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64B1 -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964B1
KR100215964B1 KR1019960055729A KR19960055729A KR100215964B1 KR 100215964 B1 KR100215964 B1 KR 100215964B1 KR 1019960055729 A KR1019960055729 A KR 1019960055729A KR 19960055729 A KR19960055729 A KR 19960055729A KR 100215964 B1 KR100215964 B1 KR 10021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lan
ports
communic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039A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5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의 근/원거리통신을 위해 실장되는 LAN/X.25보드를 LAN보드와 X.25보드로 분리하여 확장 또는 축소실장이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포트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LAN포트를 갖는 LAN보드(32)와 다수의 X.25포트를 갖는 X.25보드(40)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LAN보드 확장부(34)와 X.25보드 확장부(42)를 통해 필요한 포트수를 임의로 확장/축소가능하게 확장/축소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LAN보드로 이루어진 LAN보드군을 제어하는 LAN제어보드(36)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38)과, 다수의 X.25보드로 이루어진 X.25보드군을 제어하는 X.25제어보드(44)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46)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전자교환기에서 통신망상의 근/원거리통신을 위해 채용되는 LAN/X.25보드를 포트수의 확장/축소가 가능하게 모듈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장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한정된 구역내에서 고도의 사무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정보관련기기와 사무자동화기기 및 통신처리장치 등을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고속 전송회선을 연결하여 근거리통신을 실현하도록 하는 LAN(Local Area Network)이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LAN은 광대역 전송매체의 사용으로 고속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로부터의 응답신호(ACK Signal)을 수신받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패킷지연이 최소화되고, 네트워크내의 어떤 기기와도 통신이 가능하며, 방송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경로선택이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전전자교환기에서는 자국 내에서의 근거리통신망 실현을 위해 LAN을 채용하고 있는 한편, 자국에서의 네트워크층의 프로토콜로서 공중패킷 교환망의 X.25프로토콜을 대표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바, 그 X.25프로토콜은 물리레벨과, 데이터 링크레벨 및, 패킷레벨로 계층화되고서 패킷교환망에 의한 단말과 단말과의 접속을 관리(X.25 Level 3)하는 패킷레벨 제어를 행하게 되는데, 임의의 단말에서 상대측 단말의 호출에 대한 접속방법이나 접속후의 데이터전송, 완료 및, 절단절차 등을 규정하게 된다.
한편, 전전자교환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통신을 위한 LAN보드와 원거리 통신을 위한 X.25보드를 통합한 LAN/X.25보드를 채용하여 자체에 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LAN/X.25보드의 실장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백플레인 회로팩(2)에 예컨대 5개의 포트를 갖는 LAN보드와 예컨대 2개의 포트를 갖는 X.25보드가 통합된 복수의 LAN/X.25보드(4,6)가 실장되고, 그 복수의 LAN/X.25보드(4,6)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회로팩(8,10)이 실장된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에 LAN/X.25보드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해당 전전자교환기의 자국 내에서의 근거리통신을 위해 구비된 데이터통신장치(12)와, 해당 전전자교환기의 원거리통신을 위해 구비되는 데이터통신단말기(14),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LAN/X.25보드(4,6)를 갖추고서 상기 데이터통신장치(12)와 데이터통신단말기(14)와의 근/원거리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기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장치(20), 근/원거리통신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제어장치(16) 및, 근/원거리통신에서의 전송로상의 장해 정보를 가시 및 가청경보하기 위한 알람장치(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통합된 LAN/X.25보드를 채용한 전전자교환기에서는 인터페이스장치(20)내의 복수의 LAN/X.25보드(4,6)에 각각 구비된 예컨대 5개의 포트(LAN측)와 2개의 포트(X.25측)에 RS-232C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전송선을 연결하여 시리얼통신 정합기능과, 회로 내에서의 장애신호에 대한 통신기능, LAN장치(또는 네트워크)간의 정합기능 및, X.25장치(또는 네트워크)간의 정합기능을 수행함에 의해, 각 데이터통신장치(12)나 데이터통신단말기(14)로의 근/원거리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LAN/X.25보드가 채용된 전전자교환기에서는 LAN보드와 X.25보드가 통합되도록 구성되고서 각 LAN부분과 X.25부분이 별도의 한정된 포트수를 갖기 때문에, LAN만을 확장할 시에는 LAN/X.25보드의 실장설계를 