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409B1 -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409B1
KR100406409B1 KR10-1999-0040522A KR19990040522A KR100406409B1 KR 100406409 B1 KR100406409 B1 KR 100406409B1 KR 19990040522 A KR19990040522 A KR 19990040522A KR 100406409 B1 KR100406409 B1 KR 10040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air
oil
strip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340A (ko
Inventor
김진규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4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4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도유설비에서의 에어 유량 제어를 위하여 도유 목표량, 스트립의 폭 및 에어의 온도/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에어 유량을 가변시켜 조업조건에 적합한 에어 유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차에어로 오일을 분무하고 2차에어로 분무된 오일을 오일챔버로 이송시켜 스트립에 운전자입력으로 기설정된 적정 목표도유량만큼 전착시키고, 유량제어밸브의 개도변화를 통해 2차에어관로 내부의 에어유량을 가변시켜 도유량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에어관로내부의 에어유량, 에어압력 및 에어온도 데이터를 검출한 후 온도/압력보정연산부에서 에어 라인 내부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검출된 유량검출값을 보정하여 출력하고, 운전자 설정 목표 도유량, 라인 속도 및 스트립 폭 데이터를 검출하여 연산처리부에 의해 유량 목표치를 연산한 후 PID제어부에서 상기 유량 목표치와 상기 보정된 유량검출값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편차에 대한 PID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에어유량의 제어편차를 최소화하여 도유편차를 줄임으로써 도율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ILLER AIR FLOW}
본 발명은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 도유설비에서의 에어 유량 제어를 위하여 도유 목표량, 스트립의 폭 및 에어의 온도/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에어 유량을 가변시켜 조업조건에 적합한 에어 유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유설비에 있어서는 전처리,도금,후처리 과정을 거친 스트립이 통과되는 중에 스트립의 라인진행 속도 및 폭등에 따른 조업 조건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도유 목표량에 맞게 오일을 스트립 표면에 전착시키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스트립 도유설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석도 강판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유설비 시스템은 정전식 유도기로써 1차 에어로 오일을 분무시키고, 2차 에어로 분무된 오일을 오일 챔버(20)로 이송한다.
1차 에어로 분무된 오일은 2차 에어에 의해 이온화기(ionizer)(22)를 통과하는 동안 음이온으로 하전되고 리펠링 플레이트(repelling plate)(21)에 의해 반발력을 받아 접지된 스트립 표면(30)에 전착되게 된다. 이때 스트립 표면에 전착되는 오일의 양은 2차 에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가감된다. 즉, 스트립(30)의 폭과 도유 목표량의 변화가 요구될 때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여 도유량 설정부(18)에 해당값을 설정하여 가변오리피스 개도 제어부(17)와 가변 오리피스 모터구동부(19)를 통해 가변 오리피스(9)의 개도(開度)를 조절하게 된다. 가변 오리피스(9)의 전/후단에 설치된 차압발신기에서 가변오리피스 전/후단의 차압신호를 0~5VDC의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유량제어부(4)로 전송한다.
유량제어부(4)에서는 스트립의 라인 속도를 검출하여 입력된 라인 속도값과 차압신호의 편차가 0이 되도록 모터구동부(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량제어밸브 구동모터(6)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유량 제어밸브(7)의 개도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스트립 도유설비에서의 에어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가변 오리피스(9)의 개도는 가변 오리피스 구동 모터(16)와 같은 기계적인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유량 설정값과 실제 유량 제어값간에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어 관로(10)의 크기가 가변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압력 손실에 의해 정확한 유량 검출이 어렵고,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 따른 에어의 체적변화를 보상할 수 없어 2차 에어 유량 검출에 편차가 발생되고, 이 편차에 의해 제어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에어 유량 제어가 곤란하여 도유 편차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서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조업 조건의 변화에 따라 도유 목표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도유 목표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에어 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PID제어부의 일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라인속도검출기, 7:유량제어밸브,
11:유량검출기, 20:오일챔버,
30:스트립, 41:도유량 설정부,
42:스트립 폭 검출기, 44:압력검출기,
45:온도검출기, 50:온도/압력보정연산부,
