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227B1 -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227B1
KR100404227B1 KR10-2001-0014406A KR20010014406A KR100404227B1 KR 100404227 B1 KR100404227 B1 KR 100404227B1 KR 20010014406 A KR20010014406 A KR 20010014406A KR 100404227 B1 KR100404227 B1 KR 10040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device
serial communication
hos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569A (ko
Inventor
함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2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2Star-type networks or tree-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RS232C 통신을 이용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호스트와 다수의 단말장치 구간이 광 케이블로 접속되어 구성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장치 구간은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장치와,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과 다수의 광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 접속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직렬 통신채널과 상기 단말 접속장치의 직렬 통신채널 사이에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직렬 통신선로와,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수의 중계 회로부로 구성되므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분석 없이 중계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네트워크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Optical Fiber Loop Network System for Automatic Distribution of Power}
본 발명은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RS232C 통신을 이용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송변전계통 및 배전계통을 통해 수용가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배전 선로의 계통운용과 전력수급에 관하여 전력 공급 신뢰도의 향상,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 설비운용의 효율화, 업무의 효율화 등을 목적으로 배전계통의 모든 정보사항을 단말장치(Terminal Device)와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설비를 호스트(Host Device)에서 감시하고 계측 및 제어하기 위해 자동화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호스트와 단말장치간의 통신에 있어서, 단말장치는 통신망 접속장치와 연결하여 통신 매체를 통해 호스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매체 중 광케이블 사용시 호스트와 단말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이루는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호스트(1)와, 다수개의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1)에 연결된 호스트 접속장치(2)와, 각각 2채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4a~4b)와, 각각 2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4a~4b)에 연결된 단말 접속장치(3a~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의 채널을 상기 단말 접속장치(3a~3b)에 각각 2 채널씩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의 각 채널과 상기 단말 접속장치(3a~3b)의 각 채널에 광케이블을 포설하여 광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1)와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간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4a~4b)와 상기 단말 접속장치(3a~3b)간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RS232C 통신을 따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호스트(1)로부터 통신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를 통해 광 네트워크를 거쳐 해당 단말장치(4a~4b)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단말장치(4a~4b)는 응답신호를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된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1)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호스트(1)와 상기 단말장치(4a~4b)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단말 접속장치 채널과 상기 단말장치에 할당된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의 채널을 광케이블로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상기 호스트와 단말장치간의 광 네트워크를 위한 광케이블 포설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호스트(1)와, 2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1)에 연결된 호스트 접속장치(2)와, 각각 2채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6a~6b)와, 각각 2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6a~6b)에 각각 연결된 단말 접속장치(5a~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호스트(1)와 상기 단말장치(6a~6c)는 광 네트워크를 통해 원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호스트(1)와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간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6a~6c)와 상기 단말 접속장치간(5a~5c)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RS232C 통신을 따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호스트(1)에서 통신신호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하여 상기 호스트(1)와 상기 단말장치(6a~6c)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호스트(1)에서 통신신호를 시계방향으로 전송하면 상기 호스트(1)에 인접한 상기 단말장치(6c)의 제 1 채널로 수신되어 상기 단말장치(6c)는 수신된 통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신호인 경우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1)로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해당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6c)에 인접한 타 단말장치(6b)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단말장치(6c)의 제 2 채널로부터 통신신호를 전송 받은 단말장치(6b)는 마찬가지로,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6b)의 응답 또는 타 단말장치로의 중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호스트(1)에서 통신신호를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술한 시계방향의 데이터 통신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호스트(1)와 상기 단말장치(6a~6b)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광 네트워크가 원형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호스트(1)와 상기 단말장치(6a~6b)간의 광케이블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의 통신신호 중계에 있어서,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분석으로 인한 네트워크 속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호스트와 단말장치간 또는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의 통신 장애 발생시 전체 데이터 통신 단절을 초래한다.