전체적으로 변경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X.25포트까지 함께 구비되어야 하고, X.25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실장설계의 전체적인 변경과 더불어, 불필요한 LAN포트까지 함께 구비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전자교환기의 근/원거리통신을 위해 실장되는 LAN/X.25보드를 LAN보드와 X.25보드로 분리하여 확장 또는 축소실장이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포트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LAN포트를 갖는 LAN보드와 다수의 X.25포트를 갖는 X.25보드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LAN보드 확장부와 X.25보드 확장부를 통해 필요한 포트수를 임의로 확장/축소가능하게 확장/축소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LAN보드로 이루어진 LAN보드군을 제어하는 LAN제어보드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과, 다수의 X.25보드로 이루어진 X.25보드군을 제어하는 X.25제어보드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전자교환기에서 근/원거리통신망상의 통신을 위해 실장되는 LAN/X.25보드를 각각 독립적인 LAN포트와 X.25포트를 갖는 LAN보드와 X.25보드로 분리하여 확장 또는 축소실장가능하도록 모듈화하여 LAN통신부분이나 X.25통신부분에 대한 선택적인 확장이나 축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LAN보드나 X.25보드의 선택적인 확장 또는 축소실장으로 전체적인 재설계의 부담이나 통합된 LAN/X.25보드의 부분적인 포트수의 사용에 따른 단점이 해소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LAN/X.25보드의 실장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에 LAN/X.25보드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전전자교환기에서 LAN/X.25보드가 모듈화되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전전자교환기에서 모듈화된 LAN/X.25보드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백플레인 회로팩, 32:LAN보드,
34:LAN보드 확장부, 36:LAN제어보드,
38:전원회로팩(LAN보드측), 40:X.25보드,
42:X.25보드 확장부, 44:X.25제어보드,
46:전원회로팩(X.25보드측), 50:데이터통신장치,
52:데이터통신단말기, 54:주제어장치,
56:알람장치, 58:인터페이스장치,
60:제어부, 62:LAN정합부,
64:X.25정합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전전자교환기에서 LAN/X.25보드가 모듈화되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백플레인 회로팩(30)에 다수의 LAN포트만을 독립적으로 갖춘 LAN보드(32)가 별도로 구비되어 LAN보드 확장부(34)를 통해 포트수의 확장/축소가 가능하게 확장/축소 실장되도록 하고, 상기 별도의 LAN보드(32)만을 한정적으로 제어하는 LAN제어보드(36)가 실장되고, 그 별도의 LAN보드(32)에 대한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전원회로팩(38)이 실장되도록 한다.
또한, 동 도면에 따르면 상기 백플레인 회로팩(30)에 다수의 X.25포트만을 독립적으로 갖춘 X.25보드(40)가 상기 LAN보드(32)와는 별도로 구비되고서 X.25보드 확장부(42)를 통해 포트수의 확장/축소가 가능하게 확장/축소 실장되도록 하고, 상기 별도의 X.25보드(40)만을 한정적으로 제어하는 X.25제어보드(44)가 실장되고, 상기 별도의 X.25보드(40)에 대한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전원회로팩(46)이 실장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전전자교환기에서 모듈화된 LAN/X.25보드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50은 상기 별도로 실장된 LAN보드(32)를 통한 근거리통신을 위해 구비되는 데이터통신장치를 나타내고, 52는 상기 별도로 실장된 X.25보드(40)를 통한 원거리통신을 위해 구비되는 데이터통신단말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54는 상기 데이터통신장치(50)와 데이터통신단말기(52)로부터의 근/원거리통신을 위해 상기 각각 별도로 실장된 LAN보드(32)와 X.25보드(4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제어장치를 나타내고, 56은 근/원거리통신상에서 발생되는 패킷전송로상의 장해에 대한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알람장치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58은 상기 확장/축소가능하게 실장되는 LAN보드(32)와 X.25보드(40)를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장치(50)와 데이터통신단말기(52)의 근/원거리통신에 대한 인터페이스기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58)는 상기 LAN보드(32)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LAN제어보드(36)와 X.25보드(40)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X.25제어보드(44)로 구성된 제어부(60)와, 상기 LAN보드(32)가 LAN보드 확장부(34)를 통해 확장된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LAN보드군으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통신장치(50)에 대한 통신망상의 데이터정합기능을 수행하는 LAN정합부(62) 및, 상기 X.25보드(40)가 X.25보드 확장부(42)를 통해 확장된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X.25보드군으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단말기(52)에 대한 통신망상의 데이터정합기능을 수행하는 X.25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전자교환기에서 데이터통신장치(50)간의 원거리통신을 위해 예컨대 2개의 LAN포트수를 갖는 LAN보드(32)가 별도로 구비되고 데이터통신단말기(52)간의 근거리통신을 위해 예컨대 6개의 X.25포트수를 갖는 