60:연산처리부, 70:PID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 유량 제어 장치는 1차에어로 오일을 분무하고 2차에어로 분무된 오일을 오일챔버로 이송시켜 스트립에 운전자입력으로 기설정된 적정 목표도유량만큼 전착시키고,유량제어밸브의 개도변화를 통해 2차에어관로 내부의 에어유량을 가변시켜 도유량을 제어하는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라인 속도를 검출하는 라인 속도검출기와, 스트립의 폭을 검출하는 스트립 폭 검출기와, 에어 라인상의 현재 에어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와, 에어라인 내부의 에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와, 에어 라인 내부의 에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에어유량, 에어압력 및 에어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어 라인 내부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검출된 유량검출값을 보정한 후 출력하는 온도/압력 보정 연산부와, 상기 운전자 설정 목표 도유량, 라인 속도 및 스트립 폭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량 목표치를 연산하는 연산처리부와, 상기 유량 목표치와 상기 보정된 유량검출값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편차에 대한 PID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ID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PID제어부의 내부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 장치는 스트립의 라인 속도를 검출하는 라인 속도검출기(2)와, 스트립의 폭을 검출하는 스트립 폭 검출기(42)와, 운전자로부터 적정 목표 도유량을 설정받는 도유량 설정부(41)와, 에어 블로워(air blower)(8)로부터 출력되는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에어 라인(10)상에 마련된 유량제어밸브(7)와, 에어 라인(10)상의 현재 에어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11)와, 에어라인 내부의 에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44)와, 에어 라인 내부의 에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45)와, 상기 검출된 에어유량, 에어압력 및 에어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어 라인 내부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른 유량 보정치를 연산하는 온도/압력 보정 연산부(50)와, 상기 운전자 설정 목표 도유량, 라인 속도 및 스트립 폭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량 목표치를 연산하는 연산처리부(60)와, 상기 연산처리부(60)에서 연산된 유량 목표치와 상기 온도 및 압력변화에 따라 보정연산된 유량 측정치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편차에 대한 PID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7)의 개도를 제어하는 PID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구동롤(1)을 통과한 스트립은 오일 챔버(20)내부로 이동되게 되고, 이때 오일 챔버(20) 내부로 분사되는 오일은 이온화기(22a)(22b)에 의해 하전된 후 리펠링 플레이트(21)의 반발력에 의해 스트립(20)의 표면에 전착되게 된다.
이때, 오일은 1차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오일 펌프(15)로부터 출력되고, 에어 블로워(8)를 통해 분무되는 2차 에어에 의해 오일 챔버(20)내부로 분무되게된다. 따라서, 스트립에 전착되는 도유량은 2차 에어의 유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유량 설정부(41)에는 초기 설정된 스트립 폭 및 라인 속도에 의한 운전자의 판단에 따른 도유량이 설정되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에서는 유량 검출기(11)에서 검출된 에어 유량 검출신호와 압력검출기(44)에서 검출된 압력 신호와 온도검출기(45)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는 각각 신호변환기(48)(47)(46)를 통해 소정 레벨의 전압신호(일예로 0~5V)로 변환된 후 온도/압력 보정 연산부(50)로 입력된다.
이때, 온도/압력 보정연산부(50)에서는 각 검출기로부터 입력된 유량, 압력 및 온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설정된 다음의 수학식1에 의해 에어 관로(10)내부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 및 온도변화에 따른 에어 체적 변화를 고려하여 에어 유량 검출값을 보정한 후 출력한다. 즉,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에어 관로내부의 유량에 대응하여 그에 따른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PID제어부(70)에서의 유량 제어 밸브(7)의 구동 제어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어관로내부의 노멀압력이 0.2 kgf/㎠ 이고, 노멀온도가 20℃인 경우이고, f:검출유량, P:검출 압력, PA:대기압(1.033 kgf/㎠), T:검출 온도, TP:절대온도(273.15 K)를 나타낸다.
한편, 연산처리부(60)에서는 라인 속도 검출기(2)에 의해 구동롤(1)의 회전속도에 따른 라인 속도 검출값과 스트립 폭 검출기(42)에 의해 검출된 스트립 폭 검출값 및 운전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목표 도유량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수학식2에 의해 유량 목표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연산처리부(60)에서는 라인 속도가 빨라지면 상대적으로 스트립에 전착되는 도유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유량 목표값을 크게 설정하고, 또한 스트립 폭에 비례하여 유량 목표값을 설정하게 된다.
유량목표값(d)= k1+{k2*a*b*c*(c/w)2}+{k3*a*b*c*(c/w)2}
(이때, k1=1.8012*10-1, k2=9.86213*10-5, k3= 2.58591*10-14, w:스트립의 최대폭값(일예로 스트립의 폭은 760~1200), a:도유량 설정값, b:라인속도, c:스트립 폭 검출값임.)
