생략) 등의 오조나이저(ozonizer) 등의 통전을 개시하는 처리이다.
다음에 제12도의 단계(S110)에서 사용한 착탈플래그(Fs)를 설정하는 처리에 대하여 제1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스탭(S150)에서, 착탈센서(250)에서 오프신호, 즉 위생세정장치(20)가 분리된 때의 신호가 출력되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실행된다. 단계(S150)에서 오프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51)로 진행하고, 카운터(Cb)를 리셋트한다. 상기 카운터(Cb)는, 오프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이다.
계속하는 단계(S152)에서는 카운터(Ca)를 증가시킨다. 이 카운터(Ca)는, 오프신호의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카운터이다. 계속하는 단계(S154)에서 카운터(Ca)가 소정 시간(CaO)(예를 들면 1초)를 초과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단계(S154)에서 부정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그리고 반복처리에서, 단계(S154)에서 카운터(Ca)가 소정시간(CaO)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56)에서 착탈플래그(Fs)를 1로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20)가 양식변기(21)에서 분리되었다고 판정하게 된다.
한편, 단계(S150)에서, 착탈센서(250)에서 오프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때에는, 스텝(S159)에서 상기 카운터(Ca)를 리셋트하고, 계속하는 단계(S160)에서 카운터(Cb)를 증가시킨다. 다음의 단계(S162)에서는 카운터(Cb)가 소정시간(CbO)를 초과하였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실행되고, 소정시간(CbO)를 초과하였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S164)에서 착탈플래그(Fs)를 0으로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20)이 양식변기(21)에 부착되었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제13도의 착탈판정처리에 의하면 착탈센서(250)에서 오프신호가 출력된 때에, 즉시 이탈상태라고 판정하지 않고, 오프신호가 소정시간(CaO)만큼 계속한 때에 이탈신호라고 판정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20)를 분리 작업중에 착탈센서(180)에서 온오프를 빈번하게 반복하는 출력이 있어도, 위생세정장치(20)의 각 기능의 금지 또는 복귀처리를 반복하는 헌팅(hunting)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이 처리에서는, 위생세정장치(20)를 양식변기(21)에 장착한 경우, 위생세정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해진다.
그리고 위생세정장치(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양식변기(21)에 장착한 때에는 전체의 위생세정기능을 동시에 복귀시키는 구성 이외에, 2단계 이상으로 복귀시켜도 된다. 즉, 제14도는 위생세정장치(20)을 장착한 때의 세정수용 히터(129)를 우선적으로 통전하는 복귀처리를 보이는 플로챠트이다. 제14도에 있어서, 우선 단계(S150)에서, 장착과도상태 플래그(FTE)의 판정이 실행된다. 이 장착과도상태플래그(FTE)는, 위생세정장치(20)의 장착이 과도적임을 판정한 때에 세트되는 플래그이고, 즉, 단계(S182)에서 착탈센서(250)에서 장착신호가 있는 때에 단계(S184)에서 1로 세트된 플래그이다. 여기서 단계(S180), 단계(S182), 단계(S184)를 경유한 경우에는 단계(S186)에서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지않다고 판정한 때에는, 단계(S188)에서 세정용히터(129)가 온되고, 본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반복처리에서 단계(S180)의 판정을 경유한 후, 단계(S186)에서 소정 시간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때에는, 단계(S190)에서 착탈센서(250)의 신호가 장착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착탈센서(250)에서 최초에 장착신호가 있은 후, 소정 시간경과후에 장착신호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정된 때에는 단계(S192)에서 장착과동도상태플래그(Fte)가 0으로 리세트되고[단계(S192)], 장착상태를 보이는 착탈플래그(Fs)가 0으로 세트된다[단계(S194)]. 상기 착탈플래그(Fs)의 0의 세팅에 의하여 다른 루틴으로 다른 위생세정기능이 복귀처리된다. 한편 단계(S190)에서 소정시간 경과후에 장착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장착과도상태플래그(FTE)를 리세트함과 같이[단계(S196)], 세정수용히터(120)를 오프로 한다.[단계(S198)].
