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973B1 -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973B1
KR100400973B1 KR10-2001-0004049A KR20010004049A KR100400973B1 KR 100400973 B1 KR100400973 B1 KR 100400973B1 KR 20010004049 A KR20010004049 A KR 20010004049A KR 100400973 B1 KR100400973 B1 KR 10040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nduits
present
injection ho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257A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01-000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9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0/00Cooling casting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도관 및 공기가 유입되는 제2도관, 그 혼합공간이 개방된 연결부를 통해 2개의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2가지 소재의 분사구로 구성된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유입용 제1도관(101)과 공기 유입용 제2도관(102), 그 혼합 공간이 개방된 연결부(104,105)를 통해 2개의 도관(101,102)에 연결된 2가지 소재의 분사구(103)으로 구성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101) 및 제2도관(102)이 서로 맞닿아 있어 분사구(103)가 개방되는 연결부(104,105)가 직접 또는 이격쇠(110) 및 이격도관(110a)을 통해 도관 (101,10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구를 위해 구분된 정지부를 갖출 필요가 없고 냉각 처리를 위한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구의 연결 도관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 도관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이 단순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Duct Arranging Method for Process of Surface Cooler}
본 발명은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도관 및 공기가 유입되는 제2도관, 그 혼합공간이 개방된 연결부를 통해 2개의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2가지 소재의 분사구로 구성된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냉각장치를 처리하기 위한 기존의 도관 배치에는 도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제철소에서의 연속주조기에서 토출되는 슬래브(주편)의 표면 이차냉각용 도관(10)과 도관(1)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관(10)은 냉각수 처리 장치용이고, 도관(1)은 공기 냉각 처리 장치용이다.
2개의 도관(10,1) 유형은 진행방향(A)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에서 나오는 미도시된 슬래브(slab)의 운동 방향에 따른 것이다.
슬래브는 알려진 바와 같이 활차(滑車) 궤도 위로 이동하여, 도 1에 개략적으로 제시한 냉각장치에서 순간 냉각을 거치게 된다.
다수의 분사구(3)는 진행방향(A)에 따라 정지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냉각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분사구(3)는 각각 상대적으로 얇고 구부리기 쉬운 도관(4 또는 5)를 통해 도관(10,1)과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분사구(3)는 수직으로 하단을 향하고 있으며 진행방향(A)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래브의 표면 직전 설계 사례와 마찬가지로 냉각 표면 직전에 물부리와 같은 형태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 도관(6)을 갖추고 있다.
이 때 분사구(3)는 연결 도관(6)으로, 도관(10,1)에 나란히 진행되는 슬래브의 인도와 작업에 사용되는 궤도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된다.
도 1에서는 표준 기술에 따른 분사구와 더불어 도관 배치의 설치 및 배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점이 분명하게 제시된다.
냉각물을 변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분사구 배열과 이에 따른 도관 배치를 변경해야 한다.
또한 분사구용으로 사용되는 미도시된 고정부도 이동해야 한다.
즉, 상술한 종래의 도관 배치는 상대적으로 설치하기가 복잡하고, 슬래브 폭의 변경이나 또는 기타 상황으로 인해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새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각 처리를 위한 도관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을 가능한 한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구를 위해 구분된 정지부를 갖출 필요가 없고, 냉각 처리를 위한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구의 연결 도관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되는 제1도관 및 공기가 유입되는 제2도관을 직접 맞닿게 연결하고 연결부를 개방할 때에 분사구를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이격 도관을 통해 상기 제1도관 또는 제2도관에 연결함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토출구를 위한 냉각장치의 도관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도관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도관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관에 연결된 분사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관에 연결된 분사구 부분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관 배치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1도관 102 : 제2도관
101a,102a : 측면 103,103a : 분사구
104,105 : 연결부 106 : 연결 도관
107 : 노즐 108 : 수나사
109 : 암나사 110 : 이격쇠
110a : 이격 도관 111 : 고정판
112 : 폐쇄 고리 113 : 직선
114 : 공동윤곽 115 : 파이프
116 : 관통 구멍 A : 진행방향
본 발명에서 도관은 서로 수직적으로 하단에 놓인다.
이 때 분사구는 각각의 도관 옆에 연결된다.
도관이 궤도 또는 슬래브의 움직이는 방향과 나란히 설치되고, 직사각형의 외형을 지닌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제1도관과 제2도관의 측면이 서로 직선으로 배치되면 용광로 토출구 냉각장치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냉각물(物)을 변형할 경우에 분사구를 종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부위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분사구 또는 그 혼합 공간을 위한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벽이 생성되어 이를 분사구의 종축 변경을 위한 연결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도관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액체)을 위한 제1도관(101)과 공기를 위한 제2도관(102)이 직접 맞닿아 있으며 미도시된 슬래브가 진행방향(A)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도관(101)과 제2도관(102)의 형상은 사각형의, 특히 각각 동일한 크기의 정방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도관(101,102) 각각의 수직적인 측면(101a,102a)은 서로가 맞닿을 정도로 배치된다.
이는 분사구(103)을 연결하여 혼합 공간이 개방된 연결부(104 또는 105)를 제1도관(101) 및 제2도관(102)에 밀착시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통해 도관(101,102) 분사구(103)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편, 그 분사구(103)를 위한 정지부로 사용된다.
도 4에서 도 6은 분사구(103)를 도관(101,102)에 연결하는 방법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도 4는 도관에 연결된 분사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관에 연결된 분사구 부분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관 배치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연결 도관(106)에서 노즐(107)에 이르는 분사구(103)의 고정 수단은 수나사(108)이다.
또는, 도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도관(101,102)의 측면에 고정판(111)이 배열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6에는 맞은 편에 수나사(108)와 암나사(109)로 고정되어 상기 도관(101,102)에 밀착 고정된 다른 하나의 분사구(103)가 이격쇠(110)을 통해 도관(101 또는 102)에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구(103)의 연결부(104,105)에 폐쇄 고리(112)를 설치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도관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분사구(103a)가 도 6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지 않고, 도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도관(101,102)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에서는 분사구(103a)을 각각 이격 도관(110a) 또는 이격쇠(110)를 사용하여 도관(101,102)에 설치하면 분사구(103) 또는 분사구의 노즐(107) 이 각각 진행방향(A)에 나란히 배치되어 하면에서 나란히 동일한 간격 a 또는 a/2 가 되도록 직선(113) 위로 배열할 수 있다.
도 6 또는 도 5에는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는 도관(101,102) 설계 형태를 제시한다.
그림에서 도관(101 또는 102)의 공동(空洞)은 두 공동 사이에 있는 관통 구멍(116)으로 수나사(108)을 삽입할 수 있는 1개의 웨브(Web,115)를 갖는 공동 윤곽(outline,114)의 일부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관(101,102)을 간단하게 유입 도관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사구(103)용 고정부로도 사용하는 중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첫 번째 도관과 두 번째 도관을 직접 맞닿게 연결하고 연결부를 개방할 때에 분사구를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이격 도관을 통해 도관에 연결하여 분사구를 위해 구분된 정지부를 갖출 필요가 없다.
또한 냉각 처리를 위한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구의 연결 도관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관 배치는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 중에서 기본적으로 가장 간단한 방식이라 하겠다.

