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394B1 -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 Google Patents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394B1
KR100405394B1 KR10-2000-0021549A KR20000021549A KR100405394B1 KR 100405394 B1 KR100405394 B1 KR 100405394B1 KR 20000021549 A KR20000021549 A KR 20000021549A KR 100405394 B1 KR100405394 B1 KR 10040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opening
cooling device
self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686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10-2000-002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3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686A/ko
Priority to US10/258,329 priority patent/US6952934B2/en
Priority to CA002407018A priority patent/CA2407018A1/en
Priority to EP01926214A priority patent/EP1278996A4/en
Priority to AU52748/01A priority patent/AU781315B2/en
Priority to CNB018097944A priority patent/CN100402957C/zh
Priority to BR0110239-7A priority patent/BR0110239A/pt
Priority to MXPA02010408A priority patent/MXPA02010408A/es
Priority to JP2001586396A priority patent/JP2003534214A/ja
Priority to PCT/KR2001/000672 priority patent/WO200109066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중, 냉매의 특성과 냉매실의 구조를 조합하여는 냉각면적 극대화를 위하여 냉매실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공간을 다량 확보하여 음료와 냉매실간에 접촉면적을 크게한 것과, 냉매실은 컵형태로 단조롭게 되어 있으나, 그 냉매실에 저장된 냉매는 응축압력이 낮고, 임계온도가 높고, 응고온도가 낮고, 증발잠열이 큰냉매를 사용한 것이 있었으나, 실용화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이 발명은 이를 합리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실과 그 냉매실의 단부에 노즐부를 두되, 그 노즐부에서부터 일정길이로 연장된 코일 형태의 노즐관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는 캔의 저부에 고정되면서도 냉매실의 압축탄산가스를 기화 방출시키는 개폐부를 두고, 상기 개폐부가 있는 고정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스방출홈이 있는 마개를 상기 고정대의 외부에 결합시킨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냉각적 극대화, 냉각능력 탁월, 냉각속도조절 가능, 냉각 재시연 가능, 안전성

Description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Can Having Self-chi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압축 저장된 액화탄산가스를 외부로 기화 방출하여 그 음용수를 차갑게 하는 형의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Can Having Self-chilling Function)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특공개96-31945, 97-26834, 99-71334, 특허등록177382, 특허등록240197, 특허등록241495, 특허등록133211, 공개실용99-34350, 99-34351, 공개특허99-7570, 99-7571, 특공개99-24126, 공개실용99-3937, 99-3938, 99-3939, 실용등록166217, 특공개99-24125, 특공개97-707421, 98-3357, 공개실용95-10650, 특공개2000-516, 2000-517 그리고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공개91-16280, 91-16284호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 용기내에 설치된 냉매실의 적은 양의 냉매로도 그 음용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그 냉매는 증발 잠열이 크고 액체비열 및 증발열에 대한 액체비열의 비율이 작은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냉매실에 저장된 냉매가 높은 온도에서 응고하면 냉각용 냉매로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그 냉매는 저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응고온도가 낮은 냉매를 사용하는 냉각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또 다르게는, 그 구조상으로 보았을 때, 압축가스를 이용한 것과, 물과 약제의 반응에 의해 음료와 반응물간에 열교환이 이뤄지는 것과, 음료의 내부로 압축가스가 분출되어 냉각이 되는 형의 기술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매의 특성과 냉매실의 구조를 조합하여는 냉각면적 극대화를 위하여 냉매실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공간을 다량 확보하여 음료와 냉매실간에 접촉면적을 크게한 것과, 냉매실은 컵형태로 단조롭게 되어 있으나, 그 냉매실에 저장된 냉매는 응축압력이 낮고, 임계온도가 높고, 응고온도가 낮고, 증발잠열이 큰 냉매를 사용한 것이 지속적으로 개량 고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존하는 기술이 상기와 같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자체 냉각캔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신규한 냉매의 경우는, 안전성에 대하여 각국 정부의 승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이유와 더불어 그 냉각속도가 더뎌 실용성이 반감되는 단점이 있고, 압축가스를 이용한 것은, 그 압축가스를 저장하는 냉매실의 크기를 최소화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지고, 냉매실을 크게 하면 상온에서 냉매실이 폭발할 수 있어 상용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특히, 압축가스를 이용한 것의 경우,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냉매실의 구조가 음료와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방부를 형성하였으나, 이럴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기밀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응축압력이 다른 냉매에 비해 다소 높다 할지라도 그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실과 동 연장선상의 노즐관을 특이하게 하여 적은 양의 냉매로도 냉각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에 1차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노즐관은 음료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그 노즐관을 코일형태로 하였고, 이로 기인 음료와 노즐관과의 접촉면적이 많은 관계로 그 음료의 냉각시간이 단축되는 2차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기술은 그 하부에 냉매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마개를 두어 음료의 온도를 마음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 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캔의 저부에 냉각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단계로서 마개의 스커트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스커트를 제거한 후, 마개를 돌려 냉각장치를 가동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핵심인 냉각장치의 주요 분리 종단면도.