따라서, 착탈센서(250)는, 착탈작업중에는, 장착신호 및 이탈신호를 반복한 불안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지만, 최초에 장착신호가 출력된 과동상태의 경우, 세정수용히터(129)로의 통전을 개시하는 것에 의하여, 가열에 장시간을 요하는 세정수용 히터(129)를 우선적으로 통전시켜서, 위생세정장치(20)의 장착후, 즉시 온수 토수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위생세정기능은 위생세정장치(20)가 확실하게 장착상태로 된 후에,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주제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6)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위생세정기능의 전체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기측으로 이행하는 기능, 예를 들면 세정용노즐(24)을 대피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에 대해서는 조작부(26)의 조작을 받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지기능의 고장 등으로 세정용노즐(24)가 대피위치로 이행하지 않는 경우의 백업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탈센서로서, 제9도에 도시한 수은의 경사에 의하여 오프되는 경사스위치 또는 제11도에 도시한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홀소자를 이용하는 것, 광전센서를 이용하는 것 등 여러 가지 센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위생세정기능을 복귀시키는 경우의 수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생세정장치를 양식변기에 장착하여 확정버튼을 누른 때에 복귀시키는 수단 이외에, 특정 스위치를 누르면서 위생세정장치의 장착작업을 한 때에 복귀시키는 수단, 혹은 위생세정장치의 장착작업중에 제1버튼을 누른 때에 일부의 위생세정기능을 복귀시켜, 위생세정장치의 장착작업을 완료하여 제1버튼을 누른 때에 전체의 위생세정기능을 복귀시키도록 2단계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가져도 좋다.
다음에 위생세정장치의 착탈시에 정지하는 위생세정기능으로서, 각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내용의 난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난방장치는 적용한 경우에는 착탈의 경우에 온풍의 출구부근에 손이 접근하여도 온풍이 계속 부는 것은 없다. 이 구성에 있어서, 난방장치에 이하의 기능을 장착하면, 보다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5도는 위생세정장치에 탑재된 난방장치(300) 및 주변회로를 보인 개략구성도이다. 제15도에 있어서, 난방장치(300)은, 온풍통로(301) 내에 설치되는 실내 난방용히터(302)와, 실내난방용히터(302)에 의하여 가열된 온풍을 보니는 팬(304)과, 전자제어장치(305)를 구비하고 있고, 착좌센서(306)에 의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검출한 때에는 실내난방용히터(302)에 통전함과 동시에 팬(304)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향하여 온풍을 불어 냄과 동시에 착탈센서(308)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난방의 중계를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16도는 전자제어장치(305)에 의하여 실행되는 난방장치(300)을 구동하는 처리를 보인 플로챠트이다. 본 처리는 실내 난방을 설정하고 있는 때에 실행되는 루틴이고, 우선 단계(S202)에서 착좌센서(306)에 의한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착좌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이 판정에 의하여 착좌상태라고 판정되면, 단계(S204)에서 실내 난방용히터(302)로의 통전 및 팬(304)의 구동이 실행된다. 계속하여 단계(S206)에서는, 착탈센서(308)에 의한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장착상태인가 이탈상태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실행되고, 장착상태인 경우에 본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그리고 단계(S202)로 돌아와서 착좌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210)으로 진행하고, 실내 난방용히터(302)로의 통전이 정지되며, 더욱이 단계(S212)에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단계(S214)에서 팬(304)가 정지된다.