또한, PID제어부(70)에서는 연산처리부(60)에서 연산출력되는 유량 목표값과 온도/압력보정 연산부(50)에서 출력되는 유량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두 값의 편차를 산출한 후 PID(Propotional Integral Derivative control:비례+적분+미분)연산을 수행하여 유량 제어 밸브(7)의 개도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유량 제어 밸브(7)는 상기 PID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도량이 가변되어 2차 에어관로(10)상에 분무되는 에어유량을 조절하여 오일 챔버(20) 내부에서 스트립 표면에 전착되는 도유량이 목표 도유량이 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도유량 설정부에 적정 도유 목표량을 설정하여 두면 스트립의 폭변화 및 라인 속도의 변화에 대해서 연산처리부가 자동으로 유량 목표값을 가변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운전조건 및 소재변화에 신속정확한 에어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온도/압력 보정 연산부에 의해 에어 관로내부의 조건변화에 대한 유량 검출값을 보정함으로써 PID제어부에서 제어편차에 대한 유량 제어값의 산출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에어유량제어 편차를 최소화하여 도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차에어로 오일을 분무하고 2차에어로 분무된 오일을 오일챔버로 이송시켜 스트립에 운전자입력으로 기설정된 적정 목표도유량만큼 전착시키고,유량제어밸브의 개도변화를 통해 2차에어관로 내부의 에어유량을 가변시켜 도유량을 제어하는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라인 속도를 검출하는 라인 속도검출기와,
스트립의 폭을 검출하는 스트립 폭 검출기와,
에어 라인상의 현재 에어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와,
에어라인 내부의 에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와,
에어 라인 내부의 에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에어유량, 에어압력 및 에어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어 라인 내부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검출된 유량검출값을 보정한 후 출력하는 온도/압력 보정 연산부와,
상기 운전자 설정 목표 도유량, 라인 속도 및 스트립 폭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량 목표치를 연산하는 연산처리부와,
상기 유량 목표치와 상기 보정된 유량검출값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편차에 대한 PID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ID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도유량 조절용 에어 유량 제어 장치.
KR10-1999-0040522A 1999-09-21 1999-09-21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KR10040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22A KR100406409B1 (ko) 1999-09-21 1999-09-21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22A KR100406409B1 (ko) 1999-09-21 1999-09-21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40A KR20010028340A (ko) 2001-04-06
KR100406409B1 true KR100406409B1 (ko) 2003-11-19

Family

ID=1961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522A KR100406409B1 (ko) 1999-09-21 1999-09-21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086B1 (ko) 2010-12-01 2012-10-04 주식회사 포스코 가속 냉각 장치 및 이의 유량 제어 방법
KR101614550B1 (ko) 2010-04-22 2016-04-22 주식회사 포스코 도유불량 방지를 위한 스트립 도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020B1 (ko) * 2001-04-19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인식물질 첨가 및 첨가량 조절기능을 갖는 강판 도유기의오일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981A (ja) * 1983-11-15 1985-06-12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ツプの防錆油塗布量調整方法
JPH01159086A (ja) * 1987-12-15 1989-06-22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板の静電塗油方法
JPH05195184A (ja) * 1992-01-22 1993-08-03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蛇行修正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981A (ja) * 1983-11-15 1985-06-12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ツプの防錆油塗布量調整方法
JPH01159086A (ja) * 1987-12-15 1989-06-22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板の静電塗油方法
JPH05195184A (ja) * 1992-01-22 1993-08-03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蛇行修正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550B1 (ko) 2010-04-22 2016-04-22 주식회사 포스코 도유불량 방지를 위한 스트립 도유 방법
KR101188086B1 (ko) 2010-12-01 2012-10-04 주식회사 포스코 가속 냉각 장치 및 이의 유량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4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32393B (zh) 一种板带连续轧制厚度控制方法
KR920010766B1 (ko) 습식조질 압연방법
JP4215739B2 (ja) 塗布量プロファイル制御方法
KR100406409B1 (ko) 스트립의 도유량 조절용 에어유량 제어장치
KR20140049726A (ko) 모터의 제어장치 및 모터의 제어방법
CN114157207A (zh) 基于自适应测速的pi控制器及其控制方法、系统
JP3241585B2 (ja) 板厚制御装置
US5370902A (en) Regulating method for a metallurgical treatment carried out on a moving product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JPH0548291B2 (ko)
JPH09108720A (ja) 熱間潤滑圧延における潤滑用流体塗布開始時および塗布終了時の板厚と張力の変動抑制制御方法
KR100497082B1 (ko) 용융도금공정에 있어서 강판의 반곡방지 제어장치
JP3267841B2 (ja) 位相補償機能つき制御装置
JPH07204722A (ja) 自動レベル調整装置によるストリップ位置制御方法
JP3071690B2 (ja) 連続圧延機のルーパ制御装置
JPH0510168B2 (ko)
KR100358009B1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자동제어방법
JP2001026854A (ja) 溶融亜鉛めっき設備におけるめっき付着量制御装置及び方法
JP4091739B2 (ja) 板幅制御方法
JPH07136558A (ja) ガンの吐出量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S59110410A (ja) 連続熱間圧延機における圧延材張力及びル−パ位置制御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05138251A (ja) 伸び率制御方法
JPH0231604B2 (ko)
FR2920384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u fonctionnement d'un regulateur de vitesse de vehicule automobile
JPH03138002A (ja) 湿式圧延方法
JPH03242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