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428B1 -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428B1
KR100403428B1 KR10-2001-0010524A KR20010010524A KR100403428B1 KR 100403428 B1 KR100403428 B1 KR 100403428B1 KR 20010010524 A KR20010010524 A KR 20010010524A KR 100403428 B1 KR100403428 B1 KR 10040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beverage
container
val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928A (ko
Inventor
서원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1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42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스텍 filed Critical (주)아이스텍
Priority to BR0107245-5A priority patent/BR0107245A/pt
Priority to DE60141981T priority patent/DE60141981D1/de
Priority to EP01972747A priority patent/EP1364176B1/en
Priority to AT01972747T priority patent/ATE466242T1/de
Priority to PCT/KR2001/001590 priority patent/WO2002068884A1/en
Priority to ES01972747T priority patent/ES2347418T3/es
Priority to CNB02105374XA priority patent/CN1206138C/zh
Priority to US10/083,478 priority patent/US6619068B2/en
Publication of KR2002006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를 갖는 냉매용기, 냉매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용기본체 외부와 연통 가능케 설치되어 냉매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가 기화될 수 있도록 해주고, 냉매의 기화에 필요한 열을 음료에서 빼앗으므로 써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기화관 및 냉매밸브를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냉매가 용기 내부에 설치된 기화관에서 직접 기화되므로, 음료의 냉각효과가 뛰어나고, 단지 손잡이를 잡고 마개부를 열거나 아니면 볼록부를 살짝 치거나 누른 후 마개부를 열면 되므로 조작이 매우 쉽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receptacle for things to drink having a cooling ability}
본 발명은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된 냉매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냉매를 이용해 맥주나 사이다, 콜라 기타 음료를 자체 냉각시켜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해주는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와 관련된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제 2000-0049686호로 공개된 “자가 냉각기능을 갖는 캔”(이하, 선출원 발명이라함)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선출원 발명의 자가 냉각기능을 갖는 캔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맥주나 콜라, 사이다 기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캔(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캔(100)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10)를 밀봉하는 덮개(12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120)에는 힘을 가하면 절취될 수 있는 마개부(122)와 이 마개부(122)를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0)의 내부에는 냉매실린더(130)와 이 냉매실린더(130)에 연결된 노즐관(140)이 설치되어 있고, 캔(100)의 저부에는 개폐부(155)가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대(150)가 냉매실린더(130)를 지지하고 있으며, 그 외부에는 개폐부(155)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개(160)가 결합되어 있다. 즉, 마개(160)의 일측을 절취한 후 마개(160)를 회동시키면 개폐부(155)가 열리고 이에 따라 냉매실린더(130)와 노즐관(140) 내부에 있던 냉매가 노즐관(140) 외부로 방출되면서 대기 중에서 기화하고, 그에 따라 냉매실린더(130)와 노즐관(140)은 냉각되면서 캔(100)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에서 열을 빼앗는다. 즉, 캔(100) 내부의 음료가 시원해진다. 캔(100) 내부의 음료가 시원해진 다음 손잡이(124)를 잡고 들어올리면 마개부(122)가 절취되면서 캔(100) 내부로 꺾여서 들어가게 되고, 거기에 개구가 형성되어 캔(100)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그 자세한 구조와 작동과정은 위에서 언급한 공개특허공보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캔(100)을 이용하는 경우 그 내부에 들어있는 음료를 어느 정도 시원하게 할 수는 있으나, 초기에는 냉매가 캔(100) 외부에서 기화되기 때문에 이때 필요한 기화열을 음료에서 빼앗는 것이 아니라 외부 공기 중에서 빼앗기 때문에 실제 음료는 크게 냉각되지 않고, 캔(100) 외부,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 주위만 심하게 냉각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기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난 후에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몰려있기 때문에 냉매실린더(130)의 상부 빈 공간에서 기화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노즐관(140)보다는 냉매실린더(130)가 주로 냉각되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떨어진다. 또, 시간이 많이 걸리고(약 2∼3분 정도 소요) 냉각되기 전과의 온도차가 크지 않으며, 냉매가 많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캔(100)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캔(100)을 뒤집어 마개(160)의 특정부위를 절취한 다음, 마개(160)를 몇 바퀴 회동시켜 냉매실린더(130)와 노즐관(140)에 있던 냉매가 방출되도록 기다린 다음 다시 캔(100)을 뒤집어 상면의 손잡이(124)를 잡고 들어 올려 마개부(122)가 절취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특히 어린이나 노인에게는 매우 힘든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의 냉각효과가 뛰어나고 냉각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줄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노인도 쉽게 조작하여 시원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해주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선출원 발명의 자가 냉각기능을 갖는 캔의 부분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음료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마개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냉매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기화관의 끝단에 배출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배출캡이 상승되어 배출공을 통해 기화된 냉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배출캡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냉매용기와 기화관 사이에 걸림돌기와 쐐기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음료용기 210 : 용기본체