한편 단계(S206)에서 난방중에 착탈센서(308)에 의한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탈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210)으로 진행하고, 실내 난방용히터(302)의 통전이 정지되며, 더욱이 소정 시간 후에 팬(304)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팬(304)는, 실내난방용히터(302)로의 통전 차단후, 소정시간 경과한 때에 정지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 난방용히터(302)로의 통전이 정지된 후에도 그 주변부분이 팬(304)으로 냉각되고 여열에 의한 고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생세정장치에 탑재된 고온 지수(止水)장치를 설명한다. 제17도는 고온지수자치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이다. 위생세정장치는, 급수원에 접속된 세정수탱크(322)와, 세정수탱크(322)에서 가열된 세정수를 토출통로(324)를 통하여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용 노즐(326)과, 상기 토출통로(324)에 설치되고 토출통로(324)를 통하는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고온용서미스터(328)과, 세정용노즐(326)으로의 세정수를 토출 또는 지수하는 전자밸브(329)와, 전자제어장치(330)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제어장치(330)는, 고온용서미스터(328)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온도 이상의 세정수를 검출한 때에 세정수의 토수를 금지하는 고온지수기능을 구비하고, 더욱이 착탈센서(332)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고온지수능력을 로킹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전자제어장치(330)에 의하여, 고온용서미스터(32S)이 소정 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의 이상판정처리에 대하여 제18도의 플로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S222)에서, 고온용서미스터(328)의 검출온도(TMs)가 읽혀진다. 계속하여 단계(S224)에서 고온서미스터(328)의 검출온도(TMs)가 소정온도(TMsc)(45℃) 이상인가 아닌가에 대하여 판정되고 소정온도(TMsc) 이하인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224)에서, 고온용 서미스터(328)의 검출온도(TMs)가 소정온도(TMsc)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S226)에서 착탈센서(332)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착탈 상태가 판정된다. 이러한 판정에 의하여 이탈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228)에서 전자밸브(329)를 닫는다. 이것에 의하여 세정용노즐(326)에서 소정온도 이상의 고온토수가 금지된다. 계속하여 단계(S230)에서는 전자제어장치(330)의 램(RAM)에 일차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다른 각종 상태의 검출데이터 또는 제어데이터를 읽어넣는다. 검출데이터 또는 제어데이터로서는 조작버튼의 설정상태, 착좌상태를 보이는 신호 등의 데이터이다.
계속하여 단계(S232)에서는 고온용서미스터(328)의 검출온도(TMs)가 소정온도 이상이라는 취지를 전자제어장치(330)의 백업램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단계(S230)에서 읽어넣은 각종 상태의 검출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도 백업램에 기억시킨다. 다음의 단계(S234)에서는 소정 이상의 고온을 검출하였다는 취지를 표시램프에 표시하고, 그 취지를 알린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데이터는 통전복귀 후에도 계속하여 기억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속되는 토수금지상태로 된다. 그리고 본 처리에 의하여 고온용서미스터(328)이 소정온도 이상을 검출한 때에 그 취지를 백업램에 기억시키고, 더욱이 그 때의 검출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에서, 수리의 경우에 있어서 고정발견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단계(S226)에서는 착탈센서(33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탈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228)에서 단계(S234)까지의 처리를 생략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양식변기에서 분리한 경우에, 세정수탱크(322)가 기울어 세정수의 고온의 부분이 토출통로(324)에 흘러도 고온지수기능을 동작시지 않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를 양식변기에 부착한 경우, 고온지수능력에 의하여 토수의 금지명령을 계속하는 것 없이 즉시 종래의 세정기능을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위생세정장치의 세정수탱크(322)에 진공브레이커를 접속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7도에 있어서, 배출통로(324)의 도중에는 진공브레이커(350)이 세정수탱크(322)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진공브레이커(350)는, 제19도에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351) 내에 일차측유로(352), 이차측유로(353) 및 외기도입통로(35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본체(351)의 일차측유로(352)의 개구부에는 시트부(35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시트부(355)는, 밸브체(356)의 착좌부(357)가 착좌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355)에는 제1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90°의 간격으로 통기용의 절취부(355a)가 4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진공브레이커(350)의 구성에 의하여 세정수탱크(322)의 고온수가 일차측유로(352)를 통하여 밸브체(356)에 더해지고, 상기 밸브체(356)을 눌러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이 크게되면, 밸브체(356)의 자중에 저항하여 밸브가 열리고, 일차측유로(352)에서 이차측유로(353)으로의 고온수가 흐른다. 한편 일차측유로(352)의 고온수의 압력이 밸브체(356)의 자중보다 작게 되면, 착좌부(357)가 시트부(355)에 착좌하여 밸브가 닫힌다. 이 때 시트부(355)에는, 절취부(355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절취부(355a)를 통하여 일차측유로(352)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일차측유로(352)를 통하여 세정수탱크(322)내에 에어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갭에 의하여 진공브레이커(350)는, 세정용노즐(326)을 통하여 양식변기의 용기 내부의 물을 세정수탱크(322)으로 역류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외기도입통로(354)에는, 개폐밸브(3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360)은 전자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에어장치(330)에서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 제어된다. 