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340B1 - 연료탱크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340B1
KR100405340B1 KR10-2001-0026354A KR20010026354A KR100405340B1 KR 100405340 B1 KR100405340 B1 KR 100405340B1 KR 20010026354 A KR20010026354 A KR 20010026354A KR 100405340 B1 KR100405340 B1 KR 10040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hook
vehicle
coupling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259A (ko
Inventor
배학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3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면 충돌시 안전을 위한 연료탱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후크가 형성된 스트랩과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연료탱크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를 고정하는 스크랩이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어서, 압축작용이 연료탱크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탱크가 분리되며, 상기 이유로 차체나 차축, 서브프레임등으로 인한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누유에 의한 화재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 결합장치{Connecting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 후면 충돌시 안전을 위한 연료탱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후크가 형성된 스트랩과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연료탱크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탱크는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리어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리어사이드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플로어 패널(5)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 연료탱크(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띠 강판의 스트랩(2)으로 플로어 패널 하단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은 일측이 크로스 프레임(6a)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두 리어사이드 프레임의 후미부분을 연결하는 크로스프레임(6b)에 볼트(22)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는 후방으로부터의 차량 충돌시 그 운동에너지로 말미암아 압축 즉 전방으로의 찌그러짐이 발생되며, 이는 후방에서 충돌하는 차량의 속도나 중량에 등에 따라서 압축의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압축이 크게 작용할 때에는 차량의 충돌이 발생된 후방에서 전방으로 압축(찌그러짐)이 발생되어 연료탱크 부분의 리어사이드 프레임이 파손되며, 상기 리어사이드 프레임의 파손으로 차체나 차축, 서브프레임등이 연료탱크에 직접 충격을 주게되어 연료탱크에 심각한 손상을 주게 된다.
이러한 충격으로 손상을 입은 연료탱크는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누출하게 되고, 충돌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조금한 화원으로 차량폭발 및 큰 화재가 발생되어 운전자나 기타 탑승인원 및 보행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후미의 크로스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후크브라켓을 부착하고, 띠강판의 스트랩 일단에 후크부를 결합하여 이 후크부가 후크부라켓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연료탱크의 수직면에는 고정브라켓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후방에서의 차량 충돌시 전방으로 압축이 진행됨에 따라, 후크브라켓에 결합되는 스트랩의 후크부가 고정브라켓에 밀려 탈거되어 연료탱크가 지면으로 이탈되며, 상기 연료탱크의 이탈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려온 크로스프레임이나 차축, 서브프레임과의 충돌을 피해 연료탱크의 손상과 연료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2차적인 화재나 폭발을 피할 수 있는 안전을 강화한 연료탱크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탱크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후면충돌에 의해 분리되는 연료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결합장치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합장치 2 : 스트랩
3 : 브라켓 4 : 연료탱크
5 : 플로어패널 6 : 크로스 프레임
21 : 후크부 22 : 볼트
31 : 고정브라켓 32 : 후크브라켓
211 : 걸림쇠 212 : 홈
311, 312 : 돌출편 321 : 결합홈
P : 충격하중 B : 압축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연료탱크결합장치는 단부가 "T" 형상의 가로로 돌출된 걸림쇠(211)가 형성된 후크부(21)가 일단에 결합된 스트랩(2)과; 자동차 양측에 있는 리어사이드 프레임의 후미를 직각으로 고정하는 크로스프레임(6b)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후크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리도록 결합홈(321)이 형성된 후크브라켓(32)과; 연료탱크의 후방 수직면에 부착되며, 돌출편(311, 312)이 그 부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브라켓(31)으로 구성됨으로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탱크 결합장치(1)는 도 1과 도 3에 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양측에 있는 리어사이드 프레임의 후미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크로스프레임(6b) 하단부에 부착되는 후크브라켓(32)과, 연료탱크(4)를 플로어 패널(5)에 밀착고정하는 스트랩(2)과, 연료탱크의 후방 수직인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31)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브라켓(32)은 갈고리 형상의 편으로 내부로 패인 결합홈(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랩(2)은 연료탱크(4)의 전방에 있는 크로스프레임(6a)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후크부(21)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후크부는 "T"자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쇠(211)가 있으며, 후크부에서 연료탱크방면으로는 고정브라켓(31)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1)은 연료탱크(4)와 접하는 면상으로부터 직각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311, 312)이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후면충돌이 일어나면 충돌하중(P)에 의하여 차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압축 즉 찌그러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압축으로 차체의 세로 부재인 리어사이드 프레임이 전방으로 압축되면서 가로부재인 크로스 프레임(6a, 6b)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크로스 프레임(6a, 6b)이 압축작용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크로스프레임(6b)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후크 브라켓(32)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후크브라켓의 결합홈(321)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랩(2)의 후크부(21)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a, 5b, 5c에 도시된바와 같이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크부(21)는 연료탱크(4)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31)의 돌출편(311, 312)에 맞닿게되고, 고정브라켓의 돌출편에 밀려서 후크부의 걸림쇠(211)부분이 후크부라켓(32)에서 이탈된다.