212 : 지지홈 220 : 덮개
220a : 밸브작동부 222 : 절취선
224 : 마개부 226 : 손잡이
227 : 구멍 228 : 접착테이프
229 : 홈 229a : 볼록부
230 : 냉매용기 240 : 냉매밸브
241 : 경사홈 242 : 구멍
243 : 밀봉재 244 : 밸브체
245: 스프링 246 : 배출관
247 : 공기구멍 250 : 기화관
260 : 배출캡 262 : 배출구
264 : 음향발생구 270 : 쐐기관
272 : 걸림돌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측에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를 갖는 냉매용기, 냉매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용기본체 외부와 연통 가능케 설치되어 냉매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가 기화될 수 있도록 해주고, 냉매의 기화에 필요한 열을 상기 음료에서 빼앗으므로 써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기화관 및 냉매밸브를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냉매용기의 상단은 마개부가 절취되어 음료용기 내부로 회동되는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고, 위 냉매밸브 작동부는 절취되어 음료용기 내부로 회동 가능한 마개부와 마개부 상에 설치되고 마개부를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로 구성하면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손잡이를 잡고 마개부를 개방하는 힘에 의해 냉매실린더가 하강하면서 냉매밸브가 작동된다.
위 냉매용기의 상단은 마개부에 접촉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냉매용기의 상단이 마개부에 살짝 부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 냉매밸브 작동부는 경우에 따라 음료용기의 상단 일측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음료용기 내부에서는 냉매용기의 상단이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는 볼록부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볼록부를 손으로 살짝 치거나 눌러주면 그 힘에 의해 냉매실린더가 하강하면서 냉매밸브가 작동된다.
위 기화관의 끝단에 승강 가능케 설치되고 측면에 기화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캡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위 캡에는 기화된 냉매가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음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음향발생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음료의 종류에 따라 그에 알맞은 소리를 내게 할 수 있다.
냉매밸브 부근의 냉매용기에는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냉매밸브와 마주보는 기화관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된 후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관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는 경우 한번 작동된 냉매밸브는 계속 열려있게 되어 한 번의 작동으로 냉매용기와 기화관에 있던 냉매는 모두 방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음료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마개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냉매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200)는 음료가 담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210)와 이 본체(210)의 상면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용기본체(210)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덮개부(220)에는 절취선(222)에 의해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된 마개부(224)와 이 마개부(224) 상에 결합되어 마개부(224)에 쉽게 힘을 가하여 절취된 마개부(224)가 음료용기(200) 안쪽으로 꺾여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2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인 음료용 캔의 그 것들과 동일하게 구성하면 된다. 여기에서의 마개부(224)와 손잡이(226)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200)의 밸브작동부(220a)의 역할도 동시에 한다. 물론, 밸브작동부(220a)는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단지 뒤에서 설명되는 냉매밸브(240)를 필요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으면 된다. 용기본체(2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홈(2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기화관(250)이 움직이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200)의 내부에는 압축액화탄산가스 등의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용기(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매용기(2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이 마개부(224)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고, 경우에 따라 냉매용기(200)의 상단이 마개부(224)에서 아래쪽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냉매용기(200)는 그 개구가 하단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기화관(250)에서 냉매의 기화가 계속 진행되더라도 액화 냉매는 냉매용기(230)의 하부에 모여있게 되고, 그래야만 냉매가 액화상태에서 바로 기화관(250)으로 배출되면서 기화관(250)에서 기화되어, 음료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그리고 뛰어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냉매용기(200)의 하단 그 개구에는 냉매밸브(2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매밸브(240)는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즉, 필요할 때 개방하여 냉매용기(230) 내부의 냉매가 배출되면서 기화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5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냉매밸브(240)는 경사홈(241)과 그 아래쪽으로 연통된 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243)와 이 밀봉재(243)의 경사홈(241)과 구멍(242)에 결합되어 경사홈(241)을 개폐할 수 있고, 그 하단에 공기구멍(247)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체(244)와 밸브체(244)를 지지하는 스프링(245)과 밸브체(244)의 끝단에 결합되어 냉매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관(2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냉매밸브(240)는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을 이용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일회용 부탄 가스용기 등에 적용된 것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며, 단지 냉매용기(230)와 기화관(250)의 상대운동에 의해 밸브가 열릴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밸브(240)에는 기화관(250)이 연결되어 있다. 