도 5는 냉각장치의 자체 결합도.
도 6은 캔저부에 고정대가 1차적으로 조립된 상태도.
도 7은 도 1 고정대 주위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도 3 고정대 주위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냉각장치가 병저부에 결합된 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냉각장치가 용기의 천공부면에 접착되어진 상태를 보인 것.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냉각장치가 병목에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대를 병뚜껑의 형상으로 한 것.
도 12는 노즐관이 음료와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불규칙 코일형태로 된 것.
도 13은 노즐관이 일정 형태로 접어진 것을 보인 것.
도 14,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는 고정대와 마개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16,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은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7은 조립상태를 보인 것의 각각의 예이다.
도 18∼도20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각장치 101 : 냉매실린더 102 : 노즐부
103 : 노즐관 104 : 개폐부 105 : 스프링
106 : 개폐용작동돌기 107, 115, 133, 138, 503 : 밀폐용패킹
108 : 고정대 109 : 결속홈 110, 122 : 환돌기
111 : 밀폐용량 112 : 스커트걸림홈
113, 120, 135, 136, 501 : 나사산 114 : 개폐부삽입홈
116 : 환홈 117 : 마개 118 : 상면부
119 : 측면부 121, 505 : 스커트 123 : 절취선
124 : 손잡이 125 : 돌기 126, 132, 139, 140 : 가스방출홈
127 : 접착면 128 : 보강재 129 : 방출공
130 : 공간 131 : 환태 134 : 환턱
137 : 돌기침 200 : 캔 201 : 캔저부
202 : 절곡면 203 : 병뚜껑 300 : 병
301 : 병저부 302 : 결합부 303 : 병뚜껑
400 : 용기 401 : 천공부 500 : 병뚜껑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냉매를 저장하는 견고한 냉매실과 그 냉매실의 단부에 노즐부를 두되, 그 노즐부에서부터 일정길이로 연장된 코일 형태의 노즐관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는 캔의 저부에 고정되면서도 냉매실의 압축탄산가스를 기화 방출시키는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는 마개를 상기 고정대의 외부에 결합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장치는, 2피스 캔의 경우, 본체의 저부나, 상부의 뚜껑에 구멍을 내어 결합시키는 것이고, 3피스 캔의 경우는 상 ·하부 임의 뚜껑에 구멍을 내어 결합시키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장치는 병 형태의 용기 저부에 구멍을 내어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장치는 종이포장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파우치 등의 연포장재에 응용될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지지하는 고정대의 형태를 달리하여 접착등의 방식으로 상기 고정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장치는 병 등의 기존 목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장치의 고정대를 결합용 나사등이 형성된 병뚜껑 형태로 설계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상과 같은 냉각장치는 그 냉각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노즐관의 형태를 규칙 또는 불규칙성으로 외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취하게 하였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상과 같은 냉각장치는 노즐관의 형태를 일정길이로 한 후 그 외측이 접어지게 하여 된 것이 반복되어 일정 면적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장치에 부설된 고정대 및 마개를 달리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냉매실 냉매의 방출을 특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각양방식으로 완성하였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개폐용작동돌기 상부 넓적한 면은 냉매실의 압력이 상승되어 노즐관에 일정 압력이 지속되면 상기 개폐작동돌기의 넓적한 면이 변형(휘어지는 현상 등)됨과 동시 그 하방의 밀폐패킹도 변형이 생겨 상기 냉매실의 압력이 제거되는 것이다.