즉 전자제어장치(330)은, 착탈센서(308)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탈상태로 판정한 때에는 개폐밸브(360)을 닫는다. 따라서,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분리한 경우에, 이것이 경사져도 세정수탱크(322)에서 누수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 위생세정장치의 이탈상태 시에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버튼의 입력설정값이 없어지지 않도록 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처리는, 제22도에 도시한 소위 택트스위치(tactile switch)(410)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2도는 택트스위치(410)을 사용한 스위치기구(411)의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택트스위치(410)는, 프린트기판(412)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방으로 상기 프린트기판(412)와 평행하게 케이스(413)이 설치되어 있다. 택트스위치(410)의 상방의 케이스(413)의 부분은 개구(413a)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413a)에, 택트스위치(410)을 조작하기 위한 키이톱(key top)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하 키이톱부(410a)는, 케이스(413)의 상면에 접착된 표시시트(4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표시시트(414)에는, 택트스위치(410)의 조작부를 보이는 스위치조작부(414a)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조작부(414a)를 누르면 키이톱부(410a)를 통하여 택트스위치(410)이 스위칭조작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택트스위치(410)에 근접한 측방의 프린트기판(412)에는 택트스위치(410)의 스위칭 작용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표시램프(415)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기구(411)에는, 표시시트(414)가 케이스(413)에 밀착되어 있어서, 개구(413a)의 주변에 간격이 생기지 않고 트레이 등의 높은 방수성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 적용되고 있다.
상술한 택트스위치(410)은, 통상 일시적으로 절환설정되면서 전원차단시에 그 내용이 소거되는 스위치이지만, 전자제어장치의 처리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의 착탈시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그 내용이 백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3도의 플로로챠트에 보인 보와 같이, 전자제어장치는, 택트스위치(410)의 절환에 의한 인터럽트 처리에 의하여[단계(S240)], 그 택스스위치(410)의 설정을 읽어 넣어서 램에 기억시키고[단계(S242)], 그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표시램프(415)를 표시한다[단계(S244)]. 그리고 착탈센서에서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판정된 때에는[단계(S246)], 택트스위치(410)의 설정상태가 램에서 읽어내어져, 백업램에 기억된다[단계(S248)]. 따라서 착탈센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탈상태로 판정된 때에, 택트스위치(410)의 설정 내용이 백업램에 기억되고, 백업램은, 비통전시에도 위생세정데이터를 기억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의 양식변기에서의 이탈작업시에 잘못하여 전원콘센트가 빠져 비통전으로 되어도, 사용자는 설정한 위생세정데이터를 잃어 버지리 않고, 위생세정데이터의 재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위생세정장치의 댁트스위치(410)는, 사용자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여 두고 싶은 각종의 개소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변기시트용 히터의 온오프와 같이 두 개의 상태로 설정하는 구성 이외에, 토수온도 설정버튼 등과 같이 세 개 이상의 설정 상태를 절환하는 것오데 적용할 수 있다. 즉 토출온도설정버튼은, 히터오프→저온→중온→고온→히터오프로 수차적으로 절환되도록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로서 택트스위치를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스위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되는 데이터는, 토수온도 이외에 위생세정장치의 제어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면 각종의 것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토수노즐의 수세, 노즐의 위치, 맛사지세정, 무브세정, 탈취온/오프, 운전온/오프의 설정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위생세정장치의 착탈에 수반하는 위생세정 데이터의 갱신을 선택적으로 무효 또는 금지하는 처리에 대하여 제24도의 플로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제24도에 있어서, 단계(S260)에서 조작부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위생세정데이터가 잃어 넣어지고, 계속하여 단계(S262)에서 착탈센서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이탈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처리에서 이탈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264)에서 백업램에 기억된 위생세정데이터가 단계(S260)에서 설정된 값으로 갱신된다. 이 위생세정데이터는 다른 루틴에 의하여 세정수의 투수 등의 처리에 이용된다. 한편 단계(S262)에서, 이탈상태라고 판정되면, 단계(S266)에서 단계(S260)에서 읽어 넣은 위생세정데이터가 정지버튼의 온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정기버튼의 온신호라고 판정되면 단계(S264)로 진행하여 그 정지버튼이 눌러진 취지가 갱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정지버튼의 온신호에 따라서 세정수의 정지 및 세정수노즐 등이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S266)에서 위생세정데이터가 정지버튼의 온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위생세정데이터의 갱신을 행하지 않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제24도에 도시한 처리에 의하여 착탈센서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에, 위생세정데이터 가운데 토수를 개시하는 측의 조작을 무효로 하고, 안전측으로의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위생세정장치의 이탈상태에서 조작부에 잘못하여 접촉하여도 위생세정데이터가 갱신되어 세정수가 토출되는 일은 없다.