Claims (6)

  1. 액체 유입용 제1도관(101)과 공기 유입용 제2도관(102), 그 혼합 공간이 개방된 연결부(104,105)를 통해 2개의 도관(101,102)에 연결된 2가지 소재의 분사구(103)으로 구성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101) 및 제2도관(102)이 서로 맞닿아 있어 분사구(103)가 개방되는 연결부(104,105)가 직접 도관(101,10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관(101,102)이 수직적으로 층층이 맞닿아 있어 분사구(104)가 측면에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관(101,102)이 슬래브의 진행방향(A)과 나란히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서, 상기 도관(101,102)이 정방형의 외관을 지닌 사각 도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도관(101)과 제2도관(102)의 측면(101a,102a)이 서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관(101,102)의 공동(空洞)은 두 공동 사이에 있는 관통 구멍(116)으로 수나사(108)을 삽입할 수 있는 1개의 웨브(Web,115)를 갖는 공동 윤곽(114)의 일부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4,105)에 폐쇄 고리(112)가 설치되어 분사구(103)가 이격쇠(110) 또는 이격 도관(110a)을 통해 도관(101,102)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KR10-2001-0004049A 2001-01-29 2001-01-29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KR10040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49A KR100400973B1 (ko) 2001-01-29 2001-01-29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49A KR100400973B1 (ko) 2001-01-29 2001-01-29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7A KR20010044257A (ko) 2001-06-05
KR100400973B1 true KR100400973B1 (ko) 2003-10-08

Family

ID=1970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49A KR100400973B1 (ko) 2001-01-29 2001-01-29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7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2189B (zh) 澆注噴嘴及此澆注噴嘴與內噴嘴之總成
JPS6269091A (ja) 管束式熱交換器
KR100400973B1 (ko) 표면 냉각장치 처리를 위한 도관 배치방법
KR950000893A (ko) 슬래그의 수쇄장치
JP2005090448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US6309205B1 (en) Device for producing cross-finned pipes
JP3733157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おける圧力媒体ダクトのための連結装置
JP3615437B2 (ja) スライドバルブ装置
JP4177219B2 (ja) 冷却機能付き金型
TWI831812B (zh) 用於豎爐的冷卻盒
JPH04140457A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US7900442B2 (en) Engine including secondary air supply apparatus
KR100219857B1 (ko) 스폿 용접기의 스폿 건 냉각장치
KR100860139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2091630B1 (ko) 역류 방지형 스프레이 마커
RU2005117969A (ru) Огнеупорная плита
JP4775678B2 (ja) ガラス製品製造機用の冷却システム
KR200178126Y1 (ko) 냉각구조가 개선된 터빈 블레이드
JPH07256423A (ja) 金型用冷却水通路変換装置および金型冷却装置
SU1475928A1 (ru) Шиберный клапан газо- и воздухопроводов
KR100208838B1 (ko) 배기 매니폴드의 2차공기통로 구조
JP2510926B2 (ja) H形鋼冷却水の止水装置
JPS6222291Y2 (ko)
KR20200144360A (ko)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KR0118547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7