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냉각매체를 저장하며 음료용기의 내부에 고정부에 의해서 배치되는 냉매실린더와; 상기 냉매실린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냉매실린던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노즐관과; 상기 냉매실린더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냉매실린더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실린더와 상기 노즐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기화용 노즐과; 그리고 상기 냉각매체가 상기 노즐관 전체를 거쳐서 순환하여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방출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를 제공한다.바람직하게,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노즐관의 확장된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스프링과 밀폐용패킹을 갖고 개폐용작동돌기를 내입하고 있는 개폐부와;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대는 용기 저부에 구멍을 내고 절곡된 형의 결합부에 고정된다.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음료용기는 종이팩, 합성수지 용기, 파우치, 용기, 캔, 병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작장치.상기 냉각장치를 연포장용기에 고정할 경우, 용기의 일면에 천공부를 두고 그 천공부의 상하 임의 일면에 고정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의 외환부에 접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음료용 냉각장치(100)는; 압축액화탄산가스를 저장하는 냉매실린더(101)와 그 냉매실린더(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부(102) 그리고 그 노즐부(102)에 연장되어 코일형태로 된 노즐관(103)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관(103)의 단부에는 개폐부(104)를 두되, 상기 개폐부(104)는 돌향된 형태로 되어 있고, 그 확장된 내부 공간에는 스프링(105)과 밀폐용패킹(107)을 갖고 있는 개폐용작동돌기(106)를 내입한 후 상기 개폐부(104)의 확장된 단부를 내향으로 좁혀지게 하여 그 내입된 부속물이 밖으로 튀어 나오지 못하게 고정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개폐부(104)는 합성수지재의 고정대(108)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08)는 캔저부(201) 천공된 면의 절곡면(202)에 결합될 수 있는 결속홈(109)과 환돌기(110)를 형성하되, 상기 결속홈(109)과 환돌기(110)의 사이에는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질의 밀폐용링(111)을 결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환돌기(110)의 하방으로는 스커트걸림홈(112)과 나사산(113)을 형성하고, 상기고정대(108)의 중심부에는 상기 개폐부(104)가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폐부삽입홈(114)을 형성함과, 그 개폐부삽입홈(114)의 하방턱 부위에는 상기 개폐부(104)가 조립된 후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용패킹(115)이 조립되는 것임과, 상기 개폐부삽입홈(114)의 하측으로는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그 내벽에는 환홈(116)이 형성되어 있음과, 이상과 같은 상기 고정대(108)의 하방에는 마개(117)를 조립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마개(117)는 상면부(118)와 측면부(119)로 구성되어 있데, 상기 측면부(119)의 내벽면과 하방으로는 나사산(120)과 환돌기(122)가 있는 스커트(121)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측면부(119)와 스커트(121) 사이에는 절취선(123)으로 구획이 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121)에는 그 스커트(121)를 당겨 제거할 수 있는 형의 손잡이(124)가 형성되어 있음과, 상기 상면부(118)의 안쪽면에는 환테형의 돌기(125)가, 그리고 상기 돌기(125)의 일측면과 측면부(119)의 내벽면 까지는 길게 홈이 파인 가스방출홈(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냉각장치(100)의 자체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 도 5와 같은 것이며, 도 5와 같은 냉각장치(100)는 캔저부(201)의 절곡면(202)에 고정대(108)의 결속홈(109)이 위치되고 환돌기(110)가 절곡면(202)의 단부에 걸려 긴히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대(108)의 나사산(113) 부위에는 마개(117)를 조립시킴으로서 그 결합이 완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잘 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1과 같은 것이다.