제24도의 처리에서는 조작부에 설정된 위생세정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갱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백업램에 기억되어 있는 위생세정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안전한 방향으로 갱신하도록 처리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버튼이 온으로 되어 있다는 취지가 백업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착탈센서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에 엉덩이 세정버튼의 온을 오프로 갱신하여도 좋다.

Claims (17)

  1. 변기본체에 착탈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조작명령을 출력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서 출력되는 조작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위생세정기능부에 대하여 상기 위생세정처리를 명령하는 위생세정 명령수단과;
    상기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체와의 착탈 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 검출수단; 그리고
    상기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위생세정장치가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 위생세정기능부의 위생세정처리를 금지하는 금지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상태 검출수단은, 변기본체와 위생세정장치를 분리한 이탈상태 및 부착한 장착상태와, 변기본체와 위생세정장치와의 착탈작업중인 과동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생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상태 검출수단은,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 대하여 착탈한 때에 착탈신호를 출력하는 착탈신호출력부와, 착탈신호출력부에서 착탈신호가 출력된 후에도 소정 시간 경과후에 다시 동일한 종류의 착탈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장착상태 또는 이탈상태로 판정하는 착탈판정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는, 대기상태에서 세정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인체 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을 하는 대기이행포함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금지수단은, 착탈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에 위생세정처리의 지령을 금지하기 전에, 대기이행포함기능부를 대기 상태로 이행하도록 명령하는 대기상태 명령수단을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이행포함기능부는, 대기상태와 세정상태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세정용 노즐인 위생세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이행포함기능부는, 히터와,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온풍을 보내는 팬을 구비하는 난방수단과,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 상기 히터로의 통전을 차단함과 같이 이탈상태 검출시점에서 소정 시간 지연시켜 팬을 정지하는 지연수단을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의 출력 가운데, 대기이행포함기능부를 세정상태에서 대기상태로의 이행을 허가하고, 다른 위생세정처리를금지하도록 구성하는 위생세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는,
    토출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열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용노즐과, 상기 토출통로에 설치되고 토출통로를 통하는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온도 이상의 세정수를 검출한 때에 세정수의 토수를 금지하는 고온지수기능을 구비하는 고온지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금지수단은, 장착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가 검출된 때에, 상기 고온지수부의 고온지수능력을 로킹하는 고온지수로킹수단을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는,
    가열한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탱크와,
    세정수탱크에 접속된 토출통로와,
    상기 토출통로를 통하여 세정수탱크의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용노즐과,
    대기도입통로를 대기에 개방하는 밸브열림위치와, 세정수탱크에서 세정수의 유출시에 대기도입통로를 닫는 밸브닫힘위치와의 밸브동작에 의하여, 세정용노즐에서 세정수탱크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진공브레이커를 구비하고,
    상기 금지수단은, 상기 대기도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착탈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 개폐밸브를 강제적으로 닫는 개폐밸브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장착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위생세정처리의 검지명령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는, 세정용노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위생세정처리의 금지명령을 해제함과 동시에 유량조절밸브를 소망의 유량을 노출하는 상태로 설정하여 다음번의 위생세정처리를 준비하는 수단인 위생세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위생세정기능부의 금지명령을 2단계로 해제하는 위생세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온수저절기능부이고, 상기 해제수단은 2단계째에서 세정수의 가열의 금지명령을 해제하는 수단인 위생세정장치.
