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19B1 -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19B1
KR100402119B1 KR10-2001-0036331A KR20010036331A KR100402119B1 KR 100402119 B1 KR100402119 B1 KR 100402119B1 KR 20010036331 A KR20010036331 A KR 20010036331A KR 100402119 B1 KR100402119 B1 KR 10040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bulk head
panel
foam pad
reinforce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517A (ko
Inventor
정호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밀폐 공간이 형성된 자동차 바디의 폐단면에 각 폐단면 및 접합부를 통하여 올라오는 외기음 및 공동소음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내장되는 방음 발포패드가 보다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바디의 방음효과를 배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 아웃 패널(11)과 그에 접합되는 사이드 인너 패널(12) 사이에 보강패널(13)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11)(12)(13)들이 이루는 제 1,제2 밀폐 공간부(S1,S2) 내부에 발포체를 충전시키는 자동차 필러의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밀폐 공간부(S1)의 중심에 벌크 헤드(110)를 마련하고, 상기 보강패널(13)의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홀(13a)을 형성하며, 상기 벌크 헤드(110)의 외주면에는 제 1발포 패드(120)를 부착하고, 상기 제 2밀폐 공간부(S2)를 이루는 상기 보강패널(13) 일측면에 제 2발포패드(130)를 부착한 후, 상기 체결홀(13a) 내부에 상기 벌크 헤드(110)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부(111)를 끼워서 상기 벌크 헤드(1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발포패드(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포공정을 거쳐 제 1, 2밀폐 공간부(S1,S2)를 콤팩트하게 충전시키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Automobile pillar's airtight space filling method and pill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자동차 바디의 폐단면에 각 폐단면 및 접합부를 통하여 올라오는 외기음 및 공동소음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방음 발포패드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바디의 방음효과를 배가시킨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화이트 바디(white body)에는 각종 차체 패널에 의하여 소정의 밀폐공간이 형성되는바, 이 바디의 밀폐공간은 A 필라, B 필라, C 필라를 포함하는 필라부 및 사이드 루프부, 사이드실 부위등 바디 전체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의 밀폐공간은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의 전달 매개체가 되어 차 실내로 진동 및 소음이 유입되게 되는데, 통상 이 바디의 밀폐 공간부에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 방진제를 충전시켜 차체의 소음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도 1의 "A"확대도로서, 필러(10)는 바디(1)의 측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사이드 아웃 패널(11)과 사이드 인너 패널(12)로 이루어져 있다.
사이드 인너 패널(12)에는 사이드 아웃 패널(11)이 용접되며 이들 사이에는 필러(10)의 보강을 위해서 보강패널(13)이 내장되어 공간부(S1,S2)가 형성된다.
공간부(S1,S2)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억제 및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 방진 설계가 요구되는 곳으로, 밀폐 공간부(S1,S2)를 충전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패널(13)의 전면과 배면에 발포패드(P1,P2)를 소정두께로 부착한 다음, 발포패드(P1,P2)가 부착된 바디(1)를 대략 180 ~ 250℃의 도장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필러(10)의 밀폐 공간부(S1,S2)에 부착된 발포패드(P1,P2)를 발포시켜서 밀폐 공간부(S1,S2)를 충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발포패드를 보강패널의 내면에만 부착시키므로 밀폐 공간부의 중앙부위는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미 충전되고 이로 인하여 바디의 소음차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방법은, 방청유가 뭍은 상태에서 발포패드가 보강패널 내면에 부착되므로, 발포패드가 도장 건조로에서 발포되기도 전에 보강패널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따라서 바디의 소음차단 효율은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 방법은, 보강패널의 전면과 배면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발포패드를 일일이 접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늘고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러 내부의 밀폐 공간부를 콤팩트하게 충전시켜서 주행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2b는 도 1의 "A"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벌크 헤드와 발포패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a는 발포공정 전 상태를 보인 필러 단면도,