이 기화관(250)은 냉매밸브(240)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의 기화공간을 제공하여, 냉매의 기화열을 음료에서 직접 뺏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부 음료로부터 열을 가장 많이 빼앗을 수 있는 기화관(250)의 기화공간을 크게하고, 길이를 길게 나선형으로 하여 흡열작용을 극대화 시키고, 대부분의 흡열작용이 내부 음료에 대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기화관(250)은 나선형으로 꼬여있으며, 가능하면 전체 음료에서 균일하게 열을 뺏을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감긴 직경이 적어도 용기본체(210) 직경의 2/1 이상 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기화관(250) 자체의 직경은 4∼5㎜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기화관(250)의 감긴 직경과 자체의 직경 및 감긴 피치는 음료의 종류나 양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화관(250)의 재료로는 열전도율이 뛰어난 구리, 황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적당하다. 즉, 기화관(250)을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가장 많이 냉각되는 부분이 길어져 음료와의 접촉 표면적이 커지고, 또 음료 전체가 비교적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화관(250)의 타단은 용기본체(210)의 상면 즉, 덮개(220)일측에 형성된 구멍(227)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구멍(227)은 접착테이프(228)로 막아두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테이프(228) 대신에 다른 것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 즉, 냉매가 인체에 해가 없는 것을 사용하는 때에는 구멍(227)을 형성하지 않고, 기화관(250)의 끝단을 직접 음료에 잠겨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는 경우 음료가 순환되게 하여 음료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즉,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음료용기(200) 내부의 음료를 마시고자하는 경우 접착테이프(228)가 부착되어 있는 것인 경우에는 접착테이프(228)를 떼어낸 다음 손잡이(226)를 잡고 그 끝단을 들어올리면 마개부(224)에 힘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마개부(224)는 절취선(222)을 따라 그 일부가 절단되어 소정 각도 회동되면서 음료용기(200) 내부로 꺾여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마개부(224) 저면에 살짝 부착되거나 접촉되어 있던 냉매용기(230)는 마개부(224)에 의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아 측면으로 약간 밀리면서 동시에 하강한다. 이에 따라 기화관(250)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관(246)에 의해 스프링(245)의 지지를 받고 있던 밸브체(244)가 밀려올라가고, 밀봉재(243)의 경사홈(241)이 개방된다. 그에 따라 냉매용기(230) 내부에 있던 높은 압력의 냉매는 배출관(246)을 통해 낮은 압력 즉, 대기압의 기화관(250)으로 방출되면서 동시에 기화된다. 기화관(250)에서 기화된 냉매는 구멍(227)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냉매가 기화되면서 기화에 필요한 열을 기화관(250)으로부터 빼앗아 기화관(250)은 급속히 냉각되고, 그에 따라 기화관(250)은 음료용기(200)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를 넓은 면적에 걸쳐 골고루 급속히 냉각시키게 된다. 즉, 음료는 빠른 시간 내에 냉각되고, 마개부(224)를 개방한 사람은 냉각된 음료를 마시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용량 : 355cc, 냉매 : 프레온계열 FCHC(중외제약 제품), 냉매기압 : 약 5기압, 냉매량 : 55cc, 기화관 직경 : 5㎜, 기화관의 피치 : 2.5㎝, 기화관의 감긴 직경 : 용기직경의 80%)에 27℃의 모 음료를 250cc를 넣고 실험한 결과 15초 후에 4.5℃의 시원한 음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200)를 이용하는 경우 냉각효과가 뛰어나고 그 조작이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기화관의 끝단에 배출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배출캡이 상승되어 배출공을 통해 기화된 냉매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용기(200)의 상면 덮개(220)에는 구멍(227)이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27)에 기화관(250)의 끝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화관(250)의 끝단에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 배출공(262)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캡(260)이 결합되어 있다. 이 배출캡(260)은 음료를 마시고자하는 사람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냉매밸브(240)를 개방함에 따라 기화관(250)에서 냉매가 기화하면, 기화관(250)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배출캡(260)이 상승하고, 기화된 냉매는 배출공(260)을 통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배출공(260) 주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막 형태의 음향발생구(264)를 설치하여 음료에 따라 특색 있는 소리가 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캡(260)을 설치한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배출캡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캡(260)의 내부에 설치된 음향발생구(264)가 없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리는 나지 않는다. 