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978B1 -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978B1
KR100402978B1 KR10-2000-0057781A KR20000057781A KR100402978B1 KR 100402978 B1 KR100402978 B1 KR 100402978B1 KR 20000057781 A KR20000057781 A KR 20000057781A KR 100402978 B1 KR100402978 B1 KR 10040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wearer
mouthpiece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394A (ko
Inventor
김용무
Original Assignee
김용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무 filed Critical 김용무
Priority to KR10-2000-005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9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구강 구조와 용도에 따라 제작되어 치주조직(齒周組織)과 턱 관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A MOUTHPIE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구강 구조와 용도에 따라 제작되어 치주조직(齒周組織)과 턱 관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아치형 또는 U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치아(본 명세서에서는 윗니와 아랫니 모두를 지칭함)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치열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정상 교합 치아와 부정 교합 치아로 구분된다. 정상 교합 치아의 경우에 어금니 부위에서는 아랫니가 윗니보다 조금 안쪽에서 서로 맞물리고, 앞니의 부위에서는 가위 운동과 비슷하게 윗니가 아랫니를 감싸고 있다. 부정 교합 치아는 정상적인 교합을 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 치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합 상태는 개인이나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또한 식성의 변화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또한, 잇몸 및 소대(小帶)는 사람마다 그 형상 또는 위치가 다른데, 예를 들면, 잇몸의 굴곡과 소대의 깊이가 다를 수 있다.
한편, 사람은 어떤 긴장된 상황에 닥치면 입 근처의 근육이 갑자기 긴장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치아를 악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때, 턱 관절이나 치아 등은 치아의 어금니를 악물 때 생기는 힘, 즉 교합력을 분산 흡수하는데, 이 교합력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크거나 반복될 경우에는 치아나 턱 관절에 악영향을미치며, 특히 부정 교합인 경우 그 피해는 심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마우스피스인데, 치아와 잇몸 전체를 감싸고 교합력을 분산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흔히 권투 선수들이 시합할 때 입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구로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종래의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는 착용자의 윗니를 수용하는 U자형의 요홈(3)을 갖는 틀(2)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틀(2)의 요홈(3)은 바닥(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평행하게 수직한 다리부(5,6)를 포함한다. 다리부(5)는 소대(小帶)에 끼워지는 부분에 노치부(7)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치아의 앞부분을 감싸고, 다리부(6)는 착용자의 치아의 뒷부분을 감싸며, 바닥(4)은 착용자의 윗니의 아래 부분을 감싸는 위치에 있다. 또한, 착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합부(8)가 바닥(7)에서 아래쪽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요홈(3)은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의 형상대로 제작되지 않아서 제대로 착용되지 않아 쉽게 빠질 수 있고 착용감도 불편하다. 또한, 보통 교합 상태에서 어금니의 맞물림은 면접촉이고 앞니의 맞물림은 선첩촉이다. 그런데, 요홈(3)의 바닥(4)과 교합부(9)의 하측은 편평한 표면이므로, 어금니 부위에 걸리는 교합력과 앞니 부위에 걸리는 교합력이 교합부(8)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피스(1)는 본래의 입안 보호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불쾌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없으며, 특히 운동 선수에게는 그 정도가 심각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틀을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의 형상대로 및 착용자의 용도에 따라 제작되어 교합시 생기는 교합력을 균등하게 분포시켜 완전히 흡수하게 함으로써, 입안의 보호 기능을 확실히 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착용감에 의한 이탈 방지와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치아의 아랫니와 교합되는 부분에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물림 자국을 갖는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의 소정의 위치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틀은 상기 외측 덮개의 앞니 부분이 절개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치아의 아랫니와 교합되는 부분에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물림 자국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앞니를 감싸는 부분이 형성된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의 소정의 위치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상부 요홈과, 착용자의 치아의 아랫니를 감싸는 외측 덮개와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아랫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하부 요홈과, 상기 상부 요홈과 상기 하부 요홈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교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교합부의 앞니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매입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미리 준비된 인상재(印象材)에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의 