도 4b는 발포공정 후 상태를 보인 필러 단면도,
도 5는 4a의 A-A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이드 아웃 패널 12 : 사이드 인너 패널
13 : 보강패널 13a : 체결홀
S : 제 1밀폐 공간부 S2 : 제 2밀폐 공간부
110 : 벌크 헤드 111 : 후크부
130 : 제 2발포패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 아웃 패널과 그에 접합되는사이드 인너 패널 사이에 보강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들이 이루는 제 1,제2 밀폐 공간부 내부에 발포체를 충전시키는 자동차 필러의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밀폐 공간부의 중심에 벌크 헤드를 마련하고, 상기 보강패널의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벌크 헤드의 외주면에는 제 1발포 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제 2밀폐 공간부를 이루는 상기 보강패널 일측면에 제 2발포패드를 부착한 후, 상기 체결홀 내부에 상기 벌크 헤드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부를 끼워서 상기 벌크 헤드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발포패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포공정을 거쳐 제 1,제 2밀폐 공간부를 콤팩트하게 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을 요약 정리하면, 본 발명은 필러 내부를 콤팩트하게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필러의 내부, 즉 밀폐 공간부에 벌크 헤드를 설치하고 벌크 헤드의 외주면에 발포패드를 설치한 후 발포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밀폐 공간부 전체를 콤팩트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벌크 헤드와 발포패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발포공정 전 상태를 보인 필러 단면도이며, 도 4b는 발포공정 후 상태를 보인 필러 단면도이고, 도 5는 4a의 A-A단면도이다.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사이드 아웃 패널(11)과 그에 접합되는 사이드 인너 패널(12) 사이에 보강패널(13)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11)(12)(13)들에 의하여 제 1,제2 밀폐 공간부(S1,S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1,제2 밀폐 공간부(S1,S2) 내부에 발포 패드(120,130)와 같은 발포체를 설치한 후 발포공정을 거쳐서 그 내부를 충전시켜 엔진 작동 중에 또는 주행 중에 차 실내를 차음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충전방법은 우선, 제 1밀폐 공간부(S1)의 중심에 벌크 헤드(110)를 마련하고, 상기 보강패널(13)의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홀(13a)을 형성한다.
그 다음, 벌크 헤드(110)의 외주면에 제 1발포 패드(120)를 부착하고, 상기 제 2밀폐 공간부(S2)를 이루는 보강패널(13) 일측면에 제 2발포패드(130)를 부착한다.
보강패널(13) 일측면에 제 2발포패드(130)를 부착한 후에는, 체결홀(13a) 내부에 벌크 헤드(110)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부(111)를 끼워서 벌크 헤드(110)를 보강패널(13)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벌크 헤드(110)의 후크부(111)에 제 2발포패드(130)를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벌크 헤드(110)를 보강패널(13)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밀폐 공간부(S1,S2)의 내측면과 근접된 상태에서 발포패드(120,130)를 발포시키므로 제 1밀폐 공간부(S1)와 제 2밀폐 공간부(S2)의 가장자리를 보다 콤팩트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필러의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자동차 필러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사이드 아웃터 패널(11)과 사이드 인너 패널(12)은 그 사이에 보강패널(13)을 개재하여 서로 용접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12)과 보강패널(13)은 제 1밀폐 공간부(S1)를 이루고,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패널(11)과 보강패널(13)은 제 2밀폐 공간부(S2)를 이룬다.
제 1밀폐 공간부(S1)의 중심에는 벌크 헤드(110)가 위치되며, 벌크 헤드(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부(111)가 보강패널(13)의 체결홀(13a)에 끼워져서 벌크 헤드(11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벌크 헤드(110)가 보강패널(13)에 고정되어 앞서, 벌크 헤드(110)의 외주면에는 제 1발포패드(120)가 끼워진다.
그리고, 제 1밀폐 공간부(S2)에는 제 2발포패드(130)가 위치되는 바, 제 2발포패드(130)는 후크부(111)에 의해서 보강패널(13)에 밀착된다.