여기서,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단말장치 구간 즉, 단말장치와 광 접속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호스트(1)의 통신신호가 상기 단말 접속장치(3a)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장치(4a)의 제 1 채널(Ch1)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4a)의 응답신호는 상기 수신된 제 1 채널(Ch1)을 통해 상기 단말 접속장치(3a)의 제 1 채널(CH1)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광 접속장치의 제 1 및 제 2 채널(CH1, CH2)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의 제 1 및 제 2 채널(Ch1, Ch2)은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또한 독립적으로 해당 채널을 통해서만 교류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RS422 또는 RS485 통신을 이용한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또 다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호스트(10)와, 2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10)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장치(20)와, 각각 2채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40a~40b)와, 2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40a~40b) 중 하나에 연결된 단말 접속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채널을 구비한 단말 접속장치(30)는 상기 단말장치 중 하나에 위치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는 제 1 단말장치(40a)에 위치해 있으며 제 2 내지 제 n 단말장치(40b~40c)는 RS422 또는 RS485 통신 라인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술한 도 4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단말장치 구간 즉,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의 제 1 채널(CH1)이 RS422 또는 RS485 통신라인을 통해 각 단말장치(40a~40c)의 제 1 채널과 모두 연결되므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통신신호가 전송되면 모든 단말장치(40a~40c)의 제 1 채널을 통해 통신신호가 수신된다.
이어서, 상기 수신된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장치(40a~40c)의 분석에 따라 해당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상기 단말장치(40a~40c)의 응답신호는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된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의 제 1 채널(CH1)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의 제 2 채널(CH2)이 RS422 또는 RS485 통신라인을 통해 각 단말장치(40a~40c)의 제 2 채널과 모두 연결되므로 상기 제 2 채널(CH2)을 통한 데이터 통신은 상술한 상기 제 1 채널(CH1)을 통한 데이터 통신과 동일하다.
상술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RS422 또는 RS485 통신을 통한 상기 단말 접속장치와 단말장치간의 거리 또는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의 거리는 1Km 이내로 제한되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접속장치의 각 채널이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송신 또한 해당 채널을 통해서만 교류가 이루어져 접속장치의 각 채널간의 중계 역할을 갖지 못하므로 완전한 광 루프 네트워크의 구현에 적합하지 못했다.
둘째, RS422 또는 RS485 통신라인을 이용한 경우 단말 접속장치와 단말장치 간 또는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의 설치 거리에 대한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장치 측에서의 데이터 분석 없이 중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RS232C 통신을 이용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트와 단말장치간의 통신 중 데이터의 충돌 없이 완전한 양방향 루프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RS232C 통신을 이용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단말장치 구간의 단말장치와 광 접속장치간 연결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단말장치 구간의 단말장치와 광 접속장치간 연결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단말장치 구간의 단말장치와 광 접속장치간 연결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호스트 200: 호스트 접속장치
300a~300c: 단말 접속장치 400a~400c: 단말장치
500: 제 1 중계회로부 510: 제 2 중계회로부
C11: 제 11 광케이블 C12: 제 12 광케이블
C21: 제 21 광케이블 C22: 제 22 광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호스트와 다수의 단말장치 구간이 광 케이블로 접속되어 구성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장치 구간은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장치와,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과 다수의 광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 접속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직렬 통신채널과 상기 단말 접속장치의 직렬 통신채널 사이에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직렬 통신선로와,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수의 중계 회로부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간의 연결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원형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사이의 RS232C 직렬통신선로와 중계수단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호스트 구간과 단말장치 구간간의 광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스트 접속장치(200) 또는 단말 접속장치(300a~300c)의 제 1 채널 RX1은 우측의 타 단말 접속장치(300a~300c) 또는 호스트 접속장치(200)의 제 1 채널 TX1에 연결되고 제 2 채널 RX2는 좌측의 타 단말 접속장치(300a~300c) 또는 호스트 접속장치(200)의 제 2 채널 TX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상기 호스트(100)와 상기 단말장치(400a~400c)는 원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호스트(100)에서 통신신호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하여 상기 호스트(100)와 상기 단말장치(400a~400c)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광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호스트(100)와 단말장치(400a~400c)간의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 일점쇄선은 통신신호가 시계 방향으로 전송되어 귀환되는 데이터의 흐름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된 통신신호에 대한 해당 단말장치(400a~400c)의 응답신호가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점선은 통신신호가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되어 귀환되는 데이터의 흐름과 시계 방향으로 전송된 통신신호에 대한 해당 단말장치(400a~400c)의 응답신호가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400a~400c)와 단말 접속장치(300a~300c) 사이의 중계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100)와 단말장치(400a~400c)간의 데이터 통신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호스트(100)와 다수의 단말장치 구간(300a~300c, 