  14. 변기본체에 착탈 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대기상태에서 세정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인체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조작명령을 출력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서 출력되는 조작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위생세정기능부에 대하여 상기 위생세정처리를 명령하는 위생세정명령수단과;
    상기 위생세정장치를 변기본체에서 분리하는 작업중인 이탈과도상태 또는 이탈상태를 검출하는 장착상태검출수단과;
    상기 장착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과동상태 또는 이탈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위생세정기능부를 상기 대기상태로 이행시키는 명령을 상기 위생세정명령수단으로 출력하는 대기상태명령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장치.
  15. 변기본체에 착탈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체와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검출수단과;
    위생세정기능부의 세정수의 온도, 건도온도 등의 위생세정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설정수단과;
    비통전시에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활성기억부와,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로 검출된 때에 데이터 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위생세정데이터를 불휘발성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명령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장치.
  16. 변기본체에 착탈 가능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탑재되어 인체 국부의 세정 또는 건조 등의 위생세정처리를 행하는 위생세정기능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위생세정장치와 변기본채와의 착탈상태를 검출하는 착탈상태검출수단과;
    위생세정기능부의 세정수의 온도, 건조 온도 등의 위생세정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설정수단과;
    데이터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위생세정데이터를 기억하는 위생세정데이터기억수단; 그리고
    착탈상태검출수단에 의하여 이탈상태라고 검출된 때에, 상기 위생세정데이터를 기억수단에 의한 위생세정데이터의 기억의 갱신을 금지하는 갱신금지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갱신금지수단은, 복수개의 위생세정데이터 가운데 선택적으로 갱신을 금지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위생세정장치.
KR1019970705918A 1995-02-28 1996-02-22 위생세정장치 KR100407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783 1995-02-28
JP6678395 199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518A KR19980702518A (ko) 1998-07-15
KR100407286B1 true KR100407286B1 (ko) 2004-03-30

Family

ID=1332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918A KR100407286B1 (ko) 1995-02-28 1996-02-22 위생세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05178A (ko)
EP (1) EP0819799B1 (ko)
JP (1) JP3561916B2 (ko)
KR (1) KR100407286B1 (ko)
DE (1) DE69628000T2 (ko)
WO (1) WO1996027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293A (ko) 2022-03-03 2023-09-12 김도균 항문 및 질용 세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1333B1 (en) * 1995-11-01 2004-02-17 Robert S. Krist Electronic bathroom baton
KR20010002429A (ko) * 1999-06-15 2001-01-15 이두근 비데 프로그램 데이터 백업장치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억세스방법
JP2003020711A (ja) * 2001-07-04 2003-01-24 Pan Washlet:Kk 衛生洗浄装置
JP2003278233A (ja) * 2002-03-25 2003-10-0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US20040158444A1 (en) * 2003-02-10 2004-08-12 Hasenour Anthony M.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electrical current with a fluid flow
US20100083430A1 (en) * 2008-10-06 2010-04-08 David Chen Touch Control Toilet Seat Device
JP5601570B2 (ja) *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8365317B1 (en) 2010-06-25 2013-02-05 Maximo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US8776278B1 (en) 2013-04-16 2014-07-15 Maximo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US8060953B1 (en) 2010-06-25 2011-11-22 Auto Cleaning Toilet Seat, L.L.C.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US9049970B2 (en) 2010-06-25 2015-06-09 Maximo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US9168199B2 (en) 2012-04-09 2015-10-27 Jianhua Li Household medicated-bath treatment device
US9581255B2 (en) 2012-07-23 2017-02-28 Henning, Inc. Multiple propor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DE102012112752A1 (de) * 2012-12-20 2014-06-26 Duravit Aktiengesellschaft WC mit einem WC-Körper sowie einer Duscheinrichtung
EP3042001A4 (en) * 2013-09-05 2017-11-22 Tiagai, Ilan Electronic automatically adjusting bidet with visual object recognition software