X.25보드(40)가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예컨대 LAN통신시스템의 확장에 따른 LAN통신망을 확장하기 위해 2개의 LAN포트수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에, 예컨대 2개의 LAN포트수를 갖춘 LAN보드(32)를 LAN보드 확장부(34)에 추가적으로 실장하여 RS-232C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전송선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반면에, X.25통신시스템의 확장에 따른 X.25프로토콜 통신망을 확장하기 위해 6개의 포트수에 대한 추가가 필요한 경우에, 예컨대 6개의 X.25포트수를 갖춘 X.25보드(40)를 X.25보드 확장부(42)에 추가적으로 실장하여 RS-232C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전송선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전전자교환기에서 근/원거리통신을 위한 LAN보드와 X.25보드를 각 포트수의 확장/축소가 가능하도록 별도로 구비하여 별도의 확장/축소 실장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함에 따라, 통합된 LAN/X.25보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포트수의 추가시 전체적인 실장설계의 변경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각각 별도의 LAN포트와 X.25포트를 갖추게 됨에 따른 용이한 포트수의 추가 또는 삭제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다수의 LAN포트를 갖는 LAN보드(32)와 다수의 X.25포트를 갖는 X.25보드(40)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LAN보드 확장부(34)와 X.25보드 확장부(42)를 통해 필요한 포트수를 임의로 확장/축소가능하게 확장/축소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LAN보드로 이루어진 LAN보드군을 제어하는 LAN제어보드(36)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38)과, 다수의 X.25보드로 이루어진 X.25보드군을 제어하는 X.25제어보드(44) 및 전원공급용 전원회로팩(46)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KR1019960055729A 1996-11-20 1996-11-20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KR10021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729A KR100215964B1 (ko) 1996-11-20 1996-11-20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729A KR100215964B1 (ko) 1996-11-20 1996-11-20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39A KR19980037039A (ko) 1998-08-05
KR100215964B1 true KR100215964B1 (ko) 1999-08-16

Family

ID=1948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729A KR100215964B1 (ko) 1996-11-20 1996-11-20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39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036A (en) Input/output module providing mixed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 connectivity in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EP1402684B1 (en) Network documentation system with electronic modules
US5787070A (en) One for N redundancy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47066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ing networks with electronic modules included in ports and devices
EP0198932B1 (en) Extension arrangement and station connecting method for a ring communication system
EP0533167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CN108337577A (zh) 一种新型的vpx集成背板
WO1998028883B1 (en) Network including multi-protocol cross-connect switch
EP0332199B1 (en)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EP11818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ignals of multiple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US6632032B1 (en) Remote data network acces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overhead channels
KR100215964B1 (ko) 전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모듈화방법
CN1790952B (zh) 光交叉连接装置及光传输系统
US7064961B2 (en) Communication device
CN112449148B (zh) 摄像机、摄像机系统及数据传输系统
Domann Two years of experience with broadband ISDN field trial
JP2926525B2 (ja) 光加入者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予備系切替方式
KR1002844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및 타임 스위치 프로세서 장치
CN107623582A (zh) 一种多路大容量的e1通道无损伤自动切换装置
KR20020078165A (ko) 통신시스템의 최적화 정보 전송장치
GB2176375A (en) Communications cabins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JP3845302B2 (ja) マルチ接続インタフェース回路
CN117857480A (zh) 交换设备
JPH11154296A (ja) インタフェース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