나머지는 도 6과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냉매용기와 기화관 사이에 걸림돌기와 쐐기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음료용기(200)의 덮개(220) 즉, 음료용기(200)의 상면 일측을 위쪽으로 볼록하게 하고, 내부에서는 냉매용기(230)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는 홈(229)이 형성되도록 볼록부(229a)를 형성하여 음료용기(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손으로 볼록부(229a)를 살짝 치거나 눌러줌으로 써 냉매밸브(240)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여기에서는 볼록부(229a)가 밸브작동부(220a)가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용기(230)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걸림돌기(272)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마주보는 기화관(250)의 끝단에는 걸림돌기(272)가 한번 삽입되면 바깥쪽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274)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관(270)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29a) 즉, 밸브작동부(220a)를 한 번 살짝 치거나 눌러주면 냉매용기(230)가 하강하면서 냉매밸브(240)가 열리고, 동시에 걸림돌기(272)가 쐐기관(270) 내부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게 되어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고, 냉매는 계속 기화관(250) 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과 그 작동과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이용하는 경우 용기 내부 음료와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는 기화관에서 직접 기화되므로, 음료의 냉각효과가 뛰어나고, 단지 손잡이를 잡고 마개부를 열거나 아니면 볼록부를 살짝 치거나 누른 후 마개부를 열면 되므로 조작이 매우 쉽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기화관의 끝단에 설치된 배출캡에 음향발생구를 설치하여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특색 있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획기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또, 기존의 것에 비해 적은 량의 냉매로도 더 뛰어난 음료의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고, 종래의 2∼3분 정도 걸리던 냉각 시간을15초 정도로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빨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료용기를 뒤집지 않아도 되면, 기존의 음료 생산공정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음료를 담아 출하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7)

  1. 음료를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측에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를 갖는 냉매용기;
    상기 냉매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 외부와 연통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냉매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매가 기화될 수 있도록 해주고, 상기 냉매의 기화에 필요한 열을 상기 음료에서 빼앗음으로써 상기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기화관; 및
    상기 냉매밸브를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용기의 상단은 상기 마개부가 절취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로 회동되는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개부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냉매밸브 작동부는 상기 절취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로 회동 가능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마개부를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2. 삭제
  3. 삭제
  4. 음료를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일측에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를 갖는 냉매용기;
    상기 냉매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 외부와 연통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냉매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매가 기화될 수 있도록 해주고, 상기 냉매의 기화에 필요한 열을 상기 음료에서 빼앗음으로써 상기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기화관; 및
    상기 냉매밸브를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냉매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밸브 작동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일측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서는 상기 냉매용기의 상단이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는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관의 끝단에 승강 가능케 설치되고 측면에 기화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에는 상기 기화된 냉매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음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음향발생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밸브 부근의 상기 냉매용기에는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매밸브와 마주보는 상기 기화관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후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10-2001-0010524A 2001-02-28 2001-02-28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10040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24A KR100403428B1 (ko) 2001-02-28 2001-02-28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DE60141981T DE60141981D1 (de) 2001-02-28 2001-09-24 Selbstkühlender getränkebehälter
EP01972747A EP1364176B1 (en) 2001-02-28 2001-09-24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AT01972747T ATE466242T1 (de) 2001-02-28 2001-09-24 Selbstkühlender getränkebehälter
BR0107245-5A BR0107245A (pt) 2001-02-28 2001-09-24 Recipiente auto-refrigerador
PCT/KR2001/001590 WO2002068884A1 (en) 2001-02-28 2001-09-24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ES01972747T ES2347418T3 (es) 2001-02-28 2001-09-24 Envase autoenfriable para bebidas.