US9212477B2 (en) * 2013-09-05 2015-12-15 Ilan Tiagai Electronic automatically adjusting bidet with visual object recognition software
CN105425865B (zh) * 2015-11-03 2017-10-27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防温度过冲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1064851B2 (en) 2015-11-18 2021-07-20 Robert T. Poleki Cleaning toilet seats
JP6774618B2 (ja) * 2016-03-28 2020-10-2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11253114B2 (en) 2016-05-06 2022-0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WO2017193114A1 (en)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medicine delivery, wash, clean and air dry system
US11458260B2 (en) 2016-07-16 2022-10-04 Bemi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canister device with removable sleeved cover
WO2017193112A1 (en)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Dynamic drying mechanism for a wash and clean system
US10869583B2 (en) 2016-07-16 2020-1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US10563390B2 (en) 2017-12-19 2020-02-18 Whole Bath, Llc Wash and clean apparatus
WO2017193111A1 (en)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dynamic spray nozzle
CA3061046C (en) 2016-05-06 2023-01-03 Whole Bath, Llc Seat and cover system with medical units
EP3496583B8 (en) 2016-08-11 2022-09-07 Bemis Manufacturing Company A method and a wash system with a built-in cleanser assembly
GB201809139D0 (en) * 2018-06-04 2018-07-18 Ethier Denis Toilet having bidet shower
US11072936B2 (en) * 2018-07-18 2021-07-27 Patrick GEORGOFF Baby and kiddie pool sunless water heater with circulating pump
JP2020020233A (ja) * 2018-08-03 2020-02-0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D897507S1 (en) 2018-10-19 2020-09-29 Tushy, LLC Bidet attachment for toilet
US11242192B2 (en) 2019-05-30 2022-02-08 Whole Bath, Llc Spray canister device
US11445869B2 (en) 2019-07-15 2022-09-20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US11739516B2 (en) 2019-07-15 2023-08-29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US11382829B2 (en) * 2020-01-10 2022-07-12 Leiamoon LLC Electronic steam sea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548A (en) * 1985-03-23 1986-12-16 Toto Ltd. Device and method of moving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slidable body such as used for body cleansing
US4987617A (en) * 1989-03-16 1991-01-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Nozzle mechanism in a sanitary device
JP2661254B2 (ja) * 1989-03-31 1997-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A2050185C (en) * 1990-09-11 1996-07-16 Eiichi Tanaka Cleansing control apparatus
JP2564729Y2 (ja) * 1991-03-28 1998-03-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用ケース
JP2557248Y2 (ja) * 1991-06-11 1997-12-10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と衛生洗浄装置等の機能部を納めたケーシングとの取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293A (ko) 2022-03-03 2023-09-12 김도균 항문 및 질용 세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8000T2 (de) 2004-05-19
EP0819799A4 (en) 1999-02-17
WO1996027054A1 (fr) 1996-09-06
US6105178A (en) 2000-08-22
EP0819799A1 (en) 1998-01-21
JP3561916B2 (ja) 2004-09-08
KR19980702518A (ko) 1998-07-15
DE69628000D1 (de) 2003-06-12
EP0819799B1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286B1 (ko) 위생세정장치
JP6212711B2 (ja) 衛生洗浄装置
EP0167098A2 (en) Sanitary cleaning apparatus
JP3085297B2 (ja) 衛生装置
JP200825809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769670B2 (ja) 便 器
JPH05247989A (ja) 衛生便座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H07189320A (ja) 衛生洗浄装置
JP2000336716A (ja) 自動水栓
JP3171049B2 (ja) トイレ用衛生洗浄装置
JP2001207506A (ja) 衛生洗浄装置
JPH1060983A (ja) 衛生装置
JP2002236072A (ja) 漏水検出装置
JP3356158B2 (ja) トイレ用衛生洗浄装置
JPH094020A (ja) トイレ用衛生洗浄装置
JP3555254B2 (ja) トイレ用衛生洗浄装置
JPH1115444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とこれを有するトイレ装置
JPH08232324A (ja) 衛生洗浄装置
JPH0960084A (ja) 温水洗浄装置
JP2004089523A (ja) 便器設備
JPH0573082U (ja) 局部洗浄及び乾燥装置付き便座
JPH08193352A (ja) 衛生洗浄装置の制御装置
JP2004225459A (ja) 寒冷地用水洗便器
JPH0953266A (ja) 温水洗浄装置
JP2002129630A (ja) 温水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