형상을 음각으로 모형을 뜨고, 상기 모형으로부터 양각의 원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하고 조정하기 위하여 물림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양각의 원형을 상하 분할형 플라스크 내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물림판을 상기 플라스크에 고정된 양각의 원형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물림판이 설치된 플라스크가 서로 맞닿아 밀폐되도록 상기 플라스크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물림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림판을 제거한 후 상기 플라스크에 고정된 양각의 원형 사이에 성형재를 설치하고 프레스가 장착된 가열로 내에 장입하는 단계; 상기 장입된 플라스크를 가열하는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성형재에 상기 양각의 원형대로 음각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음각으로 성형된 성형재를 용도에 따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마우스피스를 양각의 원형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종래의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우스피스 12 : 틀
13 : 철심 14 : 요홈
15 : 교합부 16 : 물림 자국
17 : 외측 덮개 18 : 내측 덮개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10)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윗니를 수용하는 요홈(14)과 상기 치아의 아랫니와 교합되는 부분(15)에 형성된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물림 자국(16)을 갖는 U자형의 틀(12), 및 하나 이상의 철심(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요홈(14)에는 윗니와 잇몸의 형태대로 감싸고 소대에 끼워지는 노치부(19)가 형성된 외측 덮개(17)와 착용자의 윗니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18)가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 덮개(17)와 내측 덮개(18) 사이에 착용자의 윗니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교합력이 작용하는 어금니 부위는 면접촉을 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교합력이 작용하는 앞니 부위는 선접촉을 하게 하여 교합력을 분산시키고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철심(13)은 통상 제 2 소구치(또는 제 2 작은 어금니)와 제 1 대구치(또는 제 1 큰 어금니)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위치에 삽입되는데, 착용자의 치아 배열에 따라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은 치아 전체를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미관을 고려하는 경우, 특히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마우스피스의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미관까지도 고려한 마우스피스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의 2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마우스피스를 양각의 원형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20)는 도 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아치형 또는 U자형의 틀(22)은 요홈(24)의 외측 덮개(28) 중에서 앞니를 감싸는 부분, 즉 견치(송곳니)와 견치 사이가 절개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실시에 3
전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주로 어금니 부위에 교합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로서, 아랫니의 앞니 부분을 어느 정도 보호하면서 착용된 상태에서 숨을 쉴 수 있는 마우스피스가 요구되는 운동 경기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의 3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30)는 도 2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아치형 또는 U자형의 틀(32)은 아랫니의 앞니 부분의 치형이 형성되어 감싸는 부분(36)을 가지며, 앞니를 감싸는 부분(36)과 요홈(34)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실시예 4
한편, 순간적으로 교합력이 크게 작용하는 운동 선수, 예컨대 역도 선수인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3의 마우스피스로는 효과적으로 교합력을 분산 흡수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조의 4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40)는 도 1 및 도 6의 요홈과 동일한 상부 요홈(44a)과, 착용자의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요홈(44b) 및 상부 요홈(44a)과 하부 요홈(44b)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교합부(4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아치형 또는 U자형의 틀(42)과, 하부 요홈(44b)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철심(43)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교합부(46)는 2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5mm의 두께이며, 그 중앙에는 개구부(48)가 형성된다. 또한, 철심(43)은 상부 요홈(44a)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착용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의 틀과 철심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미리 준비된 트레이(tray)에 1차 인상재를 충전한다. 트레이는 인상재를 담는 용기로서, 치아, 잇몸 및 소대(小帶)의 형상과 유사한 윗니용 트레이와 아랫니용 트레이로 각각 구성된다. 1차 인상재는 말랑말랑한 상태의 반죽물로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경화되는 물질이다.
이 상태에서, 단계(S10)에서는 1차 인상재가 충전된 윗니용 트레이와 아랫니용 트레이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의 형상대로 압인하여 음각으로 1차 모형을 성형한 다음, 1차 모형의 음각 부분에 2차 인상재를 충전하고 2차 모형을 음각으로 성형한 후 경화시킨다. 1차 모형은 트레이 자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구강 구조를 정밀하게 성형할 수 없어, 충전된 2차 인상재, 즉 정밀 인상재에 다시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를 압인하여 그 형상대로 정확한 모형이 성형된다.