400a~400c)이 광 케이블(C11, C12, C21, C22)로 접속되어 구성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장치 구간은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Ch1, Ch2)로 이루어진 단말장치(400a~400c)와, 상기 광 케이블(C11, C12, C21, C22)을 통해 상기 호스트(100)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400a~400c)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장치(400a~400c)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하도록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CH1, CH2)과 다수의 광 통신채널(도시부호 생략)로 이루어진 단말 접속장치(300a~300c)와, 상기 단말장치(400a~400c)와 단말 접속장치(300a~300c)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장치(400a~400c)의 직렬 통신채널(Ch1, Ch2)(이하, 제 1 및 제 2 채널)과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300c)의 직렬 통신채널(CH1, CH2)(이하, 제 1 및 제 2 채널) 사이에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직렬 통신선로(도시부호 생략)와,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300a~300c)의 릴레이 제어신호(RTS1, RTS2)에 따라 상기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400a~400c)와 단말 접속장치(300a~300c)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수의 중계 회로부(500, 510)로 구성된다.이때, 상기 중계 회로부(500, 510)는 상기 단말장치(400a~400c)의 제 1 및 제 2 채널(Ch1, Ch2)와 단말 접속장치(300a~300c)의 제 1 및 제 2 채널(CH1, CH2)간 통신을 위해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400a~400c)로부터의 릴레이 제어신호(RTS1, RTS2)에 의해 해당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400a~400c)와 단말 접속장치(300a~300c)간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포토 모스 릴레이를 이용한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은 먼저, 상기 단말장치(400a) 및 단말 접속장치(300a)는 각각 제 1 및 제 2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및 제 2 채널(Ch1, Ch2)을 통해 제 1 및 제 2 릴레이 제어신호(RTS1. RTS2)를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릴레이 제어신호(RTS1. RTS2) 출력부에 제 1 및 제 2 중계회로부(500, 510)가 각각 연결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중계회로부(500)는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에서 출력되는 제 1 릴레이 제어신호(RTS1) 출력부에 캐소드(Cathode)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릴레이 제어신호(RTS1)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포토 다이오드(D1)와,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D1)의 애노드(Anode)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전원단(V1)에 연결되는 제 1 저항(R1)과,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D1)의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되는 상시 개로 접점 스위치 및 상시 폐로 접점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중계회로부(510)의 구성은 상기 제 1 중계회로부(500)와 동일하므로 그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상기 상시 개로 접점 스위치(SW1)는 a 접점을 갖는 스위치이며, 상기 상시 폐로 접점 스위치(SW2)는 b 접점을 갖는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중계회로부(500, 510)를 포함한 RS232C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호스트(100) 또는 타 단말장치(400b~400c)로부터 전송된 통신신호가 제 11 광케이블(C11)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400a)에 연결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로 수신될 경우, 상기 통신신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상기 호스트(100)의 통신신호가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로 수신되면 상기 단말장치(400a)가 데이터 입력 대기상태이므로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 제 1 릴레이 제어신호(RTS1)는 하이(High) 값을 출력하므로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D1)는 턴 오프 된다.
이때, 상기 상시 개로 접점 스위치(SW1)는 a 접점을 가지므로 오프(Off) 상태이며 상기 상시 폐로 접점 스위치(SW2)는 b접점을 가지므로 온(On) 상태이다.
이어서, 상기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 TX1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 Rx1로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상시 폐로 접점 스위치(SW2)가 온 상태이므로 귀환되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 RX1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 RX1로 귀환된 통신신호는 데이터 분석 없이 제 12 광케이블(C12)을 통해 타 단말 접속장치(300b~300c)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 Rx1로 수신된 통신신호가 상기 단말장치(400a)의 해당 통신신호인 경우 상기 제 1 릴레이 제어신호(RTS1)가 로(Low) 상태를 전환되어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D1)가 턴 온 되므로 상기 상시 개로 접점 스위치(SW1)는 온 상태이고 상기 상시 폐로 접점 스위치(SW2)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400a)는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 Tx1을 통해 출력된 응답신호는 상기 상시 개로 접점 스위치(SW1)가 온 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2 채널(CH2) RX2로 전송되어 제 22 광케이블(C22)을 통해 광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전송된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통신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는 수신된 채널 즉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2 채널(CH2)로 송신되어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된다. 그리고, 귀환된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을 통해 타 단말장치(400b~400c)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100) 또는 타 단말장치(400b~400c)로부터 전송된 통신신호가 제 21 광케이블(C21)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400a)에 연결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2 채널(CH1)로 수신될 경우, 상기 통신신호의 흐름은 상술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흐름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2 채널(CH2)을 통해 전송된 통신신호는 상기 제 2 중계회로부(510)를 거쳐 상기 단말장치(400a)의 제 2 채널(Ch2)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통신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는 상기 제 2 중계회로부(510)를 통해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1 채널(CH1)로 송신되어 제 12 광케이블(C12)을 통해 전송된다. 그리고, 귀환된 통신신호는 상기 단말 접속장치(300a)의 제 2 채널(CH2)을 통해 전송된다.