상기 도 1과 같이 캔(200)에 냉각장치(100)가 조립되어 있고, 그 캔(200)의 내부에는 음용수가 내입되어 있으며, 캔(200)의 상부는 캔뚜껑(End)(203)이 결합되어 있는 등 완성된 음용수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마개(117)의 손잡이(12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손잡이(124)의 측방에 형성된 측면절취선이 절취됨과 동시 동 연장선상의 절취선(123)이 절취되면서 스커트(121)가 제거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커트(121)가 제거된 제1차 사용상태가 도 2와 같은 것이며,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117)를 시계 시침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마개(117)가 상향되다가 돌기(125)의 상면이 개폐용작동돌기(106)의 하단부에 닿게 되면 이때부터 돌기(125)에 의해 개폐용작동돌기(106)가 들어 올려지면서 냉매실린더(101)에 있던 냉매가 노즐부(102)와 노즐관(103)을 통해 기화되면서 음료의 열을 흡수하여 방출되기 시작하는 것이며,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마개(117)는 일시 멈추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상기 냉각이 이뤄지는 1단계 정도이다. 이때에는 냉각타임을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이 냉각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에서 마개(117)를 좀더 힘껏 돌리게 되면 돌기(125)의 외향에 형성된 환테가 상기 환홈(116)의 하턱을 타고 넘어 그 환홈(116)에 삽입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3과 같은 것이며, 좀 더 확대된 도면으로는 도 8이 있다.
즉, 도 3과 도 8을 참고로 하면, 냉매실린더(101)에 저장되어 있던 냉매가 노즐부(102)와 노즐관(103)을 경유 기화되면서 음료와 열교환이 이뤄지고, 이때 음료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아 가스방출홈(126)을 경유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호에 따라 음료의 냉각 정도를 조절하고 싶으면 마개(117)를 시계 시침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개폐용작동돌기(106)가 가스압과 스프링(105)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되어 냉매실린더(101)에 있던 냉매가 더 이상 기화 방출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냉각장치(100)는 액체탄산가스가 기화되어 방출되는 과정에 음료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면적을 냉매실린더(101)는 물론, 노즐관(103)을 코일 형태로 형성하였는 바, 그 만큼 음료로부터 기화열을 더 많이 빼았을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100)는 일반적인 캔(200)은 물론,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병(300)에도 형성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병저부(301)에 구멍을 내고 절곡된 형의 결합부(302)에 고정대(108)를 조립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장치(100)는 종이팩이나 합성수지, 또는 파우치 등의 연포장 용기(400)의 일면에 천공부(401)를 두고 그 천공부(401)의 상하 임의 일면에 고정대(108)가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108)의 외환부에 접착면(127)을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장치(100)는 병목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대(108)의 상외방과 측방이 병뚜껑(500)이 되도록 구성하되, 그 병뚜껑(500)은 측방의 내벽에 나사산(501)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위조방지용 스커트(502)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부의 외주면 저부에는 밀폐용패킹(503)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관(103)은 그 기본은 코일 형상을 유지하고 있되, 그 노즐관(103)은 음료와 열교환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노즐관(103)의 환 크기가 불규칙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관(103)은 음료와 열교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단부를 휘어지게 하여 노즐관(103)이 일정 형태로 계속되는 형상을 유지하게 하고, 그 노즐관(103)은 냉매실린더(101)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강재(128)를 부설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개폐용작동돌기(106)의 내부에 방출공(129)을 형성하되, 그 방출공(129)은 상부 측면의 방출공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용작동돌기(106)의 하단은 대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용작동돌기(106) 하단이 위치하는 외주는 함몰된 형의 공간(130)으로 형성함과, 상기 공간(130)의 하방에 위치될 마개(117)의 돌기(125) 상부 외향에는 안전장치인 환테(131)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117)의 손잡이(124)를 당겨 스커트(121)를 제거한 후, 마개(117)를 시계 시침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돌기(125)가 개폐용작동돌기(106) 하단부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 냉매실린더(101)의 냉매가 노즐부(102)와 노즐관(103)을 경유 최종 개폐용작동돌기(106) 방출공(129)과 마개(117)의 가스방출홈(126)을 통해 기화 방출되는 것인데,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15와 같다.