CNB02105374XA CN1206138C (zh) 2001-02-28 2002-02-27 自冷式饮料容器
US10/083,478 US6619068B2 (en) 2001-02-28 2002-02-27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24A KR100403428B1 (ko) 2001-02-28 2001-02-28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28A KR20020069928A (ko) 2002-09-05
KR100403428B1 true KR100403428B1 (ko) 2003-10-30

Family

ID=1970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24A KR100403428B1 (ko) 2001-02-28 2001-02-28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19068B2 (ko)
EP (1) EP1364176B1 (ko)
KR (1) KR100403428B1 (ko)
CN (1) CN1206138C (ko)
AT (1) ATE466242T1 (ko)
BR (1) BR0107245A (ko)
DE (1) DE60141981D1 (ko)
ES (1) ES2347418T3 (ko)
WO (1) WO2002068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84A (ko) * 2001-07-25 2003-02-05 황익현 자체 냉각기능의 구조를 갖는 용기
EP1359380A3 (de) * 2003-06-04 2003-12-03 Rainer Dominik Mayr-Hassler Flüssigkeitsbehälter
ES2308895B1 (es) * 2006-07-25 2009-10-27 Sebastian Rufo Perez Sistema de refrigeracion de un liquido contenido en una lata.
ES2336872B1 (es) * 2007-11-07 2011-05-20 Gustavo Perez Lopez Bidon para bicicletas.
US20100251731A1 (en) * 2009-04-02 2010-10-07 Bergida John R Self-Chilling Beverage Can
US8033132B1 (en) * 2009-09-26 2011-10-11 Purser Anh V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US20130333404A1 (en) * 2012-06-19 2013-12-19 Darryl H. Yong Safe and compact machine for rapidly producing frozen confections
WO2014062519A1 (en) * 2012-10-15 2014-04-24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 unit for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ITFI20130042A1 (it) * 2013-03-04 2014-09-05 Raoul Cangemi Lattina refrigerata
ES2510290B2 (es) * 2013-03-20 2015-04-30 Emilio PALOMO PINTO Sistema de refrigeración autónomo, portátil y autorefrigerante, basado en la utilización de un depósito estanco, conteniente de un gas licuado a presión, empleado como vaporizador, como consecuencia de la evaporación controlada de dicho GLP
AU2015253152A1 (en) * 2014-04-30 2016-11-17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KR200474922Y1 (ko) * 2014-05-19 2014-10-22 김병철 캔 냉각기 및 그를 구비하는 음료 캔
US20160178295A1 (en) * 2014-12-19 2016-06-23 Icejet, S.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ling liquids in portable containers
EP3271668B1 (en) * 2015-03-20 2020-07-15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having a dual function valve
WO2016168575A1 (en) * 2015-04-17 2016-10-20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heat exchange unit internally thereof and thermochromic material on outer surface to indicate temperature change
CN105815985A (zh) * 2016-06-01 2016-08-03 单树峰 一种快速降温冰水杯
CN105890086A (zh) * 2016-06-06 2016-08-24 中山市瑞驰泰克电子有限公司 风扇
CN105972902B (zh) * 2016-07-25 2018-03-30 吉首大学 生物制剂储运瓶
CN106880250A (zh) * 2017-04-01 2017-06-23 合肥梦飞电器有限公司 液体冷却装置
CN108826791B (zh) * 2018-08-16 2024-05-03 南通天瀚深冷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冷藏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43A (en) * 1974-01-21 1976-10-26 Willis Samuel C Thermodynamic beverage cooling unit
WO1985000876A1 (en) * 1983-08-05 1985-02-28 Központi Váltó- És Hitelbank Rt., Innovációs Alap Disposable self-cooling device
US4669273A (en) * 1986-05-07 1987-06-02 Liquid Co2 Engineering Inc.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WO1995031678A1 (fr) * 1994-05-16 1995-11-23 Garnik Keshishian Refroidissement de boissons en boites metalliques avec gaz liquide
WO1996027110A1 (en) * 1993-12-09 1996-09-06 The Joseph Company A self-chil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KR19990007570A (ko) * 1998-10-08 1999-01-25 정형동 캔음료의 자체 냉각방법