결국, 호스트에서 전송된 통신신호가 단말 접속장치의 제 1 채널을 통해 단말장치의 제 1 채널로 수신될 경우, 단말장치의 응답신호는 단말 접속장치의 제 2 채널로 전송되는 반면 단말 접속장치의 제 2채널을 통해 단말장치의 제 2 채널로 수신될 경우, 단말장치의 응답신호는 단말 접속장치의 제 1 채널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RS232C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방식에 있어서 RS232C 통신라인이 이용되므로 시스템 적용이 쉽고 시스템의 설비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로부터 전송된 통신신호를 단말장치 측에서의데이터 분석 없이 중계 가능하므로 네트워크의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인 양방향 광 루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므로 통신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하나의 호스트와 다수의 단말장치 구간이 광 케이블로 접속되어 구성된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장치 구간은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장치와,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통신신호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다수의 직렬 통신채널과 다수의 광 통신채널로 이루어진 단말 접속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직렬 통신채널과 상기 단말 접속장치의 직렬 통신채널 사이에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직렬 통신선로와,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수의 중계 회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회로부는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의 직렬 통신채널간 통신을 위해 상기 각 직렬 통신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직렬 통신채널별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직렬 통신선로를 절환하고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간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포토 모스 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모스 릴레이는
    상기 단말장치의 각 직렬 통신채널별 제어신호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상기 단말장치의 각 직렬 통신채널별 송수신단측의 직렬통신 선로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단말 접속장치의 각 직렬 통신채널별 송수신단측의 직렬 통신선로에 타단이 접속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온/오프에 따라 위치 절환하는 상시 개로 접점(a 접점) 스위치 및 상시 폐로 접점(b 접점)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와 단말 접속장치 간의 직렬 통신선로는
    RS-232C를 이용한 직렬 통신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1-0014406A 2001-03-20 2001-03-20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0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06A KR100404227B1 (ko) 2001-03-20 2001-03-20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06A KR100404227B1 (ko) 2001-03-20 2001-03-20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69A KR20020074569A (ko) 2002-10-04
KR100404227B1 true KR100404227B1 (ko) 2003-11-03

Family

ID=2769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06A KR100404227B1 (ko) 2001-03-20 2001-03-20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419B1 (ko) * 2003-06-18 2006-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광 데이터 링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 루프망 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69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4443C (en) Switching system of optical transmission lines for protecting from trouble
US5319486A (en) Transmission equipment with an optical transmission line
US4347605A (en) Multiplexed telecommunication systems
CA2095811C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bus connected circuit breakers
EP0533167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EP0332199B1 (en)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KR100404227B1 (ko) 배전 자동화용 광 루프 네트워크 시스템
EP1014632A3 (de)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und Switch-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1193895A2 (en) Pasive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NO965249L (no) Tre-trinns svitsjeenhet tilpasset til et ATM-system
US5068847A (en) Fiber optic network architecture having data feedback for monitoring communications thereon
JPS5939131A (ja) 光デ−タウエイシステム
JPH0833239A (ja) 配電線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US5668808A (en) Path route retrieval method in a time multiplexer network
KR100215964B1 (ko)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JPH0338135A (ja) ループ状光伝送システム
KR20040038128A (ko) 다채널 광모뎀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JPH0257385B2 (ko)
KR20000028713A (ko)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의 전기적 보호 릴레이용 인터페이스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구비한 산업 설비
JPS5738043A (en) Line exchange system
JPS63149940A (ja) 集線装置の支線構成方式
JPH0371830B2 (ko)
KR20010083748A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의 입출력 정합장치
JP2003032917A (ja) 電気所の情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5183969A (ja) 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