또한 마개(117)를 죄고 푸는 정도에 따라 음료의 냉각 정도가 조절되는 것은 물론, 돌기(125)의 외향에 형성된 환테(131)는 사용 중 마개(117)가 급탈되는 것을 예방하는 역활도 하는 안전장치인 것이며, 이와 동시 어린아이 등이 마개(117)를 사용하려 할때 환테(131)가 공간(130)의 하단턱에 걸려 쉽게 상향되지 못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상에서 거론된 개폐용작동돌기(106)를 효율적으로 밀어 올림은 물론, 냉각되는 과정에 방출압에 의해 마개(117)가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돌기(125)의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돌기(125)의 나사산에 맞닿아 지게 될 보강대(108) 부위에도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16과 같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고정대(108) 및 마개(117)는 그 기능상 마개(117)에 가스방출홈(126)을 형성하였으나, 도 1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대(108)의 환돌기(110) 하방에서부터 시작되어 밀폐용패킹(115)이 있는 근접 부위까지 연장된 가스방출홈(132)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도 20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대(108)의 개폐부삽입호(114)에 내입되어 지는 개폐부(104)는 그 단부가 밀폐용패킹(133)으로 봉합되어 개폐부삽입홈(114)에 내입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밀폐용패킹(133)의 하바에 있는 환턱(134)의 하방으로는 나사산(13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108)에 결합되어 지는 마개(117)에는 개폐용 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125)의 외환에는 나사산(136)이 형성되어 있음과, 그 돌기(125)의 상방에는 단이진 형태의 돌기침(138)을 조립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125)의 나사산(136)부위부터 시작하여 밖으로 연통된 가스방출홈(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돌기(125)의 상방에 형성된 밀폐용패킹(138)의 상방부 돌기침(137) 외벽에도 가스방출홈(139)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도 18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24)를 당겨 스커트(121)를 제거한 수, 마개(117)를 시계 시침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돌기침(137)이 밀폐용패킹(133)을 천공하면서 상향되고, 이와 동시 냉매실린더(101)에 있던 냉매가 노즐부(102)와 노즐관(103)을 통해 음료와 열교환을 하게 되며, 최종 가스방출홈(139, 126)을 경유 그 기화 방출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상태가 도 19와 같다.
상기 도 19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117)를 좀 더 잠그게 되면 밀폐용패킹(138)이 환턱(134)의 저부에 닿아 개폐부(104)는 폐쇄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개폐구조는 이상과 같이 마개(117)를 죄고 푸는 행위에 따라 냉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환턱(134)의 하방 일측으로는 측방으로 관통된 가스방출홈(14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가 냉매실린더와 더불어 코일형태의 노즐관이 음료와의 열교환을 하여 기화 방출되는 바, 냉각 능력이 월등함은 물론, 적은 양의 냉매로도 냉각을 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각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음료의 냉각정도를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과, 또한 필요에 따라 회차에 걸쳐 시간차를 두고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25)

  1. 압축탄산가스를 기화 방출하여 음료를 냉각시키는 음료용 냉각장치는;
    압축액화탄산가스를 저장하는 냉매실린더와;
    그 냉매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부;
    그리고 그 노즐부에 연장되어 코일형태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노즐관;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는 기화열 방출용으로, 돌향된 형태와 확장된 내부 공간에는 스프링과 밀폐용패킹을 갖고 있는 개폐용작동돌기를 내입하고, 그 단부를 내향으로 좁혀지게 하여 그 내입된 부속물이 밖으로 튀어 나오지 못하게 고정한 개폐부;
    캔저부 천공된 면의 절곡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속홈과 환돌기를 형성하되,상기 결속홈과 환돌기의 사이에는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질의 밀폐용링을 결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환돌기의 하방으로는 스커트걸림홈과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의 중심부에는 상기 개폐부가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폐부삽입홈을 형성함과, 그 개폐부삽입홈의 하방턱 부위에는 상기 개폐부가 조립된 후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용패킹이 조립되는 것임과, 상기 개폐부삽입홈의 하측으로는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그 내벽에는 환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하방에는 마개를 조립시키되, 상기한 마개는 상면부와 측면부로 구서되고, 상기 측면부의 내벽면과 하방으로는 나사산과 환돌기가 있는 스커트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측면부와 스커트 사이에는 절취선으로 구획이 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에는 그 스커트를 당겨 제거할 수 있는 형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음과, 상기 상면부의 안쪽면에는 환테형의 돌기가, 그리고 상기 돌기의 일측면과 측면부의 내벽면 까지는 길게 홈이 파인 가스방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장치는 병저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3. 제 2항에 있어서, 냉각장치를 결합하는 방법은, 병저부에 구멍을 내고 절곡된 형의 결합부에 고정대를 조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장치는 종이팩이나 합성수지, 또는 파우치 등의 연포장 용기의 일면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5. 제 4항에 있어서, 냉각장치를 결합하는 것은 용기의 일면에 천공부를 두고 그 천공부의 상하 임의 일면에 고정대가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의 외환부에 접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장치는 병목에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냉각 기능을 갖는 캔.