이렇게 조립 완료된 바디의 필러(100)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발포공정을 거쳐서 그 밀폐 공간부(S1,S2)에 발포패드(120,130)가 콤팩트하게 충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조립공정 및 발포패드 설치 작업을 간소화시켜 작업공수를 대폭 감소시킨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의 밀폐공간을 방음 발포패드로 보다 콤팩트하게 충전시켜서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사이드 아웃 패널(11)과 그에 접합되는 사이드 인너 패널(12) 사이에 보강패널(13)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11)(12)(13)들이 이루는 제 1, 제2 밀폐 공간부(S1,S2) 내부에 발포체를 충전시키는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밀폐 공간부(S1)의 중심에 벌크 헤드(110)를 마련하고, 상기 보강패널(13)의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홀(13a)을 형성하며, 상기 벌크 헤드(110)의 외주면에는 제 1발포 패드(120)를 부착하고, 상기 제 2밀폐 공간부(S2)를 이루는 상기 보강패널(13) 일측면에 제 2발포패드(130)를 부착한 후, 상기 체결홀(13a) 내부에 상기 벌크 헤드(110)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부(111)를 끼워서 상기 벌크 헤드(1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발포패드(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포공정을 거쳐 제 1, 2밀폐 공간부(S1,S2)를 콤팩트하게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2. 제 1항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자동차의 필러.
KR10-2001-0036331A 2001-06-25 2001-06-25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KR10040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31A KR100402119B1 (ko) 2001-06-25 2001-06-25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31A KR100402119B1 (ko) 2001-06-25 2001-06-25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17A KR20030000517A (ko) 2003-01-06
KR100402119B1 true KR100402119B1 (ko) 2003-10-17

Family

ID=2771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31A KR100402119B1 (ko) 2001-06-25 2001-06-25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4B1 (ko) * 2005-06-23 2007-04-27 백경재 소일네일
WO2007103697A1 (en) * 2006-03-09 2007-09-13 Henkel Japan Ltd. Fastenable member
WO2007146726A2 (en) * 2006-06-09 2007-12-21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Cavity filler insert
EP2154051B1 (en) * 2008-08-05 2011-11-30 Sika Technology AG Baffle
KR102515344B1 (ko) * 2021-08-31 2023-03-29 (주)일지테크 지지바와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KR102515349B1 (ko) * 2021-08-31 2023-03-29 (주)일지테크 강철선과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17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119B1 (ko)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KR100471478B1 (ko) 자동차용 바디의 방음구조
JP2001153270A (ja) グロメット
KR100405613B1 (ko) 컴팩트한 내부 충전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필러
KR200210106Y1 (ko)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KR200245939Y1 (ko) 흡음형 방음 패널
KR100392005B1 (ko) 자동차 바디의 중공부 충전 부재 및 방법
KR100403476B1 (ko) 자동차 필러의 소음방지 구조
JP3760553B2 (ja) エンジン
KR100260228B1 (ko)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 굴삭기의 캡
JPH05306654A (ja) オイルパン
KR100578056B1 (ko) 자동차용 발포 조립체
KR100508450B1 (ko) 트랜스미션 마운팅 구조
KR100297849B1 (ko) 엔진 소음 저감 구조
KR100334136B1 (ko) 자동차의소음진동차폐수단형성방법
KR200166291Y1 (ko) 차량의 센터 필라 웨더 스트립 결합 구조
KR200154495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루프 패널 형상구조
RU6376U1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ий узел окна шумоизоляции щитка передка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9084835A (ja) 車体構造
CN113530377A (zh) 一种抑制汽车车门开启噪声的增强结构
JPH10181595A (ja) 客車用構体
KR20060063050A (ko) 도어 하부 플랜지부의 몰딩 구조
KR19980047862A (ko) 차량용 프레임의 사이드멤버
KR19980029518A (ko) 차량의 필러리드 구조
KR19980038617U (ko) 자동차의 대시판넬 시일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