KR19990024126A (ko) * 1998-12-08 1999-03-25 정형동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KR20000000517A (ko) * 1998-05-23 2000-01-15 김경희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9890A (en) * 1965-03-15 1967-03-21 Eugene R Barnett Refrigerated disposable container
US3525236A (en) * 1968-07-15 1970-08-25 Nariman Solhkhah Portable self-cooling device
AU4281768A (en) * 1968-08-30 1971-02-25 ROSENFELD and STUART FREDERICK FOX NATHAN Method of cooling containers
US3597937A (en) * 1969-06-06 1971-08-10 Eugene H Parks Self-cool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US3759060A (en) * 1972-06-28 1973-09-18 Marian Cax Disposable refrigerated container that can be refilled, reused or recycled
US4640102A (en) * 1986-03-03 1987-02-03 Marcos Tenenbaum Self-cooling container for beverages
US5765385A (en) * 1996-05-29 1998-06-16 Childs; Michael A.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GB9801436D0 (en) * 1998-01-24 1998-03-18 Bass Plc Improvements in & relating to cooling containers of beverages
KR20000069873A (ko) * 1999-07-03 2000-11-25 마이클 위크햄 냉각기 및 유체 저장 용기
KR100405394B1 (ko) * 2000-04-22 2003-11-14 김상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43A (en) * 1974-01-21 1976-10-26 Willis Samuel C Thermodynamic beverage cooling unit
WO1985000876A1 (en) * 1983-08-05 1985-02-28 Központi Váltó- És Hitelbank Rt., Innovációs Alap Disposable self-cooling device
US4669273A (en) * 1986-05-07 1987-06-02 Liquid Co2 Engineering Inc.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WO1996027110A1 (en) * 1993-12-09 1996-09-06 The Joseph Company A self-chil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WO1995031678A1 (fr) * 1994-05-16 1995-11-23 Garnik Keshishian Refroidissement de boissons en boites metalliques avec gaz liquide
KR20000000517A (ko) * 1998-05-23 2000-01-15 김경희 자체 냉각 기능을 갖는 냉각캔
KR19990007570A (ko) * 1998-10-08 1999-01-25 정형동 캔음료의 자체 냉각방법
KR19990024126A (ko) * 1998-12-08 1999-03-25 정형동 자체 냉각기능을 갖는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68884A1 (en) 2002-09-06
US6619068B2 (en) 2003-09-16
CN1206138C (zh) 2005-06-15
EP1364176B1 (en) 2010-04-28
EP1364176A1 (en) 2003-11-26
US20020116942A1 (en) 2002-08-29
ATE466242T1 (de) 2010-05-15
DE60141981D1 (de) 2010-06-10
KR20020069928A (ko) 2002-09-05
EP1364176A4 (en) 2005-09-07
ES2347418T3 (es) 2010-10-29
CN1373077A (zh) 2002-10-09
BR0107245A (pt)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428B1 (ko)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US4688395A (en) Self-contained cooling device for food containers
US7343834B2 (en) Beverage holder
CO5210957A1 (es) Envase de enfriamiento propio y provisto en su interior con un recipiente para contener bebidas y que en una pared tiene resaltos reversibles
JP2008094490A (ja) 保温水筒
JP3080641U (ja) 冷却機能付き飲料容器
US6173579B1 (en) Sealed liquid container
JP3115860U (ja) 携帯用保温飲料容器
JPS6057172A (ja) 使い捨て自己冷却装置
EP0279971A1 (en) Beverage can cooling device
JPH02187583A (ja) 携帯用冷却装置
KR100537942B1 (ko) 캔용기의 오프너용 탭어셈블리
KR200290497Y1 (ko) 음료 공급장치
JPH0528446Y2 (ko)
KR200278394Y1 (ko) 탄산음료pet병 받침대
US20230174292A1 (en) Multi-vessel insulator and carrier
KR100405394B1 (ko)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JPH0248379Y2 (ko)
KR200386827Y1 (ko) 음료병용 항온케이스
JP2783189B2 (ja) ボトル
KR200249539Y1 (ko) 압축식 밀폐 물통
JP2011506909A (ja) 円筒状の飲料容器の開放端を密封するための上部カバー、飲料容器、上部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飲料容器の製造方法
JP2002096859A (ja) 炭酸飲料用ジョッキ型缶容器
KR200171259Y1 (ko) 휴대용 음료용기 보온가방
GB2346204A (en) Self cooling drinking 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