  7. 제 6항에 있어서, 냉각장치를 병목에 조립시키기 위하여, 고정대의 상외방과 측방이 병뚜껑이 되도록 구성하되, 그 병뚜껑은 측방의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위조방지용 스커트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부의 외주면 저부에는 밀폐용패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에 사용되어지는 노즐관은 그 기본은 코일 형상을 유지하고 있되, 그 노즐관은 음료와 열교환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노즐관의 환 크기가 불규칙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9.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에 사용되어지는 노노즐관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단부를 휘어지게 하여 노즐관이 일정 형태로 계속되는 형상을 유지하게 하고, 그 노즐관은 냉매실린더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0.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기화 방출부를 달리한 것으로서, 개폐용작동돌기의 내부에 방출공을 형성하되, 그 방출공은 상부 측면의 방출공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용작동돌기의 하단은 대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용작동돌기 하단이 위치하는 외주는 함몰된 형의 공간으로 형성함과, 상기 공간의 하방에 위치될 마개의 돌기 상부 외향에는 안전장치인 환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1.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기화 방출부를 달리한 것으로서, 개폐용작동돌기를 효율적으로 밀어 올림은 물론, 냉각되는 과정에 방출압에 의해 마개가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돌기의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의 나사산에 맞닿아 지게 될 보강대 부위에도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2.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기화 방출부를 달리한 것으로서, 고정대의 환돌기 하방에서부터 시작되어 밀폐용패킹이 있는 근접부위까지 연장된 가스방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3.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기화 방출부를 달리한 것으로서, 고정대의 개폐부삽입홈에 내입되어 지는 개폐부는 그 단부가 밀폐용패킹으로 봉합되어 개폐부삽입홈에 내입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밀폐용패킹의 하방에 있는 환턱의 하방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어 지는 마개에는 개폐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의 외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과, 그 돌기의 상방에는 단이진 형태의 돌기침을 형성하고, 그 돌기침의 하방 단턱 부위에는 밀폐용패킹을 조립시킨 것이며,
    또한 상기 돌기의 나사산 부위부터 시작하여는 밖으로 연통된 가스방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돌기의 상방에 형성된 밀폐용패킹의 상방부 돌기침 외벽에도 가스방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패킹의 하방에 형성된, 환턱의 하방 일측으로는 측방으로 관통된 가스방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15. 삭제
  16. 냉각매체를 저장하며 음료용기의 내부에 고정부에 의해서 배치되는 냉매실린더와;
    상기 냉매실린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냉매실린더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노즐관과;
    상기 냉매실린더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냉매실린더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실린더와 상기 노즐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기화용 노즐과; 그리고
    상기 냉각매체가 상기 노즐관 전체를 거쳐서 순환하여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방출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노즐관의 확장된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스프링과 밀폐용패킹을 갖고 개폐용작동돌기를 내입하고 있는 개폐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용기 저부에 구멍을 내고 절곡된 형의 결합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는 종이팩, 합성수지 용기, 파우치 용기, 캔, 병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를 연포장용기에 고정할 경우, 용기의 일면에 천공부를 두고 그 천공부의 상하 임의 일면에 고정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의 외환부에 접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장치는 병목에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하방과 측방이 병뚜껑이 되도록 구성하되, 그 병뚜껑은 측방의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위조 방지용 스커트가 형성되며, 상부의 외주면 저부에는 밀폐용패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3. 제 16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상기 실린더 외주로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4. 제 16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자가 냉각장치.