그러므로 스크랩(2)의 후크부(21)가 후크브라켓(32)에서 이탈됨에 따라 스크랩에 의해 플로어 패널(5)에 밀착되어 있는 연료탱크(4)가 지면으로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즉 연료탱크(4)를 고정하는 스크랩(2)이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어서, 압축작용이 연료탱크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탱크가 분리될수 있으며, 차체나 차축, 서브프레임등으로 인한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누유에 의한 화재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결합장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탱크 결합장치는 연료탱크를 고정하는 스트랩을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한 것으로, 후면 차량 충돌시 전방으로 압축이 일어나면서 그 압축이 연료탱크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탱크를 고정하고 있는 스트랩이 탈거되어 연료탱크가지면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가 압축작용 이전에 분리됨으로 차체나 차축, 서브프레임등으로 인한 연료탱크로의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고후의 2차적인 화재나 폭발을 원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을 고려한 연료탱크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연료탱크(4)를 고정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후크부(21)가 결합된 스트랩(2)과;
    자동차 양측에 있는 리어사이드 프레임의 후미를 직각으로 고정하는 크로스프레임(6b)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후크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리도록 결합홈(321)이 형성된 후크브라켓(32)과;
    연료탱크의 후방 수직면에 부착되며, 돌출편(311, 312)이 그 부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브라켓(3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결합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후크부(21)는 후크 브라켓의 결합홈(321)에 걸리도록 후크부 단부가 "T" 형상의 가로로 돌출된 걸림쇠(2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결합장치.
KR10-2001-0026354A 2001-05-15 2001-05-15 연료탱크 결합장치 KR10040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354A KR100405340B1 (ko) 2001-05-15 2001-05-15 연료탱크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354A KR100405340B1 (ko) 2001-05-15 2001-05-15 연료탱크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59A KR20020087259A (ko) 2002-11-22
KR100405340B1 true KR100405340B1 (ko) 2003-11-12

Family

ID=2770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354A KR100405340B1 (ko) 2001-05-15 2001-05-15 연료탱크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15B1 (ko) * 2006-12-13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추돌 연료탱크 스트랩 조정장치
KR101655474B1 (ko) * 2010-08-25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탱크의 프레임 구조
KR102228238B1 (ko) * 2015-11-19 2021-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패널 모듈형 요소수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59A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52B1 (ko) 스몰 오버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EP2116445B1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KR101500414B1 (ko) 차륜 이탈유도장치
JP2012188022A (ja) 車載の電気機器のプロテクト構造
CN209150176U (zh) 电池护板以及包括该电池护板的车辆电池防护结构
CN111660786A (zh) 用于混合动力机动车辆的电池装置
CN104553718A (zh) 一种动力电池包体的碰撞保护装置
EP3953201B1 (en) A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protection structure
KR100405340B1 (ko) 연료탱크 결합장치
JP2022074116A (ja) 電池保護装置、および車両
KR100527122B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구조
CN219668143U (zh) 一种应用于车辆的碰撞吸能结构以及车辆
CN215883815U (zh) 底盘结构及车辆
CN219214933U (zh) 车辆
CN212950423U (zh) 车辆的电子部件保护结构
CN214565178U (zh) 吸能结构
CN218975639U (zh) 防护结构和车辆
CN213008009U (zh) 一种汽车防撞梁
CN211809470U (zh) 一种抗撞的汽车前保险杠
CN210554146U (zh) 车辆电池组件及车辆
CN213292006U (zh) 防护装置、汽车电池包及汽车
KR100231583B1 (ko) 연료탱크취부용스트랩의체결구조
KR200260048Y1 (ko) 도로 터널입구의 자동차 충돌 방지대
KR100980697B1 (ko) 차량 후방 충격흡수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이탈구조
KR0115985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