단계(S11)에서는 2차 모형이 성형된 음각 부분에 아크릴과 같은 재질을 충전하고 경화시켜 양각으로 형성된 실물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을 제작한다(도 4참조). 이때 제작된 양각의 원형은 착용자의 치아 구조가 변경되지 않는 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인에 대해서는 단계(S10) 및 단계(S11)의 과정은 생략된다.
다음, 단계(S12)에서는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의 착용자의 교합 상태를 측정하여 조정하기 위하여 물림판을 성형한다. 이 단계(S12)는 치열의 교합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단계로서, 용도에 따라 교합 상태를 달리하여 물림판을 성형할 수 있다. 물림판은 왁스로 이루어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3)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 분할형 플라스크 내부에 양각의 원형을 각각 고정시키는데, 이것은 플라스크 내부에 접착제와 같은 물질로 충전한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각의 원형의 상단과 하단의 평탄한 부분을 그 충전된 곳에 매입하여 고정시킨다.
단계(S14)에서는 플라스크에 고정된 양각의 원형 사이에 단계(S12)에서 성형된 물림판을 설치한다.
단계(S15)에서는 물림판이 설치된 플라스크가 서로 맞닿아 밀폐되도록 플라스크의 높이를 조절한 후 물림판을 제거한다. 그러면 양각의 원형 사이에는 물림판의 높이만큼 공간이 형성된다.
단계(S16)에서는 성형재를 플라스크에 고정된 양각의 원형 사이에 설치하고 프레스가 장착된 가열로 내에 장입하는데, 상기 성형재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17)에서는 장입된 플라스크를 가열하는 동시에 가압하여 성형재에 양각의 원형대로 음각을 성형하는데, 성형재가 성형될 정도의 온도, 대략 140 내지 150℃에서 1시간 정도 가압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행된다.
단계(S18)에서는 음각으로 성형된 성형재를 용도에 따라 마감 처리한다. 예컨대, 교합력의 크기, 즉 용도 또는 미관에 따라 성형재를 트리밍하며, 최종적으로 연마한다.
한편, 입안에 보다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단계(S17)와 단계(S18) 사이에 하나 이상의 철심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 및 마우스피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 및 마우스피스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착용자의 치아, 잇몸 및 소대의 형상대로 제작되면서 교합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감이 매우 우수하고 교합력의 균등한 분포와 뛰어난 흡수력으로 입안의 보호가 확실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노치부가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치아의 아랫니와 교합되는 부분에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물림 자국을 갖는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의 소정의 위치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은 상기 외측 덮개의 앞니 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 마우스피스.
  3.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노치부가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치아의 아랫니와 교합되는 부분에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물림 자국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앞니를 감싸는 부분이 형성된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의 소정의 위치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
  4.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앞부분과 잇몸을 감싸며 소대에 끼워지는 노치부가 형성된 외측 덮개와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의 뒷부분을 감싸는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윗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상부 요홈과, 착용자의 치아의 아랫니를 감싸는 외측 덮개와 내측 덮개 사이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아랫니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하부 요홈과, 상기 상부 요홈과 상기 하부 요홈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교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교합부의 앞니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U자형의 틀;
    착용시 상기 치아에 걸리도록 상기 틀에 매입된 하나 이상의 철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우스피스.
  5. 삭제
KR10-2000-0057781A 2000-10-02 2000-10-02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40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81A KR100402978B1 (ko) 2000-10-02 2000-10-02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81A KR100402978B1 (ko) 2000-10-02 2000-10-02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94A KR20020026394A (ko) 2002-04-10
KR100402978B1 true KR100402978B1 (ko) 2003-10-30

Family

ID=1969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781A KR100402978B1 (ko) 2000-10-02 2000-10-02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9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427A1 (en) * 2009-11-10 2011-05-19 Hutchison Michael C D D S Mouth guard for increasing strength and stamina
KR101145105B1 (ko) * 2010-07-07 2012-05-15 구현웅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KR20160095425A (ko) 2015-02-03 2016-08-11 김일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마우스피스
KR101851663B1 (ko) * 2016-07-26 2018-04-26 러버앤실리콘 주식회사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2526875B1 (ko) * 2022-09-08 2023-04-27 김원태 최적교합관계를 가지며 대합치와 균일한 접촉을 하는 마우스 가드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888A (ko) * 2003-07-04 2005-01-12 박준철 치아교합면 음형
KR100883168B1 (ko) * 2007-05-23 2009-02-10 정수용 턱관절 보호 기구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3369B1 (ko) * 2013-08-09 2015-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가드
KR101686072B1 (ko) * 2015-02-03 2016-12-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용 마우스피스 및 애견용 마우스피스 세트
KR101682422B1 (ko) * 2015-06-19 2016-12-08 위진권 탈착식 치아 보호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944A (en) * 1975-10-28 1979-02-20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US4505672A (en) * 1983-11-14 1985-03-19 Kurz Craven H Two-piece gnathologic orthodontic positioner
US5267862A (en) * 1993-01-08 1993-12-07 Parker Jonathan A Intraoral appliance
EP0741997A1 (en) * 1994-03-01 1996-11-13 Peter C. Kesling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JPH09131425A (ja) * 1995-11-08 1997-05-20 Takayuki Teranishi 運動用口腔補助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682904A (en) * 1996-02-05 1997-11-04 Stinnett; Thomas M. Mouthpiece having a cavity por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944A (en) * 1975-10-28 1979-02-20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US4505672A (en) * 1983-11-14 1985-03-19 Kurz Craven H Two-piece gnathologic orthodontic positioner
US5267862A (en) * 1993-01-08 1993-12-07 Parker Jonathan A Intraoral appliance
EP0741997A1 (en) * 1994-03-01 1996-11-13 Peter C. Kesling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JPH09131425A (ja) * 1995-11-08 1997-05-20 Takayuki Teranishi 運動用口腔補助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682904A (en) * 1996-02-05 1997-11-04 Stinnett; Thomas M. Mouthpiece having a cavity por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427A1 (en) * 2009-11-10 2011-05-19 Hutchison Michael C D D S Mouth guard for increasing strength and stamina
KR101145105B1 (ko) * 2010-07-07 2012-05-15 구현웅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KR20160095425A (ko) 2015-02-03 2016-08-11 김일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마우스피스
KR101851663B1 (ko) * 2016-07-26 2018-04-26 러버앤실리콘 주식회사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2526875B1 (ko) * 2022-09-08 2023-04-27 김원태 최적교합관계를 가지며 대합치와 균일한 접촉을 하는 마우스 가드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94A (ko) 200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923B2 (en) Oral orthosis
US11576808B2 (en) Apparatus and kit for a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EP0362617B1 (en) Orthodontic positio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571428C (en) Custom mouthguard
US9737377B2 (en) Mouthpiece
KR100402978B1 (ko)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US7918228B2 (en) Musculoskeletal repositioning device
JP4476583B2 (ja) 口腔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585401B2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US20150004555A1 (en) Composition for mouthguard
US20150360115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KR101851663B1 (ko)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20060021622A1 (en) Bruxism appliance
US20140224259A1 (en) Guard for mouth
US20040248065A1 (en) Self-fabricated denture
JP3215287U (ja) 歯科矯正具
US20140224260A1 (en) Guard for mouth
KR102526875B1 (ko) 최적교합관계를 가지며 대합치와 균일한 접촉을 하는 마우스 가드 제작방법
US20180021660A1 (en) Or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JPH03182273A (ja) 運動用臼歯保護具の使用方法
KR810001621B1 (ko) 구강내에서 성형 가능한 치과인상 트레이
TWI736561B (zh) 包括用於採取牙弓模印之牙套胚料及工具的組件
US20200113653A1 (en) Mouth Guard
JP3052639U (ja) 顎関節症の治療用スプリ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