  25. 삭제
KR10-2000-0021549A 2000-04-22 2000-04-22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KR10040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549A KR100405394B1 (ko) 2000-04-22 2000-04-22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AU52748/01A AU781315B2 (en) 2000-04-22 2001-04-23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CA002407018A CA2407018A1 (en) 2000-04-22 2001-04-23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EP01926214A EP1278996A4 (en) 2000-04-22 2001-04-23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US10/258,329 US6952934B2 (en) 2000-04-22 2001-04-23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CNB018097944A CN100402957C (zh) 2000-04-22 2001-04-23 自冷液体容器
BR0110239-7A BR0110239A (pt) 2000-04-22 2001-04-23 Recipiente de auto-refrigeração de lìquido
MXPA02010408A MXPA02010408A (es) 2000-04-22 2001-04-23 Recipiente auto-refrigerante de liquido.
JP2001586396A JP2003534214A (ja) 2000-04-22 2001-04-23 自己冷却機能を有する飲料容器
PCT/KR2001/000672 WO2001090666A1 (en) 2000-04-22 2001-04-23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549A KR100405394B1 (ko) 2000-04-22 2000-04-22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686A KR20000049686A (ko) 2000-08-05
KR100405394B1 true KR100405394B1 (ko) 2003-11-14

Family

ID=1966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549A KR100405394B1 (ko) 2000-04-22 2000-04-22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28B1 (ko) * 2001-02-28 2003-10-30 (주)아이스텍 냉각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100460211B1 (ko) * 2001-08-07 2004-12-08 박종수 냉각장치가 구비된 음료용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686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273A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CA2313476C (en) Self-cooling fluid container with nested refrigerant and fluid chambers
US5946930A (en) Self-cool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using fullerene nanotubes
US6952934B2 (en) Self-cooling liquid container
US6619068B2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EP0931998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oling containers of beverages
US5394703A (en) Self-chil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GB2327117A (en) Heat exchange unit for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s
KR100405394B1 (ko)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US6530235B2 (en) Self-chilling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RU2183003C2 (ru) Охладитель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сти в сосуде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и сосуд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AU601439B2 (en) Cooling assembly for a beverage can or like container
KR100284015B1 (ko) 자체냉각기능을갖는음료용캔및그제조방법
GB2370629A (en) Cooling containers of beverages
KR20000054493A (ko) 냉각캔의 냉매실린더 구조
KR200256485Y1 (ko) 자가 냉각 캔
KR20000054492A (ko) 자가 냉각 기능을 갖는 캔
US11898796B1 (en) Humidification and dehymid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illing beverages and other food products and process of manufacture
KR20010044112A (ko) 냉각캔의 냉매실린더 구조
JP3080641U (ja) 冷却機能付き飲料容器
EP0935108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ainers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KR200176933Y1 (ko) 냉각링
JPH02187583A (ja) 携帯用冷却装置
KR200285209